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1183Y1 - 취출로보트용 패드의 각도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취출로보트용 패드의 각도조절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1183Y1
KR0121183Y1 KR2019950002633U KR19950002633U KR0121183Y1 KR 0121183 Y1 KR0121183 Y1 KR 0121183Y1 KR 2019950002633 U KR2019950002633 U KR 2019950002633U KR 19950002633 U KR19950002633 U KR 19950002633U KR 0121183 Y1 KR0121183 Y1 KR 01211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angle
pressing plate
holder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26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8464U (ko
Inventor
엄주영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20199500026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1183Y1/ko
Publication of KR9600284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846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11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11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2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using means movable from outside the mould between mould parts, e.g. rob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2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using means movable from outside the mould between mould parts, e.g. robots
    • B29C45/4225Take-off members or carriers for the moulded articles, e.g. grip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출기에서 성형되는 TV케이스, 모니터케이스등 각종 성형물들을 취출할 때 사용되는 취출로보트에 있어서 사출물을 파지하는 지그의 패드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지그베이스(11)의 양측에 가로브라켓트(12)와 세로브라켓트(13)를 차례로 고정하고 그 세로브라켓트(13)의 양단에 패드(20) 또는 압착판(20-1)을 장착할 수 있도록 된 것에 있어서 경사기준점(36-1)과 회존기준점(36-2)이 표시된 작동스틱(36)의 일측에 회전볼(37)을 일체로 형성하고 한쌍의 홀더(31)(32)의 내측 연접면에는 전방이 터진 반구형의 홀더공(33)을 형성하여 회전볼(37)을 홀더공(33) 내에 삽입한후 고정볼트(40)로 홀더(31)(32)를 결합시켜 회전볼(37)을 협착시키며 작동스틱(36)의 선단에는 패드(20) 또는 압착판(20-1)이 구비된 연결나사봉(39)을 나사 결합하되 홀더(31)(32)의 측면과 정면에 경사각(45)과 회전각(46)을 표시 또는 각인하여서 된 것인 바, 본 고안에 따른 각도조절장치(30)는 고정볼트(40)와 고정너트(42)를 풀어 작동스틱(36)을 작동시켜 각도와 방향을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고, 연결봉(39)을 인출, 수납시켜 높낮이를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조정이 용이하며, 조정을 짧은 시간에 실시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조정을 기피하는 현상을 배제시킬 수 있으며, 또 어떠한 성형물의 형상 모양에 따른 패드 또는 압착판의 각도 및 높낮이를 임의 조절할 수 있으므로 파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따라서 제품을 파지하여 이동하는 도중에 제품을 낙하시켜 파손시키는 문제도 배제시킬 수 있으므로 생산성의 향상도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취출로보트용 패드의 각도조절장치
제1도는 취출로보트를 간략하게 도시한 예시도
제2도의 (a)(b)도는 종래의 패드각도 조절장치가 구비된 패드의 정면도 및 측면도
제3도는 종래의 패드각도 조절장치의 조절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패드각도 조절장치의 구조를 보인 측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요부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작동암에 압착판을 구비한 상태의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취출로보트 2:X축
3:Y축 4:Z축
5:기대 10:지그장치
11:지그베이스 12:가로브라켓트
13:세로브라켓트 14:패드지지브라켓트
15:높이조절브라켓트 16:취부브라켓트
17:각도조절브라켓트 17-1:축
17-2:가이드공 17-3:고정볼트
18:단동실린더 19:패드지지구
20:패드 20-1:압착판
30:각도조절장치 31,32:홀더
33:홀더공 34:만곡돌부
36: 작동스틱 36-1:경사기준점
36-2:회전기준점 37:회전볼
38:만곡요부 39:연결나사봉
40:고정볼트 41:볼트
42:고정너트 43:압착판지지구
본 고안은 사출기에서 성형되는 TV케이스, 모니터케이스등 각종 성형물들을 취출할 때 사용되는 취출로보트에 있어서 사출물을 파지하는 지그의 패드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사출물을 파지하는 패드가 지그에 구비되어 있는데 특정의 사출물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패드의 각도를 적절하게 조절해주어야 하며 본 고안은 이와 같이 패드의 각도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1도 취출로보트(1)의 구조를 간략하게 보인 예시도이다.
X축(2)이 기대(5)에 고정되어 있고 그 X축(2)에서는 Y축(3)이 좌우로 이동하며, 또 Y축(3)에서는 Z축(4)의 전후로 이동하는데 Z축(4)은 지그장치(10)를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지그(10)는 상기 X축(2)과 Y축(3)그리고 Z축(4)이 상호 유기적으로 작동하는 과정에 의해 사출기에서 성형물을 파지하여 인출하고 차기공정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별도의 콘베어장치 위에 안착시키는 과정을 자동으로 실시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작동되는 취출로보트(1)에 있어서 지그장치(10)를 개선하는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패드의 각도를 임의로 용이하고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본 고안의 특징은 작동스틱을 작동시키면 작동스틱과 일체로된 회전볼이 분할된 홀더내에서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는 것이고 분할된 홀더의 결합체를 변화시킴으로써 작동스틱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거나 고정시킬 수 있다는 것이며, 그 구조가 간단하여 설치 및 조작이 용이하고 또 고장률이 거의 없다는 것이다.
종래의 패드 구조는 패드지지브라켓트에 스프링으로 탄발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된 패드는 스프링으로 탄발될뿐 그 각도를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파지면이 경사면으로 된 성형물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없고 파지력이 약화되며, 강제로 파지하기 위해서는 강한 압력(공압실린더)으로 압착해 주어야 하는데 이럴 경우에는 패드가 변형되고 패드지지브라켓트와 주변브라켓트가 휘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변형되거나 파손되어 파지력을 약화시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가장 큰 문제점으로는 파지면과 패드의 압착각도 즉 파지각도가 다르기 때문에 성형물을 정확하고 견곳하게 파지할 수 없어 취출로보트가 작동하는 도중에 성형물을 떨어뜨려 파손시키는 문제가 자주 발생하였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본인에 의하여 특허출원 제94-35506호로 선출원된 취출로보트의 제품파지용 지그장치가 제안 되었다. 선출원된 지그장치에는 패드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장치가 구비되어 있으며 그 지그장치(10)는 제2도의 (a)(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지그베이스(11)의 양측에 가로브라켓트(12)가 볼트로 고정되어 있고 그 가로브라켓트(12)에는 세로부라켓트(13)가 볼트로 고정되어 있으며, 세로브라켓트(13)의 양단에는 높이조절브라켓트(15)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높이조절브라켓트(15)에는 취부브라켓트(16)가 취부되어 있고 그 취부브라켓트(16)에 각도조절브라켓트(17)가 취부되어 있으며 그 각도조절브라켓트(17)에는 단동실린더(18)에 의해 전후진되는 패드(20) 또는 압착판(20-1)이 지지구(19)에 의해 연설되어 있다.
각도조절브라켓트(17)는 축볼트(17-1)와 고정볼트(17-3)에 의해 취부브라켓트(16)에 고정되어 있는데 축볼트(17-1)를 축으로 하여 고정볼트(17-3)에 의해 고정되어지는 동심원상에 호형의 가이드공(17-2)이 통공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된 선출원의 지그장치(10)에서 패드(20) 또는 압착판(20-1)의 높낮이를 조절해 주기 위해서는 높이조절브라켓트(15)를 고정하는 볼트를 풀어서 높낮이를 조절한 후 풀었던 볼트를 조여서 고정시켜야 하고,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볼트(17-1)와 고정볼트(17-3)를 풀어준후 축볼트(17-1)를 중심으로 각도조절브라켓트(17)를 적정방향의 각도로 회전시킨후 풀었던 축볼트(17-1)와 고정볼트(17-3)를 다시조여 고정시켜야 한다.
이와 같이 다수개의 볼트들을 풀고 조여야만 그 높낮이와 각도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교정작업이 매우 까다롭고 조절이 난해하여 패드(20) 또는 압착판(20-1)을 제품형상에 맞추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정밀한 조절작업을 할 수 없고 또 조절작업을 기피하는 현상까지 발생하여 취출로보트(1)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없는 폐단도 야기시켰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같은 문제와 폐단을 일소하기 위하여 패드 또는 압착판의 높낮이와 각도를 보다 용이하고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된 보다 개선된 장치를 제공코자 제안된 것이다.
본 고안은 패드(20)와 압착판(20-1)의 높낮이를 연결나사봉에 의해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각도의 변화는 작동스틱을 작동시키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성형제품의특성에 맞게 맞추는 조절작업을 짧은시간에 보다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여 조절작업을 기피하는 폐단을 방지하고, 패드 또는 압착판이 성형물을 보다 정확하고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여 성형물을 낙하 파손시키는 문제를 해소하며, 이러한 일련의 효과에 의해 취출로보트(1)를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지그베이스(11)의 양측에 가로브라켓트(12)와 세로브라켓트(13)를 차례로 고정하고 그 세로브라켓트(13)의 양단에 패드(20)또는 압착판(20-1)을 장착할 수 있도록 된 것에 있어서,
경사기준점(36-1)과 회전기준점(36-2)이 표시된 작동스틱(36)의 일측에 회전볼(37)을 일체로 형성하고 한쌍의 홀더(31)(32)의 내측 연접면에는 전방이 터진 반구형의 홀더공(33)을 형성하여 회전볼(37)을 홀더공(33) 내에 삽입한후 고정볼트(40)로 홀더(31)(32)를 결합시켜 회전볼(37)을 협착시키며 작동스틱(36)의 선단에는 패드(20) 또는 압착판(20-1)이 구비된 연결나사봉(39)을 나사 결합하되 홀더(31)(32)의 측면과 정면에 경사각(45)과 회전각(46)을 표시 또는 각인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장치(30)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패드 또는 압착판(20-1)이 구비된 연결나사봉(39)을 정역회전시키는 조작에 의해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고 고정볼트(40)를 풀어 회전볼(37)의 협착상태를 약간 느슨하게 한 다음 작동스틱(36)을 작동시켜 원하는 방향의 각도로 조절한 후 고정볼트(40)를 다시 조여주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방향과 각도로 동시에 조절할 수 있으므로 조절작업을 짧은 시간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고 패드 또는 압착판을 성형물의 특성에 맞게 조절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정확한 파지와 그 파지력을 향상시켜 성형물을 낙하 파손시키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잇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은 첨부 도면에 의거한 구체적인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 할 수 있다.
제4도 및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각도조절장치(30)의 일예시도이다.
한쌍의 홀더(31)(32)를 연접시키되 연접 내면에 전방이 터진 반구형의 홀더공(33)을 각각 형성하고, 작동스틱(36)에는 회전볼(37)을 일체로 형성하여 홀더공(33)에 회전볼(37)을 삽입한후 홀더(31)(32)의상하측을 고정볼트(40)로 고정하였다.
상기 홀더(31)(32)는 대칭형으로 되어 있으며, 일측의 홀더를 대량 생산하여 회전볼(37)을 협지시킬때 짝으로 맞춰 고정볼트(40)로 고정시키며, 홀더(31)(32)에 형성된 나사부(31-1)(32-1)와 삽입홀(31-2)(32-2)은 서로 대응되게 형성하여 용이하게 체결할수 있도록 하였다.
홀더공(33)의 선단을 만곡돌부(34)로 형성하고 작동스틱(36)과 회전볼(37)사이에는 대응되는 만곡요부(38)를 형성하여 작동스틱(36)을 작동시킬때 만곡요부(38)가 만곡돌부(34)에 유연하게 유입되어지도록 하였다.
작동스틱(36)의 선단에는 패드(20) 또는 압착판(20-1)이 구비된 연결나사봉(39)을 나사 결합하되 연결나사봉(39)을 정역회전시키는 정도에 따라 그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고정너트(42)로써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패드(20)와 압착판(20-1)의 높낮이의 조절 구조는 다른 구조는 채택할 수 있다. 예컨대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연결나사봉(39)과 작동스틱(36)의 나사 결합방식을 예시된 실시예와 반대로 하여 작동스틱(36)에 숫나사부를 형성하고 연결나사봉(39)에는 암나사부를 형성하여 나사결합시키더라도 상기와 동일한 높낮이 조절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각도조절장치(30)는ㄴ 예컨대 볼트(41)와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높이조절브라켓트(15)나 또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임의의 적정개소에 고정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은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20)를 구비한 연결나사봉(39)을 대신하여 압착판(20-1)이 압착판지지구(43)에 구비된 연결나사봉(39)을 작동스틱(36)에 교체고정시킬 수 있으며, 다른 형상 모양의 패드(20)또는 압착판(20-1)을 갖는 연결나사봉(39)을 교체할 수 있다.
제6도의 (a)도는 홀더(31)(32)의 외측면에 경사각(45)을 표시 또는 각인한 것으로서 회전볼(37)의 중심점으로부터 연장되어지는 동일 수평선상을 기준점으로 하여 상측 또는 하측방향으로 경사각(45)을 표시한 것이고,
(b)도는 홀더(31)(32)의 만곡돌부(34)의 외주면 즉 터진 홀더공의 외주면에 회전각(46)을 표시한 것으로 역시 회전볼(37)의 중심점으로 부터 연장되어지는 동일 수평선상을 기준으로 상하 각각 90도씩 표시하여 전체적으로는 360도를 표시하였다. 경사각(45)과 회전각(46)은 인쇄방법에 의해 표시할 수 있고 음각 또는 양각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인 각도조절장치(30-)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본 고안은 패드(20) 또는 압착판(20-=1)의 높낮이를 먼저 고정하고 작동스틱(36)을 작동시켜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조정방법은 상황과 성형물의 특성에 따라 임의적으로 실시한다. 고정볼트(40)를 풀어 회전볼(37)의 구속력을 해제한 다음 작동스틱(36)을 움직여서 성형물의 형상 모양에 따라 적당한 위치 및 각도로 이동시킨 후 고정볼트(40)를 견고하게 조여 회전볼(37)을 구속시킨다.
회전볼(37)이 구속되어 작동스틱(36)이 고정되면 고정너트(42)를 풀어 연결봉(39)의 구속상태를 해제한 다음연결봉(39)을 인출, 수납시켜 패드(20)가 성형물을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을 정도로 높낮이를 조정하고 고정너트(42)를 조여서 연결봉(39)을 견고하게 구속시킨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각도조절장치(30)는 고정볼트(40)와 고정너트(42)를 풀어 작동스틱(36)을 작동시켜 각도와 방향을 조정하고, 연결봉(39)을 인출, 수납시켜 높낮이를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조정이 용이하고 조정을 짧은 시간에 실시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조정을 기피하는 현상을 배제시킬 수 있고, 또 어떠한 성형물의 형상 모양에 따른 패드 또는 압착판의 각도 및 높낮익를 임의 조절할 수 있으므로 파지력을 향상시킬수 있으며 따라서 제품을 파지하여 이동하는 도중에 제품을 낙하시켜 파손시키는 문제도 배제시킬 수 있으므로 생산성의 향상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지그베이스(11)의 양측에 가로브라켓트(12)와 세로브라켓트(13)를 차례로 고정하고 그 세로브라켓트(13)의 양단에 패드(20)또는 압착판(20-1)을 장착할 수 있도록 된 것에 있어서,
    경사기준점(36-1)과 회전기준점(36-2)이 표시된 작동스틱(36)의 일측에 회전볼(37)을 일체로 형성하고 한쌍의 홀더(31)(32)의 내측 연접면에는 전방이 터진 반구형의 홀더공(33)을 형성하여 회전볼(37)을 홀더공(33) 내에 삽입한후 고정볼트(40)로 홀더(31)(32)를 결합시켜 회전볼(37)을 협착시키며 작동스틱(36)의 선단에는 패드(20) 또는 압착판(20-1)이 구비된 연결나사봉(39)을 나사 결합하되 홀더(31)(32)의 측면과 정면에 경사각(45)과 회전각(46)을 표시 또는 각인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출로보트용 패드의 각도조절장치.
KR2019950002633U 1995-02-17 1995-02-17 취출로보트용 패드의 각도조절장치 KR01211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2633U KR0121183Y1 (ko) 1995-02-17 1995-02-17 취출로보트용 패드의 각도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2633U KR0121183Y1 (ko) 1995-02-17 1995-02-17 취출로보트용 패드의 각도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8464U KR960028464U (ko) 1996-09-17
KR0121183Y1 true KR0121183Y1 (ko) 1998-07-15

Family

ID=19408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2633U KR0121183Y1 (ko) 1995-02-17 1995-02-17 취출로보트용 패드의 각도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118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8464U (ko) 1996-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73408B1 (en) Mounting bracket for modular workpiece holder
EP0644002B1 (en) Upper tool for press brake
KR0121183Y1 (ko) 취출로보트용 패드의 각도조절장치
JPH055637B2 (ko)
US6644467B1 (en) Track for drawing assembly and method to remove the relative gripping elements
WO1999047449A1 (en) Articulating workpiece transfer apparatus
JP4063923B2 (ja) ワークバイスの中間爪ブロック
US727620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a part from mold
US5160127A (en) Hold-down device for movable jaw of a vise
JPS6329717Y2 (ko)
JPH0929679A (ja) クランプ装置
CN219838768U (zh) 一种石墨包装机
JP3464911B2 (ja) 扱胴の自動組立施設
CN217319763U (zh) 一种收纸牙排调整工具
KR0144122B1 (ko) 취출로보트용 지그축의 폭자동조절장치
KR200274052Y1 (ko) 튜브용 척
JPH1151014A (ja) 引きクランプ装置
US2005020212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confectionery on a stick
JP3029341U (ja) 弾力性を有する肝臓牽引器
JP3599796B2 (ja) シリンダーベッド型ミシンの送り歯機構
JP4518314B2 (ja) 成形品取出機
JP2502039Y2 (ja) 多段式圧造成形機の素材移送用チャック装置
US5199693A (en) Workpiece holding system with lock screw
JPH02131891A (ja) 部品保持装置
JPH052722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3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