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7397Y1 - 조명타워의 승강대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조명타워의 승강대 승강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7397Y1
KR0117397Y1 KR2019940001852U KR19940001852U KR0117397Y1 KR 0117397 Y1 KR0117397 Y1 KR 0117397Y1 KR 2019940001852 U KR2019940001852 U KR 2019940001852U KR 19940001852 U KR19940001852 U KR 19940001852U KR 0117397 Y1 KR0117397 Y1 KR 01173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form
switch
rising
magnet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18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4976U (ko
Inventor
박천돈
Original Assignee
박천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천돈 filed Critical 박천돈
Priority to KR20199400018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7397Y1/ko
Publication of KR9500249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497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73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73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36Hoisting or lowering devices, e.g. for mainten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명타워의 승강대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주면을 타고 승강하는 승강대에 있어서 승강대가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순간의 동작시간을 일정시간 지연되게 전원회로를 구성하여 조명타워의 승강대 작동안전성을 높여 사용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하며, 승강대상부의 고정캡과 승강대 사이에 전원연결잭을 형성하여 승강대의 전원선 배선기구를 간소화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명타워의 승강대 승강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제2도는 승강대에 스피커 및 안테너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조명타워의 정면도.
제3도는 승강대에 조명등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제4도는 승강대에 전원잭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5도는 승강대의 승강기구를 나타낸 정면도.
제6도는 모우터의 승강전원스위치 결선도.
제7도는 승강대의 작동전원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지주 2:승강대
3:승강동력모우터 4:승강대캡
5:잭 6,7:전원선이나 앰프선
8,9:전등선이나 스피커선 L/S2:상승리미트스위치
M/G1:상승마그넷스위치 T/S1:상승지연타이머스위치
L/S3:하강리미트스위치 M/G2:하강마그넷스위치
T/S2:하강지연타이머스위치
본 고안은 조명타워의 승강대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주의 외면을 타고 승강하는 승강대에 있어서 승강대가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순간의 동작시간을 일정시간 지연되게 전원회로를 구성하여 조명타워의 승강대 작동시 안전성을 높여 사용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함과 동시에 승강대상부의 고정캡과 승강대 사이에 전원연결잭을 형성하여 승강대의 전원선 배선기구를 간소화한 것이다.
종래의 조명타워의 승강장치는 승강대의 상승스위치와 하강스위치를 온(ON)오프(OFF) 시킴에 따라 곧바로 승강대가 승강하게 전원회로가 구성되었으므로 승강대 작동시 안전성이 결여되어 작업상 위험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승강대에 설치된 전원선도 승강대와 함께 유동되게 설치되었으므로 그의 구조가 복합한 결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결함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인바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승리미트스위치(L/S2)의 일단은 상승정지릴레이단자(R4) 상승마그넷스위치(M/G1)수동정지스위치(M/S) 및 수동릴레이접점(R2)을 통하여 전원선(R)에 연결하며 타단은 하강마그넷(M2)과 상승지연타이머스위치(T/S1)를 통해 전원선(T)에 연결하고, 하강리미트스위치(L/S3)의 일단은 하강정지릴레이단자(R5)와 하강마그넷스위치(M/G2), 수동정지스위치(M/S) 및 수동릴레이접점(R2)을 통하여 전원선(R)에 연결하며 타단은 상승마그넷(M1)과 하강지연타이머스위치(T/S2)를 통해 전원선(T)에 연결하였다.
그리고 상승마그넷스위치(M/G)는 자동릴레이접점(R3)에 연결된 상승마그넷(M1)과 병렬연결되었으며, 상승마그넷스위치(M/G1)와 상승정지 릴레이단자(M4) 사이의 접점(P1)은 타이머릴레이접점(R6)과 자동릴레이접점(R3)을 통해 전원선(R)에 연결되었고, 하강마그넷스위치(M/G2)는 자동릴레이접점(R3)에 연결된 하강마그넷(M2)에 연결된 하강마그넷(M2)과 병렬연결되었으며, 하강마그넷스위치(M/G2)와 하강정지릴레이접점(R5) 사이의 접점(P2)은 타이머릴레이접점(R6)과 자동릴레이접점(R3)을 통해 전원선(R)에 연결되었다.
그리고 지주(1)의 상부에는 승강대캡(4)을 고정설치하여 그의 하면일측과 승강대상면일측 사이에 잭(5)을 설치하여서 승강대캡(4) 내에 설치된 전원선(6)이나 앰프선(7)에 승강대에 설치된 전등선(8)이나 스피커선(9)과 연결되게 구성하였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A는 자동선택기이며, 8a은 전등이고, 9a는 스피커, 9b는 안테너, 10은 모우터의 동력을 받는 드럼이며, 11은 승강대 지지로우프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자동릴레이단자(R3)에 전원이 공급되게 자동선택기(A)를 조작하고 상승리미트스위치(L/S2)를 온시키면 상승지연타이머(T2) 에 의하여 상승지연타이머스위치(T/S1)가 일정시간지연되어 폐로되면서 상승마그넷(M2)에 전원을 공급하므로 상승마그넷스위치(M/G1)가 일정시간 지연후에 폐로되어 모우터(3)를 작동시키므로 승강대(2)는 일정시간 지연되어 상승되는 것이며, 하강리미트스위치(S/S3)를 온시키면 하강지연타이머(T3)에 의하여 하강지연타이머스위치(T/S3)가 일정시간 지연되어 폐로되면서 하강마그넷(M2)에 전원을 공급하므로 하강마그넷스위치(M/G2)가 일정시간 지연후에 폐로되어 모우터(3)를 작동시키므로 승강대(2)는 일정시간 지연되어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승강대(2)가 상승하여 승강대(2) 상면이 승강대캡(4) 하면에 근접하면 잭(5)이 연결되어 승강대캡(4) 내에 설치된 전원선(6)이나 앰프선(7)에 승강대(2)에 설치된 전등선(8)이나 스피커선(9)이 접속되는 것이며 승강대(2)가 하강하게 되면 잭(5)이 분리되면서 승강대(2)만이 하강하므로 승강대(3)에 설치된 전등 8a이나 스피커 9b의 전원선은 승강대(2)의 승강작동에 상관없이 설치되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승강대(2)가 승강할 때 일정한 시간 지연되어 승강하므로 타워 주위에서 작업하는 사용자의 안전성을 높여주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것이며, 승강대(2)에 설치되는 전등이나 스피커의 전원선을 승강대캡(4)에 고정설치하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고장이 거의 없는 전등타워를 유지관리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상승리미트스위치(L/S2)의 일단은 상승정지릴레이단자(R4)와 상승마그넷스위치(M/G1), 수동정지스위치(M/S) 및 수동릴레이접점(R2)을 통하여 전원선(R)에 연결하며 타단은 하강마그넷(M2)과 상승지연타이머 스위치(T/S1)를 통해 전원선(T)에 연결하고, 하강리미트스위치(L/S3)의 일단은 하강정지릴레이단자(R5)와 하강마그넷스위치(M/G2), 수동정지스위치(M/S) 및 수동릴레이접점(R2)을 통하여 전원선(R)에 연결하며 타단은 상승마그넷(M1)과 하강지연타이머스위치(T/S2)를 통해 전원선(T)에 연결하고, 승강대캡(4) 하면일측과 승강대(2) 상면일측 사이에 잭(5)을 설치하여서된 조명타워의 승강대 승강장치.
KR2019940001852U 1994-02-01 1994-02-01 조명타워의 승강대 승강장치 KR01173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1852U KR0117397Y1 (ko) 1994-02-01 1994-02-01 조명타워의 승강대 승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1852U KR0117397Y1 (ko) 1994-02-01 1994-02-01 조명타워의 승강대 승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4976U KR950024976U (ko) 1995-09-15
KR0117397Y1 true KR0117397Y1 (ko) 1998-07-15

Family

ID=19376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1852U KR0117397Y1 (ko) 1994-02-01 1994-02-01 조명타워의 승강대 승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739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4976U (ko) 1995-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17397Y1 (ko) 조명타워의 승강대 승강장치
JPS6486739A (en) Car telephone equipment
JP2002003113A (ja) エレベーターのかご上保守運転装置
KR20050082842A (ko) 천장설치용 조명등 승강장치
KR100990797B1 (ko) 조도 조절이 가능한 조명 승하강장치
KR200356232Y1 (ko) 스프링식 전원선을 갖는 고소 조명등 승하강장치
KR930004582Y1 (ko) 케이지의 수평 자동 조정 장치
KR960009270Y1 (ko) 전동식 산업용 승강조명장치
KR20040077642A (ko) 등기구 승강 장치
KR200356234Y1 (ko) 고소 조명등 승하강장치용 고정브라켓트
KR200309704Y1 (ko) 고소조명 승하강장치의 구동모터 정지장치
JPS5848738Y2 (ja) 電動昇降装置
KR102152930B1 (ko) 비상용 랜턴
KR970003551Y1 (ko) 공중전화 박스의 점등장치
KR100819148B1 (ko) 침수방지용 가로등 누전차단기
KR200408131Y1 (ko) 자동점멸기와 안정기 및 등기구가 일체로 구성된 보안등조립체
JPH10326513A (ja) 非常用照明器具
JPH10280477A (ja) 油圧ショベル
KR910008447Y1 (ko) 곤도라의 안전장치
JP2915937B2 (ja) 昇降式照明器具を備えた照明灯
KR100574155B1 (ko) 절첩식 전원선을 갖는 고소 조명등 승하강장치
KR200335912Y1 (ko) 고소 조명 승하강장치에서의 단상 유도 전동기 기동 출력향상 장치
KR100613594B1 (ko) 천장용 승하강 조명기
JP3231940B2 (ja) ワインダのワイヤ抜け止め装置
KR20210057601A (ko) 스마트 고소설치기기 승강장치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813

Year of fee payment: 11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