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7604Y1 - 수봉변의 수봉확인장치 - Google Patents

수봉변의 수봉확인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7604Y1
KR0117604Y1 KR2019950020370U KR19950020370U KR0117604Y1 KR 0117604 Y1 KR0117604 Y1 KR 0117604Y1 KR 2019950020370 U KR2019950020370 U KR 2019950020370U KR 19950020370 U KR19950020370 U KR 19950020370U KR 0117604 Y1 KR0117604 Y1 KR 01176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pe
gas
vent pipe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03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0279U (ko
Inventor
이병태
Original Assignee
김종진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진,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종진
Priority to KR20199500203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7604Y1/ko
Publication of KR9700102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027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76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760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58Optical means, e.g. light transmission, observation 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2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 F16K37/0041Electrical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valve parame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5/00Protection or supervision of installations
    • F17D5/005Protection or supervision of installations of gas pipelines, e.g. ala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5/00Protection or supervision of installations
    • F17D5/02Preventing, monitoring, or locating loss
    • F17D5/06Preventing, monitoring, or locating loss using electric or acous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제철소의 가스라인(Gas Line) 등에 구간별로 설치되어 가스를 공급 또는 차단시키게 되는 수봉변에 관한 것으로, 수봉변의 수봉상태를 지상에서 자동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고소작업에 의한 추락사고나 가스중독과 같은 안전재해를 예방하고, 가스의 공급과 차단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수봉변의 수봉확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수봉변과 관통된 벤트관내부에 수위에 따라 상하작동하는 부레를 내장하고, 상기 벤트관상측에 경광등과 전기접속된 리미트스위치를 설치하며, 벤드관상단에는 실린더에 의해 개폐되는 밀폐커버를 씌워 수봉시 상기 실린더의 작동으로 밀폐커버를 벗긴 상태에서 급수관을 통하여 물을 채우면 부레가 상승하면서 리미트스위치를 작동시켜 경광등이 자동점등 되므로, 작업자는 운전실에서 상기 경광등의 점멸상태를 보고 수봉여부를 간단히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수봉변의 수봉확인장치
본 고안은 제철소의 가스라인(Gas Line) 등에 구간별로 설치되어 가스를 공급 또는 차단시키게 되는 수봉변에 관한 것으로, 수봉변의 수봉상태를 지상에서 자동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고소작업에 의한 추락사고나 가스중독과 같은 안전재해를 예방하고, 가스의 공급과 차단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수봉변의 수봉확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의 코크스오븐 등에 사용되는 연료인 가스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가스라인이 필요하며, 이러한 가스라인에은 가스공급 및 차단을 위하여 수봉변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한 수봉변은 통산 코크스오븐측의 가스라인에 이상이 있거나 돌발사태 및 계획수리시 관내에 신속히 물을 채워 가스공급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수봉변을 설치함에 있어 종래에는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스관(1)을 이루는 U자 형으로 만곡된 수봉변(11)을 형성하여 그 저면부에 급수밸브(21)(21')가 구비된 급수관(20)(20')과 배수밸브(31)가 구비된 배수관(30)을 연결하고, 상기 수봉변의 상단에는 드레인밸브(Drain Valve)(41)가 구비된 드레인관(40)을 연결하며, 상기 드레인관의 상단과 관통된 벤트관(50)에 수봉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벤트벨브(5`)를 설치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수봉장치는 배수관(30)의 배수밸브(31)를 닫고 급수관(20(20')의 급수밸브(21)(21')를 열어 수봉변(11)에 물을 채운 다음, 작업자 수봉변(11)의 상부로 올라가 벤트밸브(51)를 열은 후 후각, 촉각, 가스검지기 등을 이용하여 수봉상태를 확인하였던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장치는 수봉과 벤트밸브(51)의 조작이 모두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그만큼 수봉시간이 길어져 코크스오븐의 작업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고, 벤트벨브를 조작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지상으로부터 상당높이에 설치된 수봉변(11)까지 올라가서 작업해야 하므로 고소작업에 따른 추락 및 가스중독과 위험과 함께 작업자에게 심리적인 부담감을 주는 원인이 되었던 것이다.
또한, 상기한 장치는 가스관의 수봉상태를 작업자의 감각에 의해 판단하므로 수봉상태를 정확히 확인하기가 곤란할 뿐만 아니라 수봉에 사용되는 물이 수봉변(11) 전후의 가스관(10)내로 유입되어 가스관의 전체적인 폐쇄를 가져오므로 가스공급이 중단되는 사태를 초래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드레인관과 관통한 벤트관내부에 수봉시 수위에 따라 상하작동하면서 수봉상태를 경광등을 통하여 지상에 알려주도록 하므로서 작업자가 수봉변까지 올라가지 않고서도 지상에서 간단한 조작만을 통하여 수봉상태를 자동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수봉변과 관통된 벤트관내부에 수위에 따라 상하작동하는 부레를 내장하고, 상기 벤트관상측에 경광등과 전기접속된 리미트스위치를 설치하며, 벤트관상단에는 실린더에 의해 개폐되는 밀폐커버를 씌워 수봉시 상기 실린더의 작동으로 밀폐커버를 벗긴 상태에서 급수관을 통하여 물을 채우면 부레가 상승하면서 리미트스위치를 작동시켜 경광등이 자동점등되므로서 작업자는 운전실에서 상기 경광등의 점멸상태를 보고 수봉여부를 간단히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수봉변의 수봉확인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부레의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스프링박스의 정단면도,
도 5는 종래 장치의 정면도,
도 6은 종래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가스관11 : 수봉변
50 : 벤트관60 : 부레
61 : 터치바70 : 리미트스위치
80 : 경광등90 : 밀폐커버
100 : 크랭크축110 : 실린더
112 : 작동바120 : 전원솔레노이드밸브
140 : 스프링박스150 : 이동바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수봉변의 수봉확인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부레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스프링박스의 정단면도로서,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가스관(10)을 이루는 U자 형의 수봉변(11)의 저면부에는 급수밸브(21)(21')가 구비된 급수관(20(20')과 배수밸브(31)가 구비된 배수관(30)이 각각 연결되며, 상기 수봉변(11)의 상부에는 드레인밸브(41)가 구비된 드레인관(40)과 이 드레인관(40)에 연통되는 벤트관(50)이 연결된 가스관의 수봉장치에 있어서, 상기 벤트관(50)의 내부에 설치되어 수봉시 수위에 따라 승하강하며, 양측부에는 가로방향을 따라 터치바(61)가 구비된 부레(60)와; 상기 터치바(61)에 의해 작동할 수 있도록 벤트관(50)의 상부측에 설치된 상태에서 경광등(80)과 전기접속된 리미트스위치(70); 상기 벤트관(50)의 상단에 씌워지며, 실린더(110)에 의해 작동하는 크랭크축(100)의 연동에 의하여 개폐되는 밀폐커버(90); 상기 실린더(110)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운전실(130)의 제어를 받는 전자변인 전원 솔레노이드밸브(120) 및; 상기 크랭크축(100)의 회동지점역할을 하며 밀폐커버에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스프링박스(140)에 설치되는 이동바(15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부레(60)는 물보다 비중이 작은 물체로서 상기 벤트관(50)의 내부에 길이방향에 따라 내장설치되어 수위가 변동함에 따라 승하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부레(60)의 몸체 상부에는 양측방향을 따라 수직하게 터치바(61)가 부착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부력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양측방향을 따라 하부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복수개의 얇은 박판(62)이 부착된다.
또한, 상기 리미트스위치(70)는 상기 터치바(61)의 직상방에 위치하여 그와 접촉하면서 경광등(80)을 점멸시키게 되는 것으로, 이 경광등(80)은 상기 운전실(130)에 구비된 조작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밀폐커버(90)는 상기 벤트관(50)의 상단에 덮혀씌워져 평상시 가스누출을 차단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그 내면에는 기밀효과를 높이기 위한 고무판(91)이 부착된다.
한편, 상기 밀폐커버(90)를 개폐시키는 수단으로 이용되는 실린더(110)에 구비된 피스톤로드(111)에는 상부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작동바(112)가 연결되고, 이 작동바(112)의 선단과 상기 밀폐커버(90)의 상부면 사이에 폭방향을 따라 크랭크축(100)이 연결된다.
또한, 상기 벤트관(50)의 측부에는 스프링이 내장설치된 스프링박스(140)가 장착되어 있고, 이 스프링박스(140)의 스프링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측으로 이동바(150)가 돌출되어 있으며, 이 이동바(150)의 선단부에는 상기 크랭크축(100)의 몸체가 힌지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실린더(110)가 작동하게 되면, 상기 이동바(150)를 지점으로 크랭크축(100)이 시소운동을 하면서 상기 밀폐커버(90)를 개폐시키게 된다.
즉, 상기 크랭크축(100)은 지렛대역할을 하게 되고, 이동바(150)는 크랭크축의 회전지점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작동바(112)의 몸체에는 상기 실린더(110)의 기능이 마비되는 경우 대신하기 위한 너트형상의 턴버클(113)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턴버클(113)은 그 상하단에 2개로 분리된 작동바가 결합되어 실린더의 기능마비시 턴버클을 분리시킨 상태에서 수작업을 통하여 상측의 작동바를 잡아당기거나 밀어올리므로서 밀폐커버(90)를 개폐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솔레노이드밸브(120)는 운전실(130)에 구비된 조작스위치를 조작하게 되면 온 또는 오프되면서 상시 실린더(110)로 공급되는 질소기체의 방향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이동바(150)는 그 상단이 크랭크축(100)의 중심부와 회동가능하게 힌지로 연결되고, 하단부는 도 3에서와 같이 스프링박스(140)내의 스프링(141)상단에 탄력지지된 플레이트(142)와 연결되어 자체의 탄성력으로 크랭크축(100)과 밀폐커버(90)의 유동을 어느 정도 가능하게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평상시에는 질소기체가 실린더(110)의 하부로 공급되어 피스톤로드(111)가 상승된 상태이므로 그와 연결된 작동바(112)가 크랭크축(100)을 밀어올리게 되므로, 상기 밀폐커버(90)가 벤트관(50)의 상단에 압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이때는 상기 밀폐커버(90)가 가스관(10)의 내부를 흐르는 가스의 외부누출을 차단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은 상태에서 가스관(10)의 수봉변(11)을 수봉시키기 위하여 운전실(130)에서 작업자가 전원솔레노이드밸브(120)를 역방향으로 작동시키게 되면, 질소기체가 실린더(110)의 상측으로 공급됨과 동시에 피스톤로드(111)가 하강하게 되므로 작동바(112)가 하강되면서 크랭크축(100)을 하부방향으로 잡아당기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크랭크축이 도면상 좌측방향으로 기울어지므로 상기 밀폐커버(90)가 열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밀폐커버(90)가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 상기 급수밸브(21)(21')를 열어주면 외부로부터 공급된 물이 급수관(20)(20')을 통하여 수봉변(11)에 공급된다.
이때, 물이 수봉변(11)에 채워지는 동안 벤트관(50)에 내장된 부레(60)는 수위와 함께 서서히 상승하며, 물이 완전히 채워지면 상기 터치바(61)가 리미트스위치(70)와 접촉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경광등(80)을 점등시킨다.
물론, 상기 경광등(80)이 점등되면 수봉이 완료되었다는 신호이며, 이 신호를 보고 작업자는 급수를 중단시키면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수봉변(11)과 관통된 벤트관(50)내에 수위에 따라 상하작동하며 터치바(61)가 구비된 부레(60)를 내장하고, 벤트관상단에는 실린더(110)에 의해 개폐되는 밀폐커버(90)를 씌움과 동시 상기 밀폐커버의 상측으로 경광등(80)과 연결된 리미트스위치(70)를 설치하여 수봉시 상기 밀폐커버를 벗긴 상태에서 물을 채우며 부레와 함께 터치바가 상승하면서 리미트스위치를 작동시켜 경광등이 자동점등 되므로서 작업자가 수봉변(11)에 올라가지 않고 지상에서 경광등의 점멸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수봉변의 수봉상태를 정확히 알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고소작업에 따른 추락 및 가스중독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수봉이 완료되는 순간 급수되는 물을 신속히 차단하여 수봉변(11)의 전후가스관(10)으로 유입되는 물을 차단시킬 수 있게 되므로 가스공급의 중단사태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가스관(10)을 이루는 U자 형의 수봉변(11)의 저면부에는 급수밸브(21,21')가 구비된 급수관(20,20')과 배수밸브(31)가 구비된 배수관(30)이 각각 연결되며, 상기 수봉변(11)의 상부에는 드레인밸브(41)가 구비된 드레인관(40)과 이 드레인관(40)과 연결되어 통하는 벤트관(50)이 연결된 가스관의 수봉장치에 있어서,
    상기 벤트관(50)의 내부에 설치되어 수봉시 수위에 따라 승하강하며, 양측부에는 가로방향을 따라 터치바(61)가 구비된 부레(60)와; 상기 터치바(61)에 의해 작동할 수 있도록 벤트관(50)의 상부측에 설치된 상태에서 경광등(80)과 전기접속된 리미트스위치(70); 상기 벤트관(50)의 상단에 씌워지며, 실린더(110)에 의해 작동하는 크랭크축(100)의 연동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밀폐커버(90); 상기 실린더(110)를 작동시키며, 운전실(130)의 제어를 받는 전자변이 전원솔레노이드밸트(120) 및; 상기 크랭크축(100)의 회동지점역할을 하며, 상기 밀폐커버(90)에 탄성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스프링박스(140)에 연결설치되는 이동바(15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봉변의 수봉확인장치.
KR2019950020370U 1995-08-08 1995-08-08 수봉변의 수봉확인장치 KR01176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0370U KR0117604Y1 (ko) 1995-08-08 1995-08-08 수봉변의 수봉확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0370U KR0117604Y1 (ko) 1995-08-08 1995-08-08 수봉변의 수봉확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0279U KR970010279U (ko) 1997-03-29
KR0117604Y1 true KR0117604Y1 (ko) 1998-06-01

Family

ID=19420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0370U KR0117604Y1 (ko) 1995-08-08 1995-08-08 수봉변의 수봉확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760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2716A (ko) * 2006-08-04 2008-02-12 세메스 주식회사 용액 저장 장치 및 그에 사용되는 부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681227B (zh) * 2022-12-26 2023-08-25 山东骏玛道机械有限公司 一种拖拉机用提升器分配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2716A (ko) * 2006-08-04 2008-02-12 세메스 주식회사 용액 저장 장치 및 그에 사용되는 부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0279U (ko) 1997-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72026B1 (en) A rolling seal sluice gate
KR0117604Y1 (ko) 수봉변의 수봉확인장치
CN201206646Y (zh) 煤气管道水封阀的水位控制装置
KR101063326B1 (ko) 건축물의 지중 매설 고압케이블 보호용 블록 구조물
CN214836512U (zh) 一种用于瓦斯抽采管路的放水器
CN101942956A (zh) 可调式单把手钢质风雨密门
AU761724B2 (en) Safety valve, in particular for a refuelling vent line
CN101555947A (zh) 煤气切断水封装置
RU2667760C1 (ru) Осушительная система
WO2019131212A1 (ja) 油圧制御装置
KR101788635B1 (ko) 중량 이동식 인양수문
KR102362221B1 (ko) 상향식 개폐 도어가 구비되는 공동구용 환기 겸용 비상탈출구
KR101001588B1 (ko) 무전원 오뚝이형 자동수문
US8240951B2 (en) Diverting storm surge-apparatus and method
KR101199002B1 (ko) 부단수 모듈 장치
KR101946327B1 (ko) 차집시설용 개폐밸브장치
KR101419593B1 (ko) 부단수 모듈장치의 막음판 구조
TWI314173B (en) Floodgate machine
JP2524270B2 (ja) 仕切弁
KR102318612B1 (ko) 부력식 유량제어장치
US4065011A (en) Portable water scoop
CN209278251U (zh) 一种用于水下摆动油缸的密封装置
CN216588719U (zh) 一种矿井密封积水磁动力控制排水装置
KR200407179Y1 (ko) 취수구 스톱로그의 바이패스 밸브구조
KR200185539Y1 (ko) 유류 수송차의 밸브 긴급 개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