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6866Y1 - 나사못 선별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나사못 선별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6866Y1
KR0116866Y1 KR2019940020378U KR19940020378U KR0116866Y1 KR 0116866 Y1 KR0116866 Y1 KR 0116866Y1 KR 2019940020378 U KR2019940020378 U KR 2019940020378U KR 19940020378 U KR19940020378 U KR 19940020378U KR 0116866 Y1 KR0116866 Y1 KR 01168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screw
rollers
sorting
spi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03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8003U (ko
Inventor
이조원
Original Assignee
이조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조원 filed Critical 이조원
Priority to KR20199400203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6866Y1/ko
Publication of KR9600080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800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68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68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Abstract

본 고안은 성형된 나사못을 2개의 롤러를 호진시켜 이송하는 이송장치에서 이송장치의 생산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과부하에 의한 나선형 바아의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2개의 롤러간격을 정밀하게 조절하여 불량품을 자동으로 선별할 수있도록 하는 나사못 선별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이송장치에 사용되는 2개의 롤러 중 일측의 롤러에 나선형 홈을 형성하고 그 나선형 홈에 나선형 바이를 삽입고정하며 타측 롤러의 롤러측에는 체대에 고정된 게이지를 접촉시켜 롤러의 이동거리를 정밀하게 조절함으로써 이룰 수 있는 장치다.

Description

나사못 선별 이송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의 (a)는 본 고안의 요부발췌 분해 사시도
(b)는 본 고안의 요부발췌 조립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횡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일부를 절개한 측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가이드홀 5 : 게이지
6 : 조절손잡이 7 : 이송나사
8 : 이동지지대 9 : 고정지지대
10,12 : 롤러 11 : 롤러측
13 : 나선형홈 14 : 나선형바아
본 고안은 성형된 나사못을 2개의 롤러를 회전시켜 축방향으로 이송하는 나사못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나사못을 이송시킬 때 불량품을 자동으로 선별하면서 나사못을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는 나사못 선별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2개의 롤러를 회전시켜 나사못을 이송시키는 이송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었으며 이들 이송장치는 2개의 롤러 중 하나의 롤러 외주면에 일체의 나선형 돌기를 형성하거나 사각 단면의 바아를 스프링형상으로 권취한 후 평면상의 롤러 외주면에 용접하여 구성하고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이송장치의 일측 롤러 구성중 롤러의 외주면에 일체로 나선형 돌기를 형성하는 전자의 구성은 그 가공이 어려워 생산성이 저하되고 롤러 자체의 불량발생률이 높은 결점이 있었으며, 사각 단면의 바아를 스프링형상으로 권취한 후 평면상의 롤러 외주면에 용접하는 후자의 구성은 스프링형상으로 권취된 사각 단면의 바아와 롤러의 용접 잡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용접 작업시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을 뿐만 아니라, 나사못의 이송작업 중 과부하가 걸리면 스프링형상으로 권취된 사각단면의 바아가 롤러의 외주면에서 이탈되는 결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나사못 이송에 사용되는 2개의 롤러 중 일측의 롤러 외주면에 나선형홈을 형성하고 이 홈에 직사각 단면의 바아를 나선형으로 권취하여서 된 나선형 바아를 삽입한 후 그 양단을 롤러 외면에 용접 고정함으로써 이송장치의 생산성과 안전성을 향상 시키고 과부하에 의한 나선형 바아의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2개의 롤러간격을 정밀하게 조절하여 불량품을 자동으로 선별할 수 있도록 한 나사못 선별이송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2개의 롤러(10)(12)를 체대(2)위에서 회전시켜 나사못을 이송시키는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1)의 일측 롤러(10)는 양측롤러축(11)을 이동지지대(8)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이 이동지지대(8)는 하단을 체대(2)의 가이드홀(3)에 삽입하여 조절손잡이(6)가 구비된 이송나사(7)에 나합하는 동시에 체대(2)의 브라켓(4)에는 게이지(5)를 고정하여 그 선단을 롤러축(11)에 접촉시키고, 나선형바아(14)의 일부가 돌출되게 삽입되는 나선형홈(13)을 원주면에 형성한 롤러(12)를 체대(2)의 고정지지대(9)에 상기 롤러(10)와 대향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못 선별 이송장치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통상의 이소장치와 같이 롤러(10)(12)를 회전시키면서 성형된 나사못을 양 롤러(10(12)사이에 공급하면 고정지지대(9)의 롤러(12)에 형성한 나선형 홈(13)에 일부가 돌출되도록 삽입고정된 나선형 바아(14)가 나사못을 이송시킨다. 이때 나선형 바아(14)에 밀리면서 이송되는 나사못은 나사가 형성된 몸체가 하측을 향하고 나사머리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 양측 롤러(10(12)사이에 걸린 상태로 이송되는 것이므로 나사머리가 양 롤러(10)(12)의 간격보다 작에 형성되거나 불규칙하게 형성된 불량품은 이송도중 양 롤러(10(12)사이로 낙하되어 자동선별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또한 체대(2)에 설치된 조절손잡이(6)를 돌리면 이송나사(7)가 회전하면서 체대(2)의 가이드홀(3)에 삽입된 이동지지대(8)를 이동시키므로 이동지지대(8)에 설치된 롤러(10)와 고정지지대(9)에 설치된 롤러(12)사이의 간격을 가편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다양한 크기의 나사못을 이송 및 선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양 롤러(10)(12)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때는 롤러축(11)에 접촉되어 있는 게이지(5)가 롤러(10)의 이동거리를 표시해주는 것이므로 롤러(10)(12)사이의 수평과 간격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의 이송장치에 구비된 나선형 바아(14)는 롤러(12)의 나선형홈(13)에 삽입하고 나선형 바아(14)의 양단을 제2도의 (나)에 도시한 바와같이 롤러(12)의 양단 외면에 그대로 용접 고정하는 것이므로 나사못의 이송작업도중에 과부하가 발생하여도 나선형 바아(14)가 롤러(12)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며, 롤러(12)에 나선형 바아(14)를 삽입하기 위한 나선형홈(13)의 가공작업이 용이한 것이므로 생산성과 안정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의 나사못 선별 이송장치에 의하면, 일정간격으로 그 간격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양 롤러중 일측의 롤러에 나선형바를 권취함으로써 다양한 크기로 되는 나사못의 머리부분을 걸어 이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나사못 이송에 대한 작업성을 좋게 하는동시에 과부하에 의한 나선형바의 이탈을 막아 작업 안전성을 증대시킴과 아울러 체대에 설치된 게이지에 의해 양 로울러사이의 간격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이송되는 불량 나사못의 정밀 선별이 가능해져 제품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게 되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

  1. 2개의 롤러(10)(12)를 체대(2)위에서 회전시켜 나사못을 이송시키는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1)이 일측 롤러(10)는 양측롤러축(11)을 이동지지대(8)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이 이동지지대(8)는 하단을 체대(2)의 가이드홀(3)에 삽입하여 조절손잡이(6)가 구비된 이송나사(7)에 나합하는 동시에 체대(2)의 브라켓(4)에는 게이지(5)를 고정하여 그 선단을 롤러축(11)에 접촉시키고, 나선형바아(14)의 일부가 돌출되게 삽입되는 나선형홈(13)을 원주면에 형성한 롤러(12)를 체대(2)의 고정지지대(9)에 상기 롤러(10)와 대향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못 선별 이송장치.
KR2019940020378U 1994-08-12 1994-08-12 나사못 선별 이송장치 KR01168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0378U KR0116866Y1 (ko) 1994-08-12 1994-08-12 나사못 선별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0378U KR0116866Y1 (ko) 1994-08-12 1994-08-12 나사못 선별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8003U KR960008003U (ko) 1996-03-15
KR0116866Y1 true KR0116866Y1 (ko) 1998-04-24

Family

ID=19390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0378U KR0116866Y1 (ko) 1994-08-12 1994-08-12 나사못 선별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686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7109B1 (ko) * 2018-10-18 2019-03-13 윤대영 테이퍼볼트 자동이송공급장치
WO2023059117A1 (ko) * 2021-10-07 2023-04-13 아트라스콥코 코리아 주식회사 무진동 피더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7109B1 (ko) * 2018-10-18 2019-03-13 윤대영 테이퍼볼트 자동이송공급장치
WO2023059117A1 (ko) * 2021-10-07 2023-04-13 아트라스콥코 코리아 주식회사 무진동 피더
KR20230049995A (ko) * 2021-10-07 2023-04-14 아트라스콥코 코리아 주식회사 무진동 피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8003U (ko) 1996-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73565B2 (en) Adjustable drive shaft assembly
KR20090094446A (ko) 나사 전조기 내로 나사 가공할 블랭크를 공급하는 블랭크 공급 장치
KR0116866Y1 (ko) 나사못 선별 이송장치
US4795018A (en) Contained trackwork for can conveying
JP3276400B2 (ja) 六角穴付き止めネジ自動供給装置
JPH0622775B2 (ja) 長尺円筒状ワークの自動供給装置
SU1295661A1 (ru) Ориент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JP2505981Y2 (ja) 棒材供給装置
US3883061A (en) Wire-feed apparatus
JP2710905B2 (ja) 自動給紙装置
US3718247A (en) Machine for the helical movement of cylindrical objects
KR101932276B1 (ko) 한방용 침의 제조장치
US3323635A (en) Variable feed worm
US6164438A (en) Adjustable control roller apparatus and method
JP4993572B2 (ja) ベルトコンベヤ
JPS6363519A (ja) ホツトランテ−ブル装置
CN220097959U (zh) 送布装置及激光打标机
SU1058855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ередачи цилиндрических контейнеров с подающего конвейера
CN210406073U (zh) 一种固定及放料机构
KR102132916B1 (ko) 컨베이어의 방향 조절장치
US7469517B2 (en) Closure transferring mechanism
JPS6236931B2 (ko)
US3027921A (en) Wire straightening machine
US5022578A (en) Sheet feeder for feeding continuous print paper having sprocket holes
KR950007764B1 (ko) 캔뚜껑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2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