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3271Y1 - 액체 포장 용기 - Google Patents
액체 포장 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13271Y1 KR0113271Y1 KR2019950035854U KR19950035854U KR0113271Y1 KR 0113271 Y1 KR0113271 Y1 KR 0113271Y1 KR 2019950035854 U KR2019950035854 U KR 2019950035854U KR 19950035854 U KR19950035854 U KR 19950035854U KR 0113271 Y1 KR0113271 Y1 KR 011327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 liquid
- storage container
- packaging container
- boss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누수를 방지시키고 부품수를 절감시켜서 제품 단가를 낮추도록 한 액체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원통형 몸체와 몸체 내주연에 결합 홈을 가지도록 그 중앙에 형성된 원통형 돌출보스와, 돌출보스의 외주연에 대응되는 몸체에 형성된 유출구멍과, 돌출보스의 일부를 변형시켜 포장용기 내에 액체를 유출구멍을 통해 외부로 유출시키기 위해 돌출보스 일면에 돌출 형성된 누름돌기가 구성되는 액체포장용기를 구비하므로 누수를 방지시키고 부품수가 감소되어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제1도는 본 고안의 액체 포장 용기의 부분 발췌 분리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결합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정관 1a : 고정공
2 : 저장용기 2a : 결합공
10 : 결합캡 11 : (결합캡의)몸체
12 : 돌출 보스 13 : 결합 홈
14 : 변형부 15 : 유출구멍
16 : 누름 돌기
본 고안은 액체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누수가 방지되고 부품수가 감소되어 제품단가를 절감 할 수 있도록 한 액체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포장용기는 일본 공개 실용신안 공보(소화 64-17926)가 소개 된 바 있으나, 이러한 종래의 액체용기는 덮개부의 주출부가 외주의 하부로부터 돌출 된 사각 정면판의 주연부에 가접 된 포대의 일단을 주출구 와는 역방향으로 접합하고, 그 포대에 액체를 수용해서 타단을 폐쇄한 용기 본체와, 정면판 보다 외형이 주변 보다 큰 정면판과 배면판이 좌우의 배면판을 개재시켜 대접하는 육면체로 하고, 용기본체를 내포해서 조립되는 종이 용기로 되어 용기본체의 주출구는 정면판의 근접한 기부 외주에 환상구를 구비하며, 또 종이용기의 정면판에는 정면판의 주출구에 대응한 주출구의 환상구의 상반 둘레가 개합되는 터널형의 하부 주연으로 개통한 터널형의 절차홈을 설치하고, 또 저면판은 정면판의 이면 하부로부터 중첩되는 연장판을 구비하며, 그 연장판에도 정면판의 주출구에 대응한 위치로 환상구의 하반 둘레에 계합되도록 상부 테두리로 개통한 터널형 절차홈을 설치하여 되는 것이다.
그러한 종래의 액체 용기는 주출구가 단순히 나선형에 의해 결합 되는 마개로 주출구를 막아주고 있게 되어 있어 액체의 내용물이 상기의 나선부를 타고 흘러 외부로 흐르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액체 포장용기(92년 실용신안 등록 출원 제15871호)가 선 출원되었는바, 이는 지지용기의 일측면 하단부에 소정의 크기를 같고 상면을 제외한 3면에 절결선을 구성하여 이에 의해 지지용기와 부착되어 주출부재가 지지용기 하단 일측에 각각 구성된 결합공에 내측으로부터 끼워지는 고정공이 구비된 고정관과, 포장용기의 외부로부터 고정관에 끼워져 결합되는 삽입관을 구성하고 삽입관을 구성하고, 삽입관의 선단부에 이와 일체로 한 상태에서 하단 소정위치에 배출공이 구비되고, 외주 연에 안내홈이 구비된 연결관을 구성하며, 삽입관과 연결관의 사이에 소정의 크기로 하여 사용시 포장용기의 외면에 걸릴수 있도록 하는 지지체로 구성되는 주출부와, 연결관이 삽입되어 배출공을 개폐시켜 주는 개폐용 관을 구성하고, 개폐용관의 선단부에 연결관을 씌워주도록 한 상태에서 개폐용관을 회전시켜 주는 조절손잡이를 구성하며 이의 내주면에 안내홈에 끼워져 이를 따라 개폐용관이 전, 후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안내돌기로 구성되는 개폐부로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포장용기를 구비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액체포장용기는 주수는 비교적 방지되나, 액체포장용기에 지지편을 형성시키고 주출부와 개폐부를 구비하여 고정관에 결합, 설치하므로 다수의 부품들을 형성시킴에 따른 작업공수의 증가 및 원가상승의 원인이 되었다.
상술한 문제를 감안하여 본 고안의 목적은 고정관과 결합캡과의 밀폐가 확실하여 누수가 방지되고 부품수가 감소되어 원가를 절감 할 수 있도록 한 액체포장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액체포장용기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육면체 형상의 지지용기 내부에 내장된 상태에서 액체의 내용물이 담기도록 하여 내용물이 세지 않도록 이중으로 된 저장용기와 상기 저장용기 하단 일측에 각각 구성된 결합공 내측으로부터 끼워지는 고정공이 구비된 고정관으로 이루어진 액체포장용기에 있어서, 원통형 몸체와 상기 몸체 내주 연에 결합 홈을 가지도록 그 중앙에 형성 된 원통형 돌출보스와 상기 돌출보스의 외주 연에 대응되는 몸체에 형성된 유출구멍, 상기 돌출보스의 일부를 변형시켜 저장용기 내의 액체를 유출구멍을 통해 외부로 유출시키기 위해 상기 돌출보스 일면에 돌출 형성된 누름돌기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 내지 제2도에서 본 고안의 액체포장용기는 고정공(1a)이 구비 된 고정관(1)과 대응되는 저장용기(2) 외측에는 본 고안의 특징인 결합캠(10)이 구비되어 고정관(1)과 결합 설치되는바, 이는 원통형 몸체(11)가 구비되고 이 몸체(11)내주에 소정의 결합홈(13)을 가지도록 원통형 돌출보스(12)가 형성되어 있으며, 돌출 보스(12) 일면에 누름돌기(16)가 형성되어 누름돌기(16)를 누를시 저장용기(2)내의 액체가 결합캡(10)의 유출구멍(15)으로 흐르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 액체포장용기는 저장용기(2)의 결합공(2a)에 고정관(1)을 끼우고 고정관(1)의 돌출부분에 결합캡(10)을 끼우면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캡(10)의 결합홈(13)에 고정관(1)이 삽입 결합된다.
이때 결합캡(10)의 돌출보스(12)외주연은 고정공(1a) 둘레에 밀착되어 고정공(1a)에 저장되어 있는 액체의 누수를 차단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누름돌기(16)를 화살표(A)방향으로 누르면 돌출보스(12) 일측의 변형부(14)가 변형되면서 고정관(1)의 고정공(1a)과 결합캡(10)의 유출구멍(15)사이에 통로를 형성시키게 되어 저장용기(2) 내의 액체를 외부로 유출시키게 된다.
이와같이 하여 적정량의 액체가 유출되면 누름돌기(16)에 외력을 제거하여 탄성복원시키면 변형부(14)가 원래대로 탄성복원 되므로 돌출 보스(12)의 외주 전면이 고정관(1)의 고정공(1a) 둘레에 밀착 지지되어 액체의 유출을 완전히 차단시키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 액체포장용기는 플라스틱제의 고정관(1)에 고무제의 결합캡(10)이 밀착 겹합 된 상태이므로 누수를 방지시키게 되고 액체의 유출정도를 조정하는 밸브 역할을 하나의 부품인 결합캡(10)으로 할 수 있게 되어 부품수 감소에 따른 원가절감효과가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액체포장용기에 의하면 액체의 누수가 방지되고 부품수가 절감되어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품 단가를 낮추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 소정의 크기를 갖는 육면체 형상의 지지용기 내부에 내장 된 상태에서 액체의 내용물이 담기도록 하여 내용물이 세지 않도록 이중으로 된 저장용기(2)와, 상기 저장용기(2) 하단일측에 각각 구성 된 결합공(2a) 내측으로부터 끼워지는 고정공(1a)이 구비된 고정관(1)으로 이루어진 액체포장용기에 있어서, 원통형 몸체(11)와, 상기 몸체(11) 내주연에 결합홈(13)을 가지도록 그 중앙에 형성된 원통형 돌출보스(12)와 돌출보스(12)의 일부를 변형시켜 저장용기(2)내의 액체를 유출구멍(15)를 통해 외부로 유출시키기 위해 상기 돌출보스(12) 일면에 돌출 형성된 누름돌기(16)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포장용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50035854U KR0113271Y1 (ko) | 1995-11-27 | 1995-11-27 | 액체 포장 용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50035854U KR0113271Y1 (ko) | 1995-11-27 | 1995-11-27 | 액체 포장 용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23393U KR970023393U (ko) | 1997-06-18 |
KR0113271Y1 true KR0113271Y1 (ko) | 1998-04-14 |
Family
ID=19430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50035854U KR0113271Y1 (ko) | 1995-11-27 | 1995-11-27 | 액체 포장 용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0113271Y1 (ko) |
-
1995
- 1995-11-27 KR KR2019950035854U patent/KR0113271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23393U (ko) | 1997-06-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317064B2 (en) | Small storage receptacle for food with air influx hole | |
US5857595A (en) | Self-closing apparatus | |
EP1371579B1 (en) | Valve mechanism for tube-type fluid container | |
EP1500602B1 (en) | Dispensing container | |
US3124275A (en) | Liquid dispensing container | |
KR100193281B1 (ko) | 액체분배밸브 | |
US6543652B1 (en) | Closure with dispensing valve | |
KR100561958B1 (ko) | 일체형 자동밀봉 밸브를 구비한 디스펜싱 클로우져 | |
US6273128B1 (en) |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flow of fluid | |
RU2008122053A (ru) | Одноходовая клапанная система | |
IL182555A (en) | Tap for dispensing liquids from vessels | |
US4722458A (en) | Dispensing valve | |
MXPA05002436A (es) | Valvula de membrana de cierre automatico. | |
KR0113271Y1 (ko) | 액체 포장 용기 | |
JPS5890046A (ja) | 包装容器の閉塞栓 | |
CN110921090B (zh) | 逆止瓶盖及其止回阀 | |
CN112566849B (zh) | 用于液体制剂的计量分配的分配头和分配装置、及其潜在用途 | |
JP2001240089A (ja) | チューブ容器 | |
KR200493949Y1 (ko) | 누출 방지 구조를 갖는 용기 | |
JP3621192B2 (ja) | タップ | |
JP3657310B2 (ja) | 吐出容器 | |
WO2008103591A1 (en) | Dispensing closure | |
KR20200093187A (ko) | 내용물의 토출 압력에 의해 개방되는 노즐팁 | |
KR0128763Y1 (ko) | 내용물 유출 전용 스트로우 | |
JPH08282704A (ja) | 弁付き口栓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0818 Year of fee payment: 14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