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3734Y1 - 가로등 안정기의 인출박스 - Google Patents

가로등 안정기의 인출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3734Y1
KR200263734Y1 KR2020010033399U KR20010033399U KR200263734Y1 KR 200263734 Y1 KR200263734 Y1 KR 200263734Y1 KR 2020010033399 U KR2020010033399 U KR 2020010033399U KR 20010033399 U KR20010033399 U KR 20010033399U KR 200263734 Y1 KR200263734 Y1 KR 2002637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ballast
column
opening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33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문자
Original Assignee
성문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문자 filed Critical 성문자
Priority to KR20200100333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37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37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3734Y1/ko

Links

Landscapes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로등주 내부에 설치되는 안정기 및 ELB 취부를 위한 밀폐형 인출박스 구조로 제작된 실용신안 출원번호 제2001-24389호(가로등안정기인출박스구조)를 보완한 가로등 안정기의 인출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시/격등 케이블이 내부로 인입되어 안정기 및 ELB측과 상호 결선되는 가로등주에 있어서, 등주(1) 재질과 동일하며 등주에 개구(1a)된 크기 및 폭과 동일하게 절곡되며 뚜껑(2) 일부가 투명수지 재질인 누드형 창(22)과, 뚜껑(2)이면 하단부에 등주의 개구부(1a) 하단부와 끼워지도록 하방향으로 절곡된 지지대(25) 및 인출박스(3)와 취부되는 지지대(24), 뚜껑(2) 전면 상부에 탄성수단(미도시)에 의해 회동하는 손잡이(21)와, 등주내 열순환을 위한 환기형 그릴(23)이 설치된 가로등주 뚜껑(2); 전면, 측면, 상,하면을 밀폐형태로, 그 배면은 안정기취부대(4)가 결합될 수 있도록 개구된 형태로 제작되며, 그 전면 상단부에는 뚜껑(2) 이면의 상방향으로 절곡된 지지대(24)와 형합되는 반대방향 형상의 고리(31)가 부착되며, 고리(31) 하측으로 뚜껑(2)의 창(窓)(22)에 대응되는 통공(32), 그 측부로 케이블통로인 출입공(33)과, 상측의 손잡이(34)가 마련된 인출박스(3); 및 속판(4a)과, 브라켓에 각 ELB(42), 안정기(41), 단자대(43)를 전기/기계적으로 연결 및 체결한 상태에서 상기 인출박스(3) 개구부를 통해 내부에 수납되되 상기 출입공(33)을 통해 결선작업을 완료하고 뚜껑(2)의 이면 지지대(24)에 형합시켜 등주 내부로 수납되는 안정기취부대(4)로 구성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가로등 안정기의 인출박스{A withdrawal box for a street light}
본 고안은 가로등용 안정기 및 ELB(누전차단기 및 감전보호기)의 취부 구조를 개선한 것으로서, 특히 가로등주 내부에 설치되는 안정기 및 ELB 취부를 위한밀폐형 인출박스 구조로 제작된 실용신안 출원번호 제2001-24389호(가로등안정기인출박스구조)를 보완한 가로등 안정기의 인출박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각종의 기기들이 고기능화, 다기능화 되고 있는 추세인바 본 고안과 관련한 가로등도 그 예외 일 수 없다. 예컨대,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213074호(가로등용 절전 및 감전 보호형 안정기),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1999-36923호(가로등 전주에 부설된 안정기 및 표시램프장치)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은 기존의 기술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로등용 절전 및 감전보호형 안정기는 가로등에 연결되는 가로등용 절전 및 감전보호형 안정기에 있어서, 상기 가로등에 전류를 공급하는 한 쌍의 전선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누전이 발생할 경우 상기 누전을 감지하는 누전차단부; 상기 누전차단부의 출력에 응답하여 상기 가로등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의 공급을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부; 상기 한쌍의 전선들중 하나의 전선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여 상기 누전차단부에 알려주는 가로등 감지부; 상기 한쌍의 전선들을 통해 흐르는 상용 교류전압을 받아서 순간적인 고전압을 발생하여 상기 가로등을 점등시키는 점화부; 및 상기 상용 교류전압을 받아서 상기 점등된 가로등에 안정된 전류를 공급하는 안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그 구성적 특징으로 하며,
둘째, 금속재 구조물로 형성된 가로등 전주의 상,하단부에 설치되고 가로등 전주홀 뚜껑의 내부에 장착되는 안정기에 있어서, 상기 가로등 전주홀 뚜껑 이면의 양측 가이드 레일에 안정기가 삽입 설치되고 안정기 상부의 뚜껑에 녹색표시램프, 적색표시램프가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적색표시램프가 +극의 점과, -점이 콘덴서의양단에 연결되어 소등 및 점등되는 것을 그 구성적 특징으로 한다.
위와같이 구성된 기존의 기술중 그 첫 번째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213074호는 안정기 자체에 누전감지기능을 부가하여 전선에서 누전이 발생할 경우 자동으로 스위치를 오프시켜 결국, 가로등에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소모 방지, 누전으로 인한 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한편, 그 두 번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1999-36923호는 전주 뚜껑 이면에 안정기를 삽입 설치하되 일체로 장착하며, 뚜껑에 표시램프를 각기 설치함으로써 가로등 이상유무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들은 안정기에 누전감지기능 부가, 표시램프로 이상유무 확인기능 등 일부 기능 추가에 주안점을 두고 개발되어 있는바 안정기외에 ELB(누전차단기) 혹은 가로등용 감전보호기, 상시/격등 케이블이 상호 결선되는 등주내의 작업조건 향상을 위한 기술개발이 미비한 실정임을 알 수 있다. 즉, 통상 가로등주 폭이 좁은 곳에서의 상시/격등 케이블과 안정기, ELB 결선작업 및 유지보수의 불편함은 물론이고, 겨울철 외기 온도차로 인한 결로(結露)현상에 의한 빈번한 ELB 트립, 트립 확인을 위한 뚜껑 개폐 작업 등등 등주내 작업조건 및 유지관리 향상을 위한 기술개발이 매우 미흡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본 고안자는 상시/격등 케이블의 회로결선 작업시 결선에 필요한 부품들을 전면 노출시켜 좁은 폭의 등주내 작업을 피할 수 있고, 외기온도차에 의한 결로(結露)현상 및 뚜껑 개폐없이도 외부에서 ELB 트립 및 결선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실용신안 출원번호 제2001-24389호의 가로등안정기인출박스구조를 개발함으로서 작업조건 및 유지관리 향상에 기여한 바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인출박스 구조를 보안하되 특히 뚜껑의 구조, 인출박스와 안정기취부대, 손잡이 등을 작업하기 편리한 형태로 제작함으로서 기존의 인출박스구조보다 작업조건을 향상시킨 가로등 안정기의 인출박스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가로등 안정기의 인출박스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인출박스 측면도,
도 3은 도 1의 안정기취부대 측단면도,
도 4는 도 1의 뚜껑의 측단면도,
도 5는 인출박스 장착 및 인출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은 본 고안 뚜껑의 다른 실시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가로등주, 3 : 인출박스,
2 : 뚜껑, 4 : 안정기취부대,
22 : 창(窓), 42 : 누전차단기,
41 : 안정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시/격등 케이블이 내부로 인입되어 안정기 및 ELB측과 상호 결선되는 가로등주에 있어서, 등주 재질과 동일하며 등주에 개구된 크기 및, 폭과 동일하게 절곡되며 뚜껑 일부가 투명수지 재질인 누드형 창과, 뚜껑이면 하단부에 등주의 개구부 하단부와 끼워지도록 하방향으로 절곡된 지지대 및 인출박스와 취부되는 지지대, 뚜껑 전면 상부에 탄성수단(미도시)에 의해 회동하는 손잡이와, 등주내 열순환을 위한 환기형 그릴이 설치된 가로등주 뚜껑;
전면, 측면, 상,하면을 밀폐형태로, 그 배면은 안정기취부대가 결합될 수 있도록 개구된 형태로 제작되며, 그 전면 상단부에는 뚜껑 이면의 상방향으로 절곡된 지지대와 형합되는 반대방향 형상의 고리가 부착되며, 고리 하측으로 뚜껑의 창(窓)(22)에 대응되는 통공, 그 측부로 케이블통로인 출입공과, 상측의 손잡이가 마련된 인출박스; 및
속판과, 브라켓에 각 ELB, 안정기, 단자대를 전기/기계적으로 연결 및 체결한 상태에서 상기 인출박스 개구부를 통해 내부에 수납되되 상기 출입공을 통해 결선작업을 완료하고 뚜껑의 이면 지지대에 형합시켜 등주 내부로 수납되는 안정기취부대로 구성된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가로등 안정기의 인출박스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인출박스 측면도, 도 3은 도 1의 안정기취부대 측단면도, 도 4는 도 1의 뚜껑의 측단면도, 도 5는 인출박스 장착 및 인출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은 본 고안 뚜껑의 다른 실시 예시도이다.
통상 가로등주(원형, 사각, 육각, 팔각)는 그 모양 및 형태에 따라 다양하며 각 등주 길이에 따라 그 내부 폭이 다르고 안정기 부착위치 역시 KS규격에 의해 규격화되어 있음은 공지의 사실이다. 또한, 호우로 인한 침수지역의 안정기 취부위치에 관한 논란의 여지가 있음은 최근의 사실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제반사항을 감안한 것으로 도 1, 도 2, 도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등주용 뚜껑(2)과, 인출박스(3), 인출박스(3) 내부로 삽입 설치되는 안정기취부대(4)로 나뉠수 있다.
부연하면, 상기 가로등주 뚜껑(2)은 등주(1) 재질과 동일하며 등주에 개구(1a)된 크기 및, 폭과 동일하게 절곡한 형태인바 여기서 뚜껑(2) 일부를 투명수지 재질의 누드형 창(22)으로 제작함으로서 후술하는 인출박스(3) 통공(32)을 통해 안정기 취부대(4)의 ELB(감전보호기)의 트립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제작한다.또한 뚜껑(2)이면 하단부에 등주의 개구부(1a) 하단부와 끼워지도록 하방향으로 절곡된 지지대(25) 및 인출박스(3)와 취부되는 지지대(24), 뚜껑(2) 전면 상부에 탄성수단(미도시)에 의해 회동하는 손잡이(21)와, 등주내 열순환을 위한 환기형 그릴(23)이 설치된다.
상기 인출박스(3) 구조로는 후술하는 ELB(감전보호기)(42), 안정기(41), 단자대(43) 및 가로등주 뚜껑 내부 크기, 각 폭, 높이를 고려하여 그 크기를 결정해야 함은 당연하며, 인출박스(3)의 전면, 측면, 상,하면을 밀폐형태로, 그 배면은 안정기취부대(4)가 결합될 수 있도록 개구된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인출박스(3) 전면 상단부에는 뚜껑(2) 이면의 상방향으로 절곡된 지지대(24)와 형합되는 반대방향 형상의 고리(31)가 부착되며, 고리(31) 하측으로 뚜껑(2)의 창(窓)(22)에 대응되는 통공(32), 그 측부로 케이블통로인 출입공(33)과, 상측의 손잡이(34)가 마련된다. 미설명된 부호 35는 환기형 그릴이다.
상기 안정기취부대(4)로는 ELB(42) 및 안정기(41), 단자대(43)가 취부된 것으로 상시/격등 회로결선 및 접지 등은 통상적인 작업인 관계로 이에대한 세세한 설명은 피한다. 다만 부호 4a는 각 부품(ELB, 안정기)을 부착하기 위한 속판(4a)이며, 44는 ELB와, 단자대(43)를 설치하기 위한 브라켓이다. 이러한 안정기취부대(4)가 인출박스(3) 개구부를 통해 내부에 수납되어 볼트(미도시)에 의해 체결된 상태에서 뚜껑(2)과 결합되어 가로등주에 수납되는 형태는 도 1에 표현된 도면으로 확인 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전차단 및 외부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는절연체 재질의 절연대(5)를 이용하여 등주둘레에 체결할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2) 일부만 절결시킬 수 있는바 이러한 형태는 팔각형태의 다양한 공차를 극복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그 구성요지 범위내에서 예컨대, 안정기가 두 개인 경우 또 그에 해당하는 안정기취부대의 크기 조정, 전자식 안정기 채용, 가로등 감전보호기, 또는 인출박스 장착을 위한 손잡이형태 등등 얼마든지 변경 및 개조가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안정기(41), ELB(감전보호기)(42), 단자대(43)를 속판(4a)과 브라켓(44)에 결합시키되 회로결선용 인출입구(미도시)나 혹은 노출형태로 전선을 상호 결선하여 하나의 안정기취부대(4)로 제작한 상태에서 등주내로 인입된 케이블을 각 단자대(43) 혹은 기타 방법으로 연결하며, 뚜껑(2) 이면 전, 좌,우 상, 하면을 사각형상의 금속성 재질로 제작한 밀폐형 인출박스(3)에 결합시키는데, 이때 배면의 개구부로 상기 안정기취부대(4)를 형합한 상태에서 볼트(미도시)로 체결하여 고정한다.
그리고, 뚜껑(2) 하단부에 형성된 지지대(25)를 개구된 가로등주 하단부에 걸어둔 상태에서 인출박스(3) 상단에 형성된 고리(31)를 지지대(24)에 형합하고 이후 볼트(미도시)로 고정하여 마무리한다.
한편, 유지관리가 필요하여 내부 안정기 교체, ELB 교체 등 부품의 교환이 필요할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를 해제한 상태에서 뚜껑(2)의 전면 상측 손잡이(22)를 이용하여 앞으로 당기면 지지대(25)로 인해 상측만 기울어진 형태로 되는 것은 당연하며 이때 인출박스(3)에 형성된 손잡이(34)를 상방향으로 끌어내면 인출박스(3) 전체를 끄집어 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결합과정의 역순은 당연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안정기 및 ELB 취부를 위해 인출박스 전체가 전후면으로 인출이 용이한 구조로 제작됨으로써 상시/격등 케이블의 회로결선 작업시 결선에 필요한 부품들을 전면 노출시킬 수 있어 좁은 폭의 등주내 작업을 피할 수 있음에 따라 결선작업의 편리, 작업공수 절감, 유지관리의 용이성이 일층 향상된 특징을 지니며, 뚜껑 개폐없이도 외부에서 ELB 트립 및 결선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이점도 있음은 기존 기술과 동일하나, 뚜껑의 구조, 인출박스와 안정기 취부대, 손잡이 등을 작업하기 편리한 형태로 제작함으로서 기존의 인출박스 구조보다 작업조건이 향상된 특징을 지닌다.

Claims (2)

  1. 상시/격등 케이블이 내부로 인입되어 안정기 및 ELB측과 상호 결선되는 가로등주에 있어서,
    등주(1) 재질과 동일하며 등주에 개구(1a)된 크기 및, 폭과 동일하게 절곡되며 뚜껑(2) 일부가 투명수지 재질인 누드형 창(22)과, 뚜껑(2)이면 하단부에 등주의 개구부(1a) 하단부와 끼워지도록 하방향으로 절곡된 지지대(25) 및 인출박스(3)와 취부되는 지지대(24), 뚜껑(2) 전면 상부에 탄성수단(미도시)에 의해 회동하는 손잡이(21)와, 등주내 열순환을 위한 환기형 그릴(23)이 설치된 가로등주 뚜껑(2);
    전면, 측면, 상,하면을 밀폐형태로, 그 배면은 안정기취부대(4)가 결합될 수 있도록 개구된 형태로 제작되며, 그 전면 상단부에는 뚜껑(2) 이면의 상방향으로 절곡된 지지대(24)와 형합되는 반대방향 형상의 고리(31)가 부착되며, 고리(31) 하측으로 뚜껑(2)의 창(窓)(22)에 대응되는 통공(32), 그 측부로 케이블통로인 출입공(33)과, 상측의 손잡이(34)가 마련된 인출박스(3); 및
    속판(4a)과, 브라켓에 각 ELB(42), 안정기(41), 단자대(43)를 전기/기계적으로 연결 및 체결한 상태에서 상기 인출박스(3) 개구부를 통해 내부에 수납되되 상기 출입공(33)을 통해 결선작업을 완료하고 뚜껑(2)의 이면 지지대(24)에 형합시켜 등주 내부로 수납되는 안정기취부대(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가로등 안정기의 인출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등주 뚜껑(2)은 누전차단 및 외부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는 절연체 재질의 절연대(5)를 이용하여 제작하되 이 절연대(5)를 등주둘레에 씌워 고정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 가로등 안정기의 인출박스.
KR2020010033399U 2001-10-29 2001-10-29 가로등 안정기의 인출박스 KR2002637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3399U KR200263734Y1 (ko) 2001-10-29 2001-10-29 가로등 안정기의 인출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3399U KR200263734Y1 (ko) 2001-10-29 2001-10-29 가로등 안정기의 인출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3734Y1 true KR200263734Y1 (ko) 2002-02-09

Family

ID=73070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3399U KR200263734Y1 (ko) 2001-10-29 2001-10-29 가로등 안정기의 인출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373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449B1 (ko) * 2006-08-11 2008-01-22 안계훈 안정기수납부가 형성된 보수용 커버를 갖는 가로등주
KR100897995B1 (ko) 2009-01-28 2009-05-18 대한라이팅 주식회사 가로등주 점검구에 설치되는 안정기 수납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449B1 (ko) * 2006-08-11 2008-01-22 안계훈 안정기수납부가 형성된 보수용 커버를 갖는 가로등주
KR100897995B1 (ko) 2009-01-28 2009-05-18 대한라이팅 주식회사 가로등주 점검구에 설치되는 안정기 수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3265B1 (ko) 제논램프를 적용한 가로등
KR200254299Y1 (ko) 가로등 안정기 인출박스 구조
KR200263734Y1 (ko) 가로등 안정기의 인출박스
KR200430478Y1 (ko) 안정기수납부가 형성된 보수용 커버를 갖는 가로등주
KR102520526B1 (ko) 방수성이 향상된 제어함체 일체형 금속기둥
KR200282966Y1 (ko) 이중절연 유니트
CN213278824U (zh) 一种电气工程用配电箱
CN205606377U (zh) 一种路灯
CN107642765A (zh) 一种路灯防雷保护装置
CN210637928U (zh) 一种路灯微电流控制器
CN112503491A (zh) 一种市政安防用路灯杆漏电警示装置
KR100796449B1 (ko) 안정기수납부가 형성된 보수용 커버를 갖는 가로등주
KR200464098Y1 (ko) 가로등 단자함이 포함된 가로등주 및 이를 포함하는 가로등기구
KR20090093514A (ko) 가로등용 등주 제어장치
CN213425587U (zh) 一种配电箱
KR20090004195U (ko) 가로등의 안전장치
KR200452654Y1 (ko) 보안등 거치대
CN212361959U (zh) 一种led灯用户外雷击保护模块
CN220710940U (zh) 一种便于内部调整的户外综合配电箱
CN218070686U (zh) 一种新型多功能箱
CN213278697U (zh) 一种户外用低压配电柜框架
CN211701071U (zh) 一种动力配电箱
KR200243855Y1 (ko) 퓨즈가 장착된 형광등용 커넥터
CN216016529U (zh) 一种用于高速公路的配电系统
CN205716681U (zh) 电缆室led照明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