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2966Y1 - 이중절연 유니트 - Google Patents

이중절연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2966Y1
KR200282966Y1 KR2020020011135U KR20020011135U KR200282966Y1 KR 200282966 Y1 KR200282966 Y1 KR 200282966Y1 KR 2020020011135 U KR2020020011135 U KR 2020020011135U KR 20020011135 U KR20020011135 U KR 20020011135U KR 200282966 Y1 KR200282966 Y1 KR 2002829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or
lid
ballast
elb
mounting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11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민
Original Assignee
박용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민 filed Critical 박용민
Priority to KR20200200111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29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29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2966Y1/ko

Links

Landscapes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로등주 내부 부품인 안정기, ELB, 단자대를 절연체 박스에 내장시킴으로써 가로등주를 통해 흐를 수 있는 누전통로를 1차적으로 차단하며 또한 2차적으로는 등주 외부를 절연체 재질의 절연대로 씌워 혹시라도 발생할 수 있는 감전사고를 완벽히 피할 수 있도록 한 인체감전보호용 이중절연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시/격등 케이블이 내부로 인입되어 안정기 및 ELB측과 상호 결선되는 가로등주에 절연체 재질의 절연대를 구비함에 있어서, 상기 절연대(10) 재질과 동일하며 등주에 개구된 크기 및, 폭과 동일하게 절곡되며 뚜껑(3) 일부가 투명수지 재질의 누드형 창(3a)이 제작되는 한편, 절연체 박스와 형합되는 슬라이드홀(3b) 및 스토퍼(3c)가 형성된 절연체 뚜껑(2); 램프 및 인입선이 출입하는 케이블인입공(1a)과, 안정기취부대 전체를 취출하기 위해 내측으로 일부 절곡한 손잡이(1b), 단자대 및 ELB를 안착시키기 위한 취부대(1c), 고정부(1d), 받침대(1e)를 형성하여 각 ELB(12) 및 안정기(13), 단자대(11)를 취부한 안정기취부대(1); 및 뚜껑의 창에 대응되는 통공(2a), 안정기취부대와 결합시 상측에서 하측으로 끼워 결합되도록 하는 슬라이드홈0(2b), 공기통로인 통풍구(2c), 뚜껑 이면의 절곡된 슬라이드홀(3b)와 형합되는 가이드편(2d), 절연체박스를 고정시키는 스토퍼(2e)로 이루어져 상기 안정기취부대(1)와 끼워 결합되면 전면, 측면, 상,하면이 밀폐된 상태에서 수납되어 내외부로 누전통로가 없는 상태로 이루어진 것을 그 구성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중절연 유니트{A double insulation unit}
본 고안은 이중절연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로등주 내부 부품인 안정기, ELB, 단자대를 절연체 박스에 내장시킴으로써 가로등주를 통해 흐를 수 있는 누전통로를 1차적으로 차단하며 또한 2차적으로는 등주 외부를 절연체 재질의 절연대로 씌워 혹시라도 발생할 수 있는 감전사고를 완벽히 피할 수 있도록 한 인체감전보호용 이중절연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각종의 기기들이 고기능화, 다기능화 되고 있는 추세인바 본 고안과 관련한 가로등도 그 예외 일 수 없다. 예컨대,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213074호(가로등용 절전 및 감전 보호형 안정기),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1999-36923호(가로등 전주에 부설된 안정기 및 표시램프장치)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은 기존의 기술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로등용 절전 및 감전보호형 안정기는 가로등에 연결되는 가로등용 절전 및 감전보호형 안정기에 있어서, 상기 가로등에 전류를 공급하는 한 쌍의 전선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누전이 발생할 경우 상기 누전을 감지하는 누전차단부; 상기 누전차단부의 출력에 응답하여 상기 가로등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의 공급을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부; 상기 한쌍의 전선들중 하나의 전선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여 상기 누전차단부에 알려주는 가로등 감지부; 상기 한쌍의 전선들을 통해 흐르는 상용 교류전압을 받아서 순간적인 고전압을 발생하여 상기 가로등을 점등시키는 점화부; 및 상기 상용 교류전압을 받아서 상기 점등된 가로등에 안정된 전류를 공급하는 안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그 구성적 특징으로 하며,
둘째, 금속재 구조물로 형성된 가로등 전주의 상,하단부에 설치되고 가로등 전주홀 뚜껑의 내부에 장착되는 안정기에 있어서, 상기 가로등 전주홀 뚜껑 이면의 양측 가이드 레일에 안정기가 삽입 설치되고 안정기 상부의 뚜껑에 녹색표시램프, 적색표시램프가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적색표시램프가 +극의 점과, -점이 콘덴서의 양단에 연결되어 소등 및 점등되는 것을 그 구성적 특징으로 한다.
위와같이 구성된 기존의 기술중 그 첫 번째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213074호는 안정기 자체에 누전감지기능을 부가하여 전선에서 누전이 발생할 경우 자동으로 스위치를 오프시켜 결국, 가로등에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소모 방지, 누전으로 인한 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한편, 그 두 번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1999-36923호는 전주 뚜껑 이면에 안정기를 삽입 설치하되 일체로 장착하며, 뚜껑에 표시램프를 각기 설치함으로써 가로등 이상유무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들은 안정기에 누전감지기능 부가, 표시램프로 이상유무 확인기능 등 일부 기능 추가에 주안점을 두고 개발되어 있는 바 안정기외 ELB(누전차단기) 혹은 가로등용 감전보호기, 상시/격등 케이블이 상호 결선되는 등주내의 작업조건 향상을 위한 기술개발이 미비한 실정임을 알 수 있다. 즉, 통상 가로등주 폭이 좁은 곳에서의 상시/격등 케이블과 안정기, ELB 결선작업 및 유지보수의 불편함은 물론이고, 겨울철 외기 온도차로 인한 결로(結露)현상에 의한 빈번한 ELB 트립, 트립 확인을 위한 뚜껑 개폐 작업 등등 등주내 작업조건 및 유지관리 향상을 위한 기술개발이 매우 미흡하였던 것이다.
또한, 최근에는 상시/격등 케이블의 회로결선 작업시 결선에 필요한 부품들을 전면 노출시켜 좁은 폭의 등주내 작업을 피할 수 있고, 외기온도차에 의한 결로(結露)현상 및 뚜껑 개폐없이도 외부에서 ELB 트립 및 결선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실용신안 출원번호 제2001-24389호의 가로등안정기인출박스구조가 개발됨으로서 작업조건 및 유지관리 향상에 기여한 바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인출박스 구조 및 제반사항을 감안하여 개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가로등주 내부 부품인 안정기, ELB, 단자대를 절연체 박스에 내장시킴으로써 가로등주를 통해 흐를 수 있는 누전통로를 1차적으로 차단하며 또한 2차적으로는 등주 외부를 절연체 재질의 절연대로 씌워 혹시라도 발생할 수 있는 감전사고를 완벽히 피할 수 있도록 한 인체감전보호용 이중절연 유니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 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절연체 뚜껑의 구조, 절연체 박스와 안정기취부대, 손잡이 등을 작업하기 편리한 형태로 제작함으로서 안정기, ELB 결선작업 및 유지보수의 편리함은 물론이고, 겨울철 외기 온도차로 인한 빈번한 ELB 트립, 트립확인을 위한 뚜껑 개폐 작업이 용이한 이중절연 유니트를 제공함에 있다.
도 1a, 1b, 1c는 본 고안 안정기 취부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a, 2b, 2c는 본 고안 절연체 박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a, 3b, 3c는 본 고안 절연체 뚜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안정기 취부대에 안정기, 단자대, ELB를 설치한 예시도,
도 5는 절연대에 절연체 뚜껑의 개폐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은 본 고안 이중절연 유니트의 취부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작업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안정기취부대, 2 : 절연체박스,
3 : 절연체뚜껑, 10 : 절연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시/격등 케이블이 내부로 인입되어 안정기 및 ELB측과 상호 결선되는 가로등주에 절연체 재질의 절연대를 구비함에 있어서, 상기 절연대 재질과 동일하며 등주에 개구된 크기 및, 폭과 동일하게 절곡되며 뚜껑 일부가 투명수지 재질의 창이 제작되는 한편, 절연체 박스와 형합되는 슬라이드홀 및 스토퍼가 형성된 절연체 뚜껑; 램프 및 인입선이 출입하는 케이블인입공과, 안정기취부대 전체를 취출하기 위해 내측으로 일부 절곡한 손잡이, 단자대 및 ELB를 안착시키기 위한 취부대, 고정부, 받침대를 형성하여 각 ELB 및 안정기, 단자대를 취부한 안정기취부대; 및 뚜껑의 창에 대응되는 통공, 안정기취부대와 결합시 상측에서 하측으로 끼워 결합되도록 하는 슬라이드홈, 공기통로인 통풍구, 뚜껑이면의 절곡된 슬라이드홀와 형합되는 가이드편, 절연체박스를 고정시키는 스토퍼로 이루어져 상기 안정기취부대와 끼워 결합되면 전면, 측면, 상,하면이 밀폐된 상태에서 수납되어 내외부로 누전통로가 없는 상태로 이루어진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 1b, 1c는 본 고안 안정기 취부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a, 2b, 2c는 본 고안 절연체 박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a, 3b, 3c는 본 고안 절연체 뚜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안정기 취부대에 안정기, 단자대, ELB를 설치한 예시도, 도 5는 절연대에 절연체 뚜껑의 개폐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은 본 고안 이중절연 유니트의 취부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작업 예시도이다.
통상 가로등주(원형, 사각, 육각, 팔각)는 그 모양 및 형태에 따라 다양하며 각 등주 길이에 따라 그 내부 폭이 다르고 안정기 부착위치 역시 KS규격에 의해 규격화되어 있음은 공지의 사실이다. 또한, 호우로 인한 침수지역의 안정기 취부위치에 관한 논란의 여지가 있음은 최근의 사실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제반사항을 감안한 것으로 이중절연 유니트는 크게 도 1, 도 2,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정기취부대(1), 절연체 박스(2), 절연체 뚜껑(3)으로 나뉘어진다.
먼저, 상기 안정기취부대(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ELB(12) 및안정기(13), 단자대(11)가 취부된 것으로 상시/격등 회로결선 및 접지 등은 통상적인 작업인 관계로 이에대한 세세한 설명은 피한다. 도 1a, 도 1b, 도 1c의 부호 1a는 램프 및 인입선이 출입하는 케이블인입공이며, 1b는 안정기취부대 전체를 취출하기 위해 내측으로 일부 절곡한 손잡이이고, 1c는 단자대 및 ELB를 안착시키기 위한 취부대이다. 또한, 1d와 1e는 안정기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각 고정부 및 받침대이다.
도 2a, 도 2b, 도 2c의 절연체 박스(2)는 ELB, 안정기, 단자대 및 가로등주 뚜껑 내부 크기, 각 폭, 높이를 고려하여 그 크기를 결정해야 함은 당연하며, 절연체 박스(2)는 상기 안정기취부대와 결합되면 전면, 측면, 상,하면이 밀폐된 형상으로 구비된다. 부호 2a는 후술하는 뚜껑의 창에 대응되는 통공이며, 2b는 안정기취부대와 결합시 상측에서 하측으로 끼워 결합되도록 하는 슬라이드홈이고, 2c는 공기통로인 통풍구이다. 또한, 2d는 후술하는 뚜껑 이면의 절곡된 슬라이드홀(3b)와 형합되는 가이드편이고, 2e는 절연체박스를 고정시키는 스토퍼이다.
도 3a, 도 3b, 도 3의 절연대 뚜껑(3)은 후술하는 절연대(10) 재질과 동일하며 등주에 개구된 크기 및, 폭과 동일하게 절곡한 형태인바 여기서 뚜껑(3) 일부를 투명수지 재질의 누드형 창(3a)으로 제작함으로서 상기 절연체박스(2) 통공(2a)을 통해 안정기취부대(1)의 ELB 트립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제작한다. 부호 3b는 절연체박스와 형합되는 슬라이드홀이고, 3c는 2e의 스토퍼와 대응되는 스토퍼이다.
이와같이 안정기취부대(1)가 절연체박스(2)와 슬라이드 결합된 상태에서 절연대 뚜껑(3)과 결합되어 가로등주에 수납되는 형태는 도 6에 표현된 도면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전차단 및 외부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는 절연체 재질의 절연대(10)를 이용하여 등주둘레에 체결할 경우 절연체뚜껑(3) 일부만 절결시킬 수 있는바 이러한 형태는 팔각형태의 다양한 공차를 극복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그 구성요지 범위내에서 예컨대, 안정기가 두 개인 경우 또 그에 해당하는 안정기취부대의 크기 조정, 전자식 안정기 채용, 가로등 감전보호기, 또는 절연체박스 장착을 위한 손잡이형태 등등 얼마든지 변경 및 개조가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정기(13), ELB(12), 단자대(11)를 취부대(1c)와 취부대 하측에 생성된 받침대(1c), 고정부(1d)에 각각 내장하는데, 이때 회로결선용 케이블인입공(1a)나 혹은 노출형태로 전선을 상호결선하여 하나의 안정기취부대(1)로 제작한다.
이후 안정기취부대(1) 전체를 절연체 박스(2)의 슬라이드홈에 끼워 하측으로 밀면 전, 후, 상, 하면이 밀폐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절연체박스(2)의 전면에 형성된 가이드편(2d)을 뚜껑(3) 이면의 슬라이드홀(3b)에 역시 끼워밀면 스토퍼(2e)(3c)가 마주치는 현위치에서 고정된다.
이와같이 고정된 상태는 도 6의 순서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부 안정기 교체, ELB 교체 등 부품의 교환이 필요할 경우 뚜껑(2)의 전면 상측을 앞으로 당기면 절연체박스만 기울어진 형태로 되는 것은 당연하며 이때 안정기취부대(1)에 형성된손잡이(1b)를 상방향으로 끌어내면 안정기취부대(1) 혹은 절연체박스 전체를 끄집어 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결합과정의 역순은 당연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이중절연 유니트는 안정기 및 ELB 취부를 위해 절연체박스 전체가 전후면으로 인출이 용이한 구조로 제작됨으로써 상시/격등 케이블의 회로결선 작업시 결선에 필요한 부품들을 전면 노출시킬 수 있어 좁은 폭의 등주내 작업을 피할 수 있음에 따라 결선작업의 편리, 작업공수 절감, 유지관리의 용이성이 일층 향상된 특징을 지니며, 뚜껑 개폐없이도 외부에서 ELB 트립 및 결선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또한, 절연체 재질의 박스 및 안정기취부대, 절연체 뚜껑이 절연된 상태이므로 누전에 의한 1차적인 차단효과를 발생함은 물론이고, 2차적으로는 절연체 재질의 절연대가 등주 외부를 완전히 둘러씌운 상태이므로 혹시라도 발생할 수 있는 감전사고를 완벽히 보호할 수 있다.

Claims (1)

  1. 상시/격등 케이블이 내부로 인입되어 안정기 및 ELB측과 상호 결선되는 가로등주에 절연체 재질의 절연대를 구비함에 있어서,
    상기 절연대(10) 재질과 동일하며 등주에 개구된 크기 및, 폭과 동일하게 절곡되며 뚜껑(3) 일부가 투명수지 재질의 누드형 창(3a)이 제작되는 한편, 절연체 박스와 형합되는 슬라이드홀(3b) 및 스토퍼(3c)가 형성된 절연체 뚜껑(2);
    램프 및 인입선이 출입하는 케이블인입공(1a)과, 안정기취부대 전체를 취출하기 위해 내측으로 일부 절곡한 손잡이(1b), 단자대 및 ELB를 안착시키기 위한 취부대(1c), 고정부(1d), 받침대(1e)를 형성하여 각 ELB(12) 및 안정기(13), 단자대(11)를 취부한 안정기취부대(1); 및
    뚜껑의 창에 대응되는 통공(2a), 안정기취부대와 결합시 상측에서 하측으로 끼워 결합되도록 하는 슬라이드홈(2b), 공기통로인 통풍구(2c), 뚜껑 이면의 절곡된 슬라이드홀(3b)와 형합되는 가이드편(2d), 절연체박스를 고정시키는 스토퍼(2e)로 이루어져 상기 안정기취부대(1)와 끼워 결합되면 전면, 측면, 상,하면이 밀폐된 상태에서 수납되면 내외부로 누전통로가 없는 상태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 이중절연 유니트.
KR2020020011135U 2002-04-10 2002-04-10 이중절연 유니트 KR2002829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1135U KR200282966Y1 (ko) 2002-04-10 2002-04-10 이중절연 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1135U KR200282966Y1 (ko) 2002-04-10 2002-04-10 이중절연 유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2966Y1 true KR200282966Y1 (ko) 2002-07-24

Family

ID=73121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1135U KR200282966Y1 (ko) 2002-04-10 2002-04-10 이중절연 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296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449B1 (ko) * 2006-08-11 2008-01-22 안계훈 안정기수납부가 형성된 보수용 커버를 갖는 가로등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449B1 (ko) * 2006-08-11 2008-01-22 안계훈 안정기수납부가 형성된 보수용 커버를 갖는 가로등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133671A1 (en) Track lighting system current limiting device
KR101830353B1 (ko) 전선분리봉이 구비된 전등선
EP3128816B1 (en) Optical controller with surge protecting function
US20180049291A1 (en) Photocontrol Device with a Surge Protection Function
KR101360239B1 (ko) 모듈구조 외함과 안전커버로 구성된 일체형 서지보호기
KR200254299Y1 (ko) 가로등 안정기 인출박스 구조
KR200282966Y1 (ko) 이중절연 유니트
CN204614744U (zh) 一种户外智能分界断路器总成
KR20110068722A (ko) 변압기의 컷 아웃 스위치용 피뢰기 내장형 애자
KR101119409B1 (ko) 배선용 방수차단기
KR200263734Y1 (ko) 가로등 안정기의 인출박스
KR200422901Y1 (ko) 캡타입의 방수용 안전소켓
KR101028569B1 (ko) 가로등용 등주 제어장치
KR20050120316A (ko) 서지 보호기 내장형 세대 분전반
KR200382486Y1 (ko) 가로등용 단자함
KR200262716Y1 (ko) 가로등 등주의 배선시설 장치부 덮개
KR100867344B1 (ko) 내장형 안정장치
KR200243855Y1 (ko) 퓨즈가 장착된 형광등용 커넥터
KR200408131Y1 (ko) 자동점멸기와 안정기 및 등기구가 일체로 구성된 보안등조립체
KR200238507Y1 (ko) 가로등의 감전방지장치
CN217691963U (zh) 一种具备短路保护功能的电器插头装置
CN209786537U (zh) 一种配电板
KR200359003Y1 (ko) 안전커버
KR200265861Y1 (ko) 신호등 지주
CN213521162U (zh) 一种谐振保护瞬时开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