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1754B1 - 종형탄구유기기(縱型彈球遊技機)의 입상검출장치(入賞儉出裝置) - Google Patents

종형탄구유기기(縱型彈球遊技機)의 입상검출장치(入賞儉出裝置)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1754B1
KR0121754B1 KR1019890013186A KR890013186A KR0121754B1 KR 0121754 B1 KR0121754 B1 KR 0121754B1 KR 1019890013186 A KR1019890013186 A KR 1019890013186A KR 890013186 A KR890013186 A KR 890013186A KR 0121754 B1 KR0121754 B1 KR 0121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nular
ball
vertical
passage hole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3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4363A (ko
Inventor
요시오 다케도미
Original Assignee
가나자와 요오규
가부시키가이야 산요붓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나자와 요오규, 가부시키가이야 산요붓산 filed Critical 가나자와 요오규
Publication of KR900004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43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1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17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7/00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 A63F7/02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using falling playing bodies or playing bodies running on an inclined surface, e.g. pinball g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종형탄구유기기(縱型彈區遊技機)의 입상검출장치(入賞檢出裝置)
제1도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1실시예에 관한 종형탄구유기기의 입상검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그 실시예에 관한 입상검출장치를 종형탄구유기기 보올의 출구측에서 본 분해사시도.
제3도(a)는 그 실시예에 관한 입상검출장치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낸 블록 다이어그램.
제3도(b)는 입상검출장치의 회로도.
제4도는 보올의 통과여부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
제5도는 그 실시예 장치가 설치되는 대입상구(大入賞口))를 갖는 변동입상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사시도.
제6도는 그 내부를 배면에서 본 사시도.
제7도는 종래의 입상검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제8도는 종래의 입상검출장치에서 보올의 통과여부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입상검출장치 21 : 프레임
23 : 통과구멍 24 : 측벽
25 : 코일 25a : 페라이트 코어
25b : 코일 축선 26 : 회로기관
본 발명은 입상구(入賞口)에 입상한 종형탄구유기기의 보올을 검출하는 종형탄구유기기의 입상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종형탄구유기기란 일본의 빠칭코기를 말하는 것이다.
근래의 종형탄구유기기는 훨씬 전자 제어화가 도모되고 있다. 따라서, 입상구에 입상한 종형탄구유기기의 보올(이하 단순히 입상보올이라 함)을 검출하고, 그 검출신호를 정확하게 출력하는 입상검출장치가 필요하다.
입상보올을 검출하는 종형탄구유기기의 입상검출장치에 있어서, 일반적으로는 기계적 접촉을 이용한 마이크로 스위치가 사용되고 있었다. 또한 마이크로 스위치의 결점인 스위치의 채터링(chattering)이나, 접촉 불량 및 내구성을 개량하기 위하여, 종형탄구유기기의 보올인 금속보올의 검출에 전자기적 특성변화를 이용한 접촉하지 않는 입상검출장치, 예를들면 일본 실용신안 공개 공보 소화60-20276호, 60-190376호가 제안되어 있다.
전자기적 특성변화를 이용한 접촉하지 않는 입상검출장치(40)는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상보올(B)이 통과하는 통과구멍(43)이 일부에 형성된 프레임(41)을 가지고 있으며, 그 기부(42)에는 전자회로가 내장되어 있다.
통과구멍(43) 측벽(44)의 대략 중앙위치에는 센서부를 구성하는 코일(45)이 매설되어 있다. 프레임(41)으로부터는 전자회로에 전원을 공급(給電)하는 전원선(48)과 입상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선(49)이 외부로 연결되어져 있다.
여기에서 간혹 입상검출장치(40)는 한 개의 입상보올(B)이 통과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복수의 입상보올(B)이 통과한 것과 동일한 검출신호 출력상태를 나타내는 일이 있었다. 관련된 장치의 검출불량은 직접 유희자(遊戱者)와 그 제공자의 이익에 관여하고, 유희자에게 유리하게 작용하여 사행심을 부추기는 결과로 된다든지, 불리하게 작용하여 유희자로부터 불평이 발생하여 양자간에 문제점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된다.
상기 검출분량에 대하여, 발명자들은 그 원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예의 실험연구를 거듭한 결과, 입상검출장치(40)의 통과구멍(43)을 입상보올(B)이 통과하는 통과상태에 의해 입상보올(B)이 통과하는 통과상태에 의해 입상보올(B)을 검출한 입상검출장치(40)의 검출신호의 출력상태가 변화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결국, 입상보올(B)이 원활하게 입상검출장치(40)의 통과구멍(43)을 통과하지 않고, 입상검출장치(40)의 프레임(41)의 통과구멍(43)의 입구측 근방에서 바운드((bound)되거나 하면, 그 측벽(44)에 매설된 코일(45)은 입상보올(B)이 통과하였다고 판정하는 검출신호를 틀리게 출력하고, 또한 실제로 입상보올(B)이 통과시에 재차 검출신호를 출력하여 1개의 입상보올(B)이 통과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복수의 입상보올(B)이 통과한 것과 같은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는 현상이다.
발명자들은 이 원인에 입각해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더욱 예의 실험 연구를 거듭하여 입상검출장치(40)의 프레임(41)의 통과구멍(43) 입구측과 통과구멍(43)의 측벽(44)에 매설된 코일(45)과의 상대적인 위치에 대하여 검토한 결과, 이 코일(45)을 입상검출장치(40)의 프레임(41)의 통과구멍(43)의 입구측 근방으로부터 멀리하여 통과구멍(43) 측벽(44) 출구측에 매설함으로써 오동작인 검출 분량이 없어지는 것을 알게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정확하게 입상보올을 검출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발명의 구성은 종형탄구유기기 보올이 통과하는 통과구멍을 일부에 가진 프레임과, 상기 통과구멍 측벽에 매설되어 종형탄구유기기 보올 통과에 따라 전기적 물리량이 변화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의 전기적 물리량의 변화를 거기에 대응한 전기 신호로 변환하고, 사익 종형탄구유기기 보올의 상기 통과구멍 통과를 검출하는 보올검출회로로 된 종형탄구유기기의 입상검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종형탄구유기기 보올이 상기 통과구멍의 입구측 근방에서는 상기 보올검출회로에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일이 없도록, 상기 통과구멍 입구측에서 멀어지는 방향인 상기 통과구멍 측벽 출구측에 가까이 대고 매설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형탄구유기기 보올이 입상검출장치의 프레임 일부에 형성된 통과구멍을 통과하면, 통과구멍 측벽에 매설된 센서부의 전기적 물리량이 변화한다. 검출회로는 이 전기적 물리량 변화를 전기적 2치(置)상태로 변환한다. 센서부를 종형탄구유기기 보올 통과구멍 측벽의 출구측에 가까이 대고 매설함으로써, 통과구멍의 입구측 근방에 종형탄구유기기 보올이 맞닿았을 때는 보올검출회로는 검출시놓를 출력하지 않고 프레임 통과구멍 측벽의 출구측 근방을 종형탄구유기기 보올이 통과하여 검출신호를 비로서 출력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거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종형탄구유기기의 입상검출장치(20)이다.
입상검출장치(20)는 통과구멍(23)이 일부에 형성된 프레임(21)을 가지고 있으며, 그 기부(基部)(22)와 프레임 덮개(30)에 의해, 전자회로를 구성하는 회로기판(26)이 내장되어 있다. 프레임(21) 통과구멍(23)의 측벽(24) 출구측(27)에 가능한한 가까이 대고, 센서부를 구성하는 코일(25)이 매설되어 있다.
프레임(21) 기부(22)에 내장된 회로기판(26)으로부터는 전원에 접속하는 전원선(28)과 입상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선(29)이 외부로 연결되어져 있다. 본 입상검출장치(20)는 전원선(28)으로부터 전원이 공급되고, 보올검출회로로부터의 입상검출신호가 신호선(29)으로부터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구성되는 입상검출장치(20)에 대하여 프레임(21)을 입상보올(B)의 통과 출구측에서 본 분해사시도인 제2도를 참조하여 기술한다.
프레임(21)의 통과구멍(23) 측벽(24)에는 그 출구측(27)에 가능한한 가까이 붙여대고, 페라이트 코어(25a)둘레에 감겨진 코일(25)은 입상보올(B)의 통과방향인 통과구멍(23)의 축선(23a)에 그 축선(25b)이 수직이 되도록 매설되어 있다.
페라이드 코어(25a)의 자장을 수직으로 형성하는 끝부분은 한변이 2.5mm 정방형이며, 코일(25)이 감겨지는 부분은 2mmψ의 원형이며, 길이는 2mm이다. 코일(25)의 인덕턴스(25)는 470μH이다. 축선(23a) 방향의 통과구멍(23) 두께는 약 6mm이므로, 코일의 설치위치는 통과구멍(23) 두께에서 밑으로부터 약 1/2이하의 범위에 존재하게 된다.
또한 코일(25)의 크기는 입상보올의 검출감도를 손상하는 일이 없는 최소의 크기로 설계되어 있다.
입상보올(B)이 프레임(21)의 통과구멍(23)의 측벽(24) 입구측 근방에서 바운드되더라도, 그 상태에서는 입상보올(B)의 영향을 받는 일이 없으며, 프레임(21)의 통과구멍(23)을 입상보올(B)이 통과함으로써 검출신호가 비로서 출력된다.
또, 입상검출장치(20)는 코일(25) 축선(25b)이 종형탄구유기기 전면의 유리면(도시생략)에 수직으로 되는 방향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코일(25)을 소형으로 설계하고, 그 축선(25b)이 입상보올(B)의 통과구멍에 수직으로 설치하였으므로, 코일(25)의 끝면 방향으로부터 입사하는 전자파에는 감응하지 않는다.
즉, 코일(25)의 전파수신에 지향성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코일(25) 축선(25b)이 종현탄구유기기 전면의 유리면에 수직이 되도록 입상검출장치(20)를 매설함으로써, 가장 전자파가 도래하기 쉬운 유리면에 수직 방향이 전자파에 대하여 감응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코일(25)의 측방부(25c)를 금속통으로 덮음으로써 측방부(25c) 방향에서 입사하는 전자파에 대하여 차폐할 수 있다.
전자회로는 제3도(a)에 나타내듯이 구성되어 있으며, 발진회로(31)에 코일(25)로 된 인덕턴스가 접속되어 있다. 보올검출회로로서 발진회고(31)와 검파회로(32)와 파형 정형회로(33)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보올검출회로(34)의 구체적인 회로 구성은제3도(b)에 나타내어져 있다.
트랜지스터(Tr1)는 발진용 트랜지스터이며, 트랜지스터(Tr2)는 검파용 트랜지스터이며, 콘덴서(c1), 저항(R4),(R5)은 각각 검파용의 콘덴서, 저항이며, 트랜지스터(Tr3)는 파형정형용(波形整形用)의 트랜지스터이다.
트랜지스터(Tr1)가 발진상태일 때에, 트랜지스터(Tr2)는 발진신호 주기의 1/2주기에서 온,오프하고, 콘덴서(c1)는 충전되어 그 전압이 소정치 이상이 되면, 트랜지스터(Tr3)가 온하여 검출전류가 출력된다.
또한, 코일(25)의 인덕턴스의 값은 입상보올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인때, 트랜지스터(Tr1)가 발진상태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입상보올이 존재하면 전자유도에 의해 그 입상보올(B)에 와전류(渦電流)가 생기며, 그 와전류 손실에 의해 코일(25)의 레지스턴스가 증가하고, 발진회로의 손실이 증가하며, 발진이 정지한다.
발진이 정지하면 트랜지스터(Tr1)는 오프상태로 되며, 트랜지스터(Tr2)도 오프상태로 되어 트랜지스터(Tr3)도 오프상태로 되고 출력전류가 흐르지 않게 된다.
본 입상검출장치(20)에 접속되는 제어장치측의 신호처리회로(50)는 신호선(29)이 접속되는 저항 (R1)과 저항(R2)의 직렬회로와 그 분할점의 신호를 입력하는 트랜지스터(Tr4)와 그 콜렉터 단자 전압을 입력하는 인버터(IV)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전원선(28)은 25V 전원으로 접속되며, 신호선(29)은 저항(R1)과 (R2)의 직렬 접속을 통하여 접지 되어 있다. 전류는 전원선(28)을 통하여 보올검출회로로 공급되며, 신호선(29), 저항(R1),(R2)을 통하여 귀환된다.
즉, 본 발명의 입상검출장치(20)는 직렬 2단자 소자로서 사용되며, 2단자간의 저항이 2치(値)적으로 입상보올의 검출에 의해 변화한다. 이와 같이, 제어장치측의 신호처리회로(50)를 접속한 상태에서 본 실시예의 입상검출장치(20)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입상보올(B)이 코일(25) 근방을 통과하지 않을 때에는 발진회로(31)는 소정의 주파수로 발진하고 있으나, 입상보올(B)이 코일(25) 근방을 통과하면, 입상보올(B)에 유도되는 와전류(渦電流)에 의한 손실이 커지고, 발진회로(31)는 발진을 정지한다.
이러한 신호(S1)는 검파회로(32)에 입력하여 그 포락선(envelope)이 검파된다. 그 검파신호(S2)는 파형정형회로(33)에 입력하여 구형파로 정형(整形)된다.
따라서, 파형 정형회로(33)의 출력(S3)은 입상보올(B)을 검출하고 있지 않은 통상 상태에서는 높은 레벨로 있으며, 입상보올(B)을 검출하면 낮은 레벨로 된다.
저항(R1)과 (R2)의 접촉점 신호(S4)는 신호(S3)에 비례하며, 신호(S4)의 신호레벨에 따라 트랜지스터(Tr4)가 온(ON),오프(OFF)한다.
트랜지스터(Tr4)의 콜렉터 신호는 인버터(IV)로 반전되므로 그 출력신호(S5)는 신화(S3)와 대응한 것으로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입상보올(B) 통과를 온, 오프 신호로 표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입상검출장치(20)로부터 출력되는 검출신호는 높은 레벨, 낮은 레벨의 2치 신호이며, 입상보올(B)이 그 장치의 센서부를 통과하는 시간만큼 대응하는 레벨신호를 출력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높은 레벨로부터 낮은 레벨 또는 그 반대신호의 레벨변동에 의해 입상보올(B)을 검출하고 있다.
그리고 이 입상보올 검출장치(20)는 제4도, 제5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동입상장치(10)등에 매설되어서 사용된다.
대입상구(1)는, 변동입상장치(10)에 형성되어 있으며, 그 변동입상장치(10)는 부착기판(13)에 의해, 종형탄구유기기의 유희판(도시생략)에 설치된다. 부착기판(13)의 정면 상부의 개폐판넬(11)은 도시하지 않는 솔레노이드 작동에 의해 개폐된다. 부착기판(13)의 이면에는 입상영역을 구성하는 포위틀이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그 후단 개구부에는 덮개 몸체(15)가 접합되어 입상영역의 뒷부분을 폐쇄한다.
포위틀(14) 내부에는 통상의 입상구(12a),(12b)와 V입상구(12c)를 형성하는 포위틀(14)에 고정 설치된 칸막이판(14a),(14b)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부착기판(13)의 배면에는 입상구(12a),(12b), 혹은 V입상구(12c)에 입상한 입상보올(B)을 개구부(16)로 안내하는 반원호(半園弧) 형태의 레일 (17)이 설치되어 있다.
이 개구부(16)에 통과구멍(23)이 위치하도록 입상검출장치(20)가 포위틀(14)의 밑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V입상구(12c)를 통과한 입상보올(B)을 검출하도록 V입상구(12c)와 통과구(23a)을 일치시키는 다른 입상검출장치(20a)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사용된는 입상검출장치(20)는 센서부를 구성하는 코일(25)을 프레임(21)의 통과구멍(23) 측벽(24)의 출구측(27)에 감도의 손상이 없는 최소의 크기로 가능한한 가까이 대고 매설하였으므로, 프레임(21)의 통과구멍(23)을 입상보올(B)이 통과하여 비로서 검출신호가 출력된다.
따라서 정확하게 입상보올(B)을 검출할 수 있는 종형탄구유기기의 입상검출장치가 된다.
본 발명은 종형탄구유기기 보올이 통과하는 통과구멍을 일부에 가진 프레임과, 통과구멍 측벽에 매설되어 종형탄구유기기 보올 통과에 따라 전기적 물리량이 변화하는 센서부와, 센서부의 전기적 물리량 변화를 그것에 대응한 전기신호로 변환하고, 종형탄구유기기 보올의 상기 통과구멍 통과를 검출하는 보올검출회로로 이루어지는 종형탄구유기기의 입상검출장치에 있어서, 센서부는, 종형탄구유기기 보올이 통과구멍의 입구측 근방에 있어서는 보올검출회로에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일이 없도록, 통과구멍의 입구측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인 통과구멍 측벽의 출구측에 가까이 대고 매설하였기 때문에 종형탄구유기기 보올이 통과구멍 측벽의 출구측 근방을 통과하였을 때에 비로서 검출신호가 출력하게 되며, 정확하게 입상보올을 검출할 수 있다.

Claims (1)

  1. 종형탄구유기기의 보올이 통과하는 통과구멍을 일부에 가진 프레임과, 상기 통과구멍 측벽에 매설되어 종형탄구유기기 보올의 통과에 따라 전기적 물리량이 변화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의 전기적 물리량의 변화를 그것에 대응한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종형탄구유기기 보올의 상기 통과구멍의 통과를 검출하는 보올검출회로로 이루어진 종형탄구유기기의 입상검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종형탄구유기기 보올이 상기 통과구멍의 입구측 근방에서는 상기 보올검출회로에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일이 없도록, 상기 통과구멍의 입구쪽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인 상기 통과구멍 측벽의 출구측에 가까이 대고 매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형탄구유기기의 입상검출장치.
KR1019890013186A 1988-09-19 1989-09-12 종형탄구유기기(縱型彈球遊技機)의 입상검출장치(入賞儉出裝置) KR01217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3573988 1988-09-19
JP??63-235739 1988-09-19
JP88-235739 1988-09-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4363A KR900004363A (ko) 1990-04-12
KR0121754B1 true KR0121754B1 (ko) 1997-11-13

Family

ID=16990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3186A KR0121754B1 (ko) 1988-09-19 1989-09-12 종형탄구유기기(縱型彈球遊技機)의 입상검출장치(入賞儉出裝置)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175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4363A (ko) 1990-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40005552A (ko) 와류량계용 진동 보상장치(渦流量計用振動補償裝置)
JP2002243768A (ja) 電流検出装置
KR0121754B1 (ko) 종형탄구유기기(縱型彈球遊技機)의 입상검출장치(入賞儉出裝置)
US4080828A (en) Liquid level detecting apparatus
JP2970981B2 (ja) 洗濯機の水位検知装置
JP2873432B2 (ja) 静電センサー
JP3399087B2 (ja) 検出装置
CN210638757U (zh) 一种无磁水表脉冲信号远距离检测装置
JPH02167188A (ja) パチンコ機の入賞検出装置
JP3134375B2 (ja) 検出装置
JPH0754861Y2 (ja) コイル装置
JP3173195B2 (ja) 検出装置
JP2958907B2 (ja) パチンコ機の入賞検出装置
CN211178657U (zh) 一种水流检测组件及出水装置
JPH02224684A (ja) パチンコ機の入賞検出装置
JP3738674B2 (ja) パチンコ球・メダルの検出装置
JP2001091341A (ja) 液面検出器
CN211602057U (zh) 一种防干扰发讯水表
JPS6226065B2 (ko)
CN210664659U (zh) 非接触式柔性电容液位传感器
JP3579975B2 (ja) 貫通型近接センサ
JP3000463U (ja) 検出装置
JP3023605B2 (ja) 静電センサー
JP2733912B2 (ja) パチンコ機の入賞検出装置
JPH11319193A (ja) 遊技機の入賞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