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1433Y1 - 건물용셔터의 비상문 처짐방지를 겸한 경첩장치 - Google Patents

건물용셔터의 비상문 처짐방지를 겸한 경첩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1433Y1
KR0121433Y1 KR2019950011842U KR19950011842U KR0121433Y1 KR 0121433 Y1 KR0121433 Y1 KR 0121433Y1 KR 2019950011842 U KR2019950011842 U KR 2019950011842U KR 19950011842 U KR19950011842 U KR 19950011842U KR 0121433 Y1 KR0121433 Y1 KR 01214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hinge
support
emergency door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18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7704U (ko
Inventor
장종복
Original Assignee
장종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종복 filed Critical 장종복
Priority to KR20199500118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1433Y1/ko
Publication of KR9600377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770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14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14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3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moving along slide-ways so arranged that one guide-member of the wing moves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movement of another guide member
    • E05D15/3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moving along slide-ways so arranged that one guide-member of the wing moves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movement of another guide member for upwardly-moving wings, e.g. up-and-ove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6Shut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물용셔터의 일측부에 비상문을 경첩으로 유착하여서 가이드레일을 따라 승강작동하게된 것에 이어서, 경첩장치의 개량고안에 관한 것인바, 경첩체를 상하 축연결되게 하되 축연결부위를 셔터판재와 비상문셔터판재가 절곡되는 감삽부에 설치하고 하부경첩체의 상단축수부에 일단을 고정시킨 지지스프링의 타단을 상부 경첩체의 하단축수부에 탄발고정 하여서 상부경첩체를 수직으로 펼쳐서 직립상태로 견고히 받쳐주므로서 비상문의 처짐이나 뒤틀림을 방지하여서 원상태를 유지하도록된 것이다.

Description

건물용셔터의 비상문 처짐방지를 겸한 경첩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B-B선 단면도
제4도는 제1도의 C-C선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상하연결상태도
제6도는 제5도의 D-D선 단면도
제7도는 비상문의 단부에 설치되는 처짐방지장치
제8도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경첩편 3:축
4:복원스프링 5',6':축공
5,6,16:상단축수부 7,8,17:하단축수부
13,13',21:고정홈 14,14',22:장축공
15:지지편 18:결합홈
H:경첩체 S:단부지지체
본 고안은 건물용셔터의 일측부에 비상문을 경첩으로 유착하여서 가이드레일을 따라 승강작동하게된 것에 있어서, 비상문의 처짐방지를 겸한 경첩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하 연속으로 축연결하게된 경첩으로서 양측 경첩편의 상단과하단이 축수부로 형성되고 상단축수부의 중앙에는 하단축수부의 결합홈이 요입되였으며 축공에는 고정축과 유동축의 축핀이 대향되게 축결합되고 상단축수부에 일단을 고정시킨 지지스프링이 축핀에 설치되였으며 하단축수부에는 지지스프링의 고정홈과 장축공을 형성하여서된 구성으로서, 셔터판재와 비상문셔터판재의 접속단부에 상기 양측 경첩편이 고정되고 셔터판재와 비상문셔터판재의 감삽부에 고정축과 유동축을 결합하게되면 셔터에 비상문이 긴밀하게 유착되고 또한 경첩편의 상단축수부에 일단이 고정된 지지스프링의 타단이 상부경첩편의 하단축수부에 탄발고정되어서 각 상측 경첩편을 직립상태로 지지해주므로서 비상문 셔터판재를 셔터판재와 항상 수평상태로 유지시켜서 비상문이 처지거나 휘어지는 것을 방지해주며 셔터를 감아올릴때도 각 경첩의 축수부가 축핀에 의해 자유로히 회전되기 때문에 유연하게 절곡 작동을 하게 된다.
통상 셔터는 셔터박스에 감아서 저장할 수 있도록 상하 셔터판재의 감삽부가 절곡되도록 결합되어 있어서 항상 일정한 수직상태를 유지하기가 어렵고 더욱이 셔터에 경첩으로 연결시킨 비상문의 경우 단부가 자체하중에 의해 처지거나 휘어져서 개폐작동에 지장이 많고 비상문으로서의 역활을 다하지 못하는등 폐단이 있었다.
따라서 비상문의 각 판재를 단단히 지지해주는 장치가 절실히 요구되는 바,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코져 경첩을 상하 축연결되게 하고 상부경첩을 단단히 직립상태를 유지토록한 지지장치를 일체로 형성하므로서 비상문의 처짐이나 뒤틀림을 방지하도록된 것인바, 이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양측 경첩편(1)(2)을 축(3)으로 유착하여서 복원스프링(4)으로 탄발설치시킨 것에 있어서, 경첩편(1)(2)의 상단축수부(5)(6)에는 하단축수부(7)(8)의 결합홈(9)(9')이 형성되고 축공(5')(6')에는 고정축(10)(11)의 축핀(10')(11')이 대향되게 축결합되였으며 상단축수부(5)(6)에 일단이 고정된 지지스프링(12)(12')이 축핀(10')(11')에 권회 설치되고 하단축수부(7)(8)에는 지지스프링(12)(12')의 고정홈(13)(13')과 장축공(14)(14')을 형성하여서 된 경첩체(H)와, 지지편(15)의 상단축수부(16)에 하단축수부(17)의 결합홈(18)이 형성되고 축공(16')에는 고정축(19)의 축핀(19')이 축결합되고 상단축수부(16)에 일단을 고정시킨 지지스프링(20)이 축핀(19')에 권회 설치되고 하단축수부(17)에는 지지스프링(20)의 고정홈(21)과 장축공(22)을 형성하여서된 단부지지체(S)를 구비하여서된 구성이다.
미설명부호 23은 셔터판재, 24는 비상문셔터판재, 23',24'는 셔터판재(23)와 비상문셔터판재(24)의 갑삽부, 25는 셔터, 26은 비상문, 27은 가이드레일이다.
이와같이된 본 고안은 다수개의 경첩체(H)와 단부지지체(S)를 상하로 축연결하게 되는데 경첩편(1)(2)의 상단축수부(5)(6)의 결합홈(9)(9')에 상측경첩제(H)의 하단축수부(7)(8)를 결합하여서 지지스프링(12)(12')의 타단을 고정홈(13)(13')에 고정하고 축핀(10')(11')으로 축연결하게 되며 단부지지체(S)도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상하 축연결시킨후 이들을 셔터판재(23)와 비상문셔터판재(24)에 설치할 경우에는 각 경첩제(H)의 경첩편(1)(2)를 셔터판재(23)와 비상문셔터판재(24)의 접속단부에 용착고정시키고 고정축(10)과 유동축(11)을 감삽부(23')(24')에 각기 결합시키게 되면 경첩제(H)가 셔터(25)에 비상문(26)을 견고히 유착시켜서 흔들림을 최소화 하고 또한 경첩편(1)(2)의 상단축수부(5)(6)에 일단이 고정된 지지 스프링(12)(12')의 타단이 상측에 위치된 경첩편(1)(2)의 하단축수부(7)(8)에 탄발 고정되어서 상하 경첩편(1)(2)을 수직으로 펼쳐주기 때문에 단단한 직립상태를 유지지켜주고 동시에 비상문셔터판재(24)의 단부와 감삽부(24')에 고정시킨 단부지지체(S)의 지지스프링(20)이 상측 지지편(15)을 직립상태로 받쳐주기 때문에 비상문(26)의 양단을 지지해주는 문틀역활을 하여서 비상문(26)이 쳐지거나 절곡부에서 휘어짐을 방지하고 반듯하게 원상태를 유지시켜서 셔터(25)와 항상 수평이 되게 하므로서 비상문(26)의 역활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리고 셔터(25)를 감아올릴때도 셔터부재(23)와 비상문셔터부재(24)가 절곡되는 갑삽부(23')(24')에 경첩체(H) 및 단부지지체(S)의 상하 축연결부위가 위치되어서 감삽부(23')(24')와 같이 회전되므로 부드럽게 절곡되어서 셔터박스에 조밀하게 감겨 질 수 있게되었다. 여기 하단축수부(7)(8)및 (17)의 축공을 장축공(14)(14')(22)으로 형성한 것은 축연결부위가 절곡회전시 여유를 주어서 부드럽게 절곡되도록 도와준다.
상기에서와 같이 셔터(25)의 승강작동에도 전혀 지장을 주지 않고 비상문(26)을 견고히 유착시켜 줌은 물론 상하 경첩제(H) 및 단부지지체(S)가 비상문(26)의 문틀역활을 하여서 상호 단히 직립상태로 지지해주므로서 비상문(26)의 처짐이나 휘어짐을 방지하고 유연한 개폐작동을 하게됨이 본 고안의 특징인 것이다.

Claims (1)

  1. 양측 경첩편(1)(2)을 축(3)으로 유착하여서 복원스프링(4)으로 탄발설치시킨 것에 있어서, 경첩편(1)(2)의 상단축수부(5)(6)에는 하단축수부(7)(8)의 결합홈(9)(9')이 형성되고 축공(5')(6')에는 고정축(10)(11)의 축핀(10')(11')이 대향되게 축결합되였으며 상단축수부(5)(6)에 일단이 고정된 지지스프링(12)(12')이 축핀(10')(11')에 권회 설치되고 하단축수부(7)(8)에는 지지스프링(12)(12')의 고정홈(13)(13')과 장축공(14)(14')을 형성하여서된 경첩체(H)와, 지지편(15)의 상단축수부(16)에 하단축수부(17)의 결합홈(18)이 형성되고 축공(16')에는 고정축(19)의 축핀(19')이 축결합되고 상단축수부(16)에 일단을 고정시킨 지지스프링(20)이 축핀(19')에 권회 설치되고 하단축수부(17)에는 지지스프링(20)의 고정홈(21)과 장축공(22)을 형성하여서된 단부지지체(S)를 구비하여서 된 건물용셔터의 비상문 처짐방지를 겸한 경첩장치.
KR2019950011842U 1995-05-30 1995-05-30 건물용셔터의 비상문 처짐방지를 겸한 경첩장치 KR01214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1842U KR0121433Y1 (ko) 1995-05-30 1995-05-30 건물용셔터의 비상문 처짐방지를 겸한 경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1842U KR0121433Y1 (ko) 1995-05-30 1995-05-30 건물용셔터의 비상문 처짐방지를 겸한 경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7704U KR960037704U (ko) 1996-12-18
KR0121433Y1 true KR0121433Y1 (ko) 1998-09-15

Family

ID=19414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1842U KR0121433Y1 (ko) 1995-05-30 1995-05-30 건물용셔터의 비상문 처짐방지를 겸한 경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143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444B1 (ko) * 2005-12-12 2007-07-09 (주)일성자동화 자동 복원이 가능한 스피드 도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444B1 (ko) * 2005-12-12 2007-07-09 (주)일성자동화 자동 복원이 가능한 스피드 도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7704U (ko) 1996-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2164977A (ja) 固定部材に対する可動部材の相対位置を選定する装置
CA2334201A1 (en) Sectional door with pinch resistant hinge between door sections
EP0141000A2 (en) Reversible window structure
US5161593A (en) Shutter assembly for a bay window
KR0121433Y1 (ko) 건물용셔터의 비상문 처짐방지를 겸한 경첩장치
ATE280886T1 (de) Tor
KR101244032B1 (ko) 밸런스 도어
KR200148012Y1 (ko) 여닫이 문의 개문시 지지장치
KR0127368Y1 (ko) 건물용 셔터의 비상문 처짐방지를 겸한 경첩장치
KR200397647Y1 (ko)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바람막이 도어용 경첩
JP3306538B2 (ja) 吊戸における吊高さ調整装置
JP3533627B2 (ja) 窓シャッタ−におけるシャッタ−カ−テンと障子との当接緩和構造
KR200198719Y1 (ko) 건물용 셔터의 비상문 경첩장치
KR102510181B1 (ko) 방화문용 하부힌지 구조체
KR102582609B1 (ko) 기능성 폴딩 도어
KR102456008B1 (ko) 슬라이딩도어용 롤러장치
EP0874122A2 (en) Balancing and guiding device for sliding doors
JP2000314125A (ja) 防水扉
JPH0616025Y2 (ja) 折畳み扉などの連結装置
JPS63261081A (ja) 窓用ステーと窓の取付け装置
JPH059417Y2 (ko)
JP2580429Y2 (ja) 折れ戸装置
KR100234209B1 (ko) 방화셔터의 비상문 처짐 방지 경첩
JPH0726597U (ja) スラットカーテンの出入口構造
KR20230139000A (ko) 문짝 처짐 방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02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