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5234U - 포장용 용기 뚜껑 - Google Patents

포장용 용기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5234U
KR20140005234U KR2020130002281U KR20130002281U KR20140005234U KR 20140005234 U KR20140005234 U KR 20140005234U KR 2020130002281 U KR2020130002281 U KR 2020130002281U KR 20130002281 U KR20130002281 U KR 20130002281U KR 20140005234 U KR20140005234 U KR 2014000523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upper lid
lid body
hook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22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6920Y1 (ko
Inventor
허성범
허단
Original Assignee
허성범
허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성범, 허단 filed Critical 허성범
Priority to KR20201300022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920Y1/ko
Publication of KR201400052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523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9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92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16Snap-on caps or cap-like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포장용 용기 뚜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 뚜껑을 뚜껑본체와 상부뚜껑으로 구성하되, 상기 뚜껑본체와 상부뚜껑 사이에 힌지를 구비하고, 상기 힌지의 반대편에는 개폐용 후크를 구비하며, 상기 힌지에 인접하게 상기 힌지의 열림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탄성부재를 더 부가하여 버튼의 누름동작에 의해서 상부뚜껑의 열림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용기 뚜껑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의 포장용 용기 뚜껑(1)은 뚜껑본체(10)와 상부뚜껑(20), 그리고 상기 뚜껑본체(10)와 상부뚜껑(20)을 연결하는 힌지(30)와 탄성부재(40)로 이루어진다.
상기 뚜껑본체(10)는 중앙에 배출구(16)가 형성되어 상기 포장용 용기(2)의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뚜껑본체(10)는 정면 중앙에 버튼(12)이 형성되고, 상기 버튼(12)에는 갈고리 형태로 이루어진 후크(13)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뚜껑(20)은 뚜껑본체(10)의 상부를 덮되, 중앙에 상기 배출구(16)를 밀폐하는 밀폐돌기(22)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뚜껑(20)은 상기 후크(13)와 대응하도록 돌기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걸림돌기(23)를 구비하며, 상기 걸림돌기(23)의 반대편에는 상기 뚜껑본체(10)와 상부뚜껑(20) 사이를 연결하는 힌지(30)가 형성된다.
상기 힌지(30)와 인접하게 형성되되 일측은 상기 뚜껑본체(10)와 일체로 연결되고, 다른 일측은 상기 상부뚜껑(20)과 일체로 연결되도록 탄성부재(4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포장용 용기 뚜껑{The bottle cap}
본 고안은 포장용 용기 뚜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 뚜껑을 뚜껑본체와 상부뚜껑으로 구성하되, 상기 뚜껑본체와 상부뚜껑 사이에 힌지를 구비하고, 상기 힌지의 반대편에는 개폐용 후크를 구비하며, 상기 힌지에 인접하게 상기 힌지의 열림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탄성부재를 부가하여 버튼의 누름동작에 의해서 상부뚜껑의 열림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용기 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로션이나 샴푸 또는 식료품이나 의약품 등과 같이 젤타입(gel type)의 내용물이 들어 있는 용기의 뚜껑은 대부분 나사식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바쁜 출근시간이나 외출시간에 뚜껑을 일일이 돌려 뚜껑을 용기의 상부로부터 개방하는데 많은 시간이 걸리게 되어 단동작을 선호하는 급한 현대인의 욕구를 채울 수 없는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다.
또한, 코르크 마개로 눌러 막아 구성된 것도 있으나 외관이 미려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특히 화장품의 사용 시 병입구의 주위로 묻은 화장품등에 먼지나 이물질 등이 달라붙어 불결하게 되는 등 화장품의 청결감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용기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는 개폐부로 구성된 원터치 뚜껑이 제안되고 있다.
일예로, 등록실용신안 제20-0339588호인 원터치형 용기뚜껑이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용기의 뚜껑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용기의 주입구에 삽입되어 고정된 고정부 및 상기 주입구를 개폐시키도록 고정부에 그 일단이 힌지되고 힌지부 반대편의 타단부에는 고정부에 걸림되는 후크부를 갖는 덮개부로 구성되어 있다.
다른 예로서, 등록실용신안 제20-0211477호인 원터치 캡이 형성된 용기 뚜껑이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뚜껑몸체에 캡이 탄성복원력을 갖게 힌지조립되며, 뚜껑몸체는 통체와 상부면 조립체와 버튼부가 조립되어 형성되며 통체의 측면으로 버튼부의 버튼과 후크가 약간 돌출되게 조립되어 버튼을 누르면 후크가 함께 눌려지고, 캡은 측면벽의 내측으로 약간 돌기되어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캡이 닫힐 때 캡의 걸림돌기가 뚜껑몸체의 측면 상측으로 돌출된 후크에 걸려있게 되고, 버튼을 누르면 후크가 후퇴되어 캡의 걸림돌기에서 벗어나 캡이 열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용기 캡에 관한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386777호도 개시되어 있는데, 상기 공보에는 베이스부재와 뚜껑 부분이 경첩부(연결부재로 기술)로 연결되고, 뚜껑의 역할을 하는 부분에 테이퍼진 경사홈을 이루고 상기 경사홈에 대응하도록 베이스부재에 돌출부를 만들어 뚜껑의 오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화장품이 수용된 용기에 결합될 수 있는 베이스부재는 중앙부에 내용물 배출을 위한 구멍이 뚫려 있고, 상기 뚜껑부분에서 상기 구멍을 막을 수 있는 돌출부가 제공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공보에 기재된 기술은 뚜껑부분의 돌출부가 상기 베이스부재에 제공된 구멍에 삽입되면서 결합이 이루어져 베이스 부재에 뚜껑이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뚜껑을 오픈하는 과정에서 뚜껑에 무리한 힘을 가하게 되고 따라서 베이스부재와 뚜껑을 연결하는 경첩부의 내구성이 떨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과정에 뚜껑이 오픈 된 경우에도 경첩부재의 탄성력의 한계 또는 반복적인 사용으로 탄성력이 약해지는 것에 의하여 뚜껑이 열려진 상태를 유지하는 각도가 작아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개특허 제 10-2005-0075944호에는 캡의 오픈이 용이한 용기캡이 제안되어 있는바,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화장품 등의 내용물이 수용될 수 있는 용기에 결합되는 캡(3)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캡(3)은 용기에 나사결합 또는 언더컷결합으로 이루어진 베이스부재(5) 및 상기 베이스부재(5)에 결합되어 용기의 내용물을 인출시키거나 내용물의 배출을 차단하는 뚜껑(7)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재(5)와 상기 뚜껑(7)은 통상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동일한 재질로 성형되어 서로를 연결하는 힌지(9)를 포함한다.
상기 힌지(9)는 탄성력을 가지며 상기 뚜껑(7)이 오픈 또는 클로우즈 되는 동안에 상기 뚜껑(7)과 상기 베이스부재(5)의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보강부(9a)는 상기 뚜껑(7)이 오픈될 때 탄성력을 극대화시켜 상기 뚜껑(7)이 오픈된 상태의 각도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상기 힌지(9)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는 힌지 및 보강부의 탄성이 원할하지 않을 경우 뚜껑이 제대로 닫히거나 열리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힌지에 인접하게 탄성부재를 부가설치하여 버튼의 누름동작에 의해 손쉽게 뚜껑이 열릴 수 있도록 구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의 포장용 용기 뚜껑(1)은 뚜껑본체(10)와 상부뚜껑(20), 그리고 상기 뚜껑본체(10)와 상부뚜껑(20)을 연결하는 힌지(30)와 탄성부재(40)로 이루어진다.
상기 뚜껑본체(10)는 중앙에 배출구(16)가 형성되어 상기 포장용 용기(2)의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뚜껑본체(10)는 정면 중앙에 버튼(12)이 형성되고, 상기 버튼(12)에는 갈고리 형태로 이루어진 후크(13)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뚜껑(20)은 뚜껑본체(10)의 상부를 덮되, 중앙에 상기 배출구(16)를 밀폐하는 밀폐돌기(22)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뚜껑(20)은 상기 후크(13)와 대응하도록 돌기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걸림돌기(23)를 구비하며, 상기 걸림돌기(23)의 반대편에는 상기 뚜껑본체(10)와 상부뚜껑(20) 사이를 연결하는 힌지(30)가 형성된다.
상기 힌지(30)와 인접하게 형성되되 일측은 상기 뚜껑본체(10)와 일체로 연결되고, 다른 일측은 상기 상부뚜껑(20)과 일체로 연결되도록 탄성부재(4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힌지에 인접하여 탄성부재를 부가설치하여 버튼의 누름동작에 의해서 상부뚜껑이 탄발되면서 열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포장용 용기 뚜껑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포장용 용기 뚜껑과 포장용 용기가 결합된 전체 구성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포장용 용기 뚜껑의 상부뚜껑이 닫힌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포장용 용기 뚜껑의 상부뚜껑이 열린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포장용 용기 뚜껑의 상부뚜껑이 열린 상태의 저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포장용 용기 뚜껑의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포장용 용기 뚜껑의 상부뚜껑이 열린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포장용 용기 뚜껑의 단면도.
도 9는 도 4의 A-A선 일부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포장용 용기 뚜껑의 버튼을 누른 상태의 A-A선 일부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포장용 용기 뚜껑의 분해사시도.
도 12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포장용 용기 뚜껑의 저면 분해사시도.
도 1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포장용 용기 뚜껑의 상부뚜껑이 열린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포장용 용기 뚜껑의 단면도.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 용기 뚜껑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포장용 용기 뚜껑과 포장용 용기가 결합된 전체 구성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포장용 용기 뚜껑의 상부뚜껑이 닫힌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포장용 용기 뚜껑의 상부뚜껑이 열린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포장용 용기 뚜껑의 상부뚜껑이 열린 상태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포장용 용기 뚜껑의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포장용 용기 뚜껑의 상부뚜껑이 열린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포장용 용기 뚜껑의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4의 A-A선 일부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의 포장용 용기 뚜껑의 버튼을 누른 상태의 A-A선 일부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용기 뚜껑(1)은 도 2내지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포장용 용기(2)의 상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본 고안의 포장용 용기 뚜껑(1)은 뚜껑본체(10)와 상부뚜껑(20), 그리고 상기 뚜껑본체(10)와 상부뚜껑(20)을 연결하는 힌지(30)와 탄성부재(40)로 이루어진다.
상기 뚜껑본체(10)는 중앙에 배출구(16)가 형성되어 상기 포장용 용기(2)의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뚜껑본체(10)는 정면 중앙에 버튼(12)이 형성되고, 상기 버튼(12)에는 갈고리 형태로 이루어진 후크(13)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뚜껑(20)은 뚜껑본체(10)의 상부를 덮되, 중앙에 상기 배출구(16)를 밀폐하는 밀폐돌기(22)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뚜껑(20)은 상기 후크(13)와 대응하도록 돌기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걸림돌기(23)를 구비하며, 상기 걸림돌기(23)의 반대편에는 상기 뚜껑본체(10)와 상부뚜껑(20) 사이를 연결하는 힌지(30)가 형성된다.
상기 힌지(30)와 인접하게 형성되되 일측은 상기 뚜껑본체(10)와 일체로 연결되고, 다른 일측은 상기 상부뚜껑(20)과 연결되도록 탄성부재(4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장용 용기 뚜껑(1)은 화장품 용기, 샴푸 용기 또는 액체세제 용기 등의 생활용품 용기, 식료품 용기 또는 의약품 용기 등에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뚜껑본체(1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포장용 용기(2)의 상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체(18)와 상기 내체(18)를 감싸고 내체(18)의 상단과 연결된 외체(19)와 뚜껑본체(10)의 정면 중앙에 버튼(12)으로 구성된다.
상기 내체(10)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단 내측에는 포장용 용기(2)와 결합되는 체결돌기(18a)가 형성되고, 상기 내체(10)의 중심에는 포장용 용기(2)의 내용물을 배출하는 배출구(16)가 형성된다. 상기 내체(10)의 체결돌기(18a) 대신에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체(10) 내측면에 나사산(18b)을 형성하여 포장용 용기(2)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외체(10)는 내체(18)의 외곽에 형성되고, 내체(18)의 상단과 연결되며, 상부 일측에는 상부뚜껑(20)과 연결되는 힌지(30)와 탄성부재(40)가 형성된다.
상기 버튼(12)은 뚜껑본체(10)의 정면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버튼(12)의 상부에는 후크(13)가 연장 형성된다. 상기 후크(13)는 갈고리 형태이다.
상기 후크(13)의 3면은 절개홈(14)이 형성되고, 상기 버튼(12)의 윗면에도 절개홈(15)이 형성되어, 버튼(12)을 누를 때 상기 후크(13)가 용이하게 후퇴되어 상부뚜껑(20)의 걸림돌기(23)로 부터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버튼(12)의 내측 양측에는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홈(17)을 형성하여 버튼(12)의 누름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버튼(12)을 누를 때 상기 홈(17)으로 인하여 상기 버튼(12)이 쉽게 탄성 변형이 생겨 뒤로 밀려지게 된다.
상기 상부뚜껑(20)은 뚜껑본체(10)의 상부를 덮는 것으로 뚜껑본체(10)의 상부에 결합되거나 분리되면서 배출구(16)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부뚜껑(20)의 내측 중앙에는 배출구(16)를 밀폐시키는 밀폐돌기(22)가 형성되며, 일측에는 걸림돌기(23)를 형성하되 후크(13)와 대응하도록 돌기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힌지(30)는 뚜껑본체(10)와 상부뚜껑(20) 사이를 연결하여 상부뚜껑(20)을 뚜껑본체(10)로부터 개방시 뚜껑본체(10)와 상부뚜껑(20)이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탄성부재(40)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뚜껑본체(10)와 상부뚜껑(20) 사이를 연결하되 뚜껑본체(10)로부터 상부뚜껑(20)을 탄발지지하여 힌지(30)를 중심으로 상부뚜껑(20)이 뚜껑본체(10)로부터 탄력적으로 원할하게 열리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탄성부재(40)는 도 3과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뚜껑(20)이 뚜껑본체(10)에 덮혀 있을 때, 팽팽하게 당겨져 있다가 상기 탄성부재(40)의 원래 모양으로 되돌아 가려는 탄성력에 의해 도 4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후크(13)와 걸림돌기(23)의 체결이 해제되면 탄성부재(40)의 탄성력에 의해 상부뚜껑(20)이 뚜껑본체(10)로부터 별도의 추가 동작없이 자동으로 탄력적으로 열리게 된다.
상기 탄성부재(40)는 외력을 가해서 잡아당기면 늘어나고, 외력을 제거하면 원래의 길이로 돌아가는 성질을 가지는 고분자 화합물로 이루어진다. 일예로 엘라스토머 또는 실리콘고무 또는 탄성력이 우수한 고무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40)를 상기 뚜껑본체(10)와 상부뚜껑(20)에 형성할 때에는 이중사출 또는 인서트 사출 방법으로 상기 탄성부재(40)가 상기 뚜껑본체(10)와 상부뚜껑(20)에 일체로 결합되도록 형성한다.
상기 상부뚜껑(20)은 위에서 설명한 일실시예와 같이 뚜껑본체(10)와 힌지(30)로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이하 설명하는 또 다른 실시예와 같이 따로 형성한 후 조립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포장용 용기 뚜껑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포장용 용기 뚜껑의 저면 분해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포장용 용기 뚜껑의 상부뚜껑이 열린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포장용 용기 뚜껑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용기 뚜껑은 도 11 내지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포장용 용기(2)의 상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용기 뚜껑(1)은 뚜껑본체(10)와 상부뚜껑(20)를 분리하여 형성하되, 상기 뚜껑본체(10)에는 연결구삽입공(11)을 형성하며, 상기 상부뚜껑(20)에는 힌지(30)로 연결된 연결구(21)와 상기 힌지(30)와 인접하여 탄성부재(40)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상부뚜껑(20)의 연결구(21)를 상기 뚜껑본체(10)의 연결구삽입공(11)에 삽입하여 결합하여 구성한다.
상기 뚜껑본체(10)의 연결구삽입공(11)은 후크(13)의 반대편에 형성되며, 상기 연결구(21)가 삽입된 후에는 분리되지 않도록 연결구(21)와 억지끼움 또는 언더컷끼움 또는 접착을 하여 형성한다.
상기 연결구(21)는 환형의 판상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연결구삽입공(11)에 끼워서 고정한다.
상기 상부뚜껑(20)과 연결구(21)는 힌지(30)에 의해 일체로 연결 형성되며, 상기 힌지(30)는 상부뚜껑(20)과 연결구(21) 사이를 연결하여 상부뚜껑(20)을 연결구(21)로부터 개방 시 상부뚜껑(20)과 연결구(21)가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힌지(30)와 인접하게 탄성부재(40)가 형성되는데, 상기 탄성부재(40)는 일측은 상기 상부뚜껑(20)과 일체로 연결 형성되고 다른 일측은 상기 연결구(21)와 일체로 연결 형성된다.
상기 탄성부재(40)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며 외력을 가해서 잡아당기면 늘어나고 외력을 제거하면 원래의 길이로 돌아가는 성질을 가지는 고분자 화합물로 이루어진다.
상기 탄성부재(40)는 상부뚜껑(20)과 연결구(21) 사이를 연결하되 연결구(21)로부터 상부뚜껑(20)을 탄발지지하여 힌지(30)를 중심으로 상부뚜껑(20)이 연결구(21)로부터 탄력적으로 원할하게 열리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 11과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뚜껑본체(10)와 상부뚜껑(20)이 각각 형형된 후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뚜껑(20)의 연결구(21)를 뚜껑본체(10)의 연결구삽입공(11)에 끼워서 상부뚜껑(20)을 뚜껑본체(10)에 결합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용기 뚜껑을 형성한다.
상기 상부뚜껑(20)을 뚜껑본체(10)에 결합한 후에 상부뚜껑(20)을 뚜껑본체(10)에 덮어서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결합돌기(23)를 후크(13)에 결착시켜 고정한다.
이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40)는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뚜껑(20)이 뚜껑본체(10)에 덮혀 있을 때 팽팽하게 당겨져 있다가 상기 탄성부재(40)의 원래 모양으로 되돌아 가려는 탄성력에 의해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후크(13)와 걸림돌기(21)의 체결이 해제되면 탄성부재(40)의 탄성력에 의해 상부뚜껑(20)이 뚜껑본체(10)로부터 추가 동작없이 자동으로 탄력적으로 열리게 된다.
상기 탄성부재(40)를 상기 상부뚜껑(20)과 연결구(21)에 형성할 때에는 이중사출 또는 인서트 사출 방법으로 상기 탄성부재(40)가 상기 상부뚜껑(20)과 연결구(21)에 일체로 결합되도록 형성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용기 뚜껑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상기에서 설명한 이외의 사항은 뚜껑본체(10)와 상부뚜껑(20)이 힌지(30)에 의해 연결되도록 일체로 형성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명과 동일하다.
그러면,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뚜껑본체(10)에 상부뚜껑(20)을 닫을 때에는 힌지(30)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닫게 되며, 이때 상부뚜껑(20) 내측에는 밀폐돌기(22)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뚜껑본체(10)에 형성된 배출구(16)를 폐쇄시킨다.
그리고, 상부뚜껑(20)을 닫을 시 걸림돌기(23)가 뚜껑본체(10)의 후크(13)에 결합된다.
이때, 도 3과 도 6과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탄성부재(40)는 팽팽하게 당겨져 있는 상태가 되어 후크(13)와 걸림돌기(23)의 걸림이 해제될 때 상기 상부뚜껑(20)은 상기 뚜껑본체(10)로부터 탄발되면서 열리게 된다.
이후, 뚜껑본체(10)로부터 상부뚜껑(20)을 개방하는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뚜껑본체(10)에 설치된 버튼(12)을 누른다. 상기 버튼(12)을 누르게 되면 상기 버튼(12)과 후크(13) 주변에 형성된 절개홈(14)(15)으로 인하여 상기 버튼(12)의 상단에 연결 설치된 후크(13)가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용이하게 후퇴하면서 상부뚜껑(20)에 형성된 걸림돌기(23)가 분리되어 도 4와 도 7과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뚜껑(20)이 뚜껑본체(10)로부터 열리게 되는데, 이때 그러면 탄성부재(40)의 탄성력이 작용하면서 상부뚜껑(20)이 뚜껑본체(10)로부터 탄발되면서 열리게 된다.
즉, 본 고안의 포장용 용기 뚜껑(1)을 이용하면 탄성부재(40)의 탄성력에 의해 버튼(12)을 누르는 동작만으로 뚜껑본체(10)로부터 상부뚜껑(20)이 탄발되면서 자동으로 열리게 된다.
이상, 본 고안에서 설명한 것은 포장용 용기 뚜껑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뚜껑본체 11:연결구삽입공
12:버튼 13:후크
16:배출구 18:내체
19:외체 20:상부뚜껑
21:연결구 23:걸림돌기
22:밀폐돌기 30:힌지
40:탄성부재

Claims (11)

  1. 배출구(16)가 형성된 뚜껑본체(10)와 상기 배출구(16)를 밀폐하는 밀폐돌기(22)가 형성된 상부뚜껑(20)과 상기 뚜껑본체(10)와 상부뚜껑(20) 사이를 연결하는 힌지(30)로 이루어진 용기 뚜껑에 있어서,
    상기 뚜껑본체(10)의 정면 중앙에 설치되는 버튼(12);
    상기 버튼(12)에 연결 설치되는 후크(13);
    상기 상부뚜껑(20)의 일측에 형성하되 후크(13)와 대응하도록 형성하는 걸림돌기(23);
    상기 힌지(30)와 인접하게 형성되며, 일측은 상기 뚜껑본체(10)와 연결되고, 다른 일측은 상기 상부뚜껑(20)과 연결되는 탄성부재(4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용기 뚜껑.
  2. 배출구(16)가 형성된 뚜껑본체(10)와 상기 배출구(16)를 밀폐하는 밀폐돌기(22)가 형성된 상부뚜껑(20)과 상기 뚜껑본체(10)와 상부뚜껑(20) 사이를 연결하는 힌지(30)로 이루어진 용기 뚜껑에 있어서,
    상기 뚜껑본체(10)와 상부뚜껑(20)를 분리하여 형성하되,
    상기 뚜껑본체(10)의 정면 중앙에 설치되는 버튼(12);
    상기 버튼(12)에 연결 설치되는 후크(13);
    상기 뚜껑본체(10)에 형성되되 상기 후크(13)의 반대편에 형성된 연결구삽입공(11);
    상기 상부뚜껑(20)에 힌지(30)로 연결 형성된 연결구(21);
    상기 힌지(30)와 인접하여 일체로 형성하되, 일측은 상기 상부뚜껑(20)과 연결하고 다른 일측은 상기 연결구(21)와 연결 현성된 탄성부재(40);
    상기 상부뚜껑(20)의 일측에 형성하되 후크(13)와 대응하도록 형성하는 걸림돌기(23);
    상기 뚜껑본체(10)의 연결구삽입공(11)에 상기 상부뚜껑(20)의 연결구(21)를 삽입 결합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용기 뚜껑.
  3. 뚜껑본체(10)에 상부뚜껑(20)이 힌지(30)를 중심으로 결합되며, 이때 상기 상부뚜껑(20)의 내측에 형성된 밀폐돌기(22)에 의해 뚜껑본체(10)에 형성된 배출구(16)를 폐쇄시키고, 상부뚜껑(20)의 걸림돌기(23)가 뚜껑본체(10)의 후크(13)에 결합되어, 뚜껑본체(10)의 전면에 설치되는 버튼(12)을 손으로 누르면 후크(13)가 후퇴하면서 상부뚜껑(20)에 형성된 걸림돌기(23)가 분리됨과 동시에, 탄성부재(40)의 탄성력에 의해 상부뚜껑(20)이 뚜껑본체(10)로부터 탄발적으로 열리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용기 뚜껑.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본체(10)는 내체(18)와 상기 내체(18)의 외곽에 형성되는 외체(19)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체(18)에는 포장용 용기(2)와 결합되는 체결돌기(18a) 또는 나사산(18b)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용기 뚜껑.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40)는 외력을 가해서 잡아당기면 늘어나고, 외력을 제거하면 원래의 길이로 돌아가는 성질을 가지는 고분자 화합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용기 뚜껑.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40)는 엘라스토머 또는 실리콘고무 또는 탄력성이 우수한 고무재로 이루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용기 뚜껑.
  7.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40)는 이중사출 또는 인서트 사출 또는 접착에 의해서 일측은 뚜껑본체(10)에 일체로 연결되고, 다른 일측은 상부뚜껑(20)에 일체로 연결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용기 뚜껑.
  8.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40)는 이중사출 또는 인서트 사출 또는 접착에 의해서 일측은 상부뚜껑(20)에 일체로 연결되고, 다른 일측은 연결구(21)에 일체로 연결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용기 뚜껑.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용 용기 뚜껑은 화장품 용기, 생활용품 용기, 식료품 용기 또는 의약품 용기에 결합 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용기 뚜껑.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13)의 3면에 절개홈(14)이 형성되고 상기 버튼(12)의 윗면에 절개홈(15)이 형성되어, 상기 버튼(12)을 누를 때 상기 후크(13)가 용이하게 후퇴되어 상기 상부뚜껑(20)의 걸림돌기(23)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용기 뚜껑.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본체(10)의 연결구삽입공(11)은 후크(13)의 반대편에 형성되며, 상기 연결구삽입공(11)에는 상기 상부뚜껑(20)의 연결구(21)를 삽입하여 고정하되, 상기 연결구(21)가 연결구삽입공(11)에 삽입된 후에는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연결구삽입공(11)과 연결구(21)는 억지끼움 또는 언더컷끼움 또는 접착방법을 통해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용기 뚜껑.
KR2020130002281U 2013-03-27 2013-03-27 포장용 용기 뚜껑 KR2004769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281U KR200476920Y1 (ko) 2013-03-27 2013-03-27 포장용 용기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281U KR200476920Y1 (ko) 2013-03-27 2013-03-27 포장용 용기 뚜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234U true KR20140005234U (ko) 2014-10-08
KR200476920Y1 KR200476920Y1 (ko) 2015-04-16

Family

ID=52450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2281U KR200476920Y1 (ko) 2013-03-27 2013-03-27 포장용 용기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920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112U (ko) * 2016-12-30 2018-07-10 이애순 안구세척기가 구비된 이동형 샤워기
KR20190004439A (ko) * 2017-07-04 2019-01-14 신은주 이중 튜브 뚜껑
KR20190004438A (ko) * 2017-07-04 2019-01-14 신은주 이중 튜브 뚜껑
KR200491712Y1 (ko) * 2019-09-27 2020-05-25 마사끼산업 코리아 주식회사 화장품 리필 케이스의 일체형 힌지구조
KR20210008012A (ko) * 2018-05-03 2021-01-20 압타르 라돌프쩰 게엠베하 압축성 액체 저장용기를 가진 액체 디스펜서
KR200493949Y1 (ko) * 2020-08-26 2021-07-05 주식회사 다산씨엔텍 누출 방지 구조를 갖는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3583Y1 (ko) * 2016-09-26 2021-04-26 안시은 원터치 캡 일체형 화장품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09696B2 (ja) * 2003-05-19 2009-08-05 株式会社ニフコ 容器用キャップ
KR20090047212A (ko) * 2007-11-07 2009-05-12 문기원 잠금 수단을 갖는 음료용기뚜껑
KR20090010095U (ko) * 2008-04-01 2009-10-07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원터치 캡
KR200467355Y1 (ko) * 2011-05-02 2013-06-10 (주)아모레퍼시픽 덮개 탈착형 원터치 캡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112U (ko) * 2016-12-30 2018-07-10 이애순 안구세척기가 구비된 이동형 샤워기
KR20190004439A (ko) * 2017-07-04 2019-01-14 신은주 이중 튜브 뚜껑
KR20190004438A (ko) * 2017-07-04 2019-01-14 신은주 이중 튜브 뚜껑
KR20210008012A (ko) * 2018-05-03 2021-01-20 압타르 라돌프쩰 게엠베하 압축성 액체 저장용기를 가진 액체 디스펜서
US11661244B2 (en) 2018-05-03 2023-05-30 Aptar Radolfzell Gmbh Liquid dispenser having compressible liquid store
KR200491712Y1 (ko) * 2019-09-27 2020-05-25 마사끼산업 코리아 주식회사 화장품 리필 케이스의 일체형 힌지구조
KR200493949Y1 (ko) * 2020-08-26 2021-07-05 주식회사 다산씨엔텍 누출 방지 구조를 갖는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6920Y1 (ko) 2015-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6920Y1 (ko) 포장용 용기 뚜껑
US7299952B2 (en) Container closure and method of assembly
KR102069968B1 (ko) 에어리스 펌핑형 화장품 용기
JP2018509257A (ja) コンパクトタイプの化粧品容器
CN103958363B (zh) 显窃启封闭件
US20080073311A1 (en) Closure with lid protection
KR101414379B1 (ko) 화장품 용기
US8813982B2 (en) Cap for a container
KR101431386B1 (ko) 화장용 파우더 용기
KR20150003762U (ko) 물티슈 포장팩용 밀폐 뚜껑
KR200441528Y1 (ko) 밀폐 용기 뚜껑
KR20170083218A (ko) 화장품 용기
KR20130026299A (ko) 밀폐뚜껑이 구비된 용기
KR20100007714U (ko) 뚜껑의 내측으로 노출되어지게 2중사출성형에 의한 가압밀착부를 갖는 용기뚜껑
KR20110000821U (ko) 빨대가 구비된 용기
KR200448108Y1 (ko) 펌프를 가지는 튜브형 이중화장품용기
KR101939394B1 (ko) 밀폐력이 우수한 화장품 용기
KR101863707B1 (ko) 밀폐부재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200459770Y1 (ko) 용기뚜껑
KR20160129661A (ko) 액상 용기의 밀폐 장치
KR20140082536A (ko) 연질의 접철부가 있는 이종물질 수용장치
KR200493949Y1 (ko) 누출 방지 구조를 갖는 용기
KR200477182Y1 (ko) 밀폐날개가 형성된 패킹부재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101909122B1 (ko) 듀얼 스핀용기
EP2621825A1 (en) Cap for a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