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8131Y1 - 자동점멸기와 안정기 및 등기구가 일체로 구성된 보안등조립체 - Google Patents

자동점멸기와 안정기 및 등기구가 일체로 구성된 보안등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8131Y1
KR200408131Y1 KR2020050032719U KR20050032719U KR200408131Y1 KR 200408131 Y1 KR200408131 Y1 KR 200408131Y1 KR 2020050032719 U KR2020050032719 U KR 2020050032719U KR 20050032719 U KR20050032719 U KR 20050032719U KR 200408131 Y1 KR200408131 Y1 KR 2004081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ast
flasher
assembly
security
lumina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27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용
문상석
Original Assignee
(주)동원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원테크 filed Critical (주)동원테크
Priority to KR20200500327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81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81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813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3/00Producing particular characteristics or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means of a combination of elements specified in two or more of main groups F21V1/00 - F21V11/00
    • F21V13/02Combinations of only two kinds of elements
    • F21V13/10Combinations of only two kinds of elements the elements being reflectors and scree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transformers, impedances or power supply units, e.g. a transformer with a rectifier
    • F21V23/026Fastening of transformers or ballas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5/00Safety devic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lighting devices
    • F21V25/10Safety devic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lighting devices coming into action when lighting device is overloaded, e.g. thermal switc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2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roads, path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고안은 자동점멸기, 안정기, 등기구의 케이스가 전기가 전달되지 않는 절연재질로 구성되고, 각 부품이 구멍과 돌출부에 의하여 전원이 공급되도록 순차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하여 누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누전으로 인하여 감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동시에 설치 및 조립작업이 용이함은 물론 초기의 설치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자동점멸기와 안정기 및 등기구가 일체로 구성된 보안등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보안등 조립체(20)는 상기 자동점멸기(21), 안정기(22) 및 램프(24a)를 구비한 등기구(24)가 상방에서 부터 순차적으로 면접촉되어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보안등 조립체(20)는 전체적으로 원판형상의 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조립체(20)중 최상단의 자동점멸기(21)의 몸체 일측면에는 삽입부(213) 및 삽입슬롯(213a)이 돌출형성되며, 상기 삽입부(213)의 전단부에는 전선(1)이 연결되는 단자부(211,212)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삽입부(213) 및 삽입슬롯(213a)에 대응하여 상기 보안등 조립체(20)의 자동점멸기(21)가 삽입설치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철주(100)의 상단 돌출부(110)에는 안내구멍(112) 및 안내홈(112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보안등, 누전방지, 감전사고방지, 설치비 절감, 조립 및 작업용이

Description

자동점멸기와 안정기 및 등기구가 일체로 구성된 보안등 조립체{Safety light assembly inclusive of local switch, ballast and light boxes}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가로등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가로등의 개략적인 부품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점멸기와 안정기가 결합된 보안등 조립체의 전원 연결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는 자동점멸기와 안정기가 결합된 보안등 조립체가 철주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5는 도 4에서 철주 상단설치부에 결합되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점멸기와 안정기가 결합된 보안등 조립체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점멸기, 안정기, 등기구가 상호 결합되는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7은 철주 상단설치부에 결합되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점멸기와 안정기가 결합된 보안등 조립체를 나타낸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보안등 조립체 21 : 자동점멸기
22 : 안정기 24 : 등기구
24a: 램프 100 : 철주
110: 돌출부 112 : 안내구멍
211,212: 단자부 213 : 삽입부
213a: 삽입슬롯
고안은 자동점멸기와 안정기 및 등기구가 일체로 구성된 보안등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점멸기, 안정기, 등기구의 케이스가 전기가 전달되지 않는 절연재질로 구성되고, 각 부품이 구멍과 돌출부에 의하여 전원이 공급되도록 순차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하여 누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누전으로 인하여 감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동시에 설치 및 조립작업이 용이함은 물론 초기의 설치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자동점멸기와 안정기 및 등기구가 일체로 구성된 보안등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도 및 인도에는 거리의 조명과 교통의 안전을 위하여 가로등 및 보안등이 설치되어지며, 통상 간선도로변에는 가로등이 소방도로 및 골목길에는 방범을 목적으로 하는 보안등이 설치되어진다. 보안등은 콘크리트주(한전주) 및 철주(전용주)나 건물의 측벽에 설치되어진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가로등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가로등의 개략적인 부품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설명 하면, 체결볼트 등의 고정수단에 의하여 하단이 지면에 결합고정되는 철주(10)가 구비되어지고, 이 철주(10)의 하단부분에는 누전차단기(2a)를 구비한 자동점멸기(2)가 설치되어진다. 이 자동점멸기(2)는 외부의 전원공급원으로부터 연장되는 전선(1)과 연결되어진다. 자동점멸기(2)의 상단 부분에 안정기(3)가 설치되어지고, 자동점멸기(2)와 안정기(3)는 별도의 전선에 의하여 연결되어진다. 철주(10)의 상단에 램프(4a)가 포함된 등기구(4)가 설치되어지고, 이 등기구(4)는 별도의 전선에 의하여 안정기(3)와 연결되어진다.
상기와 같은 보안등은 외부의 전원이 일차적으로 자동점멸기로 연결된 후 별도의 전선에 의하여 안정기로 연결되고, 다시 별도의 전선에 의하여 안정기에서 등기구로 연결되게 구성되어 있음으로 누전될 부분이 많이 발생됨은 물론 누전사고가 매우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즉, 부품과 부품이 연결되는 부분이 많기 때문에 누전될 위험요소가 많으며, 어느 한 부분에서 누전이 발생될 경우 금속제의 철주로 전기가 누설되어 감전과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최근에는 전기의 누전으로 인하여 목숨을 잃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또한, 보안등은 장소에 따라 콘크리트주, 철주, 건물의 측벽에 설치되어지는데, 통상 보안등이 설치되는 장소의 부근에는 각종 전선 예를 전화선, 인테넷선, 케이블선, 전력보급선 등이 지나가거나 바람이나 충격에 의하여 유동되지 못하도록 별도의 지지수단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음으로 다른 작업 도중 작업자가 보안등의 연결부분을 건드리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으며, 심한 경우 상호 연결된 부분이 단락되어 누전사고로 연결되는 경우도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또한, 종래의 보안등은 자동점멸기, 안정기, 등기구를 철주에 각각 설치한 후 각각을 전선을 이용하여 상호 연결하여야 함으로 작업하기가 매우 불편함은 물론 이로 인하여 초기 설치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철주에 설치되면서 누전사고를 방지하여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는 자동점멸기와 안정기 및 등기구가 일체로 구성된 보안등 조립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작업이 용이하고 비용이 절감되는 자동점멸기와 안정기 및 등기구가 일체로 구성된 보안등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철주 내에서 발생하는 누전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동점멸기, 안정기 및 등기구가 서로 일체로 결합된 자동점멸기와 안정기 및 등기구가 일체로 구성된 보안등에 있어서, 상기 보안등 조립체는 자동점멸기, 안정기 및 램프를 구비한 등기구가 상방에서 부터 순차적으로 면접촉되어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결합된 보안등 조립체는 전체적으로 원판형상의 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조립체중 최상단의 자동점멸기의 몸체 일측면에는 삽입부 및 삽입슬롯이 돌출형성되며, 상기 삽입부의 전단부에는 전선이 연결되는 단자부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삽입부 및 삽입슬롯에 대응하여 상기 보안등 조립체의 자동점멸기가 삽입설치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철주의 상단 돌출부에는 안내구멍 및 안내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점멸기와 안정기 및 등기구가 일체로 구성된 보안등 조립체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동점멸기의 저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구멍과 상기 안정기의 상면에서 돌출된 돌출부가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자동점멸기의 저면에서 돌출된 전극단자부가 상기 안정기의 상면에 형성된 단자구멍에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안정기의 저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구멍과 상기 등기구의 상면에서 돌출된 돌출부가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안정기의 저면에서 돌출된 전극단자부가 상기 등기구의 상면에 형성된 단자구멍에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자동점멸기와 안정기 및 등기구가 일체로 구성된 보안등 조립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점멸기와 안정기가 결합된 보안등 조립체의 전원 연결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는 자동점멸기와 안정기가 결합된 보안등 조립체가 철주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에서 철주 상단설치부에 결합되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점멸기와 안정기가 결합된 보안등 조립체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점멸기, 안정기, 등기구가 상호 결합되는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철주 상단설치부에 결합되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점멸기와 안정기가 결합된 보안등 조립체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자동점멸기와 안정기 및 등기구가 일체로 구성된 보안등 조립체(20)는 개략적으로 누전차단기(2a)가 구비된 자동점멸기(21), 안 정기(22) 및 램프(24a)가 포함된 등기구(24)가 일체로 조립된 구조이며, 이 자동점멸기(21), 안정기(22), 등기구(24)의 케이스는 전기가 전달되지 않는 절연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철주(100)의 상단 돌출부(110)에 본 고안의 자동점멸기와 안정기가 결합된 조립체(20)가 삽입고정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철주(100)의 상단 돌출부(110)에는 안내구멍(112) 및 안내홈(112a)이 형성된다.
자동점멸기와 안정기 및 등기구가 일체로 구성된 보안등 조립체(20)중에서 최상단의 자동점멸기(21)는 원판형상의 몸체를 가지며, 상기 안내구멍(112) 및 안내홈(112a)에 대응되는 삽입부(213) 및 삽입슬롯(213a)이 일측면에서 돌출형성된다. 상기 삽입부(213)의 전단부에는 전선(1)이 연결되는 단자부(211,212)가 돌출형성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5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상기 철주(100)의 상단 돌출부(100)의 안내홈(112a) 및 안내구멍(112)에 자동점멸기(21)의 삽입부(213)가 삽입되면서 고정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안등 조립체(20)의 구성요소인 자동점멸기(21), 안정기(22) 및 등기구(24)가 서로 일체로 결합된다. 먼저, 자동점멸기(21)와 안정기(22)의 결합시에는, 자동점멸기(21)의 저면에 형성된 구멍(216)(실시예에서는 4개임)에 안정기(22)의 상면에서 돌출된 돌출부(226)(실시예에서는 4개임)가 결합되고 동시에, 상기 자동점멸기(21)의 저면에서 돌출된 전극단자부(214)( 실시예에서는 2개임)가 상기 안정기(22)의 상면에 형성된 단자구멍(224)에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유사하게, 상기 안정기(22)와 등기구(24)의 결합시에는, 안정기(22)의 저면에 형성된 구멍(229)(실시예에서는 4개임)에 등기구(24)의 상면에서 돌출된 돌출부(249)(실시예에서는 4개임)가 결합되고 동시에, 상기 안정기(22)의 저면에서 돌출된 전극단자부(228)(실시예에서는 2개임)가 상기 등기구(24)의 상면에 형성된 단자구멍(248)에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보안등 조립체(20)를 사용자는 자동점멸기(21) 측면에서 돌출된 삽입부(213) 및 삽입슬롯(213a)를 통해 철주(100)의 돌출부 안내구멍(112) 및 안내홈(112a)에 삽입하여 결합한다.
상기에서 설명된 전극단자부들은 인입단자 혹은 인출단자를 가리키며 단자구멍은 인입 혹은 인출구멍을 나타낸다.
본 고안은 자동점멸기(21), 안정기(22), 등기구(24)의 케이스가 전기가 전달되지 않는 절연재질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자동점멸기(21)에 안정기(22) 및 램프(24a)를 구비한 등기구(24)가 구멍과 돌출부에 의하여 전원이 공급되도록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있음으로 누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누전으로 인하여 감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구멍과 돌출부의 상호 결합으로 인하여 조립작업이 완료됨으로 작업이 용이함은 물론 초기의 설치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공급선이 철주의 내측을 관통하여 바로 자동점멸기에 연결되고, 공급된 전원이 구멍과 돌출부를 통하여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음으로 작업자가 다른 작업 도중 보안등의 연결부분을 건드리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으며 동시에 보안등의 상호 연결된 부분이 단락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보안등은 장소에 따라 콘크리트주, 철주, 건물의 측벽에 설치되어지는데, 통상 보안등이 설치되는 장소의 부근에는 각종 전선 예를 전화선, 인테넷선, 케이블선, 전력보급선 등이 지나가거나 바람이나 충격에 의하여 유동되지 못하도록 별도의 지지수단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음으로 다른 작업 도중 작업자가 보안등의 연결부분을 건드리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으며, 심한 경우 상호 연결된 부분이 단락되어 누전사고로 연결되는 경우도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점멸기와 안정기 및 등기구가 일체로 구성된 보안등 조립체에 의하면, 여러 가지 부품이 하나로 일체로 조립되어 있기 때문에 장비의 장착 및 해체 작업이 용이하고 작업비용 및 설치비용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안등 조립체가 사람이 손이 닿지 않는 부분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감전사고를 확실히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철주(100) 내에서 발생하는 누전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동점멸기(21), 안정기(22) 및 등기구(24)가 서로 일체로 결합된 자동점멸기와 안정기 및 등기구가 일체로 구성된 보안등 조립체(20)에 있어서,
    상기 보안등 조립체(20)는 상기 자동점멸기(21), 안정기(22) 및 램프(24a)를 구비한 등기구(24)가 상방에서 부터 순차적으로 면접촉되어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보안등 조립체(20)는 전체적으로 원판형상의 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조립체(20)중 최상단의 자동점멸기(21)의 몸체 일측면에는 삽입부(213) 및 삽입슬롯(213a)이 돌출형성되며, 상기 삽입부(213)의 전단부에는 전선(1)이 연결되는 단자부(211,212)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삽입부(213) 및 삽입슬롯(213a)에 대응하여 상기 보안등 조립체(20)의 자동점멸기(21)가 삽입설치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철주(100)의 상단 돌출부(110)에는 안내구멍(112) 및 안내홈(112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점멸기와 안정기 및 등기구가 일체로 구성된 보안등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점멸기(21)의 저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구멍(216)과 상기 안정기(22)의 상면에서 돌출된 돌출부(226)가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자동점멸기(21)의 저면에서 돌출된 전극단자부(214)가 상기 안정기(22)의 상면에 형성된 단자구멍(224)에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안정기(22)의 저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구멍(229)과 상기 등기구(24)의 상면에서 돌출된 돌출부(249) 가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안정기(22)의 저면에서 돌출된 전극단자부(228)가 상기 등기구(24)의 상면에 형성된 단자구멍(248)에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점멸기와 안정기 및 등기구가 일체로 구성된 보안등 조립체.
KR2020050032719U 2005-11-18 2005-11-18 자동점멸기와 안정기 및 등기구가 일체로 구성된 보안등조립체 KR2004081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2719U KR200408131Y1 (ko) 2005-11-18 2005-11-18 자동점멸기와 안정기 및 등기구가 일체로 구성된 보안등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2719U KR200408131Y1 (ko) 2005-11-18 2005-11-18 자동점멸기와 안정기 및 등기구가 일체로 구성된 보안등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8131Y1 true KR200408131Y1 (ko) 2006-02-07

Family

ID=44481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2719U KR200408131Y1 (ko) 2005-11-18 2005-11-18 자동점멸기와 안정기 및 등기구가 일체로 구성된 보안등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813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0925B1 (ko) 2018-06-04 2019-11-05 권순기 보안 등기구 아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0925B1 (ko) 2018-06-04 2019-11-05 권순기 보안 등기구 아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0353B1 (ko) 전선분리봉이 구비된 전등선
KR100711835B1 (ko) 가로등의 침수시 기기보호를 위한 누전방지장치
KR200408131Y1 (ko) 자동점멸기와 안정기 및 등기구가 일체로 구성된 보안등조립체
KR100829461B1 (ko) 투광기용 결합장치
KR200254299Y1 (ko) 가로등 안정기 인출박스 구조
KR20090004195U (ko) 가로등의 안전장치
KR200452654Y1 (ko) 보안등 거치대
KR102040925B1 (ko) 보안 등기구 아암
KR100672800B1 (ko) 공동주택용 천정 전기단자함
KR200369057Y1 (ko) 방우 및 휴대가 가능한 멀티 콘센트 박스
KR200443387Y1 (ko) 엘이디용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장치
KR100867344B1 (ko) 내장형 안정장치
KR200238507Y1 (ko) 가로등의 감전방지장치
KR200347519Y1 (ko) 접지선이 내장된 윙카 튜브
KR100708008B1 (ko) 건축외곽 가로등의 감전예방 시설구조
KR200382826Y1 (ko) 가로등 지주 설치구조
CN204437815U (zh) 一种装有固定排线的led模组的线条灯
KR200265861Y1 (ko) 신호등 지주
KR200282966Y1 (ko) 이중절연 유니트
KR200292363Y1 (ko) 피엘램프용 등기구
KR100464178B1 (ko) 형광등 전원연결구조
KR200263734Y1 (ko) 가로등 안정기의 인출박스
KR101362267B1 (ko) 가로등
KR102541679B1 (ko) 가로등용 누전방지장치
CN207993424U (zh) 一种多功能疏散标志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