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0586Y1 - 지지용 휨관 구조 - Google Patents

지지용 휨관 구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0586Y1
KR0120586Y1 KR2019940021290U KR19940021290U KR0120586Y1 KR 0120586 Y1 KR0120586 Y1 KR 0120586Y1 KR 2019940021290 U KR2019940021290 U KR 2019940021290U KR 19940021290 U KR19940021290 U KR 19940021290U KR 0120586 Y1 KR0120586 Y1 KR 01205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force
support
bending
tubula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12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8539U (ko
Inventor
이건식
Original Assignee
이건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건식 filed Critical 이건식
Priority to KR20199400212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0586Y1/ko
Publication of KR9600085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85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05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05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00Flexible shafts; Mechanical means for transmitting movement in a flexible sheath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204/00Metallic materials; Alloys
    • F16C2204/20Alloys based on alumini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지지용 휨관.
2.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사용자의 굽힘에 의한 임의의 각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려고 한 것임.
3.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아연백선등의 금속으로 형성된 삼각선(10)과 직경이 가는 철선(20)이 코일식으로 권취되어 관체(1)를 형성하는 지지용 휨관에 있어서, 상기 관체(1)내부에 외부의 일정힘에 의해 소정각도로 굽혀지고 굽힘력의 해제에 따라 자체 버팀력으로 그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소정 직경의 금속성 보강와이어(A)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4. 고안의 중요한 용도
지지용 휨관의 힘의의 변환각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버팀력을 보강시키는데 적용시키는 것임.

Description

지지용 휨관 구조
제 1 도는 일반적인 지지용 휨관의 구조를 보인 부분확대 단면도
제 2 도는 본 고안에 의한 지지용 휨관의 구조를 보인 부분확대 단면도
제 3 도는 지지용 휨관의 전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보강와이어 1 : 관체
10 : 삼각선 20 : 철선
본 고안은 자동차용 전자기기 또는 조명기구용 스탠드등의 제품에 지지대로 사용되는 지지용 휨관(METAL HOSE)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지용 휨관은 사용자의 굽힘에 의해서 소정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동차용 전자기기 또는 스탠드의 조명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이러한 지지용 휨관의 구조는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임의의 물체를 사용자의 굽힘에 의해서 소정각도를 이룬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강, 동, 동합금 또는 알루미늄 합금, 아연백선등의 재질로된 삼각선(10)과 철선(20)을 상호 맞물리도록 코일식으로 권취하여 소정직경의 관체(1)를 형성한 것이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100은 피복선이다.
그런데 이러한 상기의 지지용 휨관은 삼각선과 직경이 가는 철선에 의해서만 사용자의 굽힘에 의한 임의의 각도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어 다시 복원되려고 하는 힘을 충분히 지탱해 주지 못해 사용자의 굽힘에 의한 변환각도가 변하게 되고, 이로인해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각도를 지속적으로 유지시키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지지용 휨관은 사용자의 굽힘에 의한 임의의 각도를 유지시키지 못하게 됨으로써 자체 복원력에 의한 각도변화에 따라 사용자가 일일이 재차 조정해야만 되는 사용자의 번거로움 및 불편성을 유발시키게 되는 결함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같은 종래의 제반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사용자의 굽힘에 의한 임의의 변환각도를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지지용 휨관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상기 지지용 휨관 구조는 변환각도에 대한 버팀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보강선이 관체 내부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 2 도는 본 고안에 의한 지지용 휨관 구조를 보인 부분 확대 단면도로서, 아연백선 등의 금속으로 형성된 삼각선(10)과 직경이 가는 철선(20)을 코일식으로 상호 맞물리게 감아 올려 구성한 통상의 지지용 휨관의 관체(1)내부에 외부의 일정힘에 의해 소정각도록 굽혀지고 굽힘력의 해제에 따라 자체 버팀력으로 그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소정직경의 금속성 보강와이어(A)가 내재된 것으로 이러한 상기 금속성 보강와이어(A)는 굽힘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각종 연성의 금속와이어를 사용할 수 있으나, 굽힘이 용이하고 자체 일정 버팀력을 갖는 동선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은 구조로된 본 고안은 먼저, 사용자가 임의의 각도로 관체(1)를 굽하게 되면 이의 힘에 의해서 상기 관체(1)및 관체(1)내부의 금속성 보강와이어(A)가 함께 소정각도를 이루면서 굽혀지게 되는데, 이때 상기 보강와이어(A)는 자체 버팀력보다 사용자의 굽힘력이 크게 작용하게 되므로서 굽혀지고, 사용자의 굽힘력을 해제하게 되면, 관체(1)가 복원되려는 힘보다 보강와이어(A)는 버팀력이 크게 작용하게 되므로서 사용자의 임의의 변환각도를 지속적으로 유지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아연백선등의 삼각선과 철선을 코일식으로 권취하여 구성한 관체내에 자체적으로 일정 버팀력을 갖는 금속성 보강와이어를 내재시키므로서 사용자의 굽힘에 의한 변환각도를 그대로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인해 자체 복원력에 의한 각도변화에 따라 사용자가 일일이 다시 조정해야만 되는 사용의 번거로움과 불편성을 해소할 수 있어 사용의 간편성 및 제품의 신뢰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Claims (2)

  1. 강, 동, 동합금, 알루미늄합금, 아연백선등의 삼각선(10)과, 직경이 가는 철선(20)이 상호 맞물리게 코일식으로 권취되어 관체(1)를 형성한 지지용 휨관에 있어서, 상기 관체(1) 내부에 외부의 일정힘에 의해 소정각도로 굽혀지고 굽힘력의 해제에 따라 자체 버팀력으로 그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한 소정 직경의 금속성 보강와이어(A)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한 지지용휨관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성 보강와이어(A)는 굽힘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자체 일정 버팀력을 갖는 동선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한 지지용 휨관 구조.
KR2019940021290U 1994-08-23 1994-08-23 지지용 휨관 구조 KR01205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1290U KR0120586Y1 (ko) 1994-08-23 1994-08-23 지지용 휨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1290U KR0120586Y1 (ko) 1994-08-23 1994-08-23 지지용 휨관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8539U KR960008539U (ko) 1996-03-15
KR0120586Y1 true KR0120586Y1 (ko) 1998-08-01

Family

ID=19391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1290U KR0120586Y1 (ko) 1994-08-23 1994-08-23 지지용 휨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058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8539U (ko) 1996-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0586Y1 (ko) 지지용 휨관 구조
KR100766447B1 (ko) 텐트폴 연결장치
WO2004106795A1 (ja) フレキシブルパイプ及びその製造方法
ATE116046T1 (de) Schlauchbinder mit reservekapazität.
JP2000195357A (ja) 蛇腹付きグロメット及び蛇腹付きグロメットを備えたワイヤ―ハ―ネス
JPH0663169A (ja) 繰出し型連絡部材
JP3689224B2 (ja) 配管用サポート部材
JPH0534380U (ja) 合成樹脂管
FR2707801B1 (fr) Embase d'antenne pour vé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 support pour maintenir coudée l'extrémité d'un câble associé à l'antenne.
KR100787658B1 (ko) 플렉시블 파이프 및 그 제조 방법
JPH07264747A (ja) 可撓電線管
JPS62165087A (ja) ホ−ス
JP2588160Y2 (ja) 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のケーブルエンド
JPH0453154Y2 (ko)
JPH0540686U (ja) 配管用コイルチユーブ
JPS60205088A (ja) 曲りホ−ス
JP3083148U (ja) 農業用ハウス換気用巻上げフイルムの補強テープ
CN207230030U (zh) 一种含加强筋的双扣管
JPH05336635A (ja) ケーブル高抗張力体固定装置
JP3104092U (ja) 予備線を備えた電線管
JPH0828516A (ja) クリップ
KR200328920Y1 (ko) 낚시대 케이스용 낚시 줄 걸이대
JPH0660927U (ja) ワイヤーハーネス
JPS5844926Y2 (ja) 溶接ワイヤ巻状物
JPH045288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O131 Decision on opposition [utility model]
O072 Maintenance of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utility model]: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4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