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1713Y1 - 자동차의 블로워 유니트(Blower unit)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블로워 유니트(Blower un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1713Y1
KR0111713Y1 KR2019950027977U KR19950027977U KR0111713Y1 KR 0111713 Y1 KR0111713 Y1 KR 0111713Y1 KR 2019950027977 U KR2019950027977 U KR 2019950027977U KR 19950027977 U KR19950027977 U KR 19950027977U KR 0111713 Y1 KR0111713 Y1 KR 01117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er unit
duct
air
circulation
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79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6686U (ko
Inventor
구본상
Original Assignee
한승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승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승준
Priority to KR20199500279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1713Y1/ko
Publication of KR9700166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668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17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17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457Ventilation unit, e.g. combined with a radiator
    • B60H1/00471The ventilator being of the radial type, i.e. with radial expulsion of the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64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air 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2001/006Noise red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07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 B60H3/0014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substance adding device
    • B60H3/0021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substance adding device in the air-conditioning hous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블로워 유니트에 덕트를 형성시켜서 순환모드에서의 공기공급량을 최대화 시키고, 다른 부품으로부터 흐름의 방해를 받는 요인을 제거한 블로워 유니트이다.
제3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블로워유니트(30)는 대쉬패널(34), 특히 글로브박스(36)와 근접되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순환모드 설정시에 차실내의 공기가 블로워 유니트(30)의 순환벤트(40)로 유입되는데는 많은 장애가 있어 충분한 양의 공기가 순환되지 못하고 소음만 크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는 순환벤트(40)가 별도의 길이를 갖는 가이드 라인이 있는 것이 아니고, 단순히 블로워유니트(30)의 케이스 외면에 관통구를 형성시킨 것과 같이 입구가 만들어져 있기 때문이며, 이 때문에 공기 유입음이 소음으로 발생되고, 블로워유니트(30)의 모터에도 무리한 하중을 주는 등 개선이 필요하였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블로워유니트의 순환벤트에 일정길이의 덕트를 연결시켜서 상기한 타부품들 때문에 야기되던 공기흐름 방해나 공기순환을 위한 송풍음 발생을 최소화 시킨 것이다.
이를 위해 덕트는 차실내로 타부품에 영향을 주지 않을 만큼 충분히 길게 연장시키며, 부수적으로 이 덕트를 통해 블로워 유니트를 소독할 수 있는 도구로도 활용하게 한것이다.
즉, 이 덕트하단에 곰팡이 제거제와 같은 약을 분사시키면 다른 이물질의 혼입없이 블로워유니트내로 흡입분사 되어져 소독이 되는 것이며, 필요에 따라 방향제동을 이 덕트 입구에 달아 나쁜 냄새등을 제거해도 좋은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블로워 유니트(Blower unit)
제1도는 자동차 에어컨의 공기순환 원리도면,
제2도는 종래 블로워유니트 부위의 정면도,
제3도는 제2도의 측면도,
제4도는 제2도의 평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정면도,
제6도는 제5도의 측면도,
제7도는 제5도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카울그릴(Cowl grill) 12 : 블로우 모터(Blow motor)
13 : 에어호스 14 : 내기 입구
16 : 이버포레이터(Evaporator) 18 : 히터코어
20,22 : 도어 26 : 벤틸레이터
28 : 디프로스트 30 : 블로워 유니트
32 : 이버포레이터 유니트 34 : 대쉬패널
36 : 글로브박스 38 : 프레쉬 벤
40 : 순환 벤트 41 : 덕트
본 고안은 자동차의 블로우모터가 설치된 블로워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블로워 유니트에 덕트를 형성시켜서 순환모드에서의 공기공급량을 최대화시키고, 다른 부품으로부터 흐름의 방해를 받는 요인을 제거한 블로워 유니트이다.
자동차의 실내공기를 쾌적하게 공급하여 탑승자의 안전운행과 건강보호를 위해 채택되는 공기순환 원리는 제1도와 같아서 카울그릴(10)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공기는 블로우모터(12)의 내기 입구(14)를 거쳐 이버포레이터(16)로 전해지고, 히터코어(18)는 더운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설치되지만 두개의 도어(20,22)는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개폐되면서 더운공기와 찬공기가 적당히 믹스되어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적당한 온도로 선택된 공기는 운전자가 선택하는 모드스위치 조작에 따라 도어(20)(22)를 통해 사이드 벤틸레이터(26)와 디프로스트(28)로 공급되어져 자동차 실내로 송풍되는 원리는 주지하는 바와 같다.
한편, 본 고안과 관련하여 종래의 블로워 유니트(30)는 제3도내지 제5도와 같이, 이버포레이터 유니트(32)와 연계되고, 측면에서 보면 대쉬패널(34)의 글로브박스(36)를 구성하는 부분 뒤에 설치되어진다.
또한, 블로워 유니트(30)는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유입시키는 프레쉬 벤트(38)와 차내의 공기를 재순환 시키는 순환벤트(40)가 길이 없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순환모드가 선택되면 순환벤트(40)로 차실내의 공기가 순환되어 공급되고, 환풍모드가 선택되면 프레쉬 벤트(38)로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유입되게 된다.
그러나 제3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블로워 유니트(30)는 대쉬패널(34), 특히 글로브박스(36)와 근접되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순환모드 설정시에 차실내의 공기가 블로워 유니트(30)의 순환벤트(40)로 유입되는데는 많은 장애가 있어 충분한 양의 공기가 순환되지 못하고 소음만 크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는 순환벤트(40)가 별도의 길이를 갖는 가이드 라인이 있는 것이 아니고, 단순히 블로워 유니트(30)의 케이스 외면에 관통구를 형성시킨 것과 같이 입구가 만들어져 있기 때문이며, 이 때문에 공기 유입음이 소음으로 발생되고, 블로워 유니트(30)의 모터에도 무리한 하중을 주는 등 개선이 필요하였다.
이에 본 고안서에서는 블로워 유니트의 순환벤트에 일정 길이의 덕트를 연결시켜서 상기한 타부품들 때문에 야기되던 공기흐름 방해나 공기순환을 위한 송풍음 발생을 최소화 시킨 것이다.
이를 위해 덕트는 차실내로 타부품에 영향을 주지 않을 만큼 충분히 길게 연장시키며, 부수적으로 이 덕트를 통해 블로워 유니트를 소독할 수 있는 도구로도 활용하게 한 것이다.
즉, 이 덕트 하단에 곰팡이 제거제와 같은 약을 분사시키면 다른 이물질의 혼입없이 블로워유 니트내로 흡입분사 되어져 소독이 되는 것이며, 필요에 따라 방향제등을 이 덕트입구에 달아 나쁜 냄새 등을 제거해도 좋은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대쉬패널(34)의 글로브박스(36)와 근접되게 설치되며 프레쉬 벤트(38)와 순환벤트(40)가 형성된 블로워 유니트(30)에 있어서, 상기 순환벤트(40)에 일정길이의 덕트(42)를 연장 형성시켜서 차실내의 순환되는 공기가 상기 덕트(42)를 통해 흡입되도록 된 자동차의 블로워 유니트이다.
제5도는 본 고안의 정면도로, 덕트(42)로 인해 주변의 타부품설치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공간을 활용했으며, 제6도는 제5도의 측면도로, 덕트(42)가 마치 코끼리 코처럼 연장되어서 곰팡이 제거제(44)와 같은 것을 분사시킬수 있는 예를 보이고 있다.
여기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덕트(42) 입구에 방향제나 소독제 설치구를 형성시켜서 일정주기로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한 구조이다.
제7도는 제5도의 평면도로 프레쉬 벤트(38)와 이웃하여 덕트(42)가 부가 되었음을 보여준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송풍모드를 선택하는 경우는 프레쉬벤트(38)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는 과정은 종래와 동일하다.
그러나, 순환모드를 선택한 경우에는 덕트(42)를 통해서만 차실내의 공기가 순환벤트(40)로 유입되므로 종래와 같이 덕트(42)가 없을 때 아무 곳으로나 순환벤트(40)로 공기가 유입되므로 종래와 같이 덕트(42)가 없을 때 아무 곳으로나 순환벤트(40)로 공기가 유입됨에 따라 이물질이 함께 유입되거나 소음이 발생되면 문제가 해결되는 것이다.
더구나, 이 덕트를 통해 방향제나 소독제를 분사시키면 차내로 소독된 공기가 순환되어서 탑승자의 건강을 보호할 수 있고, 이음이 발생되지 않는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는 쾌적한 분위기로 안전운행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대쉬패널(34)의 글로브박스(36)와 근접되게 설치되며 프레쉬 벤트(38)와 순환벤트(40)가 형성된 블로워 유니트(30)에 있어서 상기 순환벤트(40)에 일정 길이의 덕트(42)를 연장 형성시켜서 차실내의 순환되는 공기가 상기 덕트(42)를 통해 흡입 되도록 된 자동차의 블로워 유니트.
  2. 제1항에 있어서, 덕트(42)입구에는 방향제난 소독제 설치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블로워 유니트.
KR2019950027977U 1995-10-06 1995-10-06 자동차의 블로워 유니트(Blower unit) KR01117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7977U KR0111713Y1 (ko) 1995-10-06 1995-10-06 자동차의 블로워 유니트(Blower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7977U KR0111713Y1 (ko) 1995-10-06 1995-10-06 자동차의 블로워 유니트(Blower un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6686U KR970016686U (ko) 1997-05-23
KR0111713Y1 true KR0111713Y1 (ko) 1998-04-07

Family

ID=19425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7977U KR0111713Y1 (ko) 1995-10-06 1995-10-06 자동차의 블로워 유니트(Blower un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171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6686U (ko) 1997-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07585B1 (en) A dashboard for vehicles, incorporating a heat-exchanger
GB2346962A (en) Integrated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HVAC) system for an automotive vehicle
KR0111713Y1 (ko) 자동차의 블로워 유니트(Blower unit)
US6425818B1 (en) Interior air processing casing, especially for an automobile vehicle
KR100352320B1 (ko) 기차의 객실 내부 외기 유입방지장치
PT783987E (pt) Sistema de aquecimento e ventilacao para a cabina do motorista especialmente de uma carruagem de caminho de ferro urbano
KR20070023073A (ko) 버스의 공기조화 시스템
KR100218992B1 (ko) 자동차용 에어컨디셔너의 청정방법 및 그 장치
JPH1159161A (ja) 車両用空調ユニットを含むユニットアセンブリ
JPH0112971Y2 (ko)
KR0132382Y1 (ko) 버스의 공조장치
KR0121683Y1 (ko) 자동차의 카울구조
JP2509853Y2 (ja) 自動車の後席用空気調和装置
JPS6328719A (ja) 自動車用空調消臭装置
JPH11129729A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KR100552050B1 (ko) 차량의 시트용 냉방장치
KR20230161190A (ko) 차량 공조시스템 플라즈마 청정장치
KR20010065954A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19980017033U (ko) 자동차의 에어덕트
KR101950732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0206206B1 (ko) 자동차의 이베퍼레이터 응축수 제거시스템
KR20000049725A (ko) 자동차 실내 환풍장치
KR100217615B1 (ko) 자동차용 벤트 홀을 갖는 자동차용 스톱 램프
KR200441328Y1 (ko) 자동차용 공조 케이스
KR200147899Y1 (ko) 리어 시트의 푸트 레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