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6854Y1 - 자동차용 전자식 시트 벨트 자동 풀림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전자식 시트 벨트 자동 풀림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6854Y1
KR0116854Y1 KR2019950020289U KR19950020289U KR0116854Y1 KR 0116854 Y1 KR0116854 Y1 KR 0116854Y1 KR 2019950020289 U KR2019950020289 U KR 2019950020289U KR 19950020289 U KR19950020289 U KR 19950020289U KR 0116854 Y1 KR0116854 Y1 KR 01168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elt
buckle
locking means
vehicle
occup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02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9173U (ko
Inventor
김대현
Original Assignee
유철진
현대정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철진, 현대정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철진
Priority to KR20199500202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6854Y1/ko
Publication of KR9700091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917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68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685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2Devices for releasing in an emergency, e.g. after an accident ; Remote or automatic unbuckling devices
    • B60R22/321Devices for releasing in an emergency, e.g. after an accident ; Remote or automatic unbuckling devices using electr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16Fall in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운행 완료를 감지하고, 승차자가 위험한 상황에 처했음을 감지하는 다수의 감지수단과; 상기 자동차의 시트 벨트에 부착된 버클을 로킹 및 해제시키는 버클 로킹수단과; 상기 감지수단의 상태에 따라 상기 버클 로킹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버클 로킹수단에 의해 로킹된 상기 버클을 자동으로 해제시키는 제어수단으로 구성된 자동차용 전자식 시트 벨트 자동 풀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제어수단이 각종 감지수단의 상태에 따라 버클 로킹수단을 제어하여 자동차의 운행이 완료될 때 또는 승차자가 위험한 상황에 처했을 때 상기 버클 로킹수단에 로킹된 시트 벨트를 자동으로 해제시키기 때문에 승차자의 편리를 도모할 수 있고, 승차자가 사고 후 부상을 당해 자신의 힘으로 착용한 시트 벨트를 풀지 못해도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시트 벨트가 해제되므로 승차자가 위험한 상황에서 벗어나 위기를 모면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전자식 시트 벨트자동 풀림장치
제1도는 종래의 버클 로킹수단 및 버클에 관한 것으로서,
(a)는 버클이 삽입된 버클 로킹수단의 측단면도이고,
(b)는 버클 로킹수단의 평면도이고,
(c)는 버클의 평면도임.
제2도는 본 고안의 버클 로킹수단 및 버클에 관한 것으로서,
(a)는 버클이 삽입된 버클 로킹수단의 측단면도이고,
(b)는 버클 로킹수단의 평면도이고,
(c)는 버클의 평면도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용 전자식 시트 벨트 자동 풀림장치의 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콘트롤 유닛2 : 수압센서3 : 에어백 이씨유
4 : 시트 벨트5 : 버클10 : 버클 로킹수단
11 : 하우징12 : 전자석12a : 코일
13 : 누름버튼14 : 로커15 : 스프링
SW1 : 시동스위치SW2 : 키워닝 스위치
본 고안은 자동차용 전자식 시트 벨트 자동 풀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동차의 각종 감지수단에서 출력된 신호에 따라 버클 로킹 수단에 로킹된 시트 벨트의 버클을 자동으로 해제시키는 자동차용 전자식 시트 벨트 자동 풀림장체 관한 것이다.
종래의 버클 로킹수단(60)은 제1도의 (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61)과; 상기 하우징(61)과 결합된 누름버튼(62)과; 상기 하우징(61) 내부로 삽입된 시트 벨트(51)의 버클(52)을 로킹시키고, 상기 누름버튼(62)의 작동시 회전하여 로킹된 버클(52)을 해제시키는 로커(63)와; 상기 하우징(61)에 일단이 고정되어 상기 로커(63)를 지지하는 스프링(64)으로 구성되어, 제1도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은 버클(52)이 상기 하우징(61)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로커(63)와 상기 버클(52)에 형성된 홀(52a)이 결합되어 상기 버클(52)이 로킹된다.
즉, 승차자는 버클 로킹수단(60)에 버클(52)을 로킹시켜 시트 벨트(51)를 착용한다.
그 후, 착용하고 있던 시트 벨트(51)를 해제시키기 위해 승차자가 상기 버튼 로킹수단(61)의 누름버튼(62)을 누르면 상기 누름버튼(62)에 의해 로커(63)가 회전하여 상기 로커(63)에 의해 로킹되어 있던 버클(52)이 해제된다.
그러나,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착용한 시트 벨트를 승차자가 항상 수동으로 해제시켜야 하기 때문에 시트 벨트를 한 상태에서 버클이 로킹된 버클 로킹수단을 찾아야 하는 등 승차자의 불편을 초래하였다.
또한, 자동차 운행 중 충돌사고가 발생하거나 운행중이던 자동차가 물에 빠져 위험한 상황에 처했을 경우 승차자는 자신의 힘으로 착용하고 있던 시트 벨트를 풀고 위험한 상황에서 빠져 나와야 하는 데 대부분의 경우 승차자가 부상을 당했거나 당황하기 때문에 자신의 힘으로 시트 벨트를 풀지 못해 심한 경우 생명까지 잃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자동차의 운행 완료시와 승차자가 위험한 상황에 처했을 때 승차자가 착용하고 있던 시트 벨트를 자동으로 해제시킴으로써 승차자의 편리를 도모하는 동시에 승차자를 위험한 상황에서 구할 수 있는 자동차용 전자식 시트 벨트 자동 풀림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용 전자식 시트 벨트 자동 풀림장치는 자동차의 운행 완료를 감지하고, 승차자가 위험한 상황에 처했음을 감지하는 다수의 감지수단과; 상기 자동차의 시트 벨트에 부착된 버클을 로킹 및 해제시키는 버클 로킹수단과; 상기 감지수단의 상태에 따라 상기 버클 로킹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버클 로킹수단에 의해 로킹된 상기 버클을 자동으로 해제시키는 제어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용 전자식 시트 벨트 자동 풀림장치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밧데리 전원(Vcc)이 인가되고, 시동스위치(SW1)가 온 될 때 이그니션(ignition) 전원이 인가되며, 접지와 연결된 콘트롤 유닛(1)과; 상기 콘트롤 유닛(1) 및 밧데리 전원(Vcc)과 연결되며, 자동차의 시동키(도시되지 않음)가 키홀(key hole, 도시되지 않음)에 삽입되어 있으면 오프(off)되고 삽입되어 있지 않으면 온(on)되어 상기 자동차의 운행 완료를 감지하는 키워닝(key warning) 스위치(SW2)와; 상기 콘트롤 유닛(1) 및 접지와 연결되고, 상기 자동차가 물에 빠졌을 때 수압에 의해 작동하여 승차자가 위험한 상황에 처했음을 감지하는 수압센서(2)와; 상기 콘트롤 유닛(1) 및 접지와 연결되며, 상기 자동차의 충돌사고가 발생하여 상기 자동차에 내장된 에어백(도시되지 않음)이 펴질 때 승차자가 위험한 상황에 처했음을 감지하여 에어백 작동정보를 상기 콘트롤 유닛(1)에 제공하는 에어백 이씨유(ECU:electronic control unit, 3)와; 상기 키워닝 스위치(SW2), 수압센서(2) 및 에어백 이씨유(3)의 상태에 따라 상기 콘트롤 유닛(1)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자동차의 시트 벨트(4)에 부착된 버클(5)을 로킹 및 해제시키는 버클 로킹수단(10)로 구성된다.
상기 수압센서(2)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 구(2a) 안에 스위치 접점(2b)이 장착되어 구성된 것으로서 물 속 10m 깊이에서는 2기압이 되어 상기 구(2a)의 부피가 반으로 줄어 들며, 상기 구(2a)의 부피가 줄어 들면 상기 스위치 접점(2b)이 작동한다.
상기 버클 로킹수단(10)은 하우징(11)과; 상기 하우징(11)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콘트롤 유닛(1)에 의해 코일(12a)에 흐르는 전류가 제어되는 전자석(12)과; 상기 하우징(11)과 결합된 누름버튼(13)과; 상기 하우징(11) 내부로 삽입된 시트 벨트(4)의 버클(5)을 로킹시키고, 상기 누름버튼(13)의 작동시 또는 상기 전자석(12)의 코일(12a)에 전류가 흘러 상기 누름버튼(13)이 당겨질 때 회전하여 로킹된 버클(5)을 해제시키는 로커(14)와; 상기 하우징(11)에 일단이 고정되어 상기 로커(14)를 지지하는 스프링(15)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용 전자식 시트 벨트 자동 풀림장치의 동작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시트 벨트(4)를 착용한 승차자가 자동차의 시동을 끈 다음 시동키를 키홀에서 빼면 키워닝 스위치(SW2)가 온되어 밧데리 전원(Vcc)이 상기 키워닝 스위치(SW2)와 연결된 콘트롤 유닛(1)의 단자로 입력되고, 상기 콘트롤 유닛(1)은 상기 키워닝 스위치(SW2)와 연결된 단자로 밧데리 전원(Vcc)이 입력되면 전자석(12)의 코일(12a)에 전류를 공급한다.
상기에서 코일(12a)에 전류가 흐르면 상기 전자석(12)은 누름버튼(13)을 당기고, 상기 누름버튼(13)이 상기 전자석(12) 측으로 당겨지면 로커(14)가 회전하여 로킹된 시트 벨트(4)의 버클(5)을 해제시킨다.
즉, 승차자가 상기 누름버튼(13)을 수동으로 누르지 않아도 상기 누름버튼(13)이 전자석(12)에 의해 당겨져 승차자가 상기 누름버튼(13)을 수동으로 누르는 것과 같이 작동하므로 버클 로킹수단(10)에 로킹된 시트 벨트(4)는 자동으로 해제된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용 전자식 시트 벨트 자동 풀림장치는 자동차가 물에 빠졌을 때 수압에 의해 수압센서(2)의 스위치 접점(2b)이 작동되면 콘트롤 유닛(1)이 전자석(12)의 코일(12a)에 전류를 공급하여 상기와 마찬가지로 버클 로킹부(10)에 로킹된 시트 벨트(4)를 자동으로 해제시킨다.
또한, 자동차 운행 중 충돌사고가 발생하여 승차자의 보호를 위해 에어백이 퍼지면 에어백 이씨유(3)가 콘트롤 유닛(1)에 에어백 작동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콘트롤 유닛(1)은 상기 에어백 작동정보를 제공받은 다음 전자석(12)의 코일(12a)에 전류를 공급하여 상기와 마찬가지로 버클 로킹부(10)에 로킹된 시트 벨트(4)를 자동으로 해제시킨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용 전자식 시트 벨트 자동 풀림장치는 제어수단이 각종 감지수단의 상태에 따라 버클 로킹수단을 제어하여 자동차의 운행이 완료될 때 또는 승차자가 위험한 상황에 처했을 때 상기 버클 로킹수단에 로킹된 시트 벨트를 자동으로 해제시키기 때문에 승차자의 편리를 도모할 수 있고, 승차자가 사고 후 부상을 당해 자신의 힘으로 착용한 시트 벨트를 풀지 못해도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시트 벨트가 해제되므로 승차자가 위험한 상황에서 벗어나 위기를 모면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2)

  1. 자동차의 운행 완료를 감지하고, 승차자가 위험한 상황에 처했음을 감지하는 다수의 감지수단과; 상기 자동차의 시트 벨트에 부착된 버클을 로킹 및 해제시키는 버클 로킹수단과; 상기 감지수단의 상태에 따라 상기 버클 로킹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버클 로킹수단에 의해 로킹된 상기 버클을 자동으로 해제시키는 제어수단으로 구성된 자동차용 전자식 시트 벨트 자동 풀림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자동차가 물에 빠졌을 때 수압에 의해 작동하는 수압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전자식 시트 벨트 자동 풀림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압센서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 구 안에 스위치 접점이 장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전자식 시트 벨트 자동 풀림장치.
KR2019950020289U 1995-08-07 1995-08-07 자동차용 전자식 시트 벨트 자동 풀림장치 KR01168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0289U KR0116854Y1 (ko) 1995-08-07 1995-08-07 자동차용 전자식 시트 벨트 자동 풀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0289U KR0116854Y1 (ko) 1995-08-07 1995-08-07 자동차용 전자식 시트 벨트 자동 풀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9173U KR970009173U (ko) 1997-03-27
KR0116854Y1 true KR0116854Y1 (ko) 1998-06-01

Family

ID=19420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0289U KR0116854Y1 (ko) 1995-08-07 1995-08-07 자동차용 전자식 시트 벨트 자동 풀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685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9173U (ko) 1997-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42708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the locked or unlocked condition of a seat belt buckle
CN101503093B (zh) 用于基于驾驶员身份控制物体探测的系统与方法
CN102673559B (zh) 用于基于驾驶员身份控制电子稳定性控制的系统和方法
US5851025A (en) Air bag deactivation buckle
WO1995014592A1 (en) Portable motor vehicle safety airbag
US5816611A (en) Arrangement for disconnecting a vehicle airbag
US5892433A (en) Timing circuit for air bag disable switch
KR0116854Y1 (ko) 자동차용 전자식 시트 벨트 자동 풀림장치
GB2289563A (en) Vehicle safety arrangement
US5709404A (en) Air bag system
GB1583443A (en) Vehicle with a seat belt system
KR960008804B1 (ko) 2륜 자동차용 안전벨트 장치
KR200166243Y1 (ko) 안전 벨트 자동 해제 장치
KR200162236Y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 풀림 장치
EP2080678A2 (en) Electronic mechanism for application in automotive vehicles to enforce the use of the safety seat belts
KR19980031402U (ko) 자동차의 안전벨트착용 감지장치
KR910008806Y1 (ko) 안전벨트를 이용한 자동차의 시동 및 경보장치
KR0121026Y1 (ko) 시트 벨트의 경광 램프
JP2510981Y2 (ja) シ―トベルト警報装置の誤動作防止回路
KR20000000698U (ko) 시트 벨트 시스템
KR20000065879A (ko) 자동차 시트벨트의 자동 해제장치
KR19990014050U (ko) 차량용 시트벨트 압박감 감소장치
CA2194852C (en) Air bag system
KR100369546B1 (ko) 차량상태에따른조수석의에어백제어방법
JPS5950840A (ja) シ−トベルトの装着促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