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4122B1 - 취출로보트용 지그축의 폭자동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취출로보트용 지그축의 폭자동조절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4122B1
KR0144122B1 KR1019940035495A KR19940035495A KR0144122B1 KR 0144122 B1 KR0144122 B1 KR 0144122B1 KR 1019940035495 A KR1019940035495 A KR 1019940035495A KR 19940035495 A KR19940035495 A KR 19940035495A KR 0144122 B1 KR0144122 B1 KR 01441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adjustment
screw shaft
jig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5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1405A (ko
Inventor
선신규
성 한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40035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4122B1/ko
Publication of KR960021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14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4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4122B1/ko

Links

Landscapes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출기에 의해 성형된 TV케이스, 모니터케이스 등 각종 성형물들을 사출기에서 취출할때 사용되는 취출로보트에 있어서 성형물을 파지하여 인출하도록 하는 지그편의 폭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지그베이스(10)의 지지브라켓트(11)에 패드(20)를 갖는 작동브라켓트(17)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작동 실린더(13)가 장착된 조절브라켓트를 고정하도록 된 것에 있어서, 지지브라켓트(11)의 내측에서 외방으로 정역모타(31)를 장착하고 그 정역모타(31)의 회전축에 스크류축(33)을 연결하여 그 스크류축(33)의 말단을 지지브라켓트(11)와 일체로 된 지지편(35)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되 그 스크류축(33)에 나사부(33-1)가 형성된 조절브라켓트(34)를 나사결합하여서 된 것인바, 정역모타(31)의 정역회전에 의해 스크류축(33)을 정역회전시키면 조절브라켓트(34)를 전후진시켜 패드(20)의 간격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조절시간의 단축과 인력을 크게 절감할 수 있고 또 성형물 이동도중 낙하를 방지하여 생산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취출로보트용 지그축의 폭 자동조절장치
제1도는 취출로보트를 간략하게 도시한 예시도
제2도의 (a)(b)도는 종래지그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 및 정면도
제3도는 종래의 지그에서 그 폭을 조절하는 상태의 실시예시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지그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 및 정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조절장치에 의하여 그 폭을 조절하는 상태의 실시예시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조절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취출로보트2:X축
3:X축기대4:Y축
5:Z축6:지그편
10:지그베이스11:지지브라켓트
12:조절브라켓트13:작동실린더
14:로드15:가이드실린더
16:가이드샤프트17:작동브라켓트
18:높이조절브라켓트19:소폭조절브라켓트
20:패드21:스프링
22:고정부싱23, 24, 25:볼트
30:자동조절장치31:정역모타
32:커플링33:스크류축
34:조절브라켓35:지지편
36:유통공
본 발명은 사출기에 의해 성형된 TV케이스, 모니터케이스 등 각종 성형물들을 사출기에서 취출할때 사용되는 취출로보트에 있어서 성형물을 파지하여 인출하도록 하는 지그편의 폭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출기는 통상적으로 지칭되고 사용되는 사출기이며, 이 사출기에 의해 TV케이스, 모니터케이스등을 비롯하여 각종 성형물을 성형하게 된다.
자동화씨스템으로 되어 있는 장치에 있어서는 사출기에 의해 성형된 성형물을 취출로보트로 인출하여 콘베이어장치에 안착하고 그 콘베이어씨스템에 의해 차기공정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운용되는 취출로보트는 X축과 Y축 그리고 Z축이 전후, 좌우, 상하로 상호 유기적으로 작동되어지며, 개략적으로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으며, X축(2)이 X축기대(3) 위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그 X축(2)의 위를 Y축(4)이 좌우로 이동하고 다시 Y축(4)에서 Z축(5)이 전후로 이동하게 되며 또 Z축은 그 자체가 상하작동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X축(2), Y축(4), Z축(5)들이 상호 유기적으로 작동하면서 사출기로 부터 성형물을 취출하게 된다.
특히 Z축(5)는 하강하여 별도의 장치에 의해 지그편(6)이 성형물을 파지하여 인출하게 되며, 본 발명은 이 지그편(6)을 개량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특히 성형물의 크기에 순응하여 지그편(6)의 크기 즉 폭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장치를 제공하는데 주지적인 목적이 있다.
사출기는 사출금형을 교체하여 줌으로써 여러종류의 성형물들을 성형할 수 있는데 각 성형물들의 크기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자동화씨스템에서는 취출로보트의 지그편(6)의 간격을 성형물의 크기에 맞게 적절하게 조정하여 주어야만 그 성형물을 용이 하게 파지 인출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지그편(6)을 조절하는데 있어서 인위적으로 조절하였기 때문에 조절에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되고 또 작업자가 이를 기피하는 현상이 발생하여 이종 성형물을 유기적으로 연계시켜 성형할 수 없게되므로 작업능률도 떨어지는 등의 문제가 있었던 것 이다.
이를 첨부 도면에 의거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2도의 (a)(b)도는 종래 지그편(6)의 구조를 보인 예시도들이다.
지그베이스(10)의 양측에는 지지브라켓트(11)의 통상의 볼트체결방식에 의해 연설되어 있고 그 지지브라켓트(11)에는 한쌍의 조절장공(11-1)이 나란하게 통공되어 있다.
이 지지브라켓트(11)의 조절장공(11-1)에는 조절브라켓트(12)가 볼트(23)로 체결 고정되어 있고, 그 조절브라켓트(12)에는 중앙에 작동실린더(13)가 내향되게 장착되어 있으며, 그 양측으로는 가이드실린더(15)가 장착되어 있다.
작동실린더(13)의 로드(14)에는 작동브라켓트(17)가 통상의 나사체결방식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으며 그 양측으로는 가이드실린더(15)에 삽입되어 있는 가이드샤프트(16)가 고정되어 있어 자동브라켓트(17)가 전후진할때 그 요동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작동브라켓트(17)에는 조절공(18-1)이 통공된 높이 조절브라켓트(18)가 볼트(24)로 고정되어 있고, 또 그 높이조절브라켓트(8)의 선단에는 조절공(19-1)이 통공된 소폭조절 브라켓트(19)가 볼트(25)로 고정되어 있으며, 그 소폭조절브라켓트(19)의 내향선단에는 스프링(21)에 의해 탄발되는 패드(20)를 갖는 고정부싱(22)이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된 지그편(6)은 작동실린더(13)를 작동시키면 로드(14)가 인출되면서 작동브라켓트(17)를 내향으로 전진시키게 되며 따라서 패드(20)는 성형물의 양측면을 파지하게 된다. 패드(20)가 파지할때 스프링(21)이 압축되어지면서 파지하므로 견고하게 파지되어 진다. 또 작동실린더(13)를 역으로 작동시키면 작동브라켓트(17)가 후퇴하므로 패드(20)의 파지상태는 해제된다. 작동브라켓트(17)가 전후진 작동할 때 가이드실린더(15)에 삽입된 가이드샤프트(16)도 연동되면서 요동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작동되는 지그편(6)에서 패드(20)의 높이를 조절하고자 할 때에는 높이조절브라켓트(18)의 볼트(24)를 풀어 고정상태를 해제한 다음 그 높이조절브라켓트(18)를 조절하여 조절공(18-1)의 적정위치가 볼트(24)의 위치에 도달하면 그 볼트(24)를 조여서 고정시키게 된다.
즉, 볼트(24)를 풀어 높이조절브라켓트(18)의 높이를 조절한 후 그 볼트(24)를 다시 조여 고정시키면 되는 것이다.
또 서로 대응하고 있는 패드(20)끼리의 간격(폭)을 조절하고자 할때에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23)(25)를 풀어 조절한다.
볼트(25)를 풀어 소폭조절브라켓트(29)를 이동시킨 다음 조절공(19-1)의 소정 위치가 볼트(25)의 위치에 도달하면 그 볼트(25)를 조여 고정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소폭조절방법은 극히 미미한 정도로 가변시킬때에 주로 사용된다.
근본적으로 크게 가변시키고자 할때에는 볼트(23)를 풀어 조절브라켓트(12)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서 가능하다.
즉, 볼트(23)을 풀어 지지브라켓트(11)와 조절브라켓트(12)의 결합상태를 느슨하게 해제시킨 다음 조절브라켓트(12)를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킨 후 볼트(23)를 다시 조여 고정시키는 것이다. 특히 볼트(23)를 풀어줄 때 나사공(12-1)에서 볼트(23)를 분리시키지 않고 이동시킨 다음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이와 같이 볼트(23)(25)에의한 패드(28)의 폭조절방법은 폭을 조절할때 마다 볼트(23)(25)를 풀어서 소폭조절브라켓트(19)와 조절브라켓트(12)를 조절한 후 그 볼트(23)(25)를 조여서 고정하여야 하기 때문에 조절시간과 인력이 극히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다.
즉,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브라켓트(12)를 조절하고자 할때에는 각 조절브라켓트(12)를 고정하고 있는 두개의 볼트(23)를 풀어 조절하여야 하고, 또 소폭조절브라켓트(19)를 조절하고자 할때에는 각 소폭조절브라켓트(19) 마타 두개씩의 볼트(25)를 풀어 조절하여야만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조절에 따른 시간이 너무 많이 소요된다는 것이 또 인력도 비례하여 많이 소모되는 것이다.
따라서 작업자가 이와 같은 조절공정을 짜증스럽게 생각하여 소폭조절브라켓트(19)의 조절을 무시한채 조절브라켓트(12)만을 조절하였을 경우에는 지그편(6)의 작동성능 즉 패드(21)가 성형물을 정확하게 파지하지 못하게 되어 인출후 이동할때 성형물을 놓쳐서 성형물이 파손되는 문제가 야기 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이다.
본 발명은 작동실린더를 구비하고 있는 조절브라켓트를 자동으로 전후진시켜 패드의 폭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지그베이스(10)의 지지브라켓트(11)에 패드(20)가 구비된 작동브라켓트(17)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작동실린더(13)가 장착된 조절브라켓트(12)를 고정하도록 된 것에 있어서, 지지브라켓트(11)의 내측에서 외방으로 정역모타(31)를 장착하고 그 정역모타(31)의 회전축에 스크류축(33)을 연결하여 그 스크류축(33)의 말단을 지지브라켓트(11)와 일체로된 지지편(35)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되 그 스크류축(33)에 나사부(33-1)가 형성된 조절브라켓트(34)를 나사결합하여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조절장치(30)이다.
특히 나사부(34-1)의 양측 조절브라켓트(34)에는 유통공(36)을 통공하고 이 유통공(36)에 삽입되는 가이드봉(37)의 양단을 지지편(38)으로 고정하여서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조절브라켓트(34)를 정역모타에 의해 전후 조절할 수 있어 패드(20)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어떠한 성형물들로 파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조절장치(30)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조절장치(30)의 일예시도이고, 제5도는 자동관계 설명도이다.
지그베이스(10)에 지지브라켓트(11)가 고정되고 그 지지브라켓트(11)에 작동실린더(13)를 갖는 조절브라켓트(34)가 구비되며, 또 작동브라켓트(17)에 패드(20)가 구비되는 것은 종래의 지그편(6)과 동일한 구조이다.
조절브라켓트(11)의 내측에 외향으로 정역모타(31)를 장착하고 그 회전축에 커플링(32)을 이용하여 스르류측(33)을 일체로 연결하였으며, 그 스크류축(33)의 말단을 지지편(35)으로 회전 자재할 수 있도록 지지하였다.
스크류축(33)을 지지편(35)내에 지그하는 방법으로 여러가지 방법이 있으나 통상적으로 베어링을 내장하여 지지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 조절브라켓트(34)에는 나사부(34-1)를 통공 형성하여 이 나사부(34-1)를 스크류축(33)에 나사결합하여 조절브라켓트(34)를 나사결합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로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조절장치(30)는 정역모타(31)를 정역회전시킴에 따라서 조절브라켓트(34)를 간단히 전후진시켜 대응되는 패드(20)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역모타(31)를 정회전 작동시키면 스크류축(33)도 정회전하여 나사부(34-1)에 의해 치합되어 있는 조절브라켓트(34)를 내향으로 전진 이동시키게 되고, 반대로 정역모타(31)를 역회전작동시키면 스크류축(33)도 역회전하여 조절브라켓트(34)를 후진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정역모타(31)의 정역 작동시간에 따라 조절브라켓트(34)를 전후진시킬 수 있으므로 사출기에 성형된 성형물의 크기에 따라 그 크기에 맞게 임의로 패드(30)의 폭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작동은 별도의 스위치장치를 메인콘트롤박스등에 구비함으로서 보다 용이 하게 조절할 수 있다.
특히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축(33)을 따라 이동하는 조절브라켓트(34)에 유통공(36)을 통공하고 이 유통공(36)에 지지편(38)에 의해 지지되는 가이드봉(37)을 삽입하여 줌으로써 스크류축(33)에 의해 조절브라켓트(34)가 전후진할 때 가이드봉(37)에 가이드되어 요동이 방지되어지도록 하여 보다 용이하게 작동될 수 있도록 배려하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스위치조작에 의하여 정역모타(31)의 정역회전에 의해 스크류축(33)을 정역회전시킴으로써 조절브라켓트(34)를 전후진시켜 패드(20)의 간격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조절시간의 단축과 인력의 낭비를 크게 절감할 수 있고 또 패드(20)를 성형물에 맞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인출후 이동할때 그 성형물이 낙하하는 문제가 없게 되므로 생산성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지그베이스(10)에는 지지브라켓트(11)가 고정되고, 작동실린더(13)에는 패드(20)가 구비된 작동브라켓트(17)가 고정된 것에 있어서, 상기 작동실린더(13)에 나사부(34-1)가 형성된 조절브라켓트(34)를 고정하고, 상기 지지브라켓트(11)에는 스크류축(33)이 고정된 정역모타(31)를 고정하되 상기 스크류축(33)은 상기 조절브라켓트(34)의 나사부(34-1)와 나사결합시키고, 그 스크류축(33)의 말단은 지지브라켓트(11)와 일체로 된 지지편(35)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출로보트용 지그축의 폭자동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나사부(34-1)의 양측 조절브라켓트(34)에는 유통공(36)을 통공하고 이 유통공(36)에 양단이 지지편(38)으로 고정된 가이드봉(37)을 삽입하여 가이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출로보트용 지그축의 폭 자동조절장치.
KR1019940035495A 1994-12-21 1994-12-21 취출로보트용 지그축의 폭자동조절장치 KR01441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5495A KR0144122B1 (ko) 1994-12-21 1994-12-21 취출로보트용 지그축의 폭자동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5495A KR0144122B1 (ko) 1994-12-21 1994-12-21 취출로보트용 지그축의 폭자동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1405A KR960021405A (ko) 1996-07-18
KR0144122B1 true KR0144122B1 (ko) 1998-07-01

Family

ID=66688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5495A KR0144122B1 (ko) 1994-12-21 1994-12-21 취출로보트용 지그축의 폭자동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41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5685B1 (ko) * 2018-12-21 2020-10-14 미주정밀 주식회사 사출 성형 제품 자동 배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1405A (ko) 1996-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4122B1 (ko) 취출로보트용 지그축의 폭자동조절장치
CN212400137U (zh) 注塑机取料机械臂
CN211387616U (zh) 一种用于螺杆和螺母的组装治具
CN115064470B (zh) 一种半导体晶体管的封装结构及其封装方法
KR20060076024A (ko) 공작물 적재를 위한 가이드 바 고정용 팰릿 장치
CN216335134U (zh) 一种伺服横走式送料机械手
CN218966248U (zh) 一种精密塑胶模具紧固装置
CN219666635U (zh) 一种易维护的机械手
CN219600210U (zh) 一种注塑嵌金属件工装及注塑嵌件机构
CN215316870U (zh) 一种机器人自动化设备用螺栓自动安装机构
KR970009924B1 (ko) 취출로보트의 박판형 사출물 취출장치
CN220638869U (zh) 一种适用于吹灌封一体机的插刀快换装置
CN220957555U (zh) 一种通信设备安装底座
KR960015293B1 (ko) 백커버의 스푸루절단장치
CN216992802U (zh) 一种注塑组装一体机
CN219853222U (zh) 方便夹持的夹具
CN218084000U (zh) 一种注塑用机械手
CN220448356U (zh) 一种控制面板的自动撕膜机
CN217729740U (zh) 仪表板塑料件整形装置及注塑机
CN218226650U (zh) 一种侧挂式三轴伺服机械手
CN218776049U (zh) 一种机器人用螺丝拧紧装置
CN220761272U (zh) 一种机械配件生产用流水线
CN220924643U (zh) 一种具有导向装置的纸盘热收缩包装机
CN219522140U (zh) 一种机器人抓手结构
JP3895717B2 (ja) 竪型射出成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3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