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8644Y1 - 원격조정기 - Google Patents

원격조정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8644Y1
KR0118644Y1 KR2019910010254U KR910010254U KR0118644Y1 KR 0118644 Y1 KR0118644 Y1 KR 0118644Y1 KR 2019910010254 U KR2019910010254 U KR 2019910010254U KR 910010254 U KR910010254 U KR 910010254U KR 0118644 Y1 KR0118644 Y1 KR 01186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keys
sub
slide cover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02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3988U (ko
Inventor
이석우
유일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20199100102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8644Y1/ko
Publication of KR9300039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39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86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86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격조정기에 관한 것으로, 다수개의 사용빈도수가 많은 키이(2)가 배치된 주조작키부(1a)와, 이 주조작키부(1a)에서 두께와 폭이 좁아지게 연장되어 그 앞면에 다수의 사용빈도수가 적은 키이(3)가 배치된 부조작키부(1b) 및 이 부조작키부(1b)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어 부조작키부(1b)의 전면을 개폐하며 그 앞면에 다수개의 사용빈도수가 많은 키이(2)가 배치된 슬라이드커버부(1c)를 가지는 본체(1)와, 상기 주조작키부(1a), 부조작키부(1b) 및 슬라이드커버부(1c)내에 설치된 인쇄회로기판(5a,5b,5c)의 상면에 상기 키이(2,3)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스위치를 구비하여 사용빈도수가 많은 키이를 사용하거나 보관시에는 핸드세트의 전장이 주조작키부와 슬라이드커버부를 합친 길이로 짤게 되어 사용 및 보관이 간편하며, 슬라이드커버부를 주조작키부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이동시켜 부조작키부에 배치된 사용빈도수가 적은 키이를 노출시킴으로써 사용빈도수가 많은 키이는 물론 사용빈도수가 적은 키이까지도 모두 사용할 수 있어 많은 기능의 키이를 설치할 수 있으면서도 핸드세트의 소형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사용빈도수가 많은 키이에 대응하는 스위치로서 포토인터럽터 스위치를 사용함으로써 장기간 반복 사용하더라도 접촉불량이 발생하는 일이 없어 키이입력에 따른 송신신호의 발생이 정확하게 되며 이에 따라 수신제품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등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원격 조정기
제1도 및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원격조정기의 키이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로서,
제1도는 사용빈도수가 적은 키이를 수납시킨 상태도
제2도는 키이 전체를 개방한 상태도
제3도는 제1도의 A-A선에 따른 부분 단면도로서,
(a)는 스위치의 오프 상태도
(b)는 스위치의 온 상태도
제4도 및 제5도는 본 고안 키이장치에 사용되는 스위치의 다른 실시형태를 보인 단면도로서
제4도(a)는 스위치의 오프상태도
제4도(b)는 스위치의 온상태도
제5도는 제4도의 실시례에 사용되는 스위치의 사시도
제6도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례를 도시하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1a : 주조작키부
1b : 부조작키부 1c : 슬라이드커버부
2,3 : 키이 2a,3a : 스위치누름부
2a' : 광차단부 4a,4b,4c : 스위치
5a,5b,5c : 인쇄회로기판 14 : 포토인터럽터 스위치
14a : 수광부 14b : 발광부
14c : 요홈부
본 고안은 원격조정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빈도수가 많은 키이는 항상 노출시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사용빈도수가 적은 키이는 개폐되도록 세트의 내부로 수납시킴으로써 수납시 사용이 불가능하게 하여 사용자의 잘못된 키이입력으로 인한 제품의 오동작을 최대한 방지함과 아울러 세트의 소형화가 가능하도록한 원격조정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원격조정기는 각 기능에 해당하는 모든 키이들이 모두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며, 상기 키이의 하부에는 접점스위치가 구비되어 상기 키이를 누르면 스위치가 온(on)됨으로써 송신신호가 발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키이장치는 모든 키이들이 사용가능하도록 모두 노출되어 있으므로 사용자의 실수로 인한 잘못된 키이입력으로 수신제품의 오동작이 발생하고, 다기능적인 세트의 구성을 위하여 키이의 갯수가 많아짐에 따라 세트의 크기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빈도수가 많은 특정스위치를 반복하여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스위칭 동작에 의한 접촉이 동박의 접점부분이 닳아지게 되어 접촉불량이 발생되고, 이에따라 송신신호가 발생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빈도수가 많은 키이는 항상 노출되게 하고 사용빈도수가 적은 키이는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본체내에 수납하고 사용할 때만 노출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잘못된 키이조작으로 인한 수신제품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키이의 갯수가 많아지더라도 세트의 크기를 소형으로 유지할 수 있으면서도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접촉불량이 없이 키입력에 따른 신호 발생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원격조정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원격조정기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 한다.
제1도 및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원격조정기의 사용상태를 보인 것으로, 앤드 세트 본체(1)는 사용빈도수가 많은 키이(2)가 배치된 주조작키부(la)와, 이 주조작키부(la)에서 두께와 폭이 좁아진 상태로 연장되어 그 전면에 사용빈도수가 적은 키이(3)가 배치된 부조작키부(1b)와, 이 부조작키부(1b)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설치 되어 상기 사용빈도수가 적은 키이(3)를 개폐하며 전면에 사용빈도수가 많은 키이(2)가 배치된 슬라이드커버부(1c)로 구성된다.
상기 주조작부(1a)와 슬라이드커버부(1c)의 두께와 폭은 동일하게 하여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빈도수가 적은 키이(3)를 가린 상태에서는 본체(1)가 전체에 걸쳐서 두께와 폭이 같은 상태로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사용빈도수가 많은 키이(2)와 사용빈도수가 적은 키이(3)들은 제3도(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통적으로 주조작키부(1a)와 부조작키부(1b) 및 슬라이드커버부(1c)내에 설치된 스위치(4)들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제3도(a)(b)는 슬라이드커버부(1c)에 배치된 사용빈도수가 많은 키이(2)부분의 단면구조를 보인 것인바, 주조작키부(1a)에 배치되는 사용빈도수가 많은 키이(2)들과 부조작키부(1b)에 배치되는 사용빈도수가 적은 키이(3)의 단면 구조도 이와 동일하므로 도면부호를 병기한다.
즉, 제3도(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조작키부(1a)와 부조작키부(1b) 및 슬라이드커버부(1c)내에는 각 키이(2,3)에 대응하는 스위치(4a,4b,4c)가 인쇄회로기판(5a,5b,5c)상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키이(2,3)들은 주조작키부(1a), 부조작키부(1b) 및 슬라이드커버부(1c)에 형성된 키이홈(8a,8b,8c)내에서 승강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중간부에는 걸림편(2b,3b)가 형성되어 이 걸림편(2b,3b)와 키이홈(8a,8b,8c)의 저면에 설치된 플레이트(7a,7b,7c)사이에 장전되는 스프링(6a,6b,6c)에 의하여 상시 표면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키이(2,3)의 하단에는 스위치(5a,5b,5c)를 누르는 누름부(2a,3a)가 연장형성 되어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커버부(1c)를 주조작키부(1a)측으로 밀어 부조작키부(1b)에 배치된 사용빈도수가 적은 키이(3)를 내부에 수납시킨 상태에서는 사용빈도수가 많은 키이(2)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커버부(1c)를 주조작키부(1a)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사용빈도수가 적은 키이(2)를 개방한 상태에서는 모든 기능의 키이(2,3)를 모두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슬라이드커버(1c)를 주조작키부(1a)측으로 밀어올려 부조작키부(1b)에 배치된 사용빈도수가 적은 키이(3)를 닫은 상태에서는 주조작키부(1a)와 슬라이드커버(1c)에 배치된 사용빈도수가 많은 키이(2)들만 노출되므로 사용자는 모든 키이(2,3)가 노출되었을 때 사용할 키이를 찾는데 어려움이 없이 주조작키부(1a)와 슬라이드커버부(1c)에 배치된 사용빈도수가 많은 키이(2)를 조작할 수 있어 오조작과 이에 따른 수신제품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주조작키부(1a)와 슬라이드커버부(1c)에 배치된 사용빈도수가 많은 키이(2)를 누르면 제3도(나)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7)와 걸림편(2b)사이에 장전된 스프링(6a,6c)에 의해 회로기판(5a,5c)상에 설치된 스위치(4a,4c)에서 이격 되어 있던 키이(2)의 하단이 스프링(6a,6c)에 대항하여 하강하면서 스위치(4a,4c)를 온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눌려진 키이(2)에 상당하는 송신신호가 발생되어 수신제품의 해당되는 기능을 동작시키게 되며, 키이(2)에서 손은 떼면 키이(2)가 스프링(6a,6c)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제3도(가)와 같이 복원되면서 스위치(4a,4c)로부터 이격되어 스위치(4a,4c)는 오프상태로 되는 것이다.
한편, 사용빈도수가 적은 키이(3)를 사용할 경우에는 제2도와 같이 슬라이드커버부(1c)를 주조작키부(1a)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끌어당겨 부조작키부(1b)에 배치된 사용빈도수가 적은 키이(3)가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이들 키이(3)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사용빈도수가 적은 키이(3)에 의한 스위치(4b)의 작동(제3도 참조)은 사용빈도수가 많은 키이(2)의 작동과 같은 원리에 의하여 이루어지므로 그 작동에 대하여는 생략한다.
이러한 사용에 있어서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빈도수가 많은 키이(2)를 사용할 경우에는 슬라이드커버부(1c)를 주조작키부(1a)에 닿은 상태로 함으로써 핸드세트 본체(1)의 길이가 주조작부(1a)와 슬라이드커버부(Ic)를 합친 길이로 되어 그 길이가 짧게 되어 사용이 편리하게 됨과 아울러 핸드세트를 보관하는 경우에도 제1도와 같이 그 길이를 짧게 한 상태로 보관함으로써 보관이 간편하게 되면서도 사용빈도수가 적은 키이(3)를 사용할 경우에만 슬라이드커버부(1c)를 부조작키부(1b)를 개방하여 사용빈도수가 많은 키이(2)는 물론 사용빈도수가 적은 키이(3)까지도 모두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모든기능에 대응하는 키이(2,3)를 모두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사용빈도수가 많은 키이(2)를 사용하거나 보관하는 경우에는 핸드세트의 길이가 짧게 되어 사용 및 보관이 편리하게 되면서도 필요에 따라 사용빈도수가 적은 키이(3)를 포함한 모든 기능의 키이(2,3)를 모두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제4도 및 제5도는 본 고안에 의한 수납식 원격조정기 핸드세트의 키이장치의 다른 실시례를 도시하는 것으로, 본 실시례에서는 인쇄회로기판(5)에 설치되는 스위치를 변형한 것으로, 상기 사용빈도수가 많은 키이(2)의 하단부에는 광차단부(2a')를 연장형성하고, 인쇄회로기판(5)의 상면에는 상기 키이(2)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광차단부(2a')가 삽입되는 요홈부(14c)을 사이에 두고 수광부(14a)와 발광부(14b)를 가지는 포토인터럽터 스위치(photo interrupter switch)(14)를 설치하며, 사용빈도수가 적은 키이(3)에 대응하는 스위치(4)는 상술한 실시례에서와 같은 접촉식 스위치를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며 , 여타 구성 부분은 상술한 실시례에서와 동일하다. 제5도에서 14d는 인쇄회로기판(5)에 연결하기 위한 핀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빈도수가 적은 키이(3)에 대응하는 스위치(4)는 접점스위치를 그대로 사용하더라도 그 사용빈도수가 적으므로 접촉불량이 발생할 염려가 적으며, 사용빈도수가 많은 키이(2)에 대응하는 스위치는 포토인터럽터 스위치(14)를 사용하였으므로 스위치 동작이 비접촉식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장기간 반복사용하더라도 접촉불량을 일으킬 염려가 없게 되는 것이다.
즉, 사용빈도수가 많은 키이(2)를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4도(가)와 같이 키이(2)의 하단에 형성된 광차단부(2a')가 요흠부(14c)에서 빠져나온 상태이므로 포토인터럽터 스위치(14)의 발광부(14b)에서 나오는 빛이 수광부(14a)로 수광되어 오프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키이(2)를 누르면 제4도(나)와 같이 키이(2)의 하단에 형성된 광차단부(2a')가 요홈부(14c)내로 들어가서 발광부(14b)에서 발광된 빛을 차단하여 수광부(14a)에서 수광되지 않게 되면서 온상태로 되며, 이에 따라 일반 접점스위치를 사용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송신신호가 발생되는 것으로 접점이 접촉 및 이탈되는 과정을 반복하는 것이 아니고 어떠한 부위에서도 기계적인 접촉은 일어나지 않으므로 장기간 반복하여 사용하더라도 접촉불량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키이(2)를 누르던 힘을 제거하면 키이(2)는 스프링(6a)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제4도(가)에 도시한 오프상태로 복귀된다.
제6도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례를 도시하는 것으로,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부조작키부(1b)에 사용빈도수가 많은 기능에 대응하는 포토인터럽터 스위치(14)를 노출되게 설치하고, 상기 슬라이드커버부(1c)의 상기 포토인터럽터 스위치(14)에 대응하는 위치에 광차단부(2a')를 가지는 사용빈도수가 많은 키이(2)를 설치하여 광차단부(2a')에 의하여 포토인터럽터 스위치(14)를 동작시키도록 구성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드커버부(1c)를 닫은 상태에서는 슬라이드커버부(1c)에 배치된 키이(2)가 포토인터럽터 스위치(14)에 일치하여 키이(2)를 눌렀을 때 그 하단의 광차단부(2a')가 삽입홈(14c)내로 삽입되어 스위치(14)가 온으로 되는 것이며, 슬라이드커버부(1c)를 개방한 상태에서는 스위치(14)가 외부로 노출되므로 키이(2)를 사용하지 않고 손가락이나 다른 물건을 삽입홈(14c)내에 삽입하는 것에 의하여 포토인터럽터 스위치(14)를 온시킬 수 있는 것이며, 여타 구성부분은 상술한 실시례에서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핸드세트 본체를 사용빈도수가 많은 키이가 배치된 주조작키부와 이 주조작키부에서 두께와 폭이 작아지게 연장형성되며 앞면에 사용빈도수가 적은 키이가 배치된 부조작키부 및 이 부조작키부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빈도수가 많은 키이가 배치된 슬라이드커버부로 구성하여 사용빈도수가 많은 키이만을 사용할 경우에는 슬라이드커버부를 주조작키부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부조작키부를 막아 부조작키부에 배치된 사용빈도수가 적은 키이는 노출되지 않고 주조작키부와 슬라이드커버부에 배치된 사용빈도수가 많은 키이만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키이입력을 잘못하는 일이 없게 되고 이에 따라 수신제품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사용빈도수가 많은 키이를 사용하거나 보관시에는 핸드세트의 전장이 주조작키부와 슬라이드커버부를 합친 길이로 짧게 되어 사용 및 보관이 간편하며, 슬라이드커버부를 주조작키부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이동시켜 부조작키부에 배치된 사용빈도수가 적은 키이를 노출시킴으로써 사용빈도수가 많은 키이는 물론 사용빈도수가 적은 키이까지도 모두 사용할 수 있어 많은 기능의 키이를 설치할 수 있으면서도 핸드세트의 소형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사용빈도수가 많은 키이에 대응하는 스위치로서 포토인터럽터 스위치를 사용함으로써 장기간 반복 사용하더라도 접촉불량이 발생하는 일이 없어 키이입력에 따른 송신신호의 발생이 정확하게 되며 이에 따라 수신제품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등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본체(1)의 일부의 표면에 배치된 주조작키부(1a)와, 본체(1)의 나머지부분의 표면에 배치된 부조작키부(1b)와, 상기 부조작키부(1b)를 개폐하는 슬라이드커버부(1c)와, 상기 주조작키부(1a)와 부조작키부(1b)에 배치된 키이(2,3)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포토 인터럽터스위치로 구성되어 키입력에 따른 신호의 발생이 정확하게 되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조정기.
KR2019910010254U 1991-07-05 1991-07-05 원격조정기 KR01186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0254U KR0118644Y1 (ko) 1991-07-05 1991-07-05 원격조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0254U KR0118644Y1 (ko) 1991-07-05 1991-07-05 원격조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3988U KR930003988U (ko) 1993-02-26
KR0118644Y1 true KR0118644Y1 (ko) 1998-07-15

Family

ID=19316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10254U KR0118644Y1 (ko) 1991-07-05 1991-07-05 원격조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864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3988U (ko) 1993-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6479Y1 (ko) 키보드
US4990730A (en) Illuminated push-button switch
US4107499A (en) Switch assembly for circuit boards
US6923373B2 (en) Device with memory card insertion/removing mechanism
KR0118644Y1 (ko) 원격조정기
GB1188454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ush Button Keys
JP2770962B2 (ja) 押ボタンスイッチ装置
US4314113A (en) Keyswitch having contacts mounted on cantilever beams
KR200400393Y1 (ko) 이동 키버튼을 가지는 키패드 장치
US3430012A (en) Electric snap key switch assembly
EP1049121A2 (en) Sliding operation type switch apparatus
JPH09140947A (ja) ラジオコントロール送信機のスイッチ機構
JP3236014U (ja) カードリーダー
US5248863A (en) Switch actuator mechanism
JPH11306912A (ja) 押しボタン式スイッチ装置
JP4170551B2 (ja) プッシュスライドスイッチ
KR200344315Y1 (ko) 키보드
KR930007315Y1 (ko) 전자레인지의 도어 인터록 장치
JP4008648B2 (ja) 押釦スイッチ
KR920000963B1 (ko) 키 보 드
US6377756B1 (en) Operation button used for portable apparatus
EP0283052A2 (en) Illuminated push-button switch
KR200154988Y1 (ko) 다용도 누름버튼
KR19990024779U (ko) 호환성을 갖는 버튼
KR910006842Y1 (ko) 푸쉬 버튼 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125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