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3551Y1 - 공중전화 박스의 점등장치 - Google Patents

공중전화 박스의 점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3551Y1
KR970003551Y1 KR2019930026459U KR930026459U KR970003551Y1 KR 970003551 Y1 KR970003551 Y1 KR 970003551Y1 KR 2019930026459 U KR2019930026459 U KR 2019930026459U KR 930026459 U KR930026459 U KR 930026459U KR 970003551 Y1 KR970003551 Y1 KR 9700035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ublic telephone
lamp
telephone box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64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2224U (ko
Inventor
김대영
Original Assignee
김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영 filed Critical 김대영
Priority to KR20199300264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3551Y1/ko
Publication of KR9500222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222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35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35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공중전화 박스의 점등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정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파절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작동판 부분에 확대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경첩 b : 전선
1 : 전화기 2 : 조명등
3 : 전화박스 3a : 발디딤부
4 : 탄발스프링 6 : 정지판
7 : 개폐스위치 7a : 스위치장치판
10 : 작동판 10a : 스위치작동구
11 : 받침대 11a : 쿠션
본 고안은 공중 전화 박스의 점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인 것은 발 디딤부에 조명등 개폐스위치를 작동시키는 작동판을 설치하여 야간에 공중전화를 걸기 위해 공중전화 박스에 사람이 들어오면 공중전화 박스의 조명등이 켜져 밝은 실내가 되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공중 전화 박스는 그 조명등에 자동 개폐장치가 없어 일단 점등시키고 다시 끌때까지 계속 점등되어 있기 때문에 공중전화를 사용하지 않을때에도 조명이 되어 전류가 소비되므로 에너지 낭비가 심한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시정하기 위하여 야간에 공중전화를 이용할 시 전화를 사용하는 동안에만 실내에 조명등이 켜지도록 고안하여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방지한 것인데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천정에 조명등(2)이 부착된 공중전화 박스(3)에 있어서 발디딤판(3a)의 일측에 작동판(10)을 설치하되 이 작동판(10)의 후측은 경첩(a)으로 박스 본체에 접속하고 반대측은 가동부로하여 상면은 정지판(6)에 억제되고 저부에는 탄발 스프링(4)에 의하여 장진되게 한 다음 전류개폐스위치(7)를 장착하여 그 작동버튼(9)이 작동판(10)의 승강동작에 따라 작동하는 작동구에 의거 개폐되어 조명등(2)이 점멸될 수 있도록 전원공급 회로를 형성 시킨 구조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야간에 공중전화를 사용하기 위해 공중전화 박스(3)에 들어가면 발디딤부에 설치된 작동판(10)이 사람의 체중에 의하여 일정범위로 하강하여 그 밑에 부착된 작동구가 개폐스위치(7)의 작동버튼(9)을 눌러 조명등(2)에 전류를 공급하여 점등되게 함으로 밝은 조명에서 공중전화를 사용할 수 있고 사람이 공중전화 박스에서 외출하면 스프링(4)의 복원력에 의해 작동판(10)이 부상하여 정지판(6)에서 정지하므로 작동버튼(9)의 가압이 해지되어 스위치(7)가 열린 상태가 되므로 조명등(2)에 전류공급이 중단되어 소등되기 때문에 전화기를 사용할 시에만 조명등(2)이 점등되어 일일이 전원 스위치를 작동시키지 않아도 자동적으로 전원 개폐 스위치를 편리하게 단속하여 에너지 낭비가 없는 공중전화 박스를 만들 수 있는 바 국가적으로 에너지 절약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는 이점을 얻는 것이다.

Claims (1)

  1. 천장에 조명등(2)이 부착된 공중전화 박스(3)에 있어서 발디디판(3a)의 일측에 작동판(10)을 설치하되 이 작동판(10)의 후측은 경첩(a)으로 박스 본체에 접속하고 반대측은 가동부로 하여 상면은 정지판(6)에 억제되고 저부에는 탄발스프링(4)에 의하여 장진되게한 다음 전류개폐스위치(7)를 장착하여 그 작동버튼(9)이 작동판(10)이 승강동작에 따라 작동하는 작동구에 의거 개폐되어 조명등(2)이 점멸될 수 있도록 전원 공급회로를 형성시킨 공중전화 박스의 점등장치.
KR2019930026459U 1993-12-03 1993-12-03 공중전화 박스의 점등장치 KR9700035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6459U KR970003551Y1 (ko) 1993-12-03 1993-12-03 공중전화 박스의 점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6459U KR970003551Y1 (ko) 1993-12-03 1993-12-03 공중전화 박스의 점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2224U KR950022224U (ko) 1995-07-28
KR970003551Y1 true KR970003551Y1 (ko) 1997-04-17

Family

ID=19369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6459U KR970003551Y1 (ko) 1993-12-03 1993-12-03 공중전화 박스의 점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355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4903B1 (ko) * 1998-05-15 2005-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전화기용 단일칩ic 시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2224U (ko) 1995-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55885B1 (en) Sub frame assembly for light switch assembly
US5570000A (en) Solar powered light fixture
JPH0275115A (ja) 複合スイッチ
US4985661A (en) Uninterrupted desk lamp
KR970003551Y1 (ko) 공중전화 박스의 점등장치
US5803581A (en) Device to illuminate keyhole area
CN205632270U (zh) 一种智能节能双控制模式汽车前照灯装置
JPH05207617A (ja) 非常灯付分電盤
CN2163499Y (zh) 节能开关
CN220453603U (zh) 一种智能建筑照明组件
CN219120508U (zh) 一种便于安装的灯光控制用开关
CN216114321U (zh) 一种无线开关
FR2410214A1 (fr) Lampe portative a usage notamment de detecteur de panne
CN220692530U (zh) 一种带有自动照明功能的配电柜柜门模块
CN219760369U (zh) 一种配电箱维修辅助照明装置
CN210723760U (zh) 一种防自动关门的电控柜
CN2112197U (zh) 按钮式自动断电开关
CN2156584Y (zh) 多控墙壁式开关
CN2156382Y (zh) 小型门灯
JPH0621144Y2 (ja) 玄関用照明装置
CN2377769Y (zh) 多控电子开关
CN2139300Y (zh) 墙壁夜视开关
KR910001182Y1 (ko) 회중 전등
CN2152349Y (zh) 声光自动控制开关
JPH0917218A (ja) 2灯式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