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949Y1 - 누출 방지 구조를 갖는 용기 - Google Patents

누출 방지 구조를 갖는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949Y1
KR200493949Y1 KR2020200003120U KR20200003120U KR200493949Y1 KR 200493949 Y1 KR200493949 Y1 KR 200493949Y1 KR 2020200003120 U KR2020200003120 U KR 2020200003120U KR 20200003120 U KR20200003120 U KR 20200003120U KR 200493949 Y1 KR200493949 Y1 KR 2004939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ntainer lid
coupled
contents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31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지
김경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산씨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산씨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산씨엔텍
Priority to KR20202000031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9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9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94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57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made separately from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B65D47/0876Hinges without elastic bi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046Drinking-through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누출 방지 구조를 갖는 용기는 일측에 입구부가 형성되며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의 일측을 커버하도록 결합되되, 상기 입구부에서 토출되는 내용물을 유출하는 유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입구부의 내부에 억지 끼움 형태로 밀착 결합되어 결합 틈새로 상기 내용물의 누출을 방지하는 용기 뚜껑, 및 상기 용기 뚜껑의 일측에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용기 뚜껑에 대해 결합 또는 결합해제되고, 결합해제된 상태의 바닥면에 상기 유출공에 결합되는 폐쇄돌기가 형성되는 용기뚜껑 커버를 포함한다. 따라서, 누출 방지 구조를 갖는 용기는 입구부의 내부를 용기 뚜껑을 통해 이중 밀폐하여 내용물의 외부 누출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 및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누출 방지 구조를 갖는 용기 {CONTAINER HAVING LEAKAGE PREVENTION STRUCTURE}
본 고안은 누출 방지 구조를 갖는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 본체에 용기 뚜껑을 결합시 본체 입구를 이중으로 밀폐하여 본체에 수용된 용액의 외부 누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누출 방지 구조를 갖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상의 화장품이나 손 세정제 등은 일정한 용기에 저장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액상의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는 내용물이 수용되고 통상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용기본체와 용기본체를 개폐하기 위한 뚜껑으로 이루어져 있어 액상의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먼저 뚜껑을 열고 용기를 기울이거나 뒤집은 다음 가압하여 액상의 내용물을 사용자의 손에 토출시킨 후 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용기는 보관 중에 넘어진 상태로 장기간 방치되거나 휴대하여 이동할 경우 용기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액상의 내용물이 용기 본체와 뚜껑 사이로 빠져나와 외부로 누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93484(2018.08.24)호는 내용물의 누출을 방지하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를 개폐하는 용기뚜껑으로 이루어진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에 형성되며 배출유로가 구비된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토출구와 고정부재의 배출유로를 개폐하는 개폐부가 형성된 이동부재, 상기 고정부재와 이동부재의 사이에 형성되어 고정부재의 측면으로 흘러내리는 내용물의 누출을 방지하는 탄성재질의 누출방지패킹을 포함하되, 상기 누출방지패킹은 결합부와 밀폐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결합부는 이동부재의 내측에 결합되고 상기 밀폐부는 고정부재의 외주연에 타이트하게 밀착되며, 상기 용기뚜껑을 분리하고 용기본체를 가압하면 내용물에 의해 이동부재의 개폐부와 상기 이동부재에 결합된 누출방지패킹이 함께 밀려나면서 고정부재의 배출유로가 개방되는 동시에 내용물이 고정부재와 이동부재 사이로 누출되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용기뚜껑을 닫으면 용기뚜껑에 의해 이동부재가 하측으로 이동되면서 고정부재의 배출유로가 개폐부로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7-0000700(2017.02.23)호는 누출 방지기능을 갖는 액상물 도포용기 구조에 관한 것으로, 롤링 볼의 회전에 따라 내부 액상물을 외부로 유출시켜 도포하는 액상물 도포용기에 있어서, 상기 액상물이 내부에 수용되며 입구를 가지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입구가 연장되어 상기 롤링 볼을 감쌀 수 있는 크기의 안착공간을 형성하는 입구부측벽과 상기 몸체부의 입구가 연장되어 상기 입구부측벽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안착된 상기 롤링 볼의 저면과 맞닿는 지지보스로 구성된 볼 하우징부와, 상기 볼 하우징부를 덮으며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캡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93484(2018.08.24)호 2.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7-0000700(2017.02.23)호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용기 본체에 용기 뚜껑을 결합시 본체 입구를 이중으로 밀폐하여 본체에 수용된 용액의 외부 누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누출 방지 구조를 갖는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용기 뚜껑의 용액 유출공에 억지 끼움 형태로 뚜껑 커버를 밀착 결합하여 용액 유출공을 통한 용액의 외부 누출을 방지함으로써 휴대성 및 사용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누출 방지 구조를 갖는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용기 뚜껑과 뚜껑 커버를 분리된 부재로 사출 성형하고 조립에 의해 연결함으로써 제작의 용이성을 높일 수 있는 누출 방지 구조를 갖는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누출 방지 구조를 갖는 용기는 일측에 입구부가 형성되며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의 일측을 커버하도록 결합되되, 상기 입구부에서 토출되는 내용물을 유출하는 유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입구부의 내부에 억지 끼움 형태로 밀착 결합되어 결합 틈새로 상기 내용물의 누출을 방지하는 용기 뚜껑, 및 상기 용기 뚜껑의 일측에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용기 뚜껑에 대해 결합 또는 결합해제되고, 결합해제된 상태의 바닥면에 상기 유출공에 결합되는 폐쇄돌기가 형성되는 용기뚜껑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용기 본체는 상면 중앙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내용물을 주입 및 토출하는 입구부, 상기 입구부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용기 뚜껑이 걸림 결합되는 띠형의 걸림턱, 및 상기 걸림턱의 양측에 각각 상기 용기 뚜껑이 결합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용기 뚜껑의 결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 뚜껑은 상기 용기 뚜껑 커버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홈부, 상기 결합홈부의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용기 본체의 입구부에서 토출되는 내용물을 유출하는 유출공, 상기 결합홈부의 저면에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환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부의 내면 둘레를 따라 체결 요홈이 형성되어 상기 용기 본체의 걸림턱에 상기 체결 요홈이 걸려 상기 용기 본체에 대해 고정 체결하는 체결부, 및 상기 유출공으로부터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환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입구부의 내부에 억지 끼움 결합되고 상기 유출공에 결합되는 상기 폐쇄 돌기와 밀착 결합되어 상기 내용물의 외부 누출을 방지하는 누출 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누출 방지부는 상기 유출공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용기 뚜껑 커버가 결합될 때 상기 폐쇄 돌기가 억지 끼움 형태로 결합되어 상기 유출공과 상기 폐쇄 돌기 사이의 결합 틈새로 내용물이 누출되지 않도록 밀폐시키는 제1 밀폐부재, 및 상기 제1 밀폐부재의 단부로부터 외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용기 본체와 결합될 때 상기 입구부의 내부에 억지 끼움 형태로 결합되어 상기 입구부와의 결합 틈새로 내용물이 누출되지 않도록 밀폐시키는 제2 밀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출 방지 구조를 갖는 용기는 용기 본체에 용기 뚜껑을 결합시 본체 입구를 이중으로 밀폐하여 본체에 수용된 용액의 외부 누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하여 용기의 휴대 및 보관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출 방지 구조를 갖는 용기는 용기 뚜껑의 용액 유출공에 억지 끼움 형태로 뚜껑 커버를 밀착 결합하여 용액 유출공을 통한 용액의 외부 누출을 확실하게 방지함으로써 휴대성 및 사용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출 방지 구조를 갖는 용기는 용기 뚜껑과 뚜껑 커버를 분리된 부재로 사출 성형하고 조립에 의해 연결함으로써 제작의 용이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출 방지 구조를 갖는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용기 본체와 용기 뚜껑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용기 뚜껑 커버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용기 뚜껑 커버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a-5b는 도 1에 있는 용기 뚜껑과 용기 뚜껑 커버 사이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절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있는 용기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출 방지 구조를 갖는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있는 용기 본체와 용기 뚜껑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있는 용기 뚜껑 커버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누출 방지 구조를 갖는 용기(100)는 용기 본체(110), 용기 뚜껑(120) 및 용기 뚜껑 커버(130)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 본체(110)는 내부에 액상의 내용물이 수용될 수 있고 상면 중앙에 내용물을 주입 및 토출할 수 있는 입구부(111)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용기 본체(110)는 가볍고 내구성이 강하며 고온에서 변형되거나 호르몬 배출이 없는 친환경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여기에서, 용기 본체(110)는 PP(Polypropylene)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용기 본체(110)는 입구부(111)의 외주면을 따라 띠형의 걸림턱(113)이 형성되어 용기 뚜껑(120)이 걸림 결합될 수 있다. 걸림턱(113)의 양측에는 가이드바(115)가 형성되어 용기 뚜껑(120)의 결합을 가이드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가이드바(115)는 입구부(111)의 외면에 전후 양측으로 배치될 수 있고 용기 뚜껑(120)이 결합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용기 본체(110) 및 용기 뚜껑(120)은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용기 뚜껑(120)은 용기 본체(110)와 동일 또는 이종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용기 본체(110)에 억지끼움 형태로 맞물려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용기 뚜껑(120)은 하부가 개방된 상태로 상부에 용기 뚜껑 커버(13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홈부(121)가 형성될 수 있고, 결합홈부(121)의 중앙에 용기 본체(110)의 입구부(111)에서 토출되는 내용물을 외부로 유출할 수 있는 유출공(123)이 천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용기 뚜껑 커버(130)은 용기 뚜껑(120)에 대해 결합 또는 결합해제될 수 있다. 용기 뚜껑 커버(130)는 일측이 용기 뚜껑(120)과 연결되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으로 젖혀져서 결합이 해제될 수 있고 용기 뚜껑(120)의 결합홈부(121)에 덮혀서 결합될 수 있다. 용기 뚜껑 커버(130)는 내면에 용기 뚜껑(120)의 유출공(123)을 폐쇄하는 폐쇄돌기(131)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용기 뚜껑 커버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5a-5b는 도 1에 있는 용기 뚜껑과 용기 뚜껑 커버 사이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절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b를 참조하면, 용기 뚜껑(120)과 용기 뚜껑 커버(130)는 개별 부품으로 사출 성형될 수 있고 사출 후 조립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용기 뚜껑 커버(130)는 용기 뚜껑(120)의 일측에 조립을 통해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부(210)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210)는 용기 뚜껑 커버(130)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힌지 작동편(211)과 연결편(213)으로 구성될 수 있다. 힌지 작동편(211)은 용기 뚜껑 커버(130)의 일측 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용기 뚜껑 커버(130)가 용기 뚜껑(120)의 결합홈부(121)에 결합 또는 결합해제될 수 있도록 접힘과 펼침이 가능한 힌지 작동할 수 있다. 연결편(213)은 힌지 작동편(211)의 단부로부터 절곡 형성되며 용기 뚜껑(120)에 끼움 결합되는 형태로 고정 연결될 수 있다. 연결편(213)의 단부에는 고정 돌기(215)가 돌출 형성되어 용기 뚜껑(120)에 연결편(213)이 연결될 때 고정 돌기(215)가 걸려 용기 뚜껑(120)으로부터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 지지할 수 있다.
용기 뚜껑(120)은 용기 뚜껑 커버(130)가 열리는 방향을 전면이라 할 때 후면측에 용기 뚜껑 커버(130)가 연결부(21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용기 뚜껑(120)은 후면측에 연결편(213)이 삽입되어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일정 깊이의 연결구(310)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결편(213)은 연결구(310)에 삽입되어 끼움 결합되면서 연결편(213)의 단부에 마련되는 고정 돌기(215)가 연결구(310)의 단부에 걸려 고정 지지될 수 있다.
용기 뚜껑(120)은 결합홈부(121)의 저면에 용기 본체(110)와의 고정 체결을 위한 체결부(320)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체결부(320)는 결합홈부(121)의 저면에서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환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체결부(320)는 하부의 내면 둘레를 따라 체결요홈(321)이 형성되어 용기 본체(110)의 입구부(111)에 형성된 걸림턱(113)에 걸려 고정 체결될 수 있다.
용기 뚜껑(120)은 유출공(123)의 하부에 용기 본체(110)의 내용물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누출 방지부(330)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누출 방지부(330)는 용기 본체(110)와 결합시 입구부(111)와 유출공(123) 사이를 연통하고 용기 뚜껑 커버(130)가 결합 해제된 상태에서 입구부(111)를 통해 용기 본체(110)로부터 토출되는 액상의 내용물이 유출공(123)을 통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에서, 누출 방지부(330)는 유출공(123)의 하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용기 뚜껑 커버(130)가 결합될 때 용기 뚜껑 커버(130)의 폐쇄 돌기(131)가 억지 끼움 형태로 결합되어 밀폐 구조를 형성하는 제1 밀폐부재(331)와 제1 밀폐부재(331)의 단부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형성되며 용기 본체(110)와 결합될 때 용기 본체(110)의 입구부(111)의 내부에 억지 끼움 형태로 결합되어 밀폐 구조를 형성하는 제2 밀폐부재(3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누출 방지부(330)는 용기 본체(110)의 입구부(111)를 이중 밀폐시켜 용기 본체(110)의 내용물이 외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밀폐부재(331)는 유출공(123)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환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환형의 제1 밀폐부재(331)는 용기 뚜껑(120)에 대해 용기 뚜껑 커버(130)가 결합될 때 유출공(123)을 폐쇄하는 폐쇄 돌기(131)가 억지 끼움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밀폐부재(331)는 폐쇄 돌기(131)와 밀착 결합되어 용기 뚜껑(120)의 유출공(123)과 용기 뚜껑 커버(130)의 폐쇄 돌기(131) 사이의 틈새로 내용물이 누출되지 않게 밀폐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밀폐부재(333)는 제1 밀폐부재(331)의 단부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형성되며 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게 되어 용기 본체(110)의 입구부(111)의 내부에 억지 끼움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제2 밀폐부재(333)는 입구부(111)의 내주면과 밀착 결합되어 결합 틈새로 내용물이 누출되지 않게 밀폐시킬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있는 용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용기 본체(110)는 내부에 액상의 내용물이 저장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액상의 내용물은 특정되지 않는다. 용기 본체(110)의 상부 중앙에는 입구부(111)가 돌출 형성되어 수용공간에 내용물을 주입 및 토출할 수 있다. 용기 본체(110)의 상부는 용기 뚜껑(120)과 결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용기 본체(110)와 용기 뚜껑(120)은 동일한 재질 또는 이형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용기 본체(110)와 용기 뚜껑(120)은 친환경 소재인 PP(Polypropylene)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용기 뚜껑(120)은 용기 본체(110)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고, 이때 용기 본체(110)의 입구부(111)가 용기 뚜껑(120)의 체결부(320)에 억지 끼움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용기 뚜껑(120)의 체결부(320)는 체결요홈(321)에 용기 본체(110)의 입구부(111) 외주면에 배치되는 걸림턱(113)이 걸려 용기 본체(110)에 고정 체결될 수 있다. 용기 뚜껑(120)의 누출 방지부(330)는 용기 본체(110)의 입구부(111) 내부에 억지 끼움 형태로 결합될 수 있고, 이때 누출 방지부(330)를 통해 입구부(111)와 유출공(123)이 연통될 수 있다. 누출 방지부(330)의 제2 밀폐부재(333)는 입구부(111)의 내부에 억지 끼움되어 밀착 결합되면서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용기 뚜껑(120)에는 유출공(123)을 개폐 가능하게 커버하는 용기 뚜껑 커버(130)가 연결될 수 있다. 용기 뚜껑(120)의 유출공(123)에 용기 뚜껑 커버(130)의 폐쇄 돌기(131)가 끼움 결합되어 유출공(123)을 폐쇄시킬 경우 폐쇄 돌기(131)가 누출 방지부(330)의 제1 밀폐부재(331)에 억지 끼움되어 유출공(123)의 내부에 밀착 결합되면서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내용물이 입구부(111)와 유출공(123)을 통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100)는 용기 본체(110)에 수용되는 내용물이 토출 및 유출되는 입구부(111)의 내부를 이중 밀폐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이 상태에서 용기(100)가 쓰러져도 용기 본체(110) 내의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되어 보관이나 휴대가 용이하고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누출 방지 구조를 갖는 용기
110: 용기 본체
111: 입구부 113: 걸림턱
115: 가이드바
120: 용기 뚜껑
121: 결합홈부 123: 유출공
130: 용기 뚜껑 커버
131: 폐쇄돌기
210: 연결부
211: 힌지 작동편 213: 연결편
215: 고정 돌기
310: 삽입구 320: 체결부
321: 체결요홈
330: 누출 방지부
331: 제1 밀폐부재 333: 제2 밀폐부재

Claims (4)

  1. 일측에 입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입구부의 외주면을 따라 걸림턱이 형성되고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의 일측을 커버하도록 결합되되, 상기 입구부에서 토출되는 내용물을 유출하는 유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입구부의 내부에 억지 끼움 형태로 밀착 결합되어 결합 틈새로 상기 내용물의 누출을 방지하는 용기 뚜껑; 및
    상기 용기 뚜껑의 일측에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용기 뚜껑에 대해 결합 또는 결합해제되고, 결합해제된 상태의 바닥면에 상기 유출공에 결합되는 폐쇄돌기가 형성되는 용기뚜껑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용기 뚜껑은
    상기 용기 뚜껑 커버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홈부;
    상기 결합홈부의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용기 본체의 입구부에서 토출되는 내용물을 유출하는 유출공;
    일측에 일정 깊이로 형성되며 상기 용기 뚜껑 커버의 연결부가 삽입되어 끼움 결합되는 연결구;
    상기 결합홈부의 저면에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환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부의 내면 둘레를 따라 체결 요홈이 형성되어 상기 용기 본체의 걸림턱에 상기 체결 요홈이 걸려 상기 용기 본체에 대해 고정 체결하는 체결부; 및
    상기 유출공으로부터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환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입구부의 내부에 억지 끼움 결합되고 상기 유출공에 결합되는 상기 폐쇄 돌기와 밀착 결합되어 상기 내용물의 외부 누출을 방지하는 누출 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누출 방지부는
    상기 유출공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용기 뚜껑 커버가 결합될 때 상기 폐쇄 돌기가 억지 끼움 형태로 결합되어 상기 유출공과 상기 폐쇄 돌기 사이의 결합 틈새로 내용물이 누출되지 않도록 밀폐시키는 제1 밀폐부재; 및
    상기 제1 밀폐부재의 단부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형성되며 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게 되어 상기 용기 본체와 결합될 때 상기 입구부의 내주면과 밀착 결합되어 상기 입구부와의 결합 틈새로 내용물이 누출되지 않게 밀폐시키는 제2 밀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뚜껑 커버의 연결부는
    상기 용기뚜껑 커버의 일측 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힌지 작동하는 힌지 작동편, 상기 힌지 작동편의 단부로부터 절곡 형성되고 상기 용기 뚜껑의 연결구에 끼움 결합되어 연결하는 연결편 및 상기 연결편의 단부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용기 뚜껑의 연결구에 걸려 고정 지지하는 고정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출 방지 구조를 갖는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는
    상면 중앙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내용물을 주입 및 토출하는 입구부;
    상기 입구부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용기 뚜껑이 걸림 결합되는 띠형의 걸림턱; 및
    상기 걸림턱의 양측에 각각 상기 용기 뚜껑이 결합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용기 뚜껑의 결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출 방지 구조를 갖는 용기.
  3. 삭제
  4. 삭제
KR2020200003120U 2020-08-26 2020-08-26 누출 방지 구조를 갖는 용기 KR2004939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120U KR200493949Y1 (ko) 2020-08-26 2020-08-26 누출 방지 구조를 갖는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120U KR200493949Y1 (ko) 2020-08-26 2020-08-26 누출 방지 구조를 갖는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3949Y1 true KR200493949Y1 (ko) 2021-07-05

Family

ID=76861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3120U KR200493949Y1 (ko) 2020-08-26 2020-08-26 누출 방지 구조를 갖는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949Y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18977A (ja) * 2006-07-13 2008-01-31 Taisei Kako Co Ltd キャップ付き容器におけるキャップの閉蓋案内装置。
KR20100007307U (ko) * 2009-01-08 2010-07-16 주식회사 아폴로산업 스냅힌지를 이용한 용기뚜껑 조립체
KR20140005234U (ko) * 2013-03-27 2014-10-08 허성범 포장용 용기 뚜껑
KR20160002482U (ko) * 2016-02-17 2016-07-14 (주)엔티코리아 액체 용기용 뚜껑
KR20170000700U (ko) 2015-08-13 2017-02-23 에버레이드 주식회사 누출 방지기능을 갖는 액상물 도포용기 구조
KR101893484B1 (ko) 2017-01-05 2018-08-30 (주)장업시스템 내용물의 누출을 방지하는 화장품 용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18977A (ja) * 2006-07-13 2008-01-31 Taisei Kako Co Ltd キャップ付き容器におけるキャップの閉蓋案内装置。
KR20100007307U (ko) * 2009-01-08 2010-07-16 주식회사 아폴로산업 스냅힌지를 이용한 용기뚜껑 조립체
KR20140005234U (ko) * 2013-03-27 2014-10-08 허성범 포장용 용기 뚜껑
KR20170000700U (ko) 2015-08-13 2017-02-23 에버레이드 주식회사 누출 방지기능을 갖는 액상물 도포용기 구조
KR20160002482U (ko) * 2016-02-17 2016-07-14 (주)엔티코리아 액체 용기용 뚜껑
KR101893484B1 (ko) 2017-01-05 2018-08-30 (주)장업시스템 내용물의 누출을 방지하는 화장품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48569B (zh) 擠壓容器
US20150014320A1 (en) Container
KR200476920Y1 (ko) 포장용 용기 뚜껑
KR101469765B1 (ko) 매니큐어 용기
KR200493949Y1 (ko) 누출 방지 구조를 갖는 용기
TW201515946A (zh) 點眼液容器
KR101165904B1 (ko) 플립 캡 타입 이중격실 튜브용기
JPH02205583A (ja) 流動液容器及び流動液吐出方法
KR101893484B1 (ko) 내용물의 누출을 방지하는 화장품 용기
JPS6160457A (ja) トグルタイプの圧搾式デイスペンサ−
JP2001240089A (ja) チューブ容器
KR20210132846A (ko) 밀폐용기
KR0175208B1 (ko) 자동개폐캡 및 내용액 자동토출방법
KR200180851Y1 (ko) 외부하우징을갖는용기
KR200413393Y1 (ko) 개폐 가능한 통기구멍이 구비된 용기
KR100560305B1 (ko) 화장품 용기의 구조 및 이의 제작방법
KR101285244B1 (ko) 액상 내용물 보관 용기
JP3973396B2 (ja) ボトルホルダ内蔵容器
KR102320032B1 (ko) 펌프 용기
KR0133369Y1 (ko) 액체용기마개
KR102607344B1 (ko) 내용물 선택 배출 용기
JP2016525046A (ja) 栓およびこれを備える容器
JP2007302253A (ja) 吐出容器
KR200451448Y1 (ko) 사용이 편리한 식품용기 마개구조
KR20240045618A (ko)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