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9448Y1 - 전기 보온밥통 - Google Patents

전기 보온밥통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9448Y1
KR0119448Y1 KR2019940038505U KR19940038505U KR0119448Y1 KR 0119448 Y1 KR0119448 Y1 KR 0119448Y1 KR 2019940038505 U KR2019940038505 U KR 2019940038505U KR 19940038505 U KR19940038505 U KR 19940038505U KR 0119448 Y1 KR0119448 Y1 KR 01194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plate
steam
rice bowl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85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9964U (ko
Inventor
박순배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20199400385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9448Y1/ko
Publication of KR9600199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996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94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94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483Warming devices with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055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lements forming the thermal insulation
    • A47J41/0061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lements forming the thermal insulation the elements being detachable or the food holding vessel being replacea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 보온밥통에 관한 것으로서, 단열재(38a)의 일측면에 다른 단열재(38b)가 형성되고 이 단열재(38b)의 내면에는 물통(14)이 설치되는 동시에 하부에는 열판(38b)이 설치되며 상기 물통(14) 내부의 물이 가열되어 수증기가 상기 밥통(10)내부에 이동되도록 밥통(10)과 물통(14)상부의 접촉지점에 수증기 이동장치(18)를 갖춘 전기 보온밥통에 있어서 ; 상기 수증기 이동장치(18)는 상기 밥통(10)의 뚜껑(32)의 소정부에 설치되어 밥통(10)내의 습도를 검출하는 습도센서(34)와; 모터(30)로부터 발생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피니언기어(28); 상기 피니언 기어(28)와 이맞물림되는 래크 기어(26)가 하부에 형성되고 상부에는 복수개의 수증기 이동공이 관통되는 이동판(24); 밥통(10)의 일면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판(24)의 수증기 이동공이 개폐되도록 이동판(24)의 측면에 복수개의 수증기 이동공(20)이 관통되도록 하는 고정판(22) 및; 상기 습도센서(34)를 통해 기설정치 이하의 습도가 검출되면 상기 열판(38b)을 구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모터(30)를 제어하여 상기 이동판(24)에 형성된 수증기 이동공이 상기 고정판(22)에 형성된 수증기 이동공과 일치되어 상기 물통(14)에서 발생된 수증기가 밥통(10)내로 공급되도록 함과 더불어 그 습도센서(34)를 통해 기설정치 이상의 습도가 검출되면 상기 열판(38b)을 구동정지시킴과 동시에 상기 모터(30)를 제어하여 상기 이동판(24)에 형성된 수증기 이동공이 상기 고정판(22)에 형성된 수증기 이동공과 일치되지 않게 하여 상기 물통(14)에서 발생된 수증기가 밥통(10)내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 보온밥통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온밥통을 나타낸 평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에에 따른 전기 보온밥통을 나타낸 측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보온밥통의 일부분을 나타낸 요부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밥통, 12a,12b : 단열재,
14 : 물통, 16 : 수도꼭지,
18 : 수증기 이동장치, 20 : 수증기 이동공,
22 : 고정판, 24 : 이동판,
26 : 래크 기어28 : 피니언 기어,
30 : 모터, 32 : 뚜껑,
34 : 습도센서, 36 : 전기 보온밥통,
38a,38b : 열판, 40 : 안내돌기,
44 : 안내홈.
본 고안은 전기 보온밥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상세하게는 전기 보온밥통의 일측면에 물통을 설치하고 이물통의 내부에서 가열되어 기화(氣化)된 수증기가 밥통 내부에 이동될 수 있는 장치를 형성함으로써 밥통의 내부에 있는 밥이 건조되는 것을 자동적으로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전기 보온밥통은 그 전기 보온밥통 내부에 일정량의 쌀과 물을 넣은 후 취사모드를 설정하면 열이 가해지는 상태에서 쌀이 수분을 흡수하여 호화되는데 소요되는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 취사동작이 완료되어 자동으로 보온모드로 진행되는 바, 그 보온모드에서는 그 밥통내의 내용물(밥)에 일정온도를 공급함으로써 보온(保溫)동작을 수행한다.
그런데, 전기 보온밥통의 내부에 있는 밥은 보온이 유지된 채로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그밥의 수분이 증발되게 때문에 찰기가 저하되고 때문에 맛이 없어지게 되는데, 일단 찰기가 저하된 해당 전기 보온밥통의 내부에 물을 붓어 그 밥에 수분을 공급한다 하더라도 원래의 밥맛을 되찾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전기 보온밥통의 일부에 물통을 형성하고 물통하부에 열판을 설치하여 물통을 가열하면 증발된 수증기를 밥통의 내부에 자동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밥의 건조를 방지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단열재의 일측면에 다른 단열재가 형성되고 이 단열재의 내면에는 물통이 설치되는 동시에 하부에는 열판이 설치되며 상기 물통 내부의 물이 가열되어 수증기가 상기 밥통 내부에 이동되도록 밥통과 물통 상부의 접촉지점에 수증기 이동장치를 갖춘 전기 보온밥통에 있어서; 상기 수증기 이동장치는 상기 밥통의 뚜껑의 소정부에 설치되어 밥통내의 습도를 검출하는 습도센서와 ; 모터로부터 발생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피니언기어; 상기 피니언 기어와 이맞물림되는 래크 기어가 하부에 형성되고 상부에는 복수개의 수증기 이동공이 관통되는 이동판; 밥통의 일면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판의 수증기 이동공이 개폐되도록 이동판의 측면에 복수개의 수증기 이동공이 관통되도록 하는 고정판 및; 상기 습도센서를 통해 기설정치 이하의 습도가 검출되면 상기 열판을 구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이동판에 형성된 수증기 이동공이 상기 고정판에 형성된 수증기 이동공과 일치되어 상기 물통에서 발생된 수증기가 밥통내로 공급되도록 함과 더불어 그 습도센서를 통해 기설장치 이상의 습도가 검출되면 상기 열판을 구동정지시킴과 동시에 상기 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이동판에 형성된 수증기 이동공이 상기 고정판에 형성된 수증기 이동공과 일치되지 않게 하여 상기 물통에서 발생된 수증기가 밥통내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으로 구성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 중, 제1도 및 제2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보온밥통를 나타낸 평단면도와 측단면도로서, 밥통(10)의 외주면에 설치된 단열재(12a)의 일측면에 다른 단열재(12b)를 설치하고 이 단열재(12b)의 내면에는 물통(14)을 형성하는 동시에 하부에는 열판(38b)을 설치하며 상기 물통(14)의 대략 하부에는 물이 물통(14)외부로 유출될 수 있도록 수도꼭지 (16)를 설치하고,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통뚜껑(50)이 그 물통(14)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단열재(12a)의 하부에는 상기 단열재(12b)의 하부에 설치된 열판(38b)과는 별도로 구성된 열판(38a)이 설치되는데, 그 열판(38a)은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밥통(10)내의 내용물에 대한 보온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열판(38b)은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물통(14)내의 내용물에 대한 가열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물통(14)의 수증기가 상기 밥통(10)의 내부로 이동될 수 있도록 밥통(10)과 물통(14)의 상부 접촉부분에는 수증기 이동장치(18)를 설치하는데, 이 수증기 이동장치(18)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증기 이동공(20)이 관통된 고정판(22)이 상기 밥통(10)의 일측면에 설치되고 이 고정판(22)의 수증기 이동공(20)과 어긋나도록 다른 수증기 이동공(도시 안됐음)이 상부에 관통된 이동판(24)하부의 일면에는 래크 기어(26)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래크 기어(26)에는 피니언 기어(28)가 맞물리고 이 피니언 기어(28)는 모터(30)와 결합되며 이 모터(30)는 제어부(도시 안됐음)이 연결되는 동시에 뚜껑(32)의 내면에 습도센서(34)가 설치되고 이 습도센저(34)는 상기 제어부에 연결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사용자는 뚜껑(32)을 연(open)후에 물통(14)의 상단부에 설치된 물통뚜껑(50)을 열어 그 물통(14)내로 물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전기 보온밥통(36)의 밥통(10)의 내부에 적정량의 쌀과 물을 넣고 물통(14)에는 물을 넣은 후 전원을 공급한 다음 취사모드를 설정하면 열판(38a)에 의해 밥통(10)의 내부로 열이 공급되어 그 밥통(10)내의 쌀이 수분을 흡수하여 호화됨에 따라 취소동작이 행해진다.
이어, 취사소요시간이 경과되면 밥통(10)은 보온소드로 자동 진행되어 내용물인 밥에 일정온도를 공급하여 그 내용물이 보온되도록 하는 바, 이런 상태에서 시간이 경과하여 밥통(10)의 내부 수증기가 증발되어 건조해짐에 따라 상기 습도센서(34)를 통해 기설정치 이하의 습도가 검출되면 제어부는 상기 열판(38b)는 구동시켜 그 열판(38b)에 의해 상기 물통(14)내의 물이 가열되어 수증기가 발생되도록 함과 동시에 모터(30)를 구동시켜 상기 물통(14)에서 발생된 수증기가 상기 밥통(10)내로 이동되도록 한다.
즉, 모터(30)와 연결된 피니언 기어(28)가 회전하게 되면 이 피니언 기어(28)와 이맞물린 이동판(24)의 래크기어(26)가 하부에 이동하게 되어 이동판(24)의 제일 하부의 안내돌기(40)가 안내홈(44)에 안내되면 고정판(22)의 수증기 이동공(20)과 이동공(24)의 수증기 이동공(도시 안됐음)이 어긋나 있는 상태에서 점차적으로 일치되고 이 수증기 이동공(20)을 통하여 물통(14)내에 있던 수증기가 이동하여 밥통(10)의 내부로 이동하게 되어 밥통(10)내로 수증기가 공급된다.
따라서 물통(14)의 내부의 수증기가 밥통(10)으로 일정량 이동함에 따라 습도센서(34)를 통해 기설정치 이상의 습도가 검출되면 제어부는 상기 열판(38b)이 구동정지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모터(30)를 구동시켜 상기 물통(14)에서 발생된 수증기가 상기 밥통(10)내로 이동되는 것을 중단시킨다.
즉, 모터(30)와 연결된 피니언 기어(28)가 역회전하게 된다. 또 이피니언 기어(28)와 이맞물린 이동판(24) 하부의 래크 기어(26)가 상부로 이동하게 되어 고정판(22)의 수증기 이동공(20)과 이동판(24)의 수증기 이동공이 어긋나게 됨에 따라 수증기의 이동이 차단되어진다.
한편, 상기 물통(14)의 하부에는 수도꼭지(16)가 형성되어 있는데, 그 수도꼭지(16)를 통해 물통(14)내의 물이 외부로 방출될 수 있기 때문에 더운물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고자 하는 경우 예컨대, 컵라면을 끓이거나 커피(음료)를 끓이는 경우에 용이하게 더운물을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전기 보온밥통(36)의 크기가 적을 경우에는 물통(14)을 크기를 적절하게 형성할 수가 있다.
또한, 물통(14)의 용도를 상기에서와 같이 밥통(10)의 밥을 습도 유지 시키는 역할 뿐만 아니라 밥통(10)내부에 밥이 들이 있지 않는 경우에는 다른 음식이나 물건을 넣어 따뜻하게 보온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인 전기 보온밥통에 따르면, 전기 보온밥통(36)의 일측면에 물통을 형성하고 물통 하부에 열판을 설치함으로써 증발된 수증기를 밥통의 내부에 자동적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밥의 건조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1)

  1. 단열재(12a)의 일측면에 다른 단열재(12b)가 형성되고 이 단열재(12b)의 내면에는 물통(14)이 설치되는 동시에 하부에는 열판(38b)이 설치되며 상기 물통(14) 내부의 물이 가열되며 수증기가 상기 밥통(10) 내부에 이동되도록 밥통(10)과 물통(14)상부의 접촉지점에 수증기 이동장치(18)를 갖춘 전기 보온밥통에 있어서 ;
    상기 수증기 이동장치(18)는 상기 밥통(10)의 뚜껑(32)의 소정부에 설치되어 밥통(10)내의 습도를 검출하는 습도센서(34)와; 모터(30)로부터 발생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피니언기어(28); 상기 피니언 기어(28)와 이맞물림되는 래크 기어(26)가 하부에 형성되고 상부에는 복수개의 수증기 이동공이 관통되는 이동판(24); 밥통(10)의 일면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판(24)의 수증기 이동공이 개폐되도록 이동판(24)의 측면에 복수개의 수증기 이동공(20)이 관통되도록 되는 고정판(22) 및; 상기 습도센서(34)를 통해 기설정치 이하의 습도가 검출되면 상기 열판(38b)을 구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모터(30)를 제어하여 상기 이동판(24)에 형성된 수증기 이동공이 상기 고정판(22)에 형성된 수증기 이동공과 일치하여 상기 물통(14)에서 발생된 수증기가 밥통(10)내로 공급되도록 함과 더불어 그 습도센서(34)를 통해 기설정치 이상의 습도가 검출되면 상기 열판(38b)을 구동정지시킴과 동시에 상기 모터(30)를 제어하여 상기 이동판(24)에 형성된 수증기 이동공이 상기 고정판(22)에 형성된 수증기 이동공과 일치되지 않게 하여 상기 물통(14)에서 발생된 수증기가 밥통(10)내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보온밥통.
KR2019940038505U 1994-12-30 1994-12-30 전기 보온밥통 KR01194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8505U KR0119448Y1 (ko) 1994-12-30 1994-12-30 전기 보온밥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8505U KR0119448Y1 (ko) 1994-12-30 1994-12-30 전기 보온밥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9964U KR960019964U (ko) 1996-07-18
KR0119448Y1 true KR0119448Y1 (ko) 1998-06-15

Family

ID=19404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8505U KR0119448Y1 (ko) 1994-12-30 1994-12-30 전기 보온밥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944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9964U (ko) 1996-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43105Y2 (ja) 全自動洗濯機
KR20050027460A (ko) 과열증기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50026611A (ko) 과열증기 조리장치
KR0119448Y1 (ko) 전기 보온밥통
KR100526210B1 (ko) 증기조리장치
CN211984936U (zh) 一种防止米汤溢出的电饭煲
JP3082689B2 (ja) 電気炊飯器
JP4186821B2 (ja) 炊飯器
WO2018042691A1 (ja) 加熱調理器
KR0163380B1 (ko) 전기보온밥솥
KR200357125Y1 (ko) 전기압력보온밥솥
JPS6336970Y2 (ko)
KR100635636B1 (ko) 전자렌지 겸용 전기밥솥
JPS60804Y2 (ja) 煮炊器
JP3855959B2 (ja) 炊飯器
CN106562669A (zh) 延时升压电压力锅
JPH0540838Y2 (ko)
JPS6038422Y2 (ja) 電気式調理器
JP3546881B2 (ja) 炊飯器
KR100350541B1 (ko) 전기밥솥의보습장치
KR200249764Y1 (ko) 전기보온 압력솥 및 보온솥에 적용되는 가온성 취반보존 장치
JPS5833482Y2 (ja) 電気温水器
KR100471451B1 (ko) 전기밥솥 및 그 제어방법
JPS6038421Y2 (ja) 電気式圧力調理器
JPH0725142Y2 (ja) 電気貯湯容器の加熱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