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4935Y1 -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의 틸트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의 틸트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4935Y1
KR0114935Y1 KR2019940031028U KR19940031028U KR0114935Y1 KR 0114935 Y1 KR0114935 Y1 KR 0114935Y1 KR 2019940031028 U KR2019940031028 U KR 2019940031028U KR 19940031028 U KR19940031028 U KR 19940031028U KR 0114935 Y1 KR0114935 Y1 KR 01149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member
hole
bolt
bracket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10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7267U (ko
Inventor
이병훈
Original Assignee
정몽원
만도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원, 만도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원
Priority to KR20199400310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4935Y1/ko
Publication of KR9600172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72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49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49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핸들축 지지고정력을 증대화시키고 가동부재의 조립을 간편용이하게 하면서 조립위치를 임의로 가변조절할 수 있도록한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의 틸트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핸들축(H)을 지지고정하는 브라켓트(1)를 밴드형으로 형성하되 전방 양측에는 결합턱(2)을 형성하여 그 측벽에는 볼트공(3)을 형성하고 상기 볼트공(3)의 전방에는 관통구멍(5)과 기어부(6)를 갖는 가동부재(4)를 긴밀히 접촉하되 관통구멍(5)에는 수개의 돌기(8)를 갖는 부시(7)를 삽입한 상태로 접촉시킨후 외부에서 와셔(9)를 대고 볼트(10)를 체결하여서 된것으로서 브라켓트 강성을 높였으며 조립공수 및 부품수절감으로 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가동부재 위치 변동을 용이하게 함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일반적인 스티어링 컬럼의 틸팅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측면도.
제2도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가동기어의 조립부 분해 사시도.
제3도는 종래의 조립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요부 분해 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조립 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의 가동기어를 위치 변동한 상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브라켓트 2 : 결합턱
3 : 볼트공 4 : 가동부재
5 : 관통구멍 6 : 기어부
7 : 부시 8 : 돌기
9 : 와셔 10 : 볼트
[실용신안의 상세한 설명]
본 고안은 자동차의 운전중 신체조건이나 운전자세에 따라 편안하게 운전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의 틸트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핸들축 지지고정력을 증대화시키고 가동부재의 조립을 간편용이하게 하면서 조립위치를 임의로 가변조절할 수 있도록한 것이다.
일적으로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의 틸팅구조는 제1도에서와 같이 핸들축(H)과 컬럼(C)을 핀(P)에 의해 틸팅(Tilting)되게 결합고정하되 컬럼(C)에는 기어부(a-1)를 갖는 고정부재(a)가 일체로 되고 핸들축(H)에는 기어부(56)를 갖는 가동기어(54)를 틸팅레버에 의해 소정각도 회전가능하게 핀으로 고정한 상태에서 운전자의 신체조건이나, 운전자세에 따라 간편용이하게 틸팅하여 편안한 자세로 운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틸팅구조중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의 지지장치중 고정부재(a)의 기어부(a-1)와 치합 또는 탈리되는 가동부재(54)는 제2도 및 제3도에서와 같이 핸들축(H)을 고정하는 브라켓트(51)를 핸들축(H)의 착탈을 용이하게 말굽형태로 형성한 후 양측벽중앙에 관통구멍(53)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상기 관통구멍(53)에는 내면에 돌기(58)를 구비한 받침부(57), 결합부(57-1) 및 나사산(59)(59')이 일체로된 볼트(60)를 삽입한다.
이때 받침부(57)내면에 구비된 다수의 돌기(58)는 브라켓트(51)외면과 접촉된 상태로 되는 것이다.
상기 상태에서 결합부(57-1)에는 기어부(56)를 갖는 가동부재(54)의 결합공과 끼움 결합한후 일측의 나사산(59)에 너트(61)를 결합하여 가동부재(54)를 회동가능한 상태로 구속하고 타측의 나사산(59')에는 너트(61')를 결합하여 가동부재(54)를 브라켓트(51)에서 위치가 변동됨이 없이 견고히 고정하여서 된 것이다.
그러나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스티어링 컬럼의 핸들축(H) 고정구조는 브라켓트(51)가 말굽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일측의 개구부 형성으로 강도가 저하되는 결점과 가동부재(54)를 결합시 구조가 복잡한 볼트(60)를 사용하여 가동부재(54)를 결합한후 양측에서 너트(61)(61')로 조립 또는 분해하여야 하므로 조립성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가동부재(54)의 고정을 브라켓트(51)의 타이트한 관통구멍(53)에 볼트(60)를 체결고정하므로서 가동부재(54)의 위치를 임의로 변경할 수가 없기 때문에 호환성이 결여되는 문제점등이 야기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핸들축을 고정지지하여 주는 브라켓트를 끼움결합할 수 있는 원형으로 형성하여 핸들축의 조립후 강도를 가일층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 브라켓트를 양측에 가동부재의 위치변동이 원활한 상태로 직고정할 수 있도록하여 강도보강은 물론 조립성을 간편용이하게 하고자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4도 및 제5도에서와 같이 핸들축(H)을 지지고정하는 브라켓트(1)를 밴드형으로 형성하되 전방양측에는 결합턱(2)을 형성하여 그 측벽에 볼트공(3)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볼트공(3)의 전방에는 관통구멍(5)이 형성되고 기어부(6)가 형성된 가동부재(4)를 긴밀히 접촉하되 관통구멍(5)에는 내면에 수개의 돌기(8)가 일체로된 부시(7)를 삽입한 상태로 접촉시킨후 외부에서 와셔(9)를 대고 볼트(10)를 체결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때 부시(7)의 내경은 볼트(10)의 체결부 외경보다 다소 크게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가동부재(4)는 부시(7)의 외주면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사태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밴드형으로된 브라켓트(1)전방 양측의 결합턱(2)에 볼트공(3)을 중심으로 기어부(6)를 갖는 가동부재(4)의 관통구멍(5)에 부시(7)를 삽입하여 긴밀히 접촉시킨후 상기 볼트공(3)에 와셔(9)를 댄상태로 볼트(10)를 체결하면 부지(7) 내면에 다수개 형성된 돌기(8)가 와셔(9)를 댄상태로 볼트(10)를 체결하면 부시(7)내면에 다수개 형성된 돌기(8)가 브라켓트(1)에 박힌 상태가 되면서 부시(7)와 볼트(10)는 브라켓트(1)상에서 유동됨이 없이 고정된 상태가 되고 가동부재(4)는 부시(7)의 외주연을 따라 회동이 자유롭게 되어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동작원리로 컬럼(C) 일측에 고정된 고정부재(a)의 기어부(a-1)와 가동부재(4)의 기어부(6)가 서로 치합 또는 탈리되면서 틸팅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가동부재의 조립위치 변경시에는 볼트(10)를 풀어 제6도에서와 같이 부시(7)의 내경만큼 이동하여 볼트(10)를 재조립하면 전자와 동일하게 견고히 고정완료되어 호환성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핸들축을 지지고정하는 브라켓트를 밴드형으로 형성한 후 결합턱측에서 부시를 압입한 가동부재를 외측에서 볼트를 간편용이하게 체결고정하여 조립완료하므로서 핸들축을 지지고정하는 브라켓트의 강성을 가일층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 조립공구 절감 및 부품수의 절감으로 원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고 가동부재의 위치이동을 간편용이하게 하여 호환성을 높일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핸들축(H)을 지지고정하는 브라켓트(1)를 밴드형으로 형성하되 전방 양측에는 결합턱(2)을 형성하여 그 측벽에는 볼트공(3)을 형성하고 상기 볼트공(3)의 전방에는 관통구멍(5)과 기어부(6)를 갖는 가동부재(4)를 긴밀히 접촉하되 관통구멍(5)에는 수개의 돌기(8)를 갖는 부시(7)를 삽입한 상태로 접촉시킨후 외부에서 와셔 (9)를 대고 볼트(10)를 체결하여서 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의 틸트지지장치
KR2019940031028U 1994-11-23 1994-11-23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의 틸트 지지장치 KR01149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1028U KR0114935Y1 (ko) 1994-11-23 1994-11-23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의 틸트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1028U KR0114935Y1 (ko) 1994-11-23 1994-11-23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의 틸트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7267U KR960017267U (ko) 1996-06-17
KR0114935Y1 true KR0114935Y1 (ko) 1998-04-20

Family

ID=19398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1028U KR0114935Y1 (ko) 1994-11-23 1994-11-23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의 틸트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493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2395A (ko) * 2014-06-12 2015-12-22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의 조향 컬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2395A (ko) * 2014-06-12 2015-12-22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의 조향 컬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7267U (ko) 1996-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25380B2 (en) Power telescopic type steering column
CA2131152C (en) Angular adjustment mechanism
US5704726A (en) Ball-and-socket joint
KR100245685B1 (ko) 자동차의 스테이빌라이저 바아 고정구조
KR0114935Y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의 틸트 지지장치
CN111516748B (zh) 转向系统及车辆
JP3120385U (ja) 自動車用ホイール
JPH10264828A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2001163281A (ja) 車両の計器盤取付構造
JP2009149228A (ja) ステアリング装置
KR100402683B1 (ko) 틸트와텔레스코픽의스티어링칼럼구조
JPH0443421Y2 (ko)
CN216070180U (zh) 电动助力转向器总成的减速器和电动助力转向器总成
JP3317077B2 (ja) チルト式ステアリング用揺動支持装置
JPH0241080Y2 (ko)
KR200181789Y1 (ko) 자동차의 로어암 취부구조
KR0134443Y1 (ko) 자동차용 너클의 볼 조인트 장착구조
KR100814756B1 (ko) 자동차의 전동 틸트 조향장치
KR100577861B1 (ko) 자동차의 스티어링 기어박스 마운팅구조
KR20080004084A (ko) 샤프트의 연결핀
JP2816468B2 (ja) 変速機のシフトレバー支持装置
KR960010556Y1 (ko) 자동차의 핀-레버식 틸팅핸들
JP2543183Y2 (ja) 車両用アシストグリップ
KR20030030618A (ko)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의 틸팅 장치
JPS62178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1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