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2221B1 - 상향식 개폐 도어가 구비되는 공동구용 환기 겸용 비상탈출구 - Google Patents

상향식 개폐 도어가 구비되는 공동구용 환기 겸용 비상탈출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2221B1
KR102362221B1 KR1020210068929A KR20210068929A KR102362221B1 KR 102362221 B1 KR102362221 B1 KR 102362221B1 KR 1020210068929 A KR1020210068929 A KR 1020210068929A KR 20210068929 A KR20210068929 A KR 20210068929A KR 102362221 B1 KR102362221 B1 KR 102362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ventilation
module
door
body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8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진
문태일
Original Assignee
이피엔워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피엔워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피엔워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68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22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2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2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1/00Rescue devices or other safety devices, e.g. safety chambers or escape way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00Devices or single parts for facilitating escape from buildings or the like, e.g. protection shields, protection screens;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smoke penetrating into distinct parts of building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5/00Other devices for rescuing from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00Ventilation of mines or tunnels; Distribution of ventilating currents
    • E21F1/08Ventilation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air ducts, e.g. arrangements for mounting venti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구의 환기 목적으로 설치되는 환기시설물을 활용하여 공동구의 화재와 같은 비상 상황에서 탈출 과정이 용이하면서도 신속하게 실시되게 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상향식 개폐 도어가 구비되는 공동구용 환기 겸용 비상탈출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공간이 마련된 박스형 구조로 저면이 개방되고 상기 내부공간을 둘러싸는 복수의 측벽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측벽에 내부공간과 연통하는 환기루버가 구비되며, 선택된 하나의 측벽에서 지붕면의 일부를 따라 'ㄱ'자 형상의 개구부가 형성되는 본체모듈; 및 'ㄱ'자 형상으로 상기 본체모듈의 개구부보다 큰 면적을 가지고, 일 단부가 상기 개구부와 인접하는 지붕면에 힌지 결합되어 개구부에서 상향식으로 개폐되는 도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상향식 개폐 도어가 구비되는 공동구용 환기 겸용 비상탈출구{Ventilation combined use emergency exit for utility pipe conduit with upward opening and closing doors}
본 발명은 공동구의 환기 목적으로 설치되는 환기시설물을 활용하여 공동구의 화재와 같은 비상 상황에서 탈출 과정이 용이하면서도 신속하게 실시되게 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상향식 개폐 도어가 구비되는 공동구용 환기 겸용 비상탈출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구(共同溝, utility-pipe conduit)란 상하수도관, 통신설비 등의 각종 케이블, 가스관 등을 함께 수용하는 지하터널로서 공용구거(共用溝渠)라고도 한다. 이러한 공동구는 상기 언급한 지하매설물을 공동 수용함으로써 지상 공간에 대한 미관 개선, 지상구조물의 구조 보전 및 교통 내지 보행의 원활한 소통을 도모하기 위하여 구축된다.
공동구에는 상하수도관, 통신설비 등의 각종 케이블, 가스관 등이 수용되므로 이러한 시설물들을 설치하거나 보수하기 위해 작업자가 공동구 내부로 출입해야하므로,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법적 기준에 의한 환기량을 만족해야 한다.
이에 지중에 설치되는 공동구는 특정 영역에 지상과 연통하는 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통로의 상부 지면에 외부의 공기와 접할 수 있도록 환기시설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환기시설은 인도의 높이와 동일하게 설치되어 있거나 또는 인도에서 약 1m 50Cm 높이를 초과하지 않은 범위로 설치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지하 공동구의 안전 유지관리용 환기시설에 따르면, 별도의 출입구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공동구의 유지 보수시 작업자가 환기구에 설치된 환기 커버를 환기구에서 분리하고 사다리나 로프 등을 이용하여 공동구에 들어가야만 했으며, 반대로 유지 보수 작업이 완료되면 다시 사다리나 로프 등을 이용하여 지상으로 나온 후 환기 커버로 환기구를 덮어야 하는데, 환기 커버의 중량이 무거워 환기 커버를 분리 또는 재조립하는 과정이 힘들고 번거롭고 별도의 사다리를 휴대하여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다.
한편 지중에 구축되는 공동구는 전기합선이나 기타의 내/외부의 원인 등으로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가연성 물질인 케이블이나 배관 등으로 인하여 화염이 급속하게 전파되어 막대한 경제적 손실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특히 공동구 공간에 작업자가 존재할 경우 공동구의 출입구가 제한된 위치에 있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 환기시설을 이용해야 할 상황이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환기 커버의 개폐 과정이 불편하고 번거로워 작업자의 신속한 피난/탈출이 곤란함에 따라 자칫 인명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204985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공동구의 환기 목적으로 설치되는 환기시설물을 활용하여 공동구의 화재와 같은 비상 상황에서 탈출 과정이 용이하면서도 신속하게 실시되게 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상향식 개폐 도어가 구비되는 공동구용 환기 겸용 비상탈출구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상향식 개폐 도어가 구비되는 공동구용 환기 겸용 비상탈출구(이하 "본 발명의 장치"라 칭함)는, 내부공간이 마련된 박스형 구조로 저면이 개방되고 상기 내부공간을 둘러싸는 복수의 측벽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측벽에 내부공간과 연통하는 환기루버가 구비되며, 선택된 하나의 측벽에서 지붕면의 일부를 따라 'ㄱ'자 형상의 개구부가 형성되는 본체모듈; 및 'ㄱ'자 형상으로 상기 본체모듈의 개구부보다 큰 면적을 가지고, 일 단부가 상기 개구부와 인접하는 지붕면에 힌지 결합되어 개구부에서 상향식으로 개폐되는 도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본체모듈은, 상기 개구부의 절개부위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도어모듈의 내측면과 접하는 돌출턱과, 상기 돌출턱에 부착되는 패킹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도어모듈은, 상기 본체모듈의 측벽 및 지붕면과 각각 평행하는 수직판 및 수평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지붕면에 인접하는 개구부의 내측면과 상기 수평판의 내측면 간 연결되어 도어모듈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가스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도어모듈은, 수직판의 내측면에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손잡이 및 상기 수직판의 내측면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고 상기 지붕면과 인접하는 개구부의 내측면에 선택적으로 결속되는 패닉바(panic bar)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본체모듈은, 상기 내부공간에서 상기 개구부와 인접하는 측벽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안전난간 및 상기 안전난간에 하향으로 결합되는 사다리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본체모듈의 지붕면은, 중심축을 향하여 상향의 경사구배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측벽 상단에 볼트 체결을 통해 탈, 부착되며 그 둘레를 따라 상기 측벽의 외측면보다 돌출되는 돌출테두리가 마련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는 공동구의 환기 목적으로 설치되는 환기시설물을 활용하며 'ㄱ'자 형상의 도어가 상향식으로 개폐되도록 설치됨에 따라 공동구의 화재와 같은 비상 상황에서 직립 상태로 작업자의 탈출이 가능하여 탈출 과정이 용이하면서도 신속하게 실시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 확보와 인명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는 일체형 모듈 구조를 갖도록 공장 제작된 후 현장에서 설치됨으로써 품질이 확보되고 현장 시공이 용이하며 시공 시간의 단축과 시공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벽의 내측면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모듈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붕면의 돌출테두리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장치는, 본체모듈(10)과 상기 본체모듈(10)의 일 영역에 마련되어 상향식으로 개폐되는 도어모듈(20)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모듈(10)은 지하 공동구(1)의 환기를 위하여 상기 공동구(1)에서 지상으로 연통되도록 시공되는 환기통로(2)의 상부 지면에 고정 설치된다.
이러한 본체모듈(10)은 내부공간(100)이 마련되는 정육면체 박스형 구조로 저면이 개방되어 상기 환기통로(2)와 연통되며, 상기 내부공간(100)의 사면을 둘러싸는 복수의 측벽(120)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측벽(120)에는 내부공간(100)과 연통하는 하나 이상의 환기루버(121)가 구비되어 상기 공동구(1) 공간을 환기시킬 수 있도록 한다.
개별 측벽(120)은 적어도 둘 이상의 단위 유닛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들 단위 유닛 간의 상호 조립에 의하여 본체모듈(10)에 대한 하나의 측벽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개별 측벽(120)은 풍하중 등을 포함하는 외력에 저항할 수 있도록 횡프레임(111)과 종프레임(112)의 결합에 의한 격자형 보강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내식성과 내열성 및 강도가 우수한 금속 재질의 패널이 외장면에 결합되어 상기 내부공간(100)이 직접적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패널은 갈바륨(Galvalume) 강판 또는 전기아연도금(EGI ; Electro Galvanized Iron) 강판을 채용함으로써 장시간 노출되는 외부 환경에서도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상기 측벽(120)은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단열재가 부착되거나, 측벽(120) 내부에 단열재가 매립됨으로써, 외부 환경으로부터 상기 공동구(1) 공간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한다.
상기 본체모듈(10)은 상기 측벽(12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내부공간(100)을 밀폐하는 지붕면(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붕면(130)은 중심축을 향하여 상향의 경사구배가 형성되어 빗물의 하부 배수를 유도한다. 특히 상기 지붕면(130)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둘레를 따라 상기 측벽(120)의 외측면보다 돌출되는 돌출테두리(131)가 마련되어 빗물의 내부 유입이 차단되게 한다.
이러한 지붕면(130)은 상기 복수의 측벽(120) 상단에 볼트 체결을 통해 탈, 부착되어 필요에 따라 외부로부터 공동구(1) 공간으로 장비 반입이 가능해지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지붕면(130)은 그 상부면에 복수의 아이볼트가 체결될 수 있으며, 평상시 상기 아이볼트는 분리된 상태로 캡(Cap)을 통해 아이볼트 체결공이 라감되게 함으로써 외부로부터 노출이 되지 않게 한다.
이와 같은 본체모듈(10)은 공동구(1)에 대한 환기시설물로 분류될 수 있도록 전체 높이가 1m 50Cm을 초과하지 않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본체모듈(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공간(100)에서 상기 개구부(140)와 인접하는 측벽(130)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안전난간(170) 및 상기 안전난간(170)에 하향 즉 공동구(1) 측을 향하도록 결합되는 사다리(180)를 더 포함함으로써, 관리자나 작업자의 유지 관리 활동이나 비상 상황에서 공동구(1)로부터 탈출할 경우 추락 등의 안전 사고가 방지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본체모듈(10)은 선택된 하나의 측벽(120)에서 지붕면(130)의 일부를 따라 'ㄱ'자 형상의 개구부(140)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140)에 이하에서 설명하는 도어모듈(20)이 결합되어 샹향식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140)의 절개부위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도어모듈(20)의 내측면과 접하는 돌출턱(150)과, 상기 돌출턱(150)에 부착되는 패킹부재(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턱(150)은 상기 개구부(150)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개구부(140)의 인접면과의 단차를 형성하게 됨으로써, 상기 단차 부위가 빗물 유입을 차단하면서도 배수로로서 작용되게 하여 상기 도어모듈(20)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단차 부위를 통하여 우수의 빠른 배수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패킹부재(160)는 상기 돌출턱(150)을 따라 그 단부에 부착되는 것으로, 상기 돌출턱(150)과 상기 도어모듈(20)의 내측면 간에 기밀성이 더욱 향상되게 한다.
이러한 패킹부재(160)는 공지의 다양한 기밀소재 중 적합한 하나를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패킹부재(160)는 실리콘 발포고무일 수 있다.
상기 도어모듈(2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모듈(10)의 개구부(140)와 마찬가지로 'ㄱ'자 형상을 갖는다.
상기 도어모듈(20)은 상기 본체모듈(10)의 개구부(140)보다 큰 면적을 가지고, 일 단부가 상기 개구부(140)와 인접하는 지붕면(130)에 힌지 결합되어 개구부(140)에서 상향식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도어모듈(20)은 'ㄱ'자 형상으로 개구된 측벽(120)과 지붕면(130)의 일부를 형성하게 되며, 본체모듈(10)의 내부공간(100)에서 상향식으로 회동됨으로써, 낮은 높이의 환기시설물에서도 공동구(1)의 관리자나 작업자가 피난 시 직립이동이 가능하게 하여 신속한 비상 탈출이 실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어모듈(20)은 상기 본체모듈(10)의 측벽(120) 및 지붕면(130)과 각각 평행하는 수직판(200) 및 수평판(21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모듈(20)은 상기 본체모듈(10)의 지붕면(130)에 인접하는 개구부(140)의 내측면과 상기 수평판(200)의 내측면 간 연결되어 도어모듈(20)의 상향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가스스프링(220)을 포함한다.
상기 가스스프링(220)은 상기 도어모듈(20)의 소프트한 개폐 동작을 도모하면서 도어모듈(20)의 개방 시 그 하중을 지지하여 개방 상태가 유지되게 됨으로써, 관리자나 작업자가 직립으로 피난 이동 시 머리 충돌을 예방한다.
상기 가스스프링(220)은 공지의 다양한 쇼크업 쇼버(shock absorber) 중 적합한 하나를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서 제시되는 가스스프링(220)은 피스톤 로드 밀폐식 가스 쇼버일 수 있다.
상기 도어모듈(20)은 상기 수직판(200)의 내측면에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손잡이(230)을 더 포함하여 공동구(1)로부터의 비상 탈출이 아닌 외부인의 본체모듈(10)에 대한 출입을 제한토록 한다.
또한 상기 도어모듈(20)은 상기 수직판(200)의 내측면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고 상기 지붕면(130)과 인접하는 개구부(140)의 내측면에 선택적으로 결속되는 패닉바(panic bar)(240)를 더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도어모듈(20)은 패닉바(240)가 마련되어 상기 본체모듈(10)의 내부공간(100)에서 별도의 행위 없이 도어를 미는 동작만으로도 도어모듈(20)을 신속한 개방이 가능한 것이다.
이때 도 5에서는 상기 패닉바(240)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패닉바(240)의 걸림돌기가 체결되게 하는 걸림쇠가 대향하는 상기 개구부(140)의 내측면 위치에 설치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 공동구 2 : 환기통로
10 : 본체모듈 20 : 도어모듈
100 : 내부공간 120 : 측벽
121 : 환기루버 130 : 지붕면
131 : 돌출테두리 140 : 개구부
150 : 돌출턱 160 : 패킹부재
170 : 안전난간 180 : 사다리
200 : 수직판 210 : 수평판
220 : 가스스프링 230 : 손잡이
240 : 패닉바

Claims (6)

  1. 내부공간이 마련된 박스형 구조로 저면이 개방되고 상기 내부공간을 둘러싸는 복수의 측벽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측벽에 내부공간과 연통하는 환기루버가 구비되며, 선택된 하나의 측벽에서 지붕면의 일부를 따라 'ㄱ'자 형상의 개구부가 형성되는 본체모듈; 및
    'ㄱ'자 형상으로 상기 본체모듈의 개구부보다 큰 면적을 가지고, 일 단부가 상기 개구부와 인접하는 지붕면에 힌지 결합되어 개구부에서 상향식으로 개폐되는 도어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모듈은,
    상기 개구부의 절개부위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도어모듈의 내측면과 접하는 돌출턱과, 상기 돌출턱에 부착되는 패킹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식 개폐 도어가 구비되는 공동구용 환기 겸용 비상탈출구.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모듈은,
    상기 본체모듈의 측벽 및 지붕면과 각각 평행하는 수직판 및 수평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지붕면에 인접하는 개구부의 내측면과 상기 수평판의 내측면 간 연결되어 도어모듈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가스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식 개폐 도어가 구비되는 공동구용 환기 겸용 비상탈출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모듈은,
    수직판의 내측면에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손잡이 및 상기 수직판의 내측면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고 상기 지붕면과 인접하는 개구부의 내측면에 선택적으로 결속되는 패닉바(panic bar)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식 개폐 도어가 구비되는 공동구용 환기 겸용 비상탈출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모듈은,
    상기 내부공간에서 상기 개구부와 인접하는 측벽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안전난간 및 상기 안전난간에 하향으로 결합되는 사다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식 개폐 도어가 구비되는 공동구용 환기 겸용 비상탈출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모듈의 지붕면은,
    중심축을 향하여 상향의 경사구배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측벽 상단에 볼트 체결을 통해 탈, 부착되며 그 둘레를 따라 상기 측벽의 외측면보다 돌출되는 돌출테두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식 개폐 도어가 구비되는 공동구용 환기 겸용 비상탈출구.
KR1020210068929A 2021-05-28 2021-05-28 상향식 개폐 도어가 구비되는 공동구용 환기 겸용 비상탈출구 KR102362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8929A KR102362221B1 (ko) 2021-05-28 2021-05-28 상향식 개폐 도어가 구비되는 공동구용 환기 겸용 비상탈출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8929A KR102362221B1 (ko) 2021-05-28 2021-05-28 상향식 개폐 도어가 구비되는 공동구용 환기 겸용 비상탈출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2221B1 true KR102362221B1 (ko) 2022-02-15

Family

ID=80325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8929A KR102362221B1 (ko) 2021-05-28 2021-05-28 상향식 개폐 도어가 구비되는 공동구용 환기 겸용 비상탈출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22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52293A (zh) * 2018-10-18 2018-12-07 吉林建筑大学 一种家庭应急避险方仓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4985Y1 (ko) 2000-06-15 2000-12-01 주식회사전철통신건설 지하철공동구 환기구용 이물질투입 방지장치
KR20110032178A (ko) * 2009-09-22 2011-03-30 (주)지엔에스 엔지니어링 지하시설물 출입구 자동 덮개
KR101322765B1 (ko) * 2013-06-21 2013-10-29 주식회사 가은 지하공동구의 안전 유지관리용 환기시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4985Y1 (ko) 2000-06-15 2000-12-01 주식회사전철통신건설 지하철공동구 환기구용 이물질투입 방지장치
KR20110032178A (ko) * 2009-09-22 2011-03-30 (주)지엔에스 엔지니어링 지하시설물 출입구 자동 덮개
KR101322765B1 (ko) * 2013-06-21 2013-10-29 주식회사 가은 지하공동구의 안전 유지관리용 환기시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52293A (zh) * 2018-10-18 2018-12-07 吉林建筑大学 一种家庭应急避险方仓
CN108952293B (zh) * 2018-10-18 2024-04-05 吉林建筑大学 一种家庭应急避险方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52342B2 (en) Flood protection for underground air vents
US20140230328A1 (en) Flap gate-type waterproof panel for wall installation
US20070022678A1 (en) In-ground storm shelter
KR102362221B1 (ko) 상향식 개폐 도어가 구비되는 공동구용 환기 겸용 비상탈출구
KR100505057B1 (ko) 지대가 낮은 건축물 지하 주차장 우수유입 방지구조물
CN105951919A (zh) 一种工程机械用驾驶室
KR100663097B1 (ko) 도로 등 토목용 터널 공동구의 댐퍼식 덮개
GB2323621A (en) Self-actuating flood barrier
KR20100008815U (ko) 상수도 계량기실용 맨홀장치
US10435910B2 (en) Flood protection for underground air vents
KR102160160B1 (ko) 다수의 섹션들로 이루어진 이동식 밀폐 빌딩
KR100661917B1 (ko) 지하통로 환기구의 차수문 개폐장치
EP1619323B1 (en) Underground transformer substation with baffle-barrier device
EP1500757B1 (en) Prefabricated construction with passable cover for industrial applications
JP4388420B2 (ja) 鉄道車両
KR100865757B1 (ko) 기밀형 방화문
KR102380213B1 (ko) 지하 매설식 소화전함
EP1565624A1 (en) Access covers
JP4266432B2 (ja) エレベータ装置の制御盤保守・点検用防護用具
CN212317455U (zh) 一种施工电梯防护装置
KR102632791B1 (ko) 터널용 공동구 덮개
KR100631155B1 (ko) 지하 내부 연결통로 방수문 설치장치
KR101077357B1 (ko) 도난 방지형 스틸 그레이팅
KR200464399Y1 (ko) 지붕 출입도어
KR200177062Y1 (ko) 교량점검시설의 방호벽 출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