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3748Y1 - 샤아프 펜슬 - Google Patents

샤아프 펜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3748Y1
KR0113748Y1 KR2019950004485U KR19950004485U KR0113748Y1 KR 0113748 Y1 KR0113748 Y1 KR 0113748Y1 KR 2019950004485 U KR2019950004485 U KR 2019950004485U KR 19950004485 U KR19950004485 U KR 19950004485U KR 0113748 Y1 KR0113748 Y1 KR 01137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outer cylinder
stopper hole
chuck
flexible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44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0760U (ko
Inventor
히데헤이 가게야마
Original Assignee
가게야마 도시히코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윤휘정
수한양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게야마 도시히코,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윤휘정, 수한양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가게야마 도시히코
Priority to KR20199500044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3748Y1/ko
Publication of KR9600307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076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37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37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2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 B43K21/16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with stepwise feed of writing-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2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 B43K21/22Writing-cores gripping means, e.g. chucks

Landscapes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치구없이도 간단히 조립할 수 있는 슬리이브가 갖춰지면서 쿠션작용도 갖게 되는 샤아프 펜슬에 관한 고안으로서, 외통(10)과, 이 외통(10)에 내장되고서 앞끝부위에 척(16)이 갖춰진 필심파이프(12), 상기 척(16)의 바깥쪽에 끼워지는 척링(22), 이 척링(22)의 뒷 끝에 닿아 외통(10)에 대해 미끄럼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된 슬리이브(24) 및 이 슬리이브(24)와 상기 필심파이프(12)사이에 끼워지는 스프링(26)을 구비하고서, 상기 슬리이브(24)에 직경방향 바깥쪽으로 넓이가 넓혀지도록 된 복수의 가요편(24a)이 설치되면서 이들 가요편(24a)의 일부가 외통(10)의 내벽에 형성된 스토퍼구멍(10c)에 삽입됨과 더불어 가요편(24a)의 외면에 스토퍼구멍(10c)의 뒷가장리부위(10d)와 접촉하는 경사부(24b)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샤아프 펜슬
제1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종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요부확대도.
제3도는 제1도서의 외통을 축을 중심으로 90°회전시킨 상태의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Ⅳ-Ⅳ선 단면도.
제5도는 제1도에서의 슬리이브의 단면도(제6도의 Ⅴ-Ⅴ선 단면도이기도 함).
제6도는 제5도를 화살표 Ⅳ쪽에서 본 도면.
제7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외통 10c : 스토퍼구멍
10d : 스토퍼구멍의 뒷가장자리부위 10e : 안내홈
12 : 필심파이프 16 : 척
22 : 척링 24 : 슬리이브
24a : 가요편 24b : 경사부
24c : 계단부 24d : 수직면
26 : 스프링 30 : 외통
30a : 스토퍼구멍
본 고안은 샤아프 펜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필기시에 과대한 필압이 필심에 작용했을 때 필심을 외통내로 퇴몰시켜 필심이 부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쿠션작용을 하도록 된 샤아프 펜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와 같은 샤아프 펜슬로서는 일본국 실용신안등록출원 평3-40633호에 기재된 것을 들 수 있는바, 이 샤아프 펜슬은, 외통에 내장되고서 앞끝부위에 척을 갖춘 필심파이프와, 이 척의 바깥쪽에 끼워지는 척링, 이 척링의 뒷 끝에 닿아 외통에 대해 미끄럼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된 슬리이브, 이 슬리이브와 필심파이프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을 구비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여기서 상기 슬리이브에는 축방향으로 쉽게 신축될 수 있는 쿠션부가 갖춰지면서, 이 쿠션부의 뒤쪽부위 일부에 외통의 스토퍼구멍 또는 내벽계단부에 걸려지는 복수의 걸림돌기가 갖춰지게 된다. 또한 상기 쿠션부에는 원통형 상부재의 측면에 복수의 구멍이 뚫려져 있어서, 이 구멍을 이용해서 축방향으로 쉽게 신축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슬리이브는, 걸림돌기가 외통에 걸려진 상태에서는 자신이 갖는 탄발력으로 축방향 앞쪽으로 압압되어져 있게 되나, 필기시에는 필심에 과대한 필압이 작용할 때에는 축방향 뒷쪽으로 압축되어져 필심이 외통내로 퇴몰되도록 하므로써 필심이 부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쿠션작용을 하게 된다.
한편 이 슬리이브를 외통에다 조립할 때에는, 외통의 뒷끝으로부터 슬리이브를 삽입하고서 걸림돌기가 스토퍼구멍에 걸려지도록 하면 조립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샤아프 펜슬에서는, 조립할 때 걸림돌기가 외통의 스토퍼구멍위치에 도달할 때까지는 직경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한 걸림돌기가 직경방향안쪽으로 압축되도록 한 상태로 외통내로 이동시켜야만 하고, 그에 따라 걸림돌기가에 걸려지는 마찰력이 커서 치구(治具) 없이는 삽입하기가 곤란하다는 것이 문제로 되고, 그 때문에 조립시에 품이 많이 들어 생산성이 나쁘다고 하는 문제가 있게 된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치구 없이도 간단히 조립할 수 있는 슬리이브가 갖춰지고서 쿠션작용도 할 수 있도록 된 샤아프 펜슬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외통과, 이 외통에 내장되어 그 앞끝부위에 척을 갖춘 필심파이프, 척의 바깥쪽에 끼워지는 척링, 이 척링의 뒷 끝에 닿아 외통에 대해 미끄럼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된 슬리이브 및, 이 슬리이브와 필심파이프사이에 끼워지는 스프링을 구비한 샤아프 펜슬에 있어서, 상기 슬리이브에 직경방향 바깥쪽으로 갈수록 복수의 가요편이 넓혀지도록 설치되고서, 이들 복수의 가요편의 일부가 외통의 내벽에 형성된 스토퍼구멍에 삽입됨과 더불어 가요편의 외면에 스토퍼구멍의 뒷가장리부위와 접촉하는 경사부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가요편에는 상기 경사부의 바깥쪽 끝부위에 인접해서 상기 스토퍼구멍의 뒷가장리부위의 벽면과 대략 평행하는 수직면을 갖는 계단부를 형성시키면 좋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하면, 필기시에 필심에 과대필압이 작용했을 때에는, 축방향 바깥쪽으로 넓이가 넓혀진 가요편이 직경방향안쪽으로 휘어져, 가요편의 외면에 형성된 경사부가 외통의 스토퍼구멍의 뒷가장리부위에 대개 변위되어져, 결과적으로 슬리이브가 축방향 뒤쪽으로 변위되어 필심을 외통내로 퇴몰시키게 되므로써 필심이 부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또 슬리이브를 외통에다 조립할 때에는 외통의 뒷쪽으로부터 슬리이브를 삽입하게 되는 바, 이 때 직경방향 바깥쪽으로 넓혀진 가요편이 간단히 안쪽으로 휘어지기 때문에 저항이 없어지게 되므로, 치구가 없이도 간단히 삽입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가요편에 계단부가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슬리이브가 축방향 뒷쪽으로 변위되어져 있더라도 계단부가 스토퍼구멍의 뒷가장리부위의 벽면에 닿은 곳에서 슬라이브의 축방향변위를 억지하여 슬리이브가 그 이상 후퇴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가요편이 스토퍼구멍에서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여, 쿠션작용이 작용하지 않을 때에도 슬리이브를 원래의 위치로 확실하게 복귀시킬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외통의 내벽에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도, 슬리이브를 조립할 때 확실하게 슬리이브의 가요편을 스토퍼구멍에다 삽입할 수가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종단면도로 도시한 것이고, 제2도는 제1도의 요부단면도인 바, 도면에서 참조부호 10은 외통으로서 이 외통(10)이 앞쪽부위가 외측과 내측이 2중 동심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면서, 그 내측이 앞쪽방향으로 뻗어 샤아프 펜슬의 앞쪽부분(10a)을 이루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2중중심구조의 원통부재 사이에 이루어지는 공간(10b)의 뒷끝에는 외통(10)의 중심구멍과 연통되어져 뒤에 설명되는 슬리이브의 가요편이 삽입되는 스토퍼구멍(10c)이 180˚간격으로 2개가 형성되어 있다(제4도 참조). 그리고 이 2중동심구조를 채용하는 것은 성형으로 스토퍼구멍(10c)을 형성시키기 위해서이지만, 외통(10)을 성형한 다음 구멍을 뚫어 스토퍼구멍을 형성시켜도 좋다. 또 외통(10)의 내벽에는 각 스토퍼구멍(10c)에 대응해서 안내홈(10e)이 축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제3도 참조).
또한 상기 외통(10)에는 필심파이프(12)가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내장되어 있는 바, 이 필심파이프(12)는, 필심케이스(14)와 이 필심파이프(12)의 앞쪽에 연결되는 척(16)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 필심파이프(12)의 뒷끝에는 녹크부(18)가 착탈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바, 이 녹크부(18)의 뒷끝에는 지우개고무(20)가 착탈될 수 있도록 장착되게 된다. 척(16)의 바깥쪽에는 척링(22)이 끼워지면서 슬리이브(24)가 이 척링(22)이 뒷끝에 닿도록 설치되어 있고, 또 이 슬리이브(24)의 앞쪽끝내부와 필심파이프(12)의 필심케이스(14) 앞끝사이에는 스프링(26)이 끼워져 필심파이프(12)를 외통(10)에 대해 뒤쪽으로 밀어부치도록 되어 있는 바, 이들 척(16)과 척링(22) 및 스프링(26)으로 공지의 필심송출기구가 구성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참조부호 28은 외통(10)의 앞끝에서 돌출된 필심(L)을 보유지지하는 필심안내파이프이다.
제5도 및 제6도는 제1도에서의 슬리이브(24)의 단면도와 제5도에서 화살표방향으로 본 도면인 바, 이들 도면에 상세히 도시되어져 있듯이, 슬리이브(24)에는 그 뒷부위에 가요편(24a)이 180˚간격으로 2개가 갖춰져 있고, 이들 가요편(24a)은 직경방향바깥쪽으로 갈수록 넓이가 넓혀져 있고, 가요편(24a)의 외면에 경사부(24b)가 형성됨과 더불어 이 경사부(24b)의 바깥쪽 정수리부위에 인접해서는 계단부(24c)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계단부(24c)는 조립되어진 상태에서 상기 외통(10)의 스토퍼구멍(10c)의 벽면과 대체로 평행하도록 세워진 수직면(24d)을 갖고 있다.
제2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각 가요편(24a)의 일부는 각 스토퍼구멍(10c)속으로 삽입되어져 경사부(24b)가 스토퍼구멍(10c)의 뒷가장자리부위(10d)와 접촉한 상태로 가요편(24a)이 바깥쪽으로 벌어지는 것이 억제되어 걸려지도록 되어 있다. 슬리이브(24)를 외통(10)에다 조립할 때에는, 외통(10)의 뒷끝으로부터 슬리이브(24)를 삽입하게 되는 바, 이 때 가요편(24a)이 직경방향 바깥쪽으로 벌어지도록 하는 힘에 대항해서 안쪽으로 휘어지면서 외통(10)의 내벽을 따라 미끄러져가게 되지만, 가요편(24a)의 가요성을 가지고서 직경방향으로 자유로이 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직경방향으로 거의 휘어지지 않는 걸림돌기를 압축시키도록 된 것과는 달리 치구 없이도 간단히 삽입할 수가 있게 된다. 또 안내홈(10e)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확실하게 가요편(24a)을 스토퍼(10c)로 유도할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슬리이브(24)가 외통(10)의 내면과 닿는 곳에서 정지하고, 가요편(24a)이 가 경사부(24b)가 스토퍼구멍(10c)의 뒷가장리부위(10d)에 접촉할 때까지 바깥쪽으로 벌려져 걸려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슬리이브(24)와 외통(10)의 스토퍼(10c)사이에 약간의 칫수오차가 있는 경우라도 가요편(24a)이 넓혀지는 정도에 따라 칫수오차가 흡수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제1실시예 샤아프 펜슬은, 필기를 할 때 필심(L)에 과대필압이 작용하면 필심(L)을 보유지지하는 척(16)을 가진 필심파이프(12)와 함께 척링(22)과 슬리이브(24)가 뒤쪽으로 밀려져 슬리이브(24)의 가요편(24a)이 직경방향 안쪽으로 휘어져, 경사부(24b)가 외통(10)의 스토퍼구멍(10c)의 뒷가장리부위(10d)에 대해 변위되어져, 결과적으로 슬리이브(24)가 축방향 뒷쪽으로 변위되므로써 필심(L)을 외통(10)내로 퇴몰시켜 필심이 부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쿠션작용을 할 수가 있게 된다.
또 슬리이브(24)가 축방향뒷쪽으로 변위되어져 있으면 계단부(24c)의 수직면(24d)이 스토퍼구멍(10c)의 뒷가장리부위(10d)의 벽면에 닿는 곳에서 슬리이브(24)가 축방향으로 변위되는 것을 막아 슬리이브(24)가 더 이상 후퇴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가요편(24a)이 스토퍼구멍(10c)으로부터 탈락하는 것이 방지되게 되어, 쿠션작용이 작용하지 않을 때에도 슬리이브(24)를 원래의 위치로 확실하게 복구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 슬리이브(24)의 앞끝에서부터 스토퍼구멍(10c)의 뒷가장리부위(10d)까지의 거리를 a로 하고, 슬리이브(24)의 앞끝에서부터 수직면(24d)까지의 거리를 a'로 하면 a' < a가 성립되고 그 차이 a-a'가 쿠션값으로 된다.
제7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인 바, 본 제2실시예는, 외통(30)을 제1실시예와 같은 2중중심구조로 하는 대신 외통(30)에 관통구멍(30a)을 형성시켜 스토퍼구멍이 되도록 한 것만 다르고, 기타의 모든 구조 및 작용도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각 실시예에 의하면, 슬리이브의 가요편의 직경방향변위가 경사부에 의해 축방향으로의 변위로 변환되어지게 되므로써 과대필압이 작용할 때의 쿠션작용을 갖도록 하는 구조가 채용되고 있고, 그 때문에 슬리이브를 외통내에다 삽입할 때 가요편이 간단히 안쪽으로 휘어져 저항이 없어지게 되므로 치구없이도 삽입할 수가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슬리이브의 직경방향바깥쪽으로 넓이가 넓혀지도록된 복수의 가요편이 설치되고서, 이들 복수의 가요편의 일부가 외통의 내벽에 형성된 스토퍼구멍에 삽입됨과 더불어 가요편의 외면에 상기 스토퍼구멍의 뒷가장자리부위와 접촉하는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필기시에 과대 필압이, 작용할 때 필심을 외통내로 퇴몰시켜 필심이 부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쿠션작용을 할 수가 있게 됨과 더불어, 치구 없이도 간단히 슬리이브를 외통내에 조립할 수가 있게 된다.

Claims (3)

  1. 외통(10,30)과, 이 외통(10,30)에 내장되고서 앞끝부위에 척(16)을 갖춘 필심파이프(12), 이 척(16)의 바깥쪽에 끼워지는 척링(22), 이 척링(22)의 뒷 끝에 닿아 외통(10,30)에 대해 미끄럼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된 슬리이브(24) 및 이 슬리이브(24)와 상기 필심파이프(12)사이에 끼워지는 스프링(26)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샤아프 펜슬에 있어서, 상기 슬리이브(24)에 직경방향으로 넓이가 넓혀진 복수의 가요편(24a)이 설치되고서, 이들 복수의 가요편(24a)의 일부가 외통(10,30)의 내벽에 형성된 스토퍼구멍(10c)에 삽입됨과 더불어, 가요편(24a)의 외면에 상기 스토퍼구멍(10c)의 뒷가장리부위와 접촉하는 경사부(24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아프 펜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편(24a)에 상기 경사부(24b)의 바깥쪽 끝부위에 인접해서 상기 스토퍼구멍(10c)의 뒷가장자리부위의 벽면과 대체로 평행하게 세워진 수직면을 가진 계단부(24c)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아프 펜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10,30)의 내벽에 상기 슬리이브(24)의 가요편(24a)을 상기 스토퍼구멍(10c)으로 유도하기 위한 안내홈(10e)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아프 펜슬.
KR2019950004485U 1995-03-15 1995-03-15 샤아프 펜슬 KR01137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4485U KR0113748Y1 (ko) 1995-03-15 1995-03-15 샤아프 펜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4485U KR0113748Y1 (ko) 1995-03-15 1995-03-15 샤아프 펜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0760U KR960030760U (ko) 1996-10-22
KR0113748Y1 true KR0113748Y1 (ko) 1998-04-15

Family

ID=19409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4485U KR0113748Y1 (ko) 1995-03-15 1995-03-15 샤아프 펜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374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0760U (ko) 1996-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09533A (en) Propelling pencil with cushion sleeve
JP4705428B2 (ja) 自動式シャープペンシル及びその組立方法
JP3323022B2 (ja) シャープペンシル
KR102572065B1 (ko) 샤프펜슬 유닛 및 그 샤프펜슬 유닛을 구비한 필기구
KR0113748Y1 (ko) 샤아프 펜슬
US3260241A (en) Writing tool
JP4704886B2 (ja) 出没式筆記具
US5004364A (en) Device for advancing and retracting writing element in writing instrument
JP6765347B2 (ja) シャープペンシル用ユニット及びこのシャープペンシルユニットを用いた筆記具
JP2008036919A (ja) 複式筆記具
US5662424A (en) Mechanical pencil
KR100227962B1 (ko) 필기구
CN114714794B (zh) 自动铅笔
KR102299962B1 (ko) 볼펜 팁 및 그 볼펜 팁을 구비한 필기구
US4165941A (en) Mechanical pencil
JP2010105172A (ja) ノック式の加圧筆記具
JP6612082B2 (ja) 複式筆記具
JP4213318B2 (ja) 複式筆記具
KR880003397Y1 (ko) 샤아프 펜슬
JP7165571B2 (ja) 出没式筆記具
JP7219600B2 (ja) シャープペンシルユニット及び出没式筆記具
JP6625172B2 (ja) 多芯式筆記具
JP4463367B2 (ja) 複式筆記具
KR870002713Y1 (ko) 샤아프 펜슬
JP2023035916A (ja) 出没式筆記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02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