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3151Y1 - 윈드실드 임시고정용 파스너 - Google Patents

윈드실드 임시고정용 파스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3151Y1
KR0113151Y1 KR2019950002727U KR19950002727U KR0113151Y1 KR 0113151 Y1 KR0113151 Y1 KR 0113151Y1 KR 2019950002727 U KR2019950002727 U KR 2019950002727U KR 19950002727 U KR19950002727 U KR 19950002727U KR 0113151 Y1 KR0113151 Y1 KR 01131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shield
vehicle body
fastener
glass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27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8571U (ko
Inventor
고로오 아사미
Original Assignee
오가사하라 도시아끼
가부시기가이샤 니후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가사하라 도시아끼, 가부시기가이샤 니후고 filed Critical 오가사하라 도시아끼
Priority to KR20199500027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3151Y1/ko
Publication of KR9600285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857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31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31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04Mounting of windows
    • B60J1/005Mounting of windows using positioning means during mou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윈드실드(wind shield)의 위치결정을 간단하게 할 수 있도록 개량된 윈드실드 임시고정용 파스너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차의 윈드실드를 차체에 접착할 때에 임시로 고정하는 -1쌍의 평판상 기판(3,4)의 각 일측면위에 가로/세로로 규칙적인 열을 지어 형성한 다수의 머리돌기(5)를 가지며, 일측이 차체의 윈드실드 부착부가 되는 플랜지(9)에 부착되고, 타측이 상기 윈드실드(11)의 내면에 부착되는 - 압착/박리형 플라스틱 파스너의 구성을, 상기 1쌍의 평판상 기판(3,4)의 각 일측면위에, 양 평판상 기판(3,4)에 형성된 머리돌기(5)가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서로 걸어맞춰져서 윈드실스의 하향이동을 규제하는 걸림수단(13,14)이 형성된 것으로 한다.
따라서, 윈드실드를 부착하는 작업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윈드실드 임시고정용 파스너
제1도는 본 고안에 의거하는 윈드실드 임시고정용 파스너의 양 파스너편을 상하로 맞닿게 한 상태의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Ⅱ-Ⅱ선 단면도
제3도는 각 파스너편의 부착상태를 나타낸 요부분해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로서 각 파스너편의 부착상태를 나타낸 요부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1 : 차체측 파스너편 2,22 : 유리측 파스너편
3,4,23,24 : 기판 5 : 머리부를 가진 돌기(머리돌기)
6 : 클립 7 : 역지부
8 : 돌조 9,29 : 플랜지
12 : 양면접착테이프 13 : 시트면
14 : 돌기 25 : 탄성편
26 : 노치
본 고안은 윈드실드(wind shield)를 차체에 접착할 때에 접착제가 마를 때까지 윈드실드가 들뜨는 것을 방지하고, 또 창틀과 윈드실드의 주연부와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윈드실드 임시고정용 파스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체의 플래시 서피스(flash surface)화를 추진하기 위하여 윈드실드(이하, 단지 유리라 한다)를 차체의 창틀에 접착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으며, 이 때, 접착제가 마를때까지 유리를 유지하기 위하여, 평탄한 기판위에 가로/세로로 규칙적인 열을 지어 머리부를 가진 돌기(이하, 단지 머리돌기라 한다)를 복수개 형성한 압착/박리형 플라스틱 파스너가 이용되고 있다(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3-205001호 참조).
이 파스너는, 동일한 형상으로 된 2개의 파스너편을 머리돌기가 형성된 면끼리를 서로 대향시키고서 압착하면, 2개의 파스너편을 간단하게 결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차체의 창틀에 유리를 접착할 때 임시고정용으로서 매우 편리하다.
한편, 유리의 주변부와 창틀사이에 부착되는 몰은 통상 차체를 기준으로 하여 부착하고 있기 때문에, 유리의 주연부위치가 결정되지 않으면 몰이 들뜨는 경우가 있다. 또, 유리의 주연부와 창틀사이의 간격의 분산은 몰의 립(lip)폭을 최소로 하기 위해서 가능한 작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유리는 경사면에 부착되기 때문에 그 자체의 무게에 의하여 아래로 밀리게 되므로 이것을 방지하기 위한 어떠한 위치어긋남 방지수단이 필요하고, 종래에는 위치조정이 가능한 스토퍼를 유리의 하측 가장자리와 맞닿도록 창틀에 부착하거나 댐 라바(dam rubber)를 양면테이프로 부착하거나 하는 수법이 채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방법들은 위치결정의 자유화가 곤란하고, 특히 유리의 상측 가장자리와 창틀의 간격을 규정하는 것이 매우 번거롭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주된 목적은 유리의 위치결정을 간단하게 할 수 있도록 개량된 윈드실드 임시고정용 파스너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같은 목적은, 본 고안에 의하면, 자동차의 윈드실드를 차체에 접착할 때에 임시로 고정하는 -1쌍의 평판상 기판의 각 일측면위에 가로/세로로 규칙적인 열을 지어 형성한 다수의 머리돌기를 가지며, 일측이 차체의 유리부착부가 되는 플랜지에 부착되고, 타측이 유리의 내면에 부착되는 - 압착/박리형 플라스틱 파스너의 구성을, 상기 1쌍의 평판상 기판의 각 일측면위에, 양 평판상 기판에 형성된 머리돌기가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서로 걸어맞춰져서 유리의 하향이동을 규제하는 걸림수단이 형성된 것으로 함으로써 달성된다.
이와같은 구성에 의하면, 압착/박리형 플라스틱 파스너를 압접하기 전에 양 기판에 형성된 걸림수단에 의하여 유리의 상하위치를 규정할 수 있다. 특히, 차폭방향으로 길이가 긴 시트면에 돌기를 맞닿게 하고서 위치결정하도록 하면, 폭방향으로의 조절이 용이해진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나타낸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는 본 고안에 의거하여 구성된 윈드실드 임시고정용 파스너를 나타낸다. 이 파스너는 차체측에 부착되는 차체측 파스너편(1)과 유리측에 부착되는 유리측 파스너편(2)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차체측 및 유리측 파스너편(1,2) 모두는 폭히 좁고 길이가 긴 평판상으로 된 합성수지제 기판(3.4)의 일측 평탄면위에 가로/세로로 규칙적인 열을 지어 형성한 다수의 머리돌기(5)를 가지고 있다.
차체측 파스너편(1)에는 금속제 클립(6)이 형성되어 있다. 이 클립(6)은 단면형상이 U자형을 이루도록 대략 T자형의 박판재를 구부려서 형성하며, 폭이 넓은 기판부착부(6a)와 양측단부를 랜스가공하여 내측으로 향하는 역지부(7)를 형성한 파지부(6b)로 되어 있다.
그리고, 기판부착부(6a)에 기판(3)을 맞대고서 기판부착부(6a)에 형성된 복수의 돌조(8)를 조임으로써 기판(3)과 클립(6)이 서로 일체화 된다.
이 차체측 파스너편(1)의 클립(6)을 차체 창틀의 상측 가장자리측의 내향 플랜지(9)에 끼워넣으면, 클립(6)내면에 형성된 역지부(7)가 플랜지(9)와 누름접촉됨으로써 차체측 파스너편(1)과 함께 클립(6)이 플랜지(9)에 비교적 강고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기판(3)의 단부에는 플랜지(9)의 단부와 맞닿는 위치결정돌기(10)가 형성되어 있으며, 플랜지(9)상에 있어서의 차체측 파스너편(l)의 위치를 정확하게 규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위치결정돌기(10)는 클립(6)의 기판부착부(6a)에 형성하여도 된다.
한편, 유리측 파스너편(2)은 유리(11)의 주연부 내면에 있어서의 상기 차체측 파스너편(1)의 부착위치에 대응한 위치에 양면접착테이프(12)를 이용하여 고정된다.
차체측 파스너편(1)의 중앙부 하측 가장자리에는 차폭방향으로 길이가 긴 시트면(13)이 기판(3)의 일측 평탄면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유리측 파스너편(2)의 중앙부에는 시트면(13)의 폭보다 충분히 작은돌기(1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시트면(13)과 돌기(14)의 높이는 양 파스너편(1,2)에 형성된 머리돌기(5,5)를 서로 맞닿게 한 상태에서 서로 상하로 오버랩하는 치수(제1도에서의 W치수)로 설정되어 있으며, 유리(11)를 플랜지(9)에 얹어놓은 상태에서 이들 시트면(13)과 돌기(14)가 서로 걸어맞춰져서 유리(11)가 상하방향으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 이것에 의하면, 시트면(13)의 폭범위내에서 돌기(14)를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양 파스너편(1,2)의 머리돌기(5)를 걸어맞추기 전에 유리(11)의 폭방향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같이 하고서, 유리(11)의 주연부 내면과 플랜지(9)사이에 미리 접착제를 도포한 후에 유리측 파스너편(2)을 차체측 파스너편(1)으로 압접하면, 양 파스너편(1,2)에 형성된 머리돌기(5)가 서로 걸어맞춰짐으로써 유리(11)가 플랜지(9)에 대하여 어긋나지 않게 임시 고정된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시트면(13)과 돌기(14)를 각 기판 (3,4)의 중앙에 형성한 것으로 하였으나, 이것을 일측 단부에 치우쳐서 형성하여도 된다.
제4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는 차체 창틀의 좌/우측 가장자리측의 내향 플랜지(29)에 부착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기본적인 작용자체는 상기 제1실시예와 대략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좌/우측 가장자리용 차체측 파스너편(21)의 기판(23) 하단에는 탄성편(25)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차체 창틀의 플랜지(29)는 2장의 강판이 겹쳐져 있으며, 표면측 판에 탄성편(25)을 걸어맞추기 위한 노치(26)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노치(26)에 탄성편(25)이 걸어맞춰짐으로써 차체측 파스너편(21)의 상하위치가 정확하게 규정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기판(23)의 상단측에 시트면(13)이 형성되어 있고, 유리측 파스너편(22)의 기판(24)하면에 돌출형성된 돌기(14)가 상기 시트면(13)에 걸어 맞춰짐으로써, 상기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유리(11)가 하측으로 어긋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시트면(13)과 돌기(14)의 위치는 각 기판(23,24)의 상단일 필요는 없다.
이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유리를 창틀에 얹어놓은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임시고정용 파스너를 서로 걸어맞추기 전에 유리를 위치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작업성의 향상에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차체측 파스너편을 창틀의 상측 가장자리측에 부착하면, 상부창틀을 기준으로 한 위치를 결정할 수 있고, 유리의 상측 가장자리와 창틀과의 간격을 정밀도 높게 규정할 수 있기 때문에 몰의 립폭을 최소화할 수 있다.

Claims (2)

  1. 자동차의 윈드실드를 차체에 접착할 때에 임시로 고정하는 -1쌍의 평판상 기판(3,4)의 각 일측면위에 가로/세로로 규칙적인 열을 지어 형성한 다수의 머리돌기(5)를 가지며, 일측이 차체의 윈드실드 부착부가 되는 플랜지(9)에 부착되고 타측이 상기 윈드실드(11)의 내면에 부착되는 -압착/박리형 플라스틱 파스너에 있어서, 상기 1쌍의 평판상 기판(3,4)의 각 일측면위에, 양 평판상 기판(3,4)에 형성된 머리돌기(5)가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서로 걸어맞춰져서 상기 윈드실드(11)의 하향이동을 규제하는 걸림수단(13,1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드실드 임시고정용 파스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은 상기 1쌍의 기판(3,4)중 어느 일측에 형성된 돌기(14)와,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돌기(14)의 좌우방향이동을 소정의 범위내에서 허용할 수 있는 차폭방향으로 길이가 긴 시트면(13)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드실드 임시고정용 파스너.
KR2019950002727U 1995-02-20 1995-02-20 윈드실드 임시고정용 파스너 KR01131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2727U KR0113151Y1 (ko) 1995-02-20 1995-02-20 윈드실드 임시고정용 파스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2727U KR0113151Y1 (ko) 1995-02-20 1995-02-20 윈드실드 임시고정용 파스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8571U KR960028571U (ko) 1996-09-17
KR0113151Y1 true KR0113151Y1 (ko) 1998-04-10

Family

ID=19408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2727U KR0113151Y1 (ko) 1995-02-20 1995-02-20 윈드실드 임시고정용 파스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315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8571U (ko) 1996-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49356A (en) Moulding clip devices for adhesively attached windshield structures
JP2005325942A (ja) 物品支持具
JPH06156070A (ja) ガラス取付け方法及び装置
US4379379A (en) Device for fixing a window molding onto a windowpane
US5702146A (en) Fastener assembly for securing a windshield on a vehicle body
KR0113151Y1 (ko) 윈드실드 임시고정용 파스너
US4389069A (en) Method of and a device for fixing a window molding onto a windowpane
US6944917B2 (en) Clip for mounting weatherstrip
US6863327B2 (en) Clip for attaching a corner cladding to a vehicle
GB2374631A (en) Clip with elastic pieces for positioning the clip
ATE33879T1 (de) Aufschiebebeschlag.
JP2604141Y2 (ja) ウィンドシールド仮止め用ファスナ
JP3116793B2 (ja) ウインドガラスの仮止め用クリップ
EP0323014B1 (en) Window positioning system
JP3151530B2 (ja) ウインドウパネルのモール取付構造
JPH0333561Y2 (ko)
JP2587516Y2 (ja) 車両用ウインドガラス取付調整装置
JPS6116419Y2 (ko)
JP2505802Y2 (ja) ガラスモ―ルの取付構造
JPH0135926Y2 (ko)
JPH0426248Y2 (ko)
JP2577447Y2 (ja) ガラス保持用クリップ
JP2542231Y2 (ja) 自動車の窓のコーナー用モールの固定装置
JPS6111043Y2 (ko)
JP2576834Y2 (ja) モールの係止クリ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3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