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2524Y1 - 화물운반용 밀차 - Google Patents

화물운반용 밀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2524Y1
KR0112524Y1 KR2019950006877U KR19950006877U KR0112524Y1 KR 0112524 Y1 KR0112524 Y1 KR 0112524Y1 KR 2019950006877 U KR2019950006877 U KR 2019950006877U KR 19950006877 U KR19950006877 U KR 19950006877U KR 0112524 Y1 KR0112524 Y1 KR 01125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ody
support
shaft
fixed
whe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68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4285U (ko
Inventor
옥성윤
Original Assignee
안병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병봉 filed Critical 안병봉
Priority to KR20199500068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2524Y1/ko
Publication of KR9600342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428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25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25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002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convertible from a one-axled vehicle to a two-axled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1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intended to be transferred totally to the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물운반용 밀차를 제공함에 있다. 화물받침대를 갖는 차체의 후측 하단으로는 차체와는 별도 분리형성한 차륜지지축을 위치시킴과 아울러, 그 지지축은 회동장치에 의해 차체로부터 회동가능하게 힌지하고, 또한 차체에는 차륜을 절첩상태로써 고정하는 고정장치를 설치한 것이다. 이에 의해 차체와 차륜에 의한 화물의 하중분산으로 보다 용이하게 화물운반에 적용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화물운반용 밀차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화물운반용 밀차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 하단의 차륜부착부위만을 A방향에서 보아 도시한 사시도
제3도(A)(B)는 제2도의 I-I선 방향에 따른 작동상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운반용밀차 12 : 손잡이
14 : 차체 16 : 화물받침판
30a,30b : 차륜 32 : 지지축
40 : 회동수단 41 : 고정간
42 : 회동간 43 : 지지핀
50 : 지지수단 60 : 걸림수단
61 : 지지바아 62 : 잠금부재
64 : 축통체
본 고안은 화물운반용 밀차(CART)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체에 대해 차륜을 회동가능하게 설치한 것에 의해 짐을 실을시 차체에 미치는 하중을 분산되게 유도하여 짐의 운반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게 한 화물운반용 밀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든 화물운반용 밀차는 구동에 필요한 차륜을 구비하고 있으며 또한 차륜들을 밀차와 일체로 축지지된 상태에서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화물을 소정위치로 운반을 해야할 경우, 먼저 밀차를 지면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수직으로 세운상태에서 지면과 수평면을 이루는 짐받이부 위쪽으로 화물을 실은후 그 다음에는 밀차를 운전자가 운전함에 편리한 위치인 앞쪽으로 경사지게 누인후 운전을 실행한다.
그러나, 차체의 짐받이부위에 물건을 실은후 운전을 함에 편리하게 하고져 운전자 앞쪽으로 눕히는 경우, 고정된 차륜을 중심점(重心点)으로 하여 눕혀지기 때문에, 가벼운 화물이 아니면 혼자서 단독으로 실행함이 매우 어려운 문제가 뒤 따르며, 또한 이로 인해 여러명이 수행해야 되는 불필요한 노동력 소모의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제 결점들을 해소하고 차륜을 차체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설치하여, 차체를 눕힐시 차륜이 그 차체의 눕혀지는 방향으로 같이 이동되면서 차체에 미치는 하중을 분산되게 유도한 것에 의해, 혼자서도 용이하게 중량물의 화물을 운반할 수 있게 한 화물운반용 밀차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화물적재용 받침대를 갖는 차체와, 그 차에에 회전되게 설치된 차륜들을 갖는 화물운반용 밀차에 있어서, 상기 차체와는 분리되게 구성하여 차체의 하단에 설치한 차류지지축; 및 상기 차체의 하단후측에서 그 지지축을 회동가능하게 연결하여, 화물받침대상으로의 화물적재를 용이하게 하는 회동수단을 포함하는 화물운반용 밀차에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에 의한 화물운반용 밀차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화물운반용 밀차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제2도는 제1도의 차륜부착부위판을 A방향에서 보아 그 일부만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들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화물운반용 밀차(10)는 금속파이프들을 절단절곡하여 만든 손잡이(12)를 갖는 소정높이로 직립형성한 차체(14)와, 상기 차체(14)의 하단에서 그 차체(14)와는 직각을 이루며 일체로 고착된 화물받침판(16)과, 한쌍의 차륜들(30a,30b)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차륜들(30a,30b)은 차체(14)와는 별도로 분리형성되어 그 차체(14)의 후방하단에 위치한 지지축(32)의 양단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지지축(32)은 차륜(30a.30b)을 설치한 상태에서 차체(14)의 하단 후방으로부터 돌설된 고정간(41)에 힌지로 연결된 회동간(42)에 일체로 지지된다. 이 고정간(41)과, 회동간(42)으로 연결되는 일련의 구조를 회동수단(40)이라하며, 이 회동수단(40)에 의해 상기 지지축(32)은 차체(14)로부터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이다.
상기 회동수단(40)은 양측 동일하므로 일측을 예를들어 설명한다.
즉, 회동수단(40)의 상기 고정간(41)은 차체(14)에 일체로 고착되어 있으며, 소정길이를 갖는 회동간(42)은 일단이 고정간(41)에 지지핀(43)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는 반면, 타단은 차륜 지지축(32)에 일체로 고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회동수단(40)의 상방으로는 그 회동수단(40)의 회동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회동수단(40)의 회동경로상에 지지부재(50)가 돌설되어 있다. 이 지지부재(50)는 차체(14)와 같은 금속판 U자형으로 절곡하여 회동수단(40)과는 소정거리를 둔 위치의 차체(50)에 일체로 고정시킨 것이다.
상기 지지부재(52)에는 보강부재(50)가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지지부재(50)에 대한 보강력을 부여하고 있다. 또한, 상기 차체(14)와 차륜(30a,30b)들의 지지축(32)에는 차륜(30a,30b)을 차체(14)에 대하여 견고한 상태로 있게끔 걸려있게 하기 위한 걸림수단(60)이 구비되어 있다.
이 걸림수단(60)은 차륜지지축(32)과 같은 횡방향으로 양측의 차체(14)에 걸쳐 일체로 부착된 지지바아(61)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한 지지축(32)에는 이 지지축(32)의 외주면에서 회전 가능하게 관착된 축통체(64)를 형성한다. 이 축통체(64)에는 상기한 지지바아(6l)에 선택적으로 걸릴 수 있게끔 후방에 연결되면서 선단부위를 하방으로 향해 직각으로 절곡한 잠금부재(62)가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이 잠금부재(62)는 축통체(64)의 양단에 설치되지만 제2도에서는 좌측에 위치된 것만이 보이고 있다. 잠금부재(62)는 하나의 연결바아(65)에 의해 일체로 접속되어 있으며 그 연결바아(65)의 대략 중간부에는 걸림편(66)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걸림편(66)은 연결바아(65)와 잠금부재(62) 및 축통체(64)에 일체로 되어 지지축(32)을 중심으로 하여 제2도의 화살표방향으로 회동가능하다.
즉, 지지바아(61)에 걸림편(66)의 절곡 선단부를 걸어두면 차륜(30a,30b) 및 지지축(32)은 지지바아(61)에 걸린 상태로 유지되어 앞으로 넘어질 염려가 없고, 걸림편(66)을 반대로 회전시키면 걸림상태가 해제되어 운반이동이 가능해진다.
이에 대한 상세구조는 후술하는 제3도(A)(B)에 의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부호(70a,70b)는 보조차륜으로, 차체(14)의 하단양측에 설치되어 차륜들(30a, 30b)의 보조적 역할을 실행한다.
제3도(A),(B)는 제2도의 I-I선 방향에 따른 작동상태 단면도이다. 이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화물운반용 밀차의 작용 일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의한 화물운반용 밀차(10)는 평상시에는 제3도(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14)를 직립 상태로 세우면 차륜(30a)(30b)을 구비한 지지축(32)이 고정간(41)의 지지핀(43)을 축으로 하향 회동된 상태로 차체(14)쪽으로 접어진 상태로 있게 된다. 세워진 차륜(30a)(30b) 일체의 지지축(32)은 축통체(64)에 일체로 연결되면서 지지바아(61)에 그 선단부가 걸리게 되는 잠금부재(62)에 의해 차체(14)에 견고하게 걸어진 상태로 있게 된다.
따라서 밀차(10) 보관시에는 차륜(30a,30b)은 차체(14)로부터 이격되는 일없이 항시 차체(14)에 일체로 밀착된 상태로써 있게 된다.
그러나, 차륜(30a)(30b)은 지지축(32)으로부터 회전이 자유로운 상태로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중량(重量)의 화물을 실어 운반하는 경우에는 밀차(10)를 제3도(A)에 표시한 바와 같이 지표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세움과 동시에, 수평상으로 위치되는 화물반침판(16)은 중량의 화룰(P) 밀바닥으로 위치되게 한 뒤 걸림편(66)을 발로 밟아 하향 이동시킨다.
즉, 걸림수단(60)를 제3도(A)의 가상선표시와 같이, 걸림편(66)을 발로서 밟게 되면 걸림편(66)과 일체로된 축통체(64)는 지지축(32)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되고, 이와 아울러 축통체(64)와 일체로된 잠금부재(62)역시 축통체(64)와 같이 상방을 향해 회전됨에 의해 그때까지 걸림상태로 있던 지지바아(61)로 부터 벗어나는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 잠금부재(62)의 해제와 아울러 제3도(B)의 표시와 같이 밀차(10)를 운전함에 편리한 위치인 운전자의 앞쪽으로 눕히면 회동간(42)은 고정간(41)을 축지하고 있는 지지핀(43)을 중심점으로 하여 하향 이동된다.
따라서 차체(14)는 보조차륜(70a)(70b)의 안내를 받으면서 앞쪽으로 밀려나가게 되는 한편, 동시에 차륜(30a)(30b)이 회동간(42)과 같이 지지핀(43)을 지점으로 하여 회동되면서 후방으로 자연스럽게 이동되는 상태를 이루게 된다.
즉, 지지핀(43)을 중심으로 차륜(30a)(30b)과 같이 후방으로 회동되는 상태를 이루게 되는 회동간(42)은바로 위의 회동경로상에 위치하고 있던 지지부재(50)와 맞닿게 되므로 차체(14)쪽으로의 더 이상의 회동작용은 일어나지 않고 차체(14)를 받쳐주는 상태로 있게 된다.
이로인해 차체(14)는 화물받침판(16)상의 화물(P)과 같이 자연스럽게 지면으로부터 눕혀지게 되면서 최적의 운전상태를 이루게 된다. 화물(P)을 운반후 다시 제3도(A)와 같은 상태로 위치하게 되면, 차륜(30a)(30b)은 그 자중에 의해 회동간(42)과 같이 절곡부인 지지핀(43)을 지지점으로 하여 차체(14)쪽으로 회동되면서 절첩되는 상태를 이루게되고 이때 걸림수단(60)인 잠금부재(62)를 다시 회동시켜서 지지바아(61)에 걸리게 하면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차체의 하단 뒤 하방에 차체에 대하여 회동가능한 차륜장치를 설치한 것에 의해, 차체를 눕히게 될 경우 차체의 어느 한곳으로 집중되는 하중을 분산되게 유도할 수가 있어 최적의 밀차 운전상태로 되므로, 종래 차체를 눕힐경우 고정된 차륜쪽으로만 집중적으로 하중이 작용됨에 의해 많은 힘이 필요했던 것과는 달리, 작업자 혼자서 안전하고도 쉽게 운반할 수가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화물적재용 받침대를 갖는 차체와, 그 차체에 회전되게 설치된 차륜들을 갖는 화물운반용 밀차에 있어서, 양단에 차륜을 형성한 지지축(32); 상기 차체(14)의 하부에 상기 지지축(32)을 회전가능하게 축지하기 위한 회동수단(40); 상기 회동수단(40)과 인접된 곳에서 차체(14)로부터 돌설되어, 회동수단(40)의 회동범의를 억제하는 스톱퍼용 지지부재(50); 상기 지지축(32)의 외주에 끼워져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한 축통체(64), 상기 축통체(64)의 양 끝에서 후단부가 연결되고, 선단부는 절곡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그 사이를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걸림수단(60), 상기 차체(14)의 후방에서 상기 축통체(64)와 나란히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걸림수단이 걸리거나 해결되도록 하는 지지바아(61), 및 상기 차체(14)의 하단에 형성된 보조차륜(70a)(70b)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화물운반용 밀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수단(40)은 차체로부터 일체로 돌설된 고정간(41)과, 소정길이를 갖고 일단이상기 고정간(41)에 축지되과 타단은 지지축(32)에 일체로 고착된 회동간(42) 및 상기 회동간(42)을 상기 고정간(41)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지지핀(4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운반용 밀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60)은, 상기 축통체 (64)의 양끝 부분에서 지지바아(61)를 향해 연장 절곡되어 걸림구조를 형성하는 잠금부재(62)와, 그 절곡부분에서 상기 축통제(64)와 나란히 횡방향으로 연결되는 연결바아(65) 및, 이 연결바아(65)의 중간부분에 돌설되는 걸림편(66)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운반용 밀차.
KR2019950006877U 1995-04-07 1995-04-07 화물운반용 밀차 KR01125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6877U KR0112524Y1 (ko) 1995-04-07 1995-04-07 화물운반용 밀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6877U KR0112524Y1 (ko) 1995-04-07 1995-04-07 화물운반용 밀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4285U KR960034285U (ko) 1996-11-19
KR0112524Y1 true KR0112524Y1 (ko) 1998-04-09

Family

ID=19410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6877U KR0112524Y1 (ko) 1995-04-07 1995-04-07 화물운반용 밀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252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4285U (ko) 1996-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534190B2 (ko)
US5393191A (en) Vehicle attachment for transporting snowmobiles
KR100250909B1 (ko) 프레임지지대와적재용회전마스트를갖는차량
US5011362A (en) Vehicle with multi-positionable flat bed
JPH07315227A (ja) 滑り装置を備えた貨物搬送装置
CA2171879C (en) Shiftable cargo container for truck-tractor
KR0112524Y1 (ko) 화물운반용 밀차
US3720335A (en) Snowmobile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for pickup trucks
JP4868993B2 (ja) コンテナシャシの伸縮構造
US3377081A (en) Hand truck
JPH10120388A (ja) フォーク、ならびにこれを備えた運搬車および車両用台車
GB1591116A (en) Elevating hand truck
JP3190993B2 (ja) トレーラー装置
JP4221325B2 (ja) 車輌積付け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07205818A (ja) 枠付き牽引台車
KR19990052274A (ko) 이송대차가 구비된 화물차량
US4906014A (en) Flatcar for carrying the burden
JP7458115B1 (ja) 貨物自動車及び荷台着地機構
JP3041440U (ja) 重量物運搬用台車
JP4397366B2 (ja) コンテナシャシ
KR950005629Y1 (ko) 화물운반용 밀차
JP2581617Y2 (ja) 自走式荷役運搬機
JPH057869Y2 (ko)
JP2594468Y2 (ja) 運搬車の姿勢変更装置
SU783102A1 (ru) Полуприце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1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