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1198Y1 - 냉장고도어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냉장고도어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1198Y1
KR0111198Y1 KR2019940028440U KR19940028440U KR0111198Y1 KR 0111198 Y1 KR0111198 Y1 KR 0111198Y1 KR 2019940028440 U KR2019940028440 U KR 2019940028440U KR 19940028440 U KR19940028440 U KR 19940028440U KR 0111198 Y1 KR0111198 Y1 KR 01111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refrigerator
guide
closing device
elastic rest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84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5208U (ko
Inventor
박성일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400284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1198Y1/ko
Publication of KR9600152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52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11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11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4Door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장고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냉장고본체(1)에 상도어(71) 및 하도어(73)가 힌지결합되는 냉장고도어 개폐장치에 있어서, 도어힌지 및 도어안내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도어(71)와 하도어(73)사이 부근의 상기 냉장고본체(1)전면에 고정설치된 주부재(75)와, 상기 주부재(75)의 외곽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상도어(71)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상도어(71)의 하면에 설치된 회전수단(5)과, 상기 도어(71)에 탄성복원력을 가하도록 상기 회전수단(5)의 일측에 설치된 탄성복원수단(6)으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도어와 하도어 사이에도 설치할 수 있도록 콤팩트화함과 동시에 부품수를 줄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냉장고도어 개폐장치
제 1도는 종래 냉장고도어의 개폐장치의 분해사시도.
제 2도는 a도 및 b도는 종래 냉장고도어의 개폐장치의 종단면도 및 동작상태도.
제 3도는 본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냉장고도어의 개폐장치가 장착된 냉장고를 도시한 사시도.
제 4도는 본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냉장고도어의 개폐장치의 분해사시도.
제 5도는 a도 및 b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냉장고도어 개폐장치의 종단면도 및 동작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부호의 설명
1 : 냉장고 본체5 : 회전수단
6 : 탄성복원수단 21 : 밀폐부재
50 : 지지부재 51 : 작동봉
52 : 롤러 71 : 상도어
73 : 하도어 75 : 주부재
75d : 안내면75c : 걸림면
77 : 힌지축부재
본 고안은 개방된 냉장고도어에 약간의 힘만 가해주어도 도어가 자동적으로 닫히게 되며 냉장고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는 냉장고본체와 도어가 충분히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냉장고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 하 냉장고도어의 사이에도 설치할 수 있도록 콤팩트화함과 동시에 부품수를 줄여 제조원가를 절감한 냉장고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도어 개폐장치는 여러 가지 종류가 개발되어 있으나, 종래 자동으로 닫히는 냉장고도어 개폐장치로서, 본 출원인에 의해 1993년 11월 30일자로 대한민국에 실용신안 출원된 실용신안출원번호 제93-25775호가 있다.
본 출원인이 출원한 실용신안출원번호 제93-25775호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고본체(1)의 전면에는 냉장고도어(2)가 힌지결합되어 있고, 상기 냉장고본체(1)의 하단에는 힌지부를 형성하도록 힌지판(30)이 고정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힌지판(30)의 상면에는 상기 도어(2)가 원활히 개폐되도록 후술하는 롤러를 안내하는 안내수단(4)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도어(2)의 하면에는 상기 도어(2)를 개폐시키도록 회전하는 회전수단(5) 및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탄성복원수단(6)이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힌지판(30)과 냉장고본체(1)의 전면 사이에는 상기 냉장고본에(1)의 전면을 보호하도록 유연한 재질로 된 보호부재(33)가 밀착고정되어 있다.
상기 힌지판(30)의 일측상면에는 상기 냉장고도어(2)를 지지함과 동시에 회전시키도록 힌지축부재(3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안내수단(4)은 외주면에 굴곡부(41)를 갖는 경질의 합성수지로 된 안내부재(40)와, 상기 안내부재(40)를 상기 힌지판(30)의 상면적소에 체결하는 체결부재(42)와, 상기 회전수단(5)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상기 안내부재(40)의 일측면과 이격되게 상기 힌지판(30)의 상면적소에 수직설치되어 있는 돌기(43)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회전수단(5)은 상기 도어(2)의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작동봉(51)을 구비하여 상기 탄성복원수단(6)에 일측에 접속된 지지부재(50)와, 상기 안내부재(40)의 외주면에 구름접촉하도록 체결부재(53)에 의해 상기 작동봉(51)의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롤러(5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탄성복원수단(6)은 후술하는 홈부(20)의 일측내면에 그 일단이 접속되어 상기 도어(2)의 개폐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50)에 탄성복원력을 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2)의 하단 일측에는 상기 힌지축부재(31)가 삽입되도록 요홈(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요홈에 인접한 곳에는 상기 지지부재(50) 및 탄성복원수단(6)을 수용하도록 홈부(2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홈부(20)의 개구부에는 상기 지지부재(50) 및 탄성복원수단(6)의 처짐을 방지하도록 밀폐부재(21)가 체결부재(60)에 의해 고정설치되어 있고, 상기 밀폐부재(21)의 중앙부에는 상기 작동봉(51)이 안내되어 이동가능하도록 장방형의 관통홈(21a)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냉장고도어 개폐장치에서 냉장고도어(2)를 열면, 제2도의 A,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도어(2)는 힌지축부재(31)를 회전중심으로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이때, 롤러(52)는 안내부재(40)의 굴곡부(41)를 따라 반시계방향으로 자전 및 공전하고, 상기 롤러(52)가 결합된 지지부재(50)는 상기 밀폐부재(21)의 관통홈(21a)을 따라 우측으로 이동하며, 상기 지지부재(50)에 접속된 탄성복원수단(6)은 늘어나게 되어 복원력이 증가한다.
상기 롤러(52)가 돌기(43)에 이르면 도어(2)가 최대로 열린 상태가 되어 더 이상의 도어열림이 방지된다.
다음에, 냉장고도어(2)를 닫으면, 상기 도어(2)는 상기 도어(2)를 여는 방향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작동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롤러부재(52)가 안내부재(40)의 전면에 형성된 꼭지점을 넘으면, 상기 도어(2)에 힘을 주지 않더라도 상기 도어(2)는 상기 탄성복원수단(6)의 복원력에 의해 자동으로 냉장고본체(1)에 견고히 밀착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종래의 냉장고도어의 개폐장치는 힌지판(30)의 상면에 롤러(52)를 안내하는 안내부재(40)가 설치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롤러(52)의 회전을 제한하는 돌기(43)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개폐장치의 설치높이가 크다. 따라서, 냉장고의 상도어와 하도어 사이에는 상기 개폐장치가 설치될수 없을 뿐만 아니라 부품수가 많으므로 제조원가가 높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도어와 하도어 사이에도 설치할 수 있도록 콤팩트화함과 동시에 부품수를 줄여 제조원가를 절감한 냉장고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고안에 의한 냉장고도어 개폐장치는 냉장고본체에 상도어 및 하도어가 힌지결합되는 냉장고도어 개폐장치에 있어서, 도어힌지 및 도어안내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도어와 하도어 사이 부근의 상기 냉장고본체의 전면에 고정설치된 주부재와, 상기 주부재의 외곽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상도어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상도어의 하면에 설치된 회전수단과, 상기 상도어에 탄성복원력을 가하도록 상기 회전수단의 일측에 설치된 탄성복원수단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주부재의 외곽면에는 상기 회전수단의 회전운동을 제한하도록 오목형상의 걸림면과 상기 회전수단을 안내하도록 안내면이 연속으로 형성되어 있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고본체(1)의 전면에는 상도어(71) 및 하도어(73)가 힌지결합되어 있고, 상기 상도어(71)와 하도어(73)사이 부근의 상기 냉장고본체(1)전면에는 힌지 및 안내부를 형성하는 주부재(75)가 고정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상도어(71)의 하면에는 상기 상도어(71)를 개폐시키도록 회전하는 회전수단(5) 및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탄성복원수단(6)이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주부재(75)와 냉장고본체(1)의 전면사이에는 상기 냉장고본체(1)의 전면을 보호하도록 유연한 재질의 보호부재(78)가 밀착고정되어 있다.
상기 주부재(75)는 도시하지 않은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냉장고본체(1)면에 밀착체결되는 고정부(75a)와, 상기 회전수단(5)을 안내하도록 상기 고정부(75a)로부터 대체로 직각방향으로 절곡형성된 안내부(75b)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안내부(75b)의 상 하면에는 상기 상 하 냉장고도어(71, 73)를 지지함과 동시에 회전시키도록 힌지축부재(77)가 상 하방향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안내부(75b)의 외곽면은 상기 회전수단(5)의 회전운동을 제한하도록 오목형상의 걸림면(75c)과 상기 회전수단(5)을 안내하도록 안내면(75d)이 연속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75a)에 근접되게 파인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안내부(75b)의 좌측부는 상기 고정부(75a)를 상기 냉장고본체(1)에 체결하기 용이하도록 상기 안내부(75b)의 우측부보다 낮게 되어 있다.
상기 회전수단(5)은 상기 상도어(71)의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작동봉(51)을 구비하여 상기 탄성복원수단(6)에 일측에 접속된 지지부재(50)와, 상기 안내면(75d)의 외주면에 구름접촉하도록 체결부재(53)에 의해 상기 작동봉(51)의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롤러(5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탄성복원수단(6)은 후술하는 홈부(71b)의 일측내면에 그 일단이 접속되어 상기 상도어(71)의 개폐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50)에 탄성복원력을 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도어(71)의 하단 및 상기 하도어(73)의 상단 일측에는 상기 힌지축부재(77)가 삽입되도록 요홈(71a, 73a)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요홈(71a)에 인접한 곳에는 상기 지지부재(50) 및 탄성복원수단(6)을 수용하도록 홈부(71b)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홈부(71b)의 개구부에는 지지부재(50) 및 탄성복원수단(6)의 처짐을 방지하도록 밀폐부재(21)가 체결부재(60)에 의해 고정설치되어 있고, 상기 밀폐부재(21)의 중앙부에는 상기 작동봉(51)이 안내되어 이동가능하도록 장방형의 관통홈(21a)이 형성되어 있다.
이하, 본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냉장고도어의 개폐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다음에 설명한다.
제5도의 A, 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도어(71)를 열면, 상기 상도어(71)는 힌지축부재(77)를 회전중심으로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이때 롤러(52)는 상기 주부재(75)의 안내면(75d)을 따라 반시계방향으로 자전 및 공전하고, 상기 롤러(52)가 결합된 지지부재(50)는 상기 밀폐부재(21)의 관통홈(21a)을 따라 우측으로 이동하며, 상기 지지부재(50)에 접속된 탄성복원수단(6)은 늘어나게 되어 복원력이 증가한다.
상기 롤러(52)가 상기 주부재(75)의 걸림면(75c)에 이르면 상도어(71)가 최대로 열린 상태가 되어 상기 걸림면(75c)에 의해 더 이상의 도어열림이 방지된다.
다음에, 상도어(71)를 닫으면, 상기 상도어(71)는 상기 상도어(71)를 여는 방향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작동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롤러부재(52)가 안내면(75d)의 전면을 넘으면, 상기 상도어(71)에 힘을 주지 않더라도 상기 상도어(71)는 상기 탄원복원수단(6)의 복원력에 의해 자동으로 냉장고본체(1)에 견고히 밀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주부재(75)가 상기 회전수단(5)을 안내함과 동시에 상기 회전수단(5)의 회전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게 되어 별도의 안내부재 및 회전방지부재가 불필요하므로 부품수를 줄일수 있고, 상기 안내부재 및 회전방지부재를 설치하는 공간만큼 상기 상도어(71)와 하도어(73)사이의 간격을 줄일수 있으므로, 냉장고의 외관을 미려하게 함과 동시에 냉장고도어 개폐장치의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고안에 의한 냉장고도어 개폐장치는 상도어와 하도어 사이에도 설치할수 있도록 콤팩트화함과 동시에 부품수를 줄여 제조원가를 절감한다는 매우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3)

  1. 냉장고본체(1)에 상도어(71) 및 하도어(73)가 힌지결합되는 냉장고도어 개폐장치에 있어서, 도어힌지 및 도어안내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도어(71)와 하도어(73)사이 부근의 상기 냉장고본체(1)전면에 고정설치된 주부재(75)와, 상기 주부재(75)의 외곽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상도어(71)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상도어(71)의 하면에 설치된 회전수단(5)과, 상기 상도어(71)에 탄성복원력을 가하도록 상기 회전수단(5)의 일측에 설치된 탄성복원수단(6)으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도어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부재(75)는 상기 냉장고본체(1)면에 밀착체결되는 고정부(75a)와, 상기 회전수단(5)을 안내하도록 상기 고정부(75a)로부터 절곡형성된 안내부(75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도어 개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75b)의 상 하면에는 상기 상 하 도어(71, 73)를 각각 지지함과 동시에 회전시키도록 힌지축부재(77)가 상 하방향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안내부(75b)의 외곽면은 상기 회전수단(5)의 회전운동을 제한하도록 오목형상의 걸림면(75c)과 상기 회전수단(5)을 안내하도록 안내면(75d)이 연속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도어 개폐장치.
KR2019940028440U 1994-10-28 1994-10-28 냉장고도어 개폐장치 KR01111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8440U KR0111198Y1 (ko) 1994-10-28 1994-10-28 냉장고도어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8440U KR0111198Y1 (ko) 1994-10-28 1994-10-28 냉장고도어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5208U KR960015208U (ko) 1996-05-17
KR0111198Y1 true KR0111198Y1 (ko) 1998-04-06

Family

ID=19396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8440U KR0111198Y1 (ko) 1994-10-28 1994-10-28 냉장고도어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119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5208U (ko) 1996-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70429B2 (ja) 冷蔵庫ドア開閉装置
US3255484A (en) Door hinge
KR0111198Y1 (ko) 냉장고도어 개폐장치
JP4014344B2 (ja) ヒンジ部材
KR100461641B1 (ko) 냉장고용 힌지조립체
KR200340543Y1 (ko) 도어프레임과 도어간 간극커버장치
JP3232189B2 (ja) 折戸のヒンジ部の構造
KR100214968B1 (ko) 차량의 에어벤트 댐퍼 개폐장치
KR0134157Y1 (ko) 브이씨알의 도어 개폐장치
KR200298366Y1 (ko) 도어의 닫힘방지장치
KR910006412Y1 (ko) 도어의 방풍장치
KR200339341Y1 (ko) 도어경첩
KR0111199Y1 (ko) 냉장고도어 개폐장치
JPH06158950A (ja) 観音開き扉の召合せ装置
KR970004292Y1 (ko) 냉장고도어 개폐장치
KR910005670Y1 (ko) 냉장고의 도어 좌우 개폐장치
KR0118300Y1 (ko) 차량의 연료 필러 도어
KR960009174Y1 (ko) 도어 힌지
KR900004165Y1 (ko) 경첩
KR0134399Y1 (ko) 자동차 콘솔박스의 구조
JPS5910313Y2 (ja) 戸車装置
KR0119850Y1 (ko) 냉장고의 도어 힌지장치
KR970005940Y1 (ko) 냉장고도어의 자동 닫힘장치
KR910001740A (ko) 도어 개폐장치
KR970002334Y1 (ko) 디지탈 피아노 건반 덮개의 롤러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2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