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0618A -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의 틸팅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의 틸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0618A
KR20030030618A KR1020010062841A KR20010062841A KR20030030618A KR 20030030618 A KR20030030618 A KR 20030030618A KR 1020010062841 A KR1020010062841 A KR 1020010062841A KR 20010062841 A KR20010062841 A KR 20010062841A KR 20030030618 A KR20030030618 A KR 200300306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ting
bracket
hinge
steering column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2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010062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30618A/ko
Publication of KR20030030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061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7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with tilt adjustment; with tilt and axial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의 틸팅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틸팅 힌지부의 체결구조를 개선하여 부품원가가 절감되고, 조립성이 향상되어 조립원가가 절감되는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의 틸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방은 힌지볼트(11)에 내면이 나사체결되고, 다른 일방은 외면은 레버브라켓(6)에 형성된 통공(10)에 접하며 내면은 힌지 볼트(11)에 입부분이 접하게 형성된 락너트(15)를 구비함으로서 달성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의 틸팅 장치{TILTING DEVICE OF STEERING COLUMN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의 틸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틸팅 힌지부의 체결 부품을 일체화하여 단품원가가 절감되고, 조립성이 향상되어 조립원가가 절감되는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의 틸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은 조향휠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차량의 휠에 전달해줄 수 있도록 운전석의 내부에 설치되며, 이 스티어링 칼럼에는 운전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조향휠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틸팅 장치가 설치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의 틸팅 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위한 예시도이고, 도 2는 종래 틸팅 장치의 틸팅 힌지부를 보이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어링 칼럼(1)의 내부에는 스티어링 컬럼(1)의 수축에 따라 연동되며 이와 함께 굴절가능하도록 중간 일측에 유니버셜 조인트를 채용한 조향축(2)이 설치된다.
한편, 스티어링 컬럼(1)을 차체에 고정시켜주는 마운팅 브라켓(3)의 하측에는 유니버셜 조인트에 의해 상측부분이 하측부분에 대해 임의의 각도로 굴절되는 조향축(2)과 스티어링 컬럼(1)을 지지해줄 수 있도록 틸팅 장치(4)가 설치된다.
이 틸팅 장치(4)에는, 중간측이 마운팅 브라켓(3)에 고정되며 양측면을 하향으로 절곡형성된 금속판으로 형성되되 그 내부 상측으로는 스티어링 컬럼(1)이 배치되고 마운팅 브라켓(3)의 하측에 고정 설치되는 틸팅 브라켓(5)과, 레버에 연동되며 틸팅 브라켓(5) 외면에 밀착되는 레버 브라켓(6)이 설치되고, 이 틸팅 브라켓(5)과 레버 브라켓(6)의 측면을 관통하여 틸팅 힌지부(7)가 형성되는 것이다.
즉, 틸팅 힌지부(7)는 아우터 튜브(8)의 양측으로 원통형의 힌지 체결부(9)를 형성하고, 레버 브라켓(6)과 틸팅 브라켓(5)의 양측으로 통공(10)을 형성한 후, 힌지 체결부(9)와 통공(10)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힌지 볼트(11)를 체결하는 것이다.
이때, 힌지 볼트(11)는 원통형 머리부(11a)와, 통공(10)에 끼워지되 소정구간 원주홈이 형성된 몸체부(11b)와, 몸체부(11b)의 끝단에 형성된 나사부(11c)로 이루어지며, 머리부(11a)는 힌지 체결부(9)의 내경에 꼭맞게 끼워지고 몸체부(11b)는 통공에 끼워진다.
한편, 몸체부(11b)와 레버브라켓(6)의 통공(10)사이에 레버 브라켓(6)의 위치고정 내지 원할한 회전을 위해 소결품인 평와셔(14)를 끼우고, 레버 브라켓(6)의 위치를 고정한후 나사부(11c)에 너트(13)를 체결하는 것이다.
그러나, 위와 같이 종래의 틸팅 힌지부를 체결하는데 있어, 너트와 소결품인 평와셔가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의 조립공정이 필요하여 조립성이 저하되어 조립원가가 증가하고, 부품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의 틸팅 장치에서 틸팅 힌지부의 체결구조를 개선하여 단품원가가 절감되고, 조립성이 향상되어 조립원가가 절감되는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의 틸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종래의 틸팅 힌지부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틸팅 힌지부에 구비되는 볼트, 평와셔, 너트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틸팅 힌지부를 보인 단면도.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락너트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스티어링 칼럼 2:조향 샤프트
3:마운팅 브라켓 4:틸팅 장치
5:틸팅 브라켓 6:레버 브라켓
7:틸팅 힌지부 8:아우터 튜브
9:힌지 체결부 10:통공
11:힌지 볼트 13:너트
14:평와셔 15:락너트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 하기위한, 본 발명은, 레버 브라켓과 틸팅 브라켓의 양측으로 통공을 형성한 후 원통형의 힌지 체결부로부터 통공으로 나오는 힌지 볼트를 체결하여 이 힌지볼트를 지점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의 틸팅 장치에 있어서, 일방은 힌지 볼트에 내면이 나사체결되고, 다른 일방은 외면은 레버 브라켓에 형성된 통공에 접하며 내면은 힌지 볼트의 일부분과 접하게 형성된 락너트를 구비함으로서 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의 틸팅 장치에 대해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의 틸팅 장치를 설명하는데 있어 종래의 기술분야 및 종래기술과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며 그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틸팅 장치(4)에는 중간측이 마운팅 브라켓(3)에 고정되며 양측면을 하향으로 절곡형성된 금속판으로 마련되되 그 내부 상측으로는 스티어링 컬럼(1)이 배치되고 마운팅 브라켓(3)의 하측에 고정 설치되는 틸팅 브라켓(5)과, 레버에 연동되며 틸팅 브라켓(5) 외면에 밀착되는 레버 브라켓(6)이 설치되며, 이 틸팅 브라켓(5)과 레버 브라켓(6)의 측면을 관통하여 틸팅 힌지부(7)가 형성되는 것이다.
즉, 틸팅 힌지부(7)는 아우터 튜브(8)의 양측으로 원통형의 힌지 체결부(9)를 형성하고, 레버 브라켓(6)과 틸팅 브라켓(5)의 양측으로 통공(10)을 형성한 후,힌지 체결부(9)와 통공(10)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힌지 볼트(11)를 체결하는 것이다.
이때, 힌지 볼트(11)는 원통형 머리부(11a)와, 통공(10)에 끼워지되 소정구간 원주홈이 형성된 몸체부(11b)와, 몸체부(11b)의 끝단에 형성된 나사부(11c)로 이루어져, 머리부(11a)는 힌지 체결부(9)의 내경에 꼭맞게 끼워지고 몸체부(11b)는 통공(10)에 꼭맞게 끼워지며, 이 몸체부(11b)의 외측 일부분과 나사부(11c)에는 락너트(15)가 체결된다.
즉, 이 락너트(15)는 도 3에 도시된 너트(13)와 평와셔(14)를 일체화 시킨 형상으로, 일방은 힌지 볼트(11)에 형성된 나사부(11c)에 그 내면이 나사체결되고, 다른 일방은 외면은 레버 브라켓(6)에 형성된 통공(10)에 접하며 내면은 힌지 볼트(11)에 형성된 몸체부(11b)에 접하게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위와 같이 형성 구비된 락너트(15)를 힌지 체결부(9)와 통공(10)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조립되는 힌지 볼트(11)에 체결만 하면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의 틸팅장치에서 틸팅 힌지부에 구비되는 너트와 평와셔를 일체화 함으로서, 제작이 용이하고, 조립공정이 단순화되어 제조원가가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양측면을 하향으로 절곡형성된 틸팅 브라켓(5)과, 상기 틸팅 브라켓(5)의 외면과 일부내면이 접하게 형성된 레버 브라켓(6)과, 상기 틸팅 브라켓(5)과 상기 레버 브라켓(6)이 서로 접하는 면이 관통되도록 형성된 통공(10)과, 상기 통공(10)을 통과하며 체결되는 힌지 볼트(11)를 지점으로 회동되는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의 틸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힌지 볼트(11)의 선단측에는 이에 체결될 수 있도록 일방의 내면에 나사가 형성되고 타방에는 상기 레버 브라켓을 관통하며 상기 틸팅 브라켓과 밀착되도록 돌출형성되는 락너트(15)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의 틸팅 장치.
KR1020010062841A 2001-10-12 2001-10-12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의 틸팅 장치 KR200300306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2841A KR20030030618A (ko) 2001-10-12 2001-10-12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의 틸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2841A KR20030030618A (ko) 2001-10-12 2001-10-12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의 틸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0618A true KR20030030618A (ko) 2003-04-18

Family

ID=29564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2841A KR20030030618A (ko) 2001-10-12 2001-10-12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의 틸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3061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0674B1 (ko) * 2008-07-09 2014-02-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조향 장치의 균일한 탄성 변위 유도 형 측면 틸트레버 앗세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0674B1 (ko) * 2008-07-09 2014-02-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조향 장치의 균일한 탄성 변위 유도 형 측면 틸트레버 앗세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0646B1 (ko) 접힘식 루프마운트안테나의 회동축착부 구조
US6705660B2 (en) Windshield wiper assembly
JPH10267084A (ja) 防振装置
US5921147A (en) Steering wheel mounting assembly
WO2002031367A2 (en) Steel washer integral with nut/cap assembly
JP3260269B2 (ja) ステアリング用ボールジョイント
US5778734A (en) Fastening structure
KR20030030618A (ko)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의 틸팅 장치
JP2002337663A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の取付構造
JPH1059206A (ja) ステアリングのジョイント装置
JP2004067034A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
JPH10258622A (ja) サスペンションボールジョイントの取付構造
JP3671194B2 (ja) コントロールレバーの固定機構
JPH08295116A (ja) 車両用スタビライザの連結装置
KR0114935Y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의 틸트 지지장치
JP2563559Y2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の支持装置
KR100577861B1 (ko) 자동차의 스티어링 기어박스 마운팅구조
JP3228070B2 (ja) 自動車のドアガラス取付構造
JP2006062497A (ja) シフトレバー装置
KR200287825Y1 (ko) 베어링 장착구조를 갖는 차량용 보조핸들
KR100380394B1 (ko)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장착구조
JP3892155B2 (ja) 防振マウントの取付構造
JPH0885403A (ja) バンパ取付構造
KR20010047806A (ko) 자동차의 스티어링 기어박스용 체결구조
JPH0623493Y2 (ja) 車両用トグルブレー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