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1937Y1 - 누수방지장치가 형성된 자동차의 카울 - Google Patents

누수방지장치가 형성된 자동차의 카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1937Y1
KR0111937Y1 KR2019950014136U KR19950014136U KR0111937Y1 KR 0111937 Y1 KR0111937 Y1 KR 0111937Y1 KR 2019950014136 U KR2019950014136 U KR 2019950014136U KR 19950014136 U KR19950014136 U KR 19950014136U KR 0111937 Y1 KR0111937 Y1 KR 01119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wl
fender
filler
extension par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41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1506U (ko
Inventor
오제혁
Original Assignee
한승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승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승준
Priority to KR20199500141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1937Y1/ko
Publication of KR9700015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50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19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193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1Cow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6Mud-guards or wings; Wheel cover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누수방지 장치가 형성된 자동차의 카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울(20)과 휀더(10) 사이에 위치하는 내부필러(30)와 결합될 수 있도록 카울(20)의 한쪽을 하부로 연장하여 연장부(21)를 형성하고, 이 연장부(21)에 의해 카울(20)과 내부필러(30)가 기밀하게 결합하여, 사용시 상기 휀더(10)와 카울(20)사이로 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이에 따라 카울(20)의 강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누수방지장치가 형성된 자동차의 카울
제 1도는 종래 카울과 휀더가 위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제 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 3도는 종래 카울이 위치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제 4도는 제3도의 B-B선 단면도.
제 5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휀더 20 : 카울 21: 연장부
30 : 내부필러
[실용신안의 상세한 설명]
본 고안은 누수방지 장치가 형성된 자동차의 카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울과 휀더 사이에 위치하는 내부필러와 결합될 수 있도록 카울의 한쪽을 하부로 연장하여 연장부를 형성하고, 이 연장부에 의해 카울과 내부필러가 기밀하게 결합되게 함으로서, 사용시 상기 휀더와 카울사이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이에따라 카울의 강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한 누수방지 장치가 형성된 자동차의 카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카울은 제1도 내지 제4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휀더(1)와 카울(4)사이에 내부필러(3)와 외부필러(2)가 위치되어 있으며, 상기 카울(4)과 내부필러(3)사이에는 본넷트(6) 힌지가 궤적할 수 있는 궤적구간(5)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본넷트(6) 힌지가 궤적할 수 있는 궤적구간(5)에 대한 도피를 위하여 카울(4)이 내부필러(3)와 접합되지 않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첫째, 카울(4)과 휀더(1)사이로 침입되는 누수에 대한 대응이 불가능하였다.
둘째, 본넷트(6)와 카울(1)사이로 흐르는 물이 첸넬(7)를 타고 흐르다가 카울(4)의 끝단부에서 그대로 차체내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카울과 휀더 사이에 위치하는 내부필러와 결합될 수 있도록 카울의 한쪽을 하부로 연장하여 연장부를 형성하고, 이 연장부에 의해 카울과 내부필러가 기밀하게 결합되게 함으로서, 사용시 상기 휀더와 카울사이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이에따라 카울의 강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한 누수방지 장치가 형성된 자동차의 카울제공을 하는데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제2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카울(20)과 휀더(10) 사이에 위치하는 내부필러(30)와 결합될 수 있도록 카울(20)의 한쪽을 하부로 연장하여 연장부(21)를 형성하고, 이 연장부(21)에 의해 카울(20)과 내부필러(30)가 기밀하게 결합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카울(20)의 하부로 연장된 연장부(21)를 내부필러(30)에 기밀하게 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연장부(21)가 내부패널(30)과 결합된 상태에서, 물이 상기 카울(20)과 휀더(10) 사이로 흐르더라도 연장부(21)에 의해 누수되는 것이 방지되며, 상기 연장부(30)에 의해 강성이 확보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카울과 휀더 사이에 위치하는 내부필러와 결합될 수 있도록 카울의 한쪽을 하부로 연장하여 연장부를 형성하고, 이 연장부에 의해 카울과 내부필러가 기밀하게 결합되게 함으로서, 사용시 상기 휀더와 카울사이로 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이에따라 카울의 강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Claims (1)

  1. 휀더와 카울사이에 형성된 외부필러와 내부필러에 있어서, 상기 카울과 휀더 사이에 위치하는 내부필러와 결합될 수 있도록 카울의 한쪽을 하부로 연장하여 연장부를 형성하고, 이 연장부에 의해 카울과 내부필러가 기밀하게 결합되게 함으로서, 사용시 상기 휀더와 카울사이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방지 장치가 형성된 자동차의 카울.
KR2019950014136U 1995-06-21 1995-06-21 누수방지장치가 형성된 자동차의 카울 KR01119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4136U KR0111937Y1 (ko) 1995-06-21 1995-06-21 누수방지장치가 형성된 자동차의 카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4136U KR0111937Y1 (ko) 1995-06-21 1995-06-21 누수방지장치가 형성된 자동차의 카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1506U KR970001506U (ko) 1997-01-21
KR0111937Y1 true KR0111937Y1 (ko) 1998-04-07

Family

ID=19416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4136U KR0111937Y1 (ko) 1995-06-21 1995-06-21 누수방지장치가 형성된 자동차의 카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193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1506U (ko) 1997-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59179419A (ja) 自動車の燃料給油口周辺構造
KR0111937Y1 (ko) 누수방지장치가 형성된 자동차의 카울
KR0111938Y1 (ko) 누수방지장치가 형성된 자동차의 카울
KR19980017276U (ko) 누수방지를 위한 차량의 그로메트
KR970001266Y1 (ko) 차량용 엔진의 소음 및 주행소음의 차단구조
JPS6111083Y2 (ko)
KR0122512Y1 (ko) 자동차의 카울 체결구조
KR950019055A (ko) 엔진의 하부 구조
KR0139415Y1 (ko) 자동차용 연료 주입구
KR0124373Y1 (ko) 자동차의 루프몰딩 취부구조
JP2000177646A (ja) 自動車のフェンダー後部構造
KR970005410Y1 (ko) 누수방지용 웨더스트립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브라케트
KR970006977Y1 (ko) 차체용 홀캡
KR100187415B1 (ko) 차량용 연료주입구의 누수방지구조
KR200148467Y1 (ko) 자동차용 케이블 고정클립의 구조
KR19980033821U (ko) 자동차 트렁크의 웨더스트립 취부구조
KR200154219Y1 (ko) 자동차용 램프 하우징의 누수방지구조
KR0137325Y1 (ko) 버스 차량의 사이드 윈도우 고정용 상부 몰드
KR19980062847A (ko) 캔버스 탑 차량의 누수 방지구조
KR970041406A (ko) 자동차의 대시판넬 용접써비스홀 카바 구조
KR0115599Y1 (ko) 앞차체 카울측면(Cowl Side) 접합부의 누수방지구조
KR19980046501U (ko) 자동차 연료 탱크의 캡 구조
KR100418670B1 (ko) 자동차용 연료 주유구의 덮개구조
KR0132481Y1 (ko) 차량용 도어의 패치식 웨자스트립구조
KR19980065881U (ko) 상용차의 필라 캡 보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1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