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2916B1 - 컨베이어의 방향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컨베이어의 방향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2916B1
KR102132916B1 KR1020190067231A KR20190067231A KR102132916B1 KR 102132916 B1 KR102132916 B1 KR 102132916B1 KR 1020190067231 A KR1020190067231 A KR 1020190067231A KR 20190067231 A KR20190067231 A KR 20190067231A KR 102132916 B1 KR102132916 B1 KR 102132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belt
main plate
conveyor
bel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7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군신
Original Assignee
이군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군신 filed Critical 이군신
Priority to KR1020190067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29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2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29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4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65G21/2045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21/2054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elements movable in the direction of load-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mmon features for more than one conveyor kind or type
    • B65G2811/06Devices controlling the relative position of articles
    • B65G2811/0621Devices controlling the relative position of articles by modifying the orientation or position of articles
    • B65G2811/0626Orientation of articles

Abstract

본 발명은 컨베이어의 방향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컨베이어 벨트를 통하여 이송되는 물체의 방향이 틀어질 경우, 이송되는 과정에서 방향을 안정적으로 바로잡을 수 있는 컨베이어의 방향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물체를 이송하는 컨베이어 벨트의 양측에 컨베이어 벨트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메인 플레이트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전단에 구비되는 종동 풀리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후단에 구비되는 구동 풀리와, 상기 종동 풀리와 구동 풀리를 연결하는 교정 벨트와, 상기 구동 풀리를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컨베이어의 방향 조절장치{direction control apparatus for a conveyer}
본 발명은 컨베이어의 방향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컨베이어를 통하여 이송되는 물체의 방향이 틀어질 경우, 이송되는 과정에서 방향을 안정적으로 바로잡을 수 있는 컨베이어의 방향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베이어는 재료 또는 화물 등 각종 물류를 연속적으로 자동 운반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운반기계장치로서, 제조공장이나 유통업체 등 물류의 운반이 요구되는 산업전반에 걸쳐 사용되고 있으며 그 종류 및 용도 또한 다양한데, 벨트 컨베이어 또는 롤러 컨베이어가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여기서, 벨트 컨베이어는 고무나 직물, 철망, 강판 등으로 만들어진 벨트를 엔드리스(endless)로 하여 벨트 구동롤러에 걸고 벨트 구동롤러를 구동모터로 회전시켜서 순환 구동되게 하며 도중에 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통상 아이들러(idler)에 의한 지지를 받도록 구성되며, 순환 구동되는 벨트 위에 물류를 올려놓으면 자동으로 물류를 편리하게 연속 운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최근에는 노동력의 절감이나 운반능률의 상승 등 작업의 편의성을 더해주기 위한 목적으로 컨베이어의 길이 조정을 가능하게 하는 다단식 벨트 컨베이어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벨트 컨베이어의 일 예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65248호에 기재된 기술이 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이송되는 운반물이 놓여지는 상부 컨베이어 벨트부(11)와, 상기 운반물이 이송되고 난 후 리턴되는 하부 컨베이어 벨트부(13)를 갖는 컨베이어 벨트(10); 상기 컨베이어 벨트(10)를 구동시키기 위한 벨트 구동유닛; 상기 컨베이어 벨트(10) 및 상기 벨트 구동유닛이 설치되는 본체 프레임(30); 상기 운반물이 이송되고 난 후, 상기 하부 컨베이어 벨트부(13)상에 잔류하는 운반물 찌꺼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유닛(60); 그리고, 상기 운반물이 저장되는 저장탱크(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65248호에 기재된 기술은 컨베이어 벨트(10)를 사용하여 물건을 용이하게 이송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컨베이어 벨트(10)는 직선구간 뿐만 아니라 곡선구간이나 두개의 컨베이어 벨트(10)가 수직으로 연결되는 경우에는 물건의 위치나 방향이 완전히 변경되기 때문에 이송하는 물건의 위치 및 방향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이송하여야 할 경우에는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65248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컨베이어 벨트의 양측에 일정간격으로 구비하되, 컨베이어 벨트의 양측에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과 상기 고정 브라켓에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메인 플레이트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에 구비되어 회전하는 교정 벨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교정 벨트의 이동속도는 컨베이어 벨트의 이동속도보다 빠르게 함으로써, 컨베이어 벨트를 통하여 이송되는 스틱 형상의 물체의 방향을 용이하게 정방향으로 제어할 수 있는 컨베이어의 방향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컨베이어 벨트의 양측에 고정 브라켓을 구비하여 메인 플레이트가 설치되는데, 상기 고정 브라켓의 상부에는 위치 조절 플레이트가 설치되며, 상기 위치 조절 플레이트의 일측에는 메인 플레이트의 중심부에 구비되는 중심축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위치 조절 플레이트의 타측에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형성되는 호형 장공에 상기 중심축과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조절축이 삽입되어,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이송해야 하는 목표지점의 위치에 따라 컨베이어의 방향 조절장치와 컨베이어 벨트 사이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안정적으로 물체의 방향 및 위치를 제어할 수 있는 컨베이어의 방향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물체를 이송하는 컨베이어 벨트의 양측에 컨베이어 벨트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메인 플레이트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전단에 구비되는 종동 풀리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후단에 구비되는 구동 풀리와, 상기 종동 풀리와 구동 풀리를 연결하는 교정 벨트와, 상기 구동 풀리를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양측에는 고정 브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 브라켓의 상측 단부에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위치 조절 플레이트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위치 조절 플레이트의 일측에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중심축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에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중심축과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조절축이 삽입되는 호형 장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단부에는 상기 종동 풀리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보조 플레이트가 더 설치되되, 상기 제1 보조 플레이트에는 메인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으로 제1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장공에는 메인 플레이트의 단부에 설치되는 고정볼트가 삽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교정 벨트의 회전 속도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이동 속도보다 빠르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교정 벨트의 표면에는 마찰 돌기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컨베이어 벨트의 양측에 일정간격으로 구비하되, 컨베이어 벨트의 양측에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과 상기 고정 브라켓에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메인 플레이트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에 구비되어 회전하는 교정 벨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교정 벨트의 이동속도는 컨베이어 벨트의 이동속도보다 빠르게 함으로써, 컨베이어 벨트를 통하여 이송되는 스틱 형상의 물체의 방향을 용이하게 정방향으로 제어할 수 있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컨베이어 벨트의 양측에 고정 브라켓을 구비하여 메인 플레이트가 설치되는데, 상기 고정 브라켓의 상부에는 위치 조절 플레이트가 설치되며, 상기 위치 조절 플레이트의 일측에는 메인 플레이트의 중심부에 구비되는 중심축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위치 조절 플레이트의 타측에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형성되는 호형 장공에 상기 중심축과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조절축이 삽입되어,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이송해야 하는 목표지점의 위치에 따라 컨베이어의 방향 조절장치와 컨베이어 벨트 사이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안정적으로 물체의 방향 및 위치를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컨베이어 벨트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컨베이어 벨트장치의 주요 구성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의 방향 조절장치가 설치된 컨베이어 벨트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의 방향 조절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의 방향 조절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의 방향 조절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의 방향 조절장치가 설치된 컨베이어 벨트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의 방향 조절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의 방향 조절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의 방향 조절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컨베이어 벨트(400)의 양측에 지그재그 방향으로 설치되어 컨베이어 벨트(400)에 의해 이송되는 물체(500)의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컨베이어의 방향 조절장치(100)에 관한 것으로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판형상으로 형성되는 메인 플레이트(200)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200)의 전단에 구비되는 종동 풀리(230)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200)의 후단에 구비되는 구동 풀리(240)와 상기 종동 풀리(230)와 구동 풀리(240)를 연결하는 교정 벨트(250)와 상기 구동 풀리(240)를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2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메인 플레이트(200)는 컨베이어 벨트(400)의 양측부에 일정간격으로 구비되되, 상기 컨베이어 벨트(400)와 일정각도를 이루어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그래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400)를 따라 이동하는 물체가 본 발명의 컨베이어의 방향 조절장치(100)를 구성하는 교정 벨트(250)와 접하게 되면, 교정 벨트(250)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게 됨으로써, 물체의 비틀린 방향을 정방향으로 교정할 수 있게 된다.
즉, 일반적으로 제품을 자동으로 제조시, 마지막 공정으로 포장을 하게 되는데, 브리또와 같은 스틱 형태의 물체의 경우에는 포장시에 진입하는 물체의 방향이 상당히 중요한데, 일반적인 컨베이어 벨트(400)의 경우에는 이송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환경요인에 의해 방향이 비틀어져 안정적인 포장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컨베이어 벨트(400)의 양측에 컨베이어의 방향 조절장치(100)를 구비함으로써, 스틱 형태의 물체가 이송시에 방향이 틀어질 경우 이를 정방향으로 교정하여 안정적으로 포장작업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400)의 측부에는 고정 브라켓(310)이 설치되어 상기 메인 플레이트(200)를 고정하게 되는데, 상기 고정 브라켓(310)의 상측 단부에는 위치 조절 플레이트(300)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메인 플레이트(200)는 위치 조절 플레이트(300)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메인 플레이트(200)와 컨베이어 벨트(400)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위치 조절 플레이트(30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에는 회전공(302)이 형성되어 상기 메인 플레이트(200)의 중심부 상면에 설치되는 중심축(21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위치 조절 플레이트(300)의 타측에는 상기 회전공(302)을 기준으로 원호를 이루도록 호형 장공(304)이 형성되는데, 상기 호형 장공(304)에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200)의 중심축(210)과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조절축(220)이 삽입되며, 상기 조절축(220)은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되고, 상부에 구비되는 너트(부호 미도시)에 의해 고정된다.
그래서, 상기 메인 플레이트(200)는 중심축(210)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위치 조절 플레이트(300)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중심축(210)에서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조절축(220)이 호형 장공(304)에 삽입됨으로써, 호형 장공(304)의 길이만큼 메인 플레이트(200)의 회전하는 각도가 제한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종동 풀리(230)와 구동 풀리(240)를 연결하는 교정 벨트(250)는 합성 고무 또는 실리콘 등의 점착력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교정 벨트(250)의 회전 속도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400)의 이동 속도보다 빠르게 설정하게 된다.
그래서, 컨베이어 벨트(400)의 상부에서 이동하는 물체의 일측이 상기 교졍 벨트(250)와 접하게 되면, 교정 벨트(250)의 회전 속도가 컨베이어 벨트(400)의 이동 속도보다 더 빠르기 때문에 교정 벨트(250)와 접촉된 부분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방향을 교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교정 벨트(250)의 표면에는 마찰 돌기(미도시)가 더 형성되는데, 상기 마찰 돌기(미도시)에 의해 교정 벨트(250)의 표면과 접하는 부분과의 마찰력을 높여주어 보다 안정적으로 물체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메인 플레이트(200)의 단부에는 제1 보조 플레이트(260)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제1 보조 플레이트(260)에는 상기 종동 풀리(23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보조 플레이트(260)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제1장공(262)이 형성되는데, 상기 메인 플레이트(200)의 단부 상면에는 고정볼트(202)가 구비되어 상기 제1장공(262)에 삽입 고정되게 된다.
그래서, 상기 제1장공(262)과 제1장공(262)에 삽입되어 이동가능한 고정볼트(202)에 의해 제1 보조 플레이트(260)의 돌출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어, 종동 풀리(230)와 구동 풀리(240)의 간격을 조절하여 교정 벨트(250)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장시간 사용으로 인하여 교정 벨트(250)의 텐션이 떨어질 경우에는 컨베이어 벨트(400)의 상부에서 이송되는 물체와 접하더라도 안정적으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없어 방향의 교정이 어려워지므로, 텐션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안정적으로 물체의 방향을 교정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메인 플레이트(200)의 상면에는 상기 제1 보조 플레이트(260)와 인접한 위치에 보조 브라켓(270)이 더 구비되며, 상기 보조 브라켓(270)에는 전후 관통하도록 조절 나사(275)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조절 나사(275)의 단부에는 상기 제1 보조 플레이트(260)의 단부가 연결되는데, 상기 조절 나사(275)는 제1 보조 플레이트(260)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조절 나사(275)를 회전시켜 상기 제1 보조 플레이트(260)의 위치를 적절하게 조절하게 되며, 그에 따라 교정 벨트(250)의 텐션이 조절되게 되고, 이렇게 조절한 후, 상기 고정 볼트(202)를 사용하여 제1 보조 플레이트(260)을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컨베이어의 방향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컨베이어 벨트를 통하여 이송되는 물체의 방향이 틀어질 경우, 이송되는 과정에서 방향을 안정적으로 바로잡을 수 있는 컨베이어의 방향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100 : 컨베이어의 방향 조절장치 200 : 메인 플레이트
210 : 중심축 220 : 조절축
230 : 종동 풀리 240 : 구동 풀리
250 : 교정 벨트 260 : 제1 보조 플레이트
300 : 위치 조절 플레이트 310 : 고정 브라켓
320 : 제2 보조 플레이트 400 : 컨베이어 벨트
G : 목표 지점

Claims (6)

  1. 컨베이어 벨트의 양측에 지그재그 방향으로 구비되어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이송되는 스틱 형태의 물체의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컨베이어의 방향 조절장치에 있어서,
    컨베이어 벨트의 측부에 컨베이어 벨트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메인 플레이트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전단에 구비되는 종동 풀리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후단에 구비되는 구동 풀리와,
    상기 종동 풀리와 구동 풀리를 연결하는 교정 벨트와,
    상기 구동 풀리를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측부에는 고정 브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 브라켓의 상측 단부에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위치 조절 플레이트가 형성되며,
    상기 위치 조절 플레이트의 일측에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중심축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에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중심축과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조절축이 삽입되는 호형 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단부에는 상기 종동 풀리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보조 플레이트가 더 설치되되, 상기 제1 보조 플레이트에는 메인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으로 제1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장공에는 메인 플레이트의 단부에 설치되는 고정볼트가 삽입 고정되어 상기 제1 보조 플레이트의 돌출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교정 벨트의 표면에는 마찰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교정 벨트의 회전 속도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이동 속도보다 빠르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의 방향 조절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90067231A 2019-06-07 2019-06-07 컨베이어의 방향 조절장치 KR102132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7231A KR102132916B1 (ko) 2019-06-07 2019-06-07 컨베이어의 방향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7231A KR102132916B1 (ko) 2019-06-07 2019-06-07 컨베이어의 방향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2916B1 true KR102132916B1 (ko) 2020-07-10

Family

ID=71604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7231A KR102132916B1 (ko) 2019-06-07 2019-06-07 컨베이어의 방향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291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9877A (ja) * 1997-08-26 1999-03-02 Ishii Ind Co Ltd 物品検査装置
JP2002106584A (ja) * 2000-10-02 2002-04-10 Takeuchi Press Ind Co Ltd スライド式フランジ形軸受ユニット
JP2008081223A (ja) * 2006-09-26 2008-04-10 Sansei Seiki Kk 筒状容器の方向規制装置
KR200465248Y1 (ko) 2011-03-14 2013-02-19 주식회사 대신우레탄 컨베이어 벨트 장치
JP2016060545A (ja) * 2014-09-12 2016-04-25 澁谷工業株式会社 容器の方向規正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9877A (ja) * 1997-08-26 1999-03-02 Ishii Ind Co Ltd 物品検査装置
JP2002106584A (ja) * 2000-10-02 2002-04-10 Takeuchi Press Ind Co Ltd スライド式フランジ形軸受ユニット
JP2008081223A (ja) * 2006-09-26 2008-04-10 Sansei Seiki Kk 筒状容器の方向規制装置
KR200465248Y1 (ko) 2011-03-14 2013-02-19 주식회사 대신우레탄 컨베이어 벨트 장치
JP2016060545A (ja) * 2014-09-12 2016-04-25 澁谷工業株式会社 容器の方向規正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2969865T3 (en) Package transport systems and similar procedures
US4682684A (en) Method and an arrangement for the feeding of objects
RU2592760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ворота ящиков, содержащее две ленты и неприводные ролики
US20120067693A1 (en) Bread conveying apparatus and bread packaging system
US4505381A (en) Conveyor roller
US6279729B1 (en) Article conveyance having mechanical drive
US5333851A (en) Document corner turning belt transport apparatus and method
KR102132916B1 (ko) 컨베이어의 방향 조절장치
JP2006213475A (ja) 容器搬送装置
US9266677B2 (en) Transport conveyer and transport facility
KR102108468B1 (ko) 복합물 이송용 컨베이어
GB2170164A (en) Conveying planar articles
US3509984A (en) Article orienting conveyor
GB2140372A (en) Conveyor roller
TWI677461B (zh) 可自動修正輸送帶偏移的輸送設備
KR20180107411A (ko) 각도 변환 롤러 구조의 합류 컨베이어
KR101291549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JP6482376B2 (ja) 搬送装置における物品案内装置
JP2020132324A (ja) 搬送装置
JP2507835Y2 (ja) ベルトコンベヤ
CN217674965U (zh) 一种极板输送纠偏装置
US20030173733A1 (en) Signature hopper loader
JP7420389B2 (ja) 移送装置
JP2019014530A (ja) 製品集積搬送装置
JPH07228323A (ja) コンベアベル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