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7690Y1 - 체크밸브 - Google Patents

체크밸브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7690Y1
KR0117690Y1 KR2019930012382U KR930012382U KR0117690Y1 KR 0117690 Y1 KR0117690 Y1 KR 0117690Y1 KR 2019930012382 U KR2019930012382 U KR 2019930012382U KR 930012382 U KR930012382 U KR 930012382U KR 0117690 Y1 KR0117690 Y1 KR 01176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half
housing
valve
half body
negative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23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0931U (ko
Inventor
히데미쓰 스노하라
구니오 가나이
Original Assignee
시시도 도시마사
닛신 고오교오 가부시끼 가이샤
다케이 고이치
가부시끼 가이샤 다케이쥬시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시도 도시마사, 닛신 고오교오 가부시끼 가이샤, 다케이 고이치, 가부시끼 가이샤 다케이쥬시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시시도 도시마사
Publication of KR9400209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093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76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76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6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guided stems
    • F16K15/063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guided stems the valve being loaded by a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42Valve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09Check valves or pivoted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alve Housings (AREA)
  • Check Valves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목적 : 원통형상의 제 1 하우징 반체와, 제 1 하우징 반체에 끼워맞추어 고정되는 제 2 의 하우징 반체로서 구성되는 하우징 내에, 제 1 및 제 2 하우징 반체 중 어느 한쪽에 설치되는 밸브시이트로의 착좌를 가능하게 한 밸브체와, 그 밸브체를 밸브시이트에 착좌시키는 방향의 스프링힘을 발휘하는 밸브스프링이 수납되는 체크밸브에 있어서, 양 하우징반체를 상호 안정적인 상태로 가조립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구성 : 제 1 하우징 반체(6a)의 내면 및 제 2 하우징 반체(6b)의 외면 한쪽에는 걸림 돌출부(16)가 설치되고, 제 1 하우징 반체(6a)의 내면 및 제 2 하우징 반체(6b)외면의 다른 한쪽에는, 걸림 돌출부(16)를 상호부착시키는 고리형상의 상호부착홈(18)과, 제 2 하우징 반체(6b)를 제 1 하우징 반체(6a)에 끼워 맞출때에 걸림돌출부(16)를 상호부착홈(18)에 상호부착 시킴에 앞서 걸림돌출부(16)를 걸어맞추는 고리 형상의 유지홈(191)이 형성된다.

Description

체크밸브
제 1 도는 제 1 실시예의 체크밸브 장착상태에서의 종단 측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2-2선 확대 단면도.
제 3 도는 제 1 및 제 2 하우징 반체(半體)를 분리한 상태에서 표시하는 단면도.
제 4 도는 제 2 실시예의 제 3 도에 대응하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쉘1a : 부압실
2 : 부압 도입관3 : 부압 도출관
4 : 고무제 부압 도입관5 : 체크밸브
6 : 하우징6a,6a' : 제 1 하우징 반체
6b,6b' : 제 2 하우징 반체7 : 안내보스
8 : 부압 입구공9 : 부압 출구공
10 : 밸브시이트11 : 밸브체
12 : 밸브스프링13 : 밸브체 주부
13a : 우산형부13b : 스템부
14 : 씰판16 : 제 1 걸림 돌출부
17 : 제 2 걸림 돌출부18 : 상호 부착홈
191,192: 유지홈D1: 연관부착홈 저부직경
D2: 제 2 하우징 반체 외면 직경D3: 유지홈 저부직경
D4: 하우징 반체 외면직경
D5: 제 1 걸림 돌출부 돌출단 내면직경
D6: 제 1 하우징 반체 내면직경
본 고안은 원통형상의 제 1 하우징 반체와, 제 1 하우징 반체에 끼워맞춤 고정되는 제 2 의 하우징 반체로서 구성되는 하우징 내에, 제 1 및 제 2 하우징 반체의 어느 한쪽에 설치되는 밸브시이트로의 착좌(着座)를 가능하게 한 밸브체와, 그 밸브체를 밸브시이트에 착좌시키는 방향의 스프링힘을 발휘하는 밸브스프링이 수납되는 체크밸브에 관한 것이다.
그와 같은 체크밸브는, 예로서 실개소 57-62166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미리 알려져 있다.
상기, 종래의 체크밸브에서는, 외면에 고리형상의 상호부착홈이 형성된 제 2 하우징 반체를 제 1 하우징 반체내에 끼워 맞추고, 제 1 하우징 반체를 코오킹하여 상기 상호부착홈에 상호 부착시킴으로써, 제 1 및 제 2 하우징 반체를 상호 고착시켜서 하우징을 구성하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 1 및 제 2 하우징 반체를 상호 고정하여 하우징을 조립함에 있어서는, 제 2 하우징 반체를 제 1 하우징 반체에 끼워 맞추는 공정과, 제 1 하우징 반체의 코오킹 공정이 필요하며, 조립작업성이 우수하다고는 하기 어렵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제 2 하우징 반체의 외면에 상호부착홈 및 걸림 돌출부의 한쪽을 형성하여 둠과 동시에 제 1 하우징 반체의 내면에 상호부착홈 및 걸림돌출부의 다른 한쪽을 형성하여 놓고, 제 2 하우징 반체가 제 1 하우징 반체에 끼워 맞추어짐에 따라서 걸림돌출부가 상호부착홈에 상호부착되는 구성으로 하여 놓고, 압입기에 의해서 제 2 하우징 반체를 제 1 하우징 반체내로 밀어 넣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런데, 그 경우에도 제 1 및 제 2 하우징 반체를 밀어 넣는 것이 가능한 상태로 하여 압입기에 세트하기 위해서 작업원의 일손에 의지하여야만 하므로, 제 1 및 제 2 하우징 반체를 안정된 상태로 가조립해서 압입기에 세트하는 것이 곤란하다.
본 고안은, 그와 같은 사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서, 제 1 및 제 2 하우징 반체를 서로 안정적인 상태로 가조립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체크밸브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에서는, 제 1 하우징 반체의 내면 및 제 2 하우징 반체의 외면 한쪽에는 걸림 돌출부가 형성되고, 제 1 하우징 반체의 내면 및 제 2 하우징 반체의 외면 다른 한쪽에는, 상기 걸림돌출부를 상호부착시키는 고리형상의 상호 부착홈과, 제 2 하우징 반체를 제 1 하우징 반체에 끼워 맞출 때에 걸림 돌출부를 상호부착홈에 상호부착 하기에 앞서 걸림 돌출부를 걸어 맞추는 고리 형상의 유지홈이 형성된다.
[실시예]
이하, 도면에 의해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 1 도 내지 제 3 도는 제 1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이며, 제 1 도는 체크밸브의 장착상태에서의 종단 측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2-2선 확대 단면도, 제 3 도는 제 1 및 제 2 하우징 반체를 분리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우선 제 1 도에서, 자동차의 브레이크 마스터실린더 작동을 부우스터(B)의 쉘(1) 외면에는 그 내부의 부압실(1a)로 연결되는 부압 도입관(2)이 돌출설치되고, 또 부압 부우스터(B)의 부압원이 되는 엔진의 흡기 매니홀드(M)의 외면에는 그 내부에 연결되는 부압 도출관(3)이 돌출 설치되며, 부압도입관(2) 및 부압도출관(3)이 고무제 부압도관(4)으로 접속된다. 더욱이, 그 부압도관(4)내에, 본 고안에 따른 체크밸브(5)가 장착되고, 그 체크밸브(5)에 의해서 흡기 매니홀드(M)측으로부터 부압 부우스터(B)측으로의 한 방향으로만 부압 전달이 허용된다.
제 2 도에서, 체크밸브(5)의 하우징(6)은, 일끝단측을 개방한 제 1 하우징 반체(6a)와, 제 1 하우징 반체(6a)의 일끝단측에 탄성으로 끼워맞추어지는 원통형상의 제 2 하우징 반체(6b)로서 구성되며, 양 하우징 반체(6a,6b)는 합성수지로 성형되고 있다.
제 1 하우징 반체(6a)의 다른 끝부분은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 2 하우징 반체(6b)의 제 1 하우징 반체(6a)와의 반대측 끝부분은 제 1 하우징 반체(6a)보다 구경이 크게 형성된다. 그리하여, 부압도관(4)에 대한 체크밸브(5) 장착에 있어서는, 상기 하우징(6)이, 그 끝이 가느러진 형태의 끝부분을 선두로 하여 부압 부우스터(B)측으로부터 부압도관(4)으로 압입되고, 그 도관(4)의 축경력(縮經力)으로 소정위치에 유지된다. 더욱이 제 2 하우징 반체(6b)의 대경부가 그 도관(4) 내면에 물려서 도관(4)과의 사이의 밀폐를 확보한다.
제 1 하우징 반체(6a)의 다른 끝부분에는, 안내보스와, 이것을 둘러싸듯이 배치되어서 제 1 하우징 반체(6a)의 내외를 연이어 통하는 복수의 부압 입구공(8)이 형성된다.
또, 제 2 하우징 반체(6b)에는, 그 내외를 연이어 통하는 부압 출구공(9)과, 이 부압 출구공(9)의 내부 끝으로 연결되는 밸브시이트(10)가 설치되고, 이 밸브시이트(10)와 착좌 가능한 포페트형의 밸브체(11)와, 그 밸브체(11)를 밸브시이트(10)에 착좌시키도록 힘을 주는 밸브스프링(12)이 하우징(6)내에 수용된다. 밸브체(11)는 우산형부(13a)에 부설되어서 밸브시이트(10)에 착좌할 수 있는 고무제의 씰판(14)으로써 구성되며, 스텝부(13b)는 상기 안내보스(7)내로 헐겁게 끼워진다. 또 상기 밸브스프링(12)은, 원추코일 형상으로 형성되어 밸브체(11)와 제 1 하우징 반체(6a)내부 끝면과의 사이에 압축되어 설치된다.
제 3 도를 함께 참조하면, 제 1 및 제 2 하우징 반체(6a,6b)는 본 고안에 따르는 구조로 상호 끼워 맞추어지는 것이며, 제 1 하우징 반체(6a)의 일끝단측 내면에는, 제 1 걸림 돌출부(16)가 고리 형상으로 돌출 설치됨과 동시에, 제 1 걸림 돌출부(16)로부터 축 방향 안쪽으로 간격을 둔 위치에 제 2 걸림 돌출부(17)가 고리형상으로 돌출 설치되고, 제 2 걸림 돌출부(17)는 제 1 걸림 돌출부(16)보다도 넓은 폭으로 형성된다. 한편 제 2 하우징 반체(6b)외면에는, 제 2 하우징 반체(6b)를 제 1 하우징 반체(6a)내로 밀어 넣었을때에, 제 1 걸림 돌출부(16)를 상호 부착시키는 고리형상의 상호부착홈(18)과, 제 1 걸림 돌출부(16)를 상호부착홈(18)에 상호부착시킴에 앞서 제 1 걸림 돌출부(16)를 걸어맞춤함과 동시에 제 1 걸림 돌출부(16)를 상호부착홈(18)에 상호부착시킬 때에는 제 2 걸림 돌출부(17)를 상호부착시키는 고리형상의 유지홈(191)이 형성된다.
그런데, 상호부착홈(18)의 저부직경을 D1, 상호부착홈(18) 및 유지홈(191) 사이에서의 제 2 하우징 반체(6b)의 외면 직경을 D2, 유지홈(191)의 저부직경을 D3, 유지홈(191)보다도 제 1 하우징 반체(6a)쪽으로 몰린 제 2 하우징 반체(6b)의 외면 직경을 D4, 제 1 걸림 돌출부(16)의 돌출단 내면직경을 D5, 제 1 및 제 2 걸림 돌출부(16,17)사이에서의 제 1 하우징 반체(6a)의 내면직경을 D6, 및 제 2 걸림 돌출부(17)의 돌출단 내면 직경을 D7로 하였을때, 이들 직경 D1~D7은, 다음과 같은 (1)~(3) 부등식이 성립하도록 설정된다.
D3≤ D1D2= D4....................(1)
D7D5D6............................(2)
D4≥ D6...................................(3)
다음에 이 실시예의 작용에 관해서 설명하면, 체크밸브(5)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밸브체(11) 및 밸브스프링(12)을 수납한 제 1 하우징 반체(6a)의 일끝단측으로 압입기에 의해서 제 2 하우징 반체(6b)를 밀어 넣어 끼워 맞추는데, 그 압입기에 세트함에 있어서는, 작업원이 제 2 하우징 반체(6b)를 제 1 하우징 반체(6a)내로 약간 밀어 넣는다.
그와 같이 하면, 제 2 하우징 반체(6b)에는 제 1 하우징 반체(6a)내로 탄성으로 끼워 맞추어져서, 제 1 걸림 돌출부(16)가 유지홈(191)에 걸어 맞춤됨으로써 가조립된 상태가 되어, 제 1 및 제 2 하우징 반체(6a,6b)를 안정된 상태로 가조립하여 압입기에 세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더욱이, 제 1 걸림 돌출부(16)를 유지홈(191)에 걸어 맞출 때 절도감을 얻을 수가 있으므로, 가조립 상태가 되었음을 확실하게 인식할 수가 있어, 실제 조립시의 신뢰성 향상에 기여할 수가 있다.
가조립 상태에서 세트된 제 1 및 제 2 하우징 반체(6a,6b)를 압입기로 상호간에 밀어 넣으면, 제 1 걸림 돌출부(16)가 상호부착홈(18)에 상호부착됨과 동시에 제 2 걸림 돌출부(17)가 유지홈(191)에 상호부착되어, 제 1 및 제 2 하우징 반체(6a,6b)의 상호 고정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조립된 체크밸브(5)를 부압도관(4)내에 장착한 후에는, 엔진의 작동에 따라 흡기 매니홀드(M)내에 부압이 발생하면, 그 부압은 부압도관(4)으로부터 체크밸브(5)의 부압 입구공(8)을 거쳐 하우징(6)내로 전달되고, 밸브체(11)를 밸브 스프링(12)의 힘에 대항해서 열어, 부압 출구공(9)으로부터 부압도관(4)을 거쳐 부압부우스터(B)의 부압실(1a)로 도입된다. 또 부압실(1a)의 도입부압이 흡기 매니홀드(M)내의 부압과 같아지면, 밸브체(11)는 밸브스프링(12)의 힘에 의해서 닫히고, 부압 부우스터(B)에서 부압이 소비되어 부압실(1a)의 부압이 저하하면 같은 작용에 의해서 흡기 매니홀드(M)내의 부압이 부압실(1a)로 보급된다.
엔진의 가속조작에 의해서 흡기 매니홀드(M)내의 부압이 부압실(1a)의 부압보다도 저하하면, 밸브체(11)는, 그 전후의 압력차에 의해서 밸브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므로, 부압실(1a)로부터 흡기 매니홀드(M)측으로의 부압의 역류를 방지할 수가 있다.
또 밸브스프링(12)은 원추코일 형상이므로, 밸브체(11)의 밸브개방에 의해서 압축되어도, 밸브스프링(12)의 각 코일 상호의 간격은 확보되므로, 부압의 유통에는 지장을 가져오지 않는다.
제 4 도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이며, 상기 제 1 실시예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인다.
제 1 하우징 반체(6a')의 일끝단측 내면에는 걸림 돌출부(16)가 돌출 설치되고, 제 2 하우징 반체(6b')의 외면에는, 제 2 하우징 반체(6b')를 제 1 하우징 반체(6a')내에 밀어 넣었을 때에 걸림 돌출부(17)를 상호 부착시키는 고리형상의 상호 부착홈(18)과, 걸림 돌출부(16)를 상호부착홈(18)에 상호 부착시키기에 앞서 걸림 돌출부(16)를 걸어 맞추는 고리 형상의 유지홈(192)이 형성된다.
더욱이, 상호 부착홈(18)의 저부직경을 D1, 상호 부착홈(18) 및 유지홈(192) 사이에 있어서의 제 2 하우징 반체(6b')의 외면 직경을 D2, 유지홈(192)의 저부 직경을 D3', 유지홈(192)보다도 제 1 하우징 반체(6a')쪽으로 몰린 제 2 하우징 반체(6b')의 외면 직경을 D4, 걸림 돌출부(16)의 돌출단 내면 직경을 D5, 및 제 1 하우징 반체(6a')의 내면 직경을 D6로 하였을때에, 이들 직경 D1~D6은, 다음의 (4),(5)의 부등식이 성립하도록 설정된다.
D5≤ D1D3' D4D2...................(4)
D6≤ D2........................................(5)
이 제 2 실시예에 의하면, 제 2 하우징 반체(6b')를 제 1 하우징 반체(6a')내로 약간 밀어 넣으면, 걸림 돌출부(16)가 유지홈(192)에 걸어 맞추어지고, 제 1 및 제 2 하우징 반체(6a',6b')가 걸림 돌출부(16)의 유지홈(192)에 대한 절도감을 가진 걸어맞춤에 의해서 안정된 상태에서 가조립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 제 2 하우징 반체(6b')를 더욱더, 제 1 하우징 반체(6a')내로 밀어 넣으면, 걸림 돌출부(16)가 상호 부착홈(18)에 상호 부착이 되어 제 1 및 제 2 하우징 반체(6a',6b')의 상호 고정상태가 된다.
이상,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술하였는데,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용신안 등록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을 벗어나지 않는 각종 설계변경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로서, 제 2 하우징 반체의 외면에 걸림 돌출부가 돌출 설치되고, 제 1 하우징 반체의 내면에 상호부착홈 및 유지홈이 설치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또 제 1 하우징 반체측에 밸브시이트가 설치되도록 하여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제 1 하우징 반체의 내면 및 제 2 하우징 반체의 내면 및 제 2 하우징 반체의 외면 한쪽에는 걸림 돌출부가 형성되고, 제 1 하우징 반체의 내면 및 제 2 하우징 반체의 외면 다른 한쪽에는, 상기 걸림 돌출부를 상호 부착시키는 고리형상의 상호부착홈과 제 2 하우징 반체를 제 1 하우징 반체에 끼워 맞출때에 걸림 돌출부를 상호부착홈에 상호 부착시키기에 앞서 걸림 돌출부를 걸어맞추는 고리형상의 유지홈이 형성되므로, 제 1 및 제 2 하우징 반체를 안정된 상태에서 가조립할 수가 있으며, 더욱이 가조립시에 절도감을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실제 조립고정시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Claims (1)

  1. 원통형상의 제 1 하우징 반체(6a,6a')와, 제 1 하우징 반체(6a,6a')에 끼워 맞춤 고정되는 제 2 하우징 반체(6b,6b')로서 구성되는 하우징(6)내에, 제 1 및 제 2 하우징 반체(6a,6a':6b,6b')중 어느 한쪽에 설치되는 밸브시이트(10)로의 착좌를 가능하게 한 밸브체(11)와, 그 밸브체(11)를 밸브시이트(10)에 착좌시키는 방향의 스프링 힘을 발휘하는 밸브스프링(12)이 수납되는 체크밸브에 있어서, 제 1 하우징 반체(6a,6a')의 내면 및 제 2 하우징 반체(6b,6b')의 외면 한쪽에는 걸림 돌출부(16)가 형성되고, 제 1 하우징 반체(6a,6a')의 내면 및 제 2 하우징 반체(6b,6b')외면의 다른 한쪽에는 상기 걸림 돌출부(16)를 상호부착시키는 고리 형상의 상호부착홈(18)과, 제 2 하우징 반체(6b,6b')를 제 1 하우징 반체(6a,6a')에 끼워맞출때에, 걸림돌출부(16)를 상호부착홈(18)에 상호 부착시키기에 앞서 걸림돌출부(16)를 걸어맞춤하는 고리형상의 유지홈(191,19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밸브.
KR2019930012382U 1993-02-02 1993-07-06 체크밸브 KR0117690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3002322U JP2570518Y2 (ja) 1993-02-02 1993-02-02 チェック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0931U KR940020931U (ko) 1994-09-17
KR0117690Y1 true KR0117690Y1 (ko) 1998-06-01

Family

ID=11526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2382U KR0117690Y1 (ko) 1993-02-02 1993-07-06 체크밸브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570518Y2 (ko)
KR (1) KR011769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20386A (ja) * 2005-05-17 2006-11-30 Daiichi Jonan Kk 消火栓装置
JP4437553B2 (ja) * 2005-06-14 2010-03-24 シーケーディ株式会社 マニホールドブロック及びそれを用いたバルブユニット
JP4663585B2 (ja) * 2006-06-06 2011-04-06 サンデン株式会社 逆止弁
DE102011005485A1 (de) * 2011-03-14 2012-09-20 Robert Bosch Gmbh Ventileinrichtung zum Schalten oder Zumessen eines Flui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570518Y2 (ja) 1998-05-06
JPH0665669U (ja) 1994-09-16
KR940020931U (ko) 1994-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36329B1 (en) Hydraulic cylinder
CA1097181A (en) Time delay valve
GB2166509A (en) A connector pipe unit
US6830036B2 (en) Fuel supply apparatus having resilient injector-pressing member
KR0117690Y1 (ko) 체크밸브
US4475578A (en) Tire valve assembly
US6427674B1 (en) Socket coil-on-plug retainer
RU2191282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истемы питания двигателя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KR100491777B1 (ko) 압력조절밸브
EP1112441A1 (en) Drain coupling
GB2310250A (en) Fuel injection valv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JP2574000Y2 (ja) ホース内蔵型逆止弁
US20040060782A1 (en) Master cylinder
JPS6268169A (ja) ブレ−キブ−スタ
JPH02107558U (ko)
US20230235827A1 (en) Reed valve
US7497476B2 (en) Positive locking connector for vehicle component
AU656277B2 (en) Valve member holding structure in a vacuum booster
JP3864046B2 (ja) Pcvシステム用チェックバルブの取付構造とそのチェックバルブの取付構造に使用する弾性リング
JP3253254B2 (ja) センタバルブ型マスタシリンダ
JP3728636B2 (ja) 負圧式燃料弁
CN214368424U (zh) 扣脱式管接头
EP0306279B1 (en) Master cylinder
JP3845197B2 (ja) 電磁式燃料噴射弁の燃料分配管への保持構造
JPS598703B2 (ja) バタフライ弁の弁箱側シ−ト取付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0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