KR0121754Y1 - 공기조화기용 에어필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용 에어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1754Y1
KR0121754Y1 KR2019950030425U KR19950030425U KR0121754Y1 KR 0121754 Y1 KR0121754 Y1 KR 0121754Y1 KR 2019950030425 U KR2019950030425 U KR 2019950030425U KR 19950030425 U KR19950030425 U KR 19950030425U KR 0121754 Y1 KR0121754 Y1 KR 01217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ealed
dust collecting
air condition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04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8911U (ko
Inventor
신재헌
Original Assignee
신재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재헌 filed Critical 신재헌
Priority to KR20199500304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1754Y1/ko
Publication of KR9700189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89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17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175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개선된 공기조화기용 에어필터를 개시한다.
종래의 에어필터는 집진포켓 둘레가 봉재되어 있어 공압이 가해짐에 따라 봉재된 실들의 틈새로 필터링되지 않은 공기가 누출되고 봉재부위가 터지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에서는 집진포켓의 타측둘레가 고주파 열처리에 의해 실링 가공되어 밀봉되어 있는 에어포켓을 구비하므로 집진포켓의 접착부위가 완전히 밀봉되므로 집진효과가 매우 뛰어나고 강한 공압에도 견고히 지지되므로 종래 문제를 해결하였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용 에어필터
제1도는 공기조화기에 종래 에어필터가 설치된 상태를 보이는 개략도,
제2도는 종래 에어필터를 발췌하여 보이는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 에어필터를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공기조화기의) 본체 2:흡입공기조절댐퍼(damper)
3:외부공기입구 4,14:에어필터(air filter)
5:히이터(heater) 6:쿨러(cooler)
7:송풍팬 8:공기덕트(air duck)
9:작업공간 14a:지지프레임
14b:지지봉 14c:유입구
14d:집진포켓 14e:접착부
본 고안은 공기조화기용 에어필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집진포켓의 둘레를 고주파 열처리로 실링가공하므로 밀봉처리한 공기조화기용 에어필터에 관한 것이다.
실내 공기의 온도, 습도, 청정도 및 기류분포를 실내의 사람 혹은 물품에 대해 그 목적에 맞는 조건으로 조정하는 공기조화기(AIR HANDLING UNIT)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체(1) 일측에 흡입공기조절댐퍼(2)가 설치된 외부공기입구(3)가 구비되고 대응 타측에 송풍팬(7)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사이에는 외부공기입구(3)로부터 순차적으로 에어필터(4), 히이터(5), 쿨러(6)가 설치되어 있는바, 이에 설치된 종래의 에어필터(4)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집진포켓(4a)의 유입구(4b)를 제외한 나머지 둘레에 실(4c)로 봉재되어 있다.
한편 외부공기입구(3)와 에어필터(4) 사이의 본체(1) 상부에는 회수공기 조절댐퍼(10)가 설치된 회수공기입구(11)가 구비되어 송풍팬(7) 상부에 설치된 공기덕트(8)가 이에 연결되어 있고, 이 공기덕트(8)에는 다수의 유도덕트(도시않됨)가 작업공간(9)을 경유하도록 설치되어 있어 실내를 냉,난방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공기조화기는 송풍팬(7)이 작동됨에 따라 흡입공기조절댐퍼(2)에 의해 적절히 조절된 외부공기가 외부공기입구(3)로 유입되면 에어필터(4)를 통과하면서 공기내에 포함된 이물을 집진시키게 되고, 히이터(5) 또는 쿨러(6)를 선택적으로 작동시켜 정화된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킨후 공기덕트(8)에 연결된 각 작업공간(9)으로 경유시키게 되고 작업공간(9)을 경유한 공기는 회수공기입구(11)를 통해 외부공기와 혼합되어 다시 에어필터(4)로 흡입되어 정화된다.
그런데 이러한 에어필터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유입구(3)를 제외한 나머지 둘레가 봉재되어 있기 때문에 유입구(3)로 부터 공기가 가압됨에 따라 실(4c) 사이가 벌여져서 공기유출구(4d)가 발생되며 이를 통해 필터링되지 않은 공기가 그대로 유출되는 문제가 있었고, 장기간 사용시 공기압 때문에 봉재된 부분이 터지게 되며, 봉재에 따라 작업시간 지연으로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술한 문제를 감안하여 본 고안의 목적은 유입구를 제외한 집진포켓의 둘레를 밀봉처리하여 유입된 공기가 그대로 유출되지 않고, 그 밀봉작업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공기조화기용 에어댐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공기조화기용 에어댐퍼는 공기조화기의 지지프레임에 다수 배열구비되고 외부공기가 유입되도록 일측에 개구가 형성되며 타측 둘레가 봉재되어 있는 집진포켓을 구비하는 공기조화기용 에어필터에 있어서, 집진포켓의 타측둘레가 고주파 열처리에 의해 실링 가공되어 밀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제3도에서, 본 고안의 공기조화기용 에어필터는 공기조화기의 일측면에 설치된 사각형의 지지프레임(14a)과 그 사이에 일정간격 고정구비된 복수의 지지봉(14b)들에 의해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방향으로 유입구(14c)가 형성되도록 복수의 집진포켓(14d)이 설치되어 있다.
이 집진포켓(4d)은 한겹으로 설치할 수도 있으나 3겹으로 형성시킨다면 미세한 먼지의 포집도 가능하고 비교적 장시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집진포켓(4d)의 유입구(14c) 제외한 둘레는 본 고안의 특징에 따라 고주파 열처리하여 실링가공되어 접착부(14e)를 형성하고 있는바, 집진포켓(14d)의 둘레를 소정시간 가열, 가압함에 따라 접착부(14e)는 용해된후 응고되어 반영구적으로 접합된다.
이와같이 고주파 열처리하여 집진포켓(14d)의 양면을 완전히 밀봉시킨 상태의 접착부(14e)는 공기노출이 완전히 차단되어 정화되지 않는 공기가 그대로 유출되지 않게 되며, 강한 공압이 가해져도 집진포켓(15d)의 양면이 찢어지지 않는한 접착부(14e)가 터져서 불량처리되는 경우는 거의 없게 된다.
또한 이러한 고주파 열처리 작업은 봉재작업에 비해 매우 신속하여 대량생산에 매우 적합하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공기조화기용 공기필터는 집진포켓(15d)의 둘레가 봉재되므로 외부공기의 가압시 봉재된 틈 사이로 필터링되지 않은 공기가 그대로 누출되거나 공압에 의해 봉재부위가 터지는 문제가 있었던 종래와는 달리, 고주파 열처리에 의해 접착부(14e)가 용해, 응고되어 완전히 밀봉되므로 공기의 누출이 완전히 차단됨은 물론 터짐이 방지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에어필터에 의하면 공기중의 미립자의 분진포집이 매우 뛰어나고 터짐이 방지되어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공기조화기의 지지프레임에 다수 배열구비되고 외부공기가 유입되도록 일측에 개구가 형성되며 타측 둘레가 봉재되어 있는 집진포켓을 구비하는 공기조화기용 에어필터에 있어서, 상기 집진포켓(14d)의 타측둘레가 고주파 열처리에 의해 실링 가공되어 밀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에어필터.
KR2019950030425U 1995-10-26 1995-10-26 공기조화기용 에어필터 KR01217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0425U KR0121754Y1 (ko) 1995-10-26 1995-10-26 공기조화기용 에어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0425U KR0121754Y1 (ko) 1995-10-26 1995-10-26 공기조화기용 에어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8911U KR970018911U (ko) 1997-05-26
KR0121754Y1 true KR0121754Y1 (ko) 1998-08-01

Family

ID=19427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0425U KR0121754Y1 (ko) 1995-10-26 1995-10-26 공기조화기용 에어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175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4132Y1 (ko) * 2020-09-24 2021-08-09 현호원 공조기 포켓형 미듐 필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4132Y1 (ko) * 2020-09-24 2021-08-09 현호원 공조기 포켓형 미듐 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8911U (ko) 1997-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56243B2 (en) Filtered air vent
KR102193872B1 (ko) 제습기
KR0121754Y1 (ko) 공기조화기용 에어필터
JP2006242393A (ja) 空調用室内ユニットおよび空気処理装置
JPS61202028A (ja) 除塵装置内蔵の壁部材
KR20000056578A (ko) 공기 조화기
JPH03195835A (ja) 空調装置
CN208936353U (zh) 一种铝箔纸生产车间的空气净化循环系统
KR20210114713A (ko) 공기 조화 장치
CN105689025A (zh) 一种具有热交换功能的生物安全柜
JP2002321174A (ja) 清浄作業台
KR102214711B1 (ko) 에어컨 장착용 미세먼지 저감 필터
JP2006231180A (ja) エアフィルタおよびその加工方法
JPS5941728A (ja) 除湿機の熱交換通風装置
JP6463062B2 (ja) 気体制御装置、ロータを用いた気体制御装置のゾーン間リークの低減方法、及び気体制御システム
JPH03129230A (ja) 空気清浄装置
CN207094774U (zh) 一种智能除霾空调
KR200151098Y1 (ko) 장비 부착용 공기 청정장치
JPS62138638A (ja) エア−カ−テン設備
CN109104873A (zh) 过滤器
JPH02208433A (ja) クリーンルーム用空気清浄装置
KR20210114709A (ko) 공기 조화 장치
JPH06304429A (ja) Hepaフィルタユニットおよびその配置方法
JPS62129631A (ja) 空気調和装置
WO2018193646A1 (ja) クリーンオーブ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