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1641B1 - 냉장고용 힌지조립체 - Google Patents

냉장고용 힌지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1641B1
KR100461641B1 KR10-2001-0086068A KR20010086068A KR100461641B1 KR 100461641 B1 KR100461641 B1 KR 100461641B1 KR 20010086068 A KR20010086068 A KR 20010086068A KR 100461641 B1 KR100461641 B1 KR 1004616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guide block
hinge assembly
shaft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6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5936A (ko
Inventor
박철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피케이텍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피케이텍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to KR10-2001-0086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1641B1/ko
Publication of KR20030055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59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1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16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6Doors; Covers for open-top cabi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4Door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스트타입의 김치냉장고의 도어개폐를 위한 힌지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힌지조립체는, 상부가 개방된 냉장고 본체(C)와; 상기 냉장고 본체의 상부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D)와; 상기 도어의 이면에 부착되어 도어의 열림시 회동하는 도어브라켓(110); 상기 냉장고 본체의 이면에 부착되고, 상기 도어브라켓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도어의 열림시 중심축이 되는 힌지축을 구비하는 바디플레이트(210)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축은, 냉장고 본체의 상단부와 거의 동등한 상하위치를 가짐과 동시에, 상디 도어브라켓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냉장고 본체의 이면에 최대한 근접한 좌우위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장고용 힌지조립체{Hinge assembly for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의 도어를 개폐하는데 사용하는 힌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김치냉장고와 같은 체스트형 냉장고의 상면에 설치되는 도어의 열림각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힌지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먼저 도 1에 기초하면서 종래의 체스트 타입의 냉장고의 힌지조립체의 구조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체스트타입의 냉장고는, 냉장고 본체(2)의 상부에 도어(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도어(4)는, 냉장고의 후면에 설치되어 있는 힌지조립체(10)에 의하여 지지되면서, 저장공간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본체(2)를 개폐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는 도 2a 및 도 3에 기초하면서 종래의 힌지조립체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힌지조립체(10)는, 도어(4)의 이면에 고정되는 도어힌지(12)와, 본체(2)의 이면에 고정되는 본체힌지(14)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도어힌지(12)와 본체힌지(14)는 힌지핀(13)에 의하여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지지된다. 상기 도어힌지(12)의 하부에는 지지부(12a)가 수평방향의 바아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12a)의 하부에는, 연결죠인트(16)이 수직방향으로 설치된다.
상기 연결죠인트(16)의 중간에는 와셔(16a)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연결죠인트(16)에서 와셔(16a)의 하부에는 스프링(18)이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스프링(18)의 하단부는 부시(19)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상기 부시(19)는, 본체힌지(14)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있어서, 상기 스프링(18)에 일정한 길이를 부여하게 된다.
도시한 종래의 예에 있어서, 상기 부시(19)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18)의 하단부에 접촉하여 지지되는 상부부시(19a)와, 본체힌지(14)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지지부시(19a)를 지지하는 하부부시(19b)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힌지조립체의 전체적인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어(4)가 열리게 되면, 도어힌지(12)는 힌지핀(13)을 중심으로 상부로 회동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도어힌지(12)가 상부로 회동하게 되면, 상기 스프링은 원래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늘어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도어(4)를 닫게 되면, 상기 도어힌지(12)는 반대방향으로 힌지핀(13)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닫히게 되는데, 이 때 상기 스프링(18)은 압축된다. 스프링(18)의 압축에 의하여 도어는 천천히 닫히게 되면서 본체(2)에 충격이 작아지게 되는 댐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구성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단점이 지적된다.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고의 도어(4)를 열었을 때, 도어힌지(12) 및 본체힌지(14)를 포함하는 힌지조립체 전체가, 냉장고의 전면에 노출되는 단점이 있다. 즉, 화살표(A)로 표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도어(4)를 열게 되면 상기 도어힌지(12) 및 본체힌지(14)가 눈에 보이게 되는 사용상의 불편함이 제기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체스트타입의 냉장고, 즉 김치냉장고의 내부에는 김치 또는 야채등과 같이 특히 신선하게 보관하는 음식물이 보관되는데, 이러한 부분에 금속성 힌지가 완전하게 노출되는 것은, 미관상의 측면 및 식품과 관련된 사용자의 느낌상 그리 바람직하지 못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4)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기초하여 개폐되는데, 도어가 완전히 열린 상태에 도어는 열린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의 탄성계수와, 열리는 도어의 하중이 일치하는 한 지점에서만, 도어가 열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종래의 도어의 구조에 의하면, 도어가 열릴 때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위치에서 멈춘상태를 유지할 수 없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체스트형 냉장고(예를 들면 김치냉장고)에 있어서, 도어를 연 상태에서, 힌지조립체가 냉장고의 전면에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도어를 원하는 각도에서 열린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힌지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부수적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체스트타입의 냉장고의 예시도.
도 2a는 종래의 힌지조립체의 단면도.
도 2b는 도어가 열린 상태의 종래의 힌지조립체의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힌지조립체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힌지조립체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힌지조립체의 요부를 세로로 절개한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의 본 발명의 힌지조립체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힌지조립체의 배면도.
도 8은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의 본 발명의 힌지조립체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도어브라켓 112 ..... 도어핀
120 ..... 링크 122 ..... 힌지축
210 ..... 바디플레이트 310 ..... 가이드블럭
312 ..... 가이드블럭의 하단부 320 ..... 샤프트
330 ..... 스프링 324 ..... 우레탄고무층
322 ..... 베어링 342 ..... 우레탄고무층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힌지조립체는, 상부가 개방된 냉장고 본체와; 상기 냉장고 본체의 상부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와; 상기 도어의 이면에 부착되어 도어의 열림시 회동하는 도어브라켓; 상기 냉장고 본체의 이면에 부착되고, 상기 도어브라켓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도어의 열림시 중심축이 되는 힌지축을 구비하는 바디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축은, 냉장고 본체의 상단부와 같은 상하위치를 가짐과 동시에, 상기 도어브라켓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냉장고 본체의 이면에 밀착되게 좌우위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가 열린상태에서, 도어의 후단부와 냉장고 본체 사이에서, 틈새가 거의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도어와 본체 사이를 통하여 후단부에 설치되는 힌지조립체가 냉장고의 전면에서는 눈에 띄지 않게 된다.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힌지조립체는, 도어에 고정되는 도어브라켓(110)과, 냉장고 본체에 부착되는 바디플레이트(21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도어브라켓(110)은 도어의 이면측에 부착되어 도어의 개폐에 따라 힌지축(122)을 기준으로 회동하게 된다.
상기 도어브라켓(110)은, 도어(D)의 배면(Da)에 부착되어 있어서, 상기 도어(D)는 냉장고의 전면에서 상방으로 들어올려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이 적용되는 김치냉장고와 같은 체스트타입의 냉장고에 있어서, 이와 같이 도어(D)가 전면에서 상방으로 들어올려지도록 구성되는 것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본체(C)는 상면이 개구된 형상으로 만들어져서, 상기 도어(D)가 상방으로 들어올져진 후, 김치냉장고의 내부에 식품을 수납시키거나 수납된 식품을 꺼낼 수 있게 된다.
상기 도어브라켓(110)의 일단부는 도어접촉부(110a,110b)를 통하여 도어(D)의 배면(Da)에 연결되어 있고, 타단부는 힌지축(112)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브라켓(110)의 도어접촉부(110a,110b) 중에서 상부 도어접촉부(110a)는 도어 배면(Da)의 상단부에 접촉하고, 하부 도어접촉부(110b)는 배면(Da)의 하단부에 접촉한 상태로, 도어브라켓(110)이 도어(D)에 연결되어 있다.
다음에는 본 발명에 의한 힌지축(112)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힌지축(112)는 실질적으로 도어(D)가 본체(C)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본적인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즉, 도어(D)는 상기 힌지축(112)를 기준으로 회동하게 되기 때문에, 도어(D)의 열림시 도어가 그리는 원호는 상기 힌지축(112)가 중심점이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힌지축(112)와, 도어(D) 및 본체(C)와의 위치관계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어(D)가 닫힌 상태에서는 도어의 저면은, 본체(C)의 상면에 밀착되어 있다. 그리고 도어(D)가 열린 상태에서, 후방의 힌지조립체 부분이 보이지 않기 위해서는, 도어(D)의 저면후단부(Db)가 본체(C)의 상면과 이격되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힌지축(112)은, 본체(C)의 상면과 거의 유사한 위치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힌지축(112)은 본체(C)의 상면(Ca)과 거의 동일한 높이의 위치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만일 상기 힌지축(112)가 상면(Ca) 보다 상방 또는 하방에 위치하게 되면, 도어(D)가 열리게 되면, 상면(Ca)과 힌지축(112)의 높이차에 해당하는 간격만큼, 도어(D)와 본체(C) 사이에 간격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간격을 통하여 힌지조립체가 사용자의 눈에 띄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힌지축(112)의 높이에대한 설계조건으로, 본체(C)의 상면(Ca)과 거의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설계하고 있다.
다음에는 상기 힌지축(112)과 본체(C)의 후면과의 거리관계에 대한 설계조건을 살펴본다. 만일 상기 힌지축(112)이 본체(C)의 후면과 이격된 상태에서, 도어브라켓(110)과 바디플레이트(210)이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도어(D)가 열리게 되면, 본체(C)의 후면에서 이격되어 있는 거리에 해당하는 만큼의 간격이 도어(D)와 본체의 상면(Ca) 사이에서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그 사이의 간격을 통하여, 힌지조립체가 사용자의 눈에 띄게 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축(112)은, 도어브라켓(110)과 바디플레이트(210)를 서로 연결하는 회전축이고, 실질적으로는 바디플레이트(210)에 고정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바디플레이트(210)에 고정되어 있는 힌지축(112)은, 상기 도어브라켓(110)이 회동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본체(C)의 후면에 근접하는 상태로 위치결정되어 있다.
실질적으로 상기 도어(D)와 본체(C)의 각각의 후단부를 직접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이, 도어(D)와 본체(C) 사이에서의 틈새의 발생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러나 도어(D)의 하중과,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도어의 열림시 일정한 열림위치에서 도어(D)가 멈출 수 있도록 하는 기능 등을 힌지조립체가 구비하여야 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상기 도어브라켓(110)과 바디플레이트(210)를 통하여 양자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도어브라켓(110)과 바디플레이트(210)를 사용하여, 양자를 연결할 때, 도어(D)가 열린 상태에서, 양자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힌지축(112)이, 본체(C)에 최대한 밀착될 수 있는 위치를 선택해야 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힌지축(112)의 높이(상하위치)는 본체(C)의 상면과 거의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설계하고, 힌지축(112)의 좌우위치는 도어브라켓(110)이 회전 가능하게 수납가능한 범위 내에서, 본체(C)의 이면측에 밀착될 수 있는 위치에 설계되어야 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다음에는 이상과 같은 힌지축(112)의 구성을 가지는 힌지조립체의 내부 구성의 일실시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힌지조립체는 상기와 같은 힌지축(112)의 구성을 가지는 범위 내에서, 조립체 내부의 구성에 대해서는 공지된 기술적 구성을 포함하여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하기와 같은 구성예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하기의 실시예는, 도어(D)가 어떠한 각도로 열린 상태에서도, 멈춘상태를 지지할 수 있게 되는 실시예를 보이고 있다.
상기 도어브라켓(110)에는 링크(120)가 연동하도록 설치되는데,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링크(120)의 상단부가 도어브라켓(110)에 고정된 도어핀(112)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상기 링크(120)는, 도어브라켓(110)이 힌지축(122)를 기준으로 회전하면, 그에 연동하면서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브라켓(110)과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핀(112)은, 힌지축(122)에 비하여 후방에 위치하게 되어, 도어의 열림에 의하여 상기 도어브라켓(110)이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링크(120)은 하방으로내려가도록 구성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링크(120)의 하단부는, 가이드블럭(310)에 연결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링크(120)의 하단부는 핀(124)을 통하여 가이드블럭(310)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블럭(310)은, 바디플레이트(210)과 동일하게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샤프트(320)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링크(120)이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가이드블럭(310)도 같이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샤프트(320)에 의하여 가이드된다. 그리고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320)는, 그 상단부가 상기 힌지축(122)에 고정되어 있는 구성예를 보이고 있다.
상기 샤프트(320)는, 실질적으로 냉장고 본체에 설치되는 바디플레이트(210)에 지지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320)에는 스프링(330)이 삽입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330)의 상단부는 샤프트(320)의 상단부에서 고정된 상태(예를 들면 상기 힌지축(122)의 하면에 접촉하여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그 하단부는 상기 가이드블럭(310)의 상면에 지지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330)의 탄성력은, 실질적으로 상기 가이드블럭(310)에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다음에는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서, 상기 가이드블럭(310)의 주변 구성에 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블럭(310)의 중심부분에는 상술한 샤프트(320)가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블럭(310)과 상기 샤프트(320)사이에는 우레탄고무층(324)가 설치되는데, 상기 우레탄고무층(324)은 상기 가이드블럭(31)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우레탄고무층(324)는, 상기 가이드블럭(310)이 링크(120)에 의하여, 상하운동을 수행할 때, 상기 샤프트(320)과의 사이에서 일정한 마찰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우레탄고무층(324)의 하방에는, 상기 샤프트(320)의 상하운동을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322)이 가이드블럭(310)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가이드블럭(310)의 하부(312)의 일부는, 바디플레이트(210)에 고정되어 있는 쿠션캡(34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가이드블럭(310)이 하강한 위치(즉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블럭(310)의 하부(312)가 상기 쿠션캡(340)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있는 것이다.
상기 쿠션캡(340)의 내부에는 우레탄고무층(342)가 고정되어 있는데, 상기 우레탄고무층(342)는 상기 가이드블럭(310)의 하부(312)를 그 내부에서 접촉상태로 수납하게 되고, 그 사이에서 일정한 마찰력을 제공하게 된다. 즉 상기 우레탄고무층(342)의 내부에 삽입되는 상기 가이드블럭(310)의 하부(312)는, 우레탄고무층(342)과의 사이에서 일정한 마찰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가이드블럭(310)의 하단부(312)와 상기 우레탄고무층(342)의 접촉에 의하여 발생하는 마찰력은, 실질적으로 우레탄고무층(342)의 표면의 마찰계수 및 탄성력에 의하여, 도어(D)가 닫히지 않을 정도로 충분하게 확보될 수 있게 된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고무층(342)는, 쿠션캡(340)과 같이,원통상을 이루도록 성형되어 있어서, 상기 가이드블럭(310)의 하단부(213)는 그 내주연부분으로 삽입된다.
그리고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320)도, 상기 쿠션캡(340)의 내부까지 연장되어 있음을 알 수 있고, 따라서 상기 가이드블럭(310)의 하단부는 그 중심부분을 관통하는 샤프트(320)의 외주연과 상기 우레탄고무층(342)의 내주연사이에 끼워지면서, 우레탄고무층(342)과의 사이에서 일정한 마찰력을 받게 된다.
그리고 상기 쿠션캡(340)의 하부에는 가이드플레이트(35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350)는, 상기 바디플레이트(210)에 고정되는 것이고, 그 중심부분으로는 상술한 샤프트(320)가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다음에는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힌지조립체의 전체적인 동작은, 도 6 내지 도 8에 기초하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도어(D)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D)는 본체(C)에 대하여 수평상태로 닫혀 있다. 이렇게 닫혀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스프링(330)은 압축되어 있는 상태에고, 소정의 탄성력을 잠재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도어(D)가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은, 실질적으로 도어(D) 자체의 하중이 스프링(330)의 탄성력에 비하여 큰 상태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어(D)를 열게 되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로 진행된다.
즉 도어(D)가 열리게 되면서, 상기 도어브라켓(110)이 힌지축(112)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링크(120)이 하방으로 내려가게 되면서, 핀(124)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는 가이드블럭(310)을 하방으로 눌러내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블럭(310)의 하단부(312)가 쿠션캡(340)의 내부로 삽입되는데, 이 때 상기 하단부(312)는 우레탄고무층(342)의 내부로 끼워지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 있어서 상기 하단부(312)가 우레탄고무층(342)의 내주연으로 끼워지면서 우레탄고무층(342)의 일부를 압축시키면서 끼워진다. 그리고 이 때 탄성력을 가지는 상기 우레탄고무층(342)와 상기 가이드블럭(310)의 하단부(312) 사이에는 일정한 마찰력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블럭(310)이 하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가이드블럭(310)의 내부에 설치된 우레탄고무층(324)도, 상기 샤프트(320)와 접촉하는 상태에서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 때에서, 상기 우레탄고무층(324)와 샤프트(320) 사이에는 약간의 마찰력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링크(120)이 하방으로 내려오면서, 상기 스프링(330)은 압축된 상태에서 신장되면서 일정한 탄성력을 발휘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탄성력은, 실질적으로 도어(D)를 여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의한 도어(D)는, 상술한 바와 같이 주로 가이드블럭(310)의 하단부(312)가 우레탄고무층(342)의 내부에 끼워지면서 그 사이에서는 일정한 마찰력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블럭(310)의 하단부(312)와 우레탄고무층(342)에서 발생한 마찰력은, 실질적으로 도어(D)가 일정한 각도로 열린 상태에서, 닫히는 것을 방지하는 힘으로 작용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우레탄고무층(342)가 마찰력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블럭(310)의 하단부(312)를 잡고 있는 힘은, 상기 도어(D) 자체의 하중에 의하여 닫히려고 하는 힘보다는 크게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D)가 닫히려고 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열린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힘은, 주로 상기 우레탄고무층(342)와 하단부(312) 사이에서 작용하는 마찰력이다. 그리고 가이드블럭(310)의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샤프트(320)와 접촉하도록 구성된 우레탄고무층(324)의 마찰력도 보조적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도어(D)가 열리면서, 어떤 열림각위치에 멈추게 되면, 상기 가이드블럭(310)의 하단부(312)가, 쿠션캡(340) 내부에 고정된 우레탄고무층(342)의 내측면에 삽입되면서 발생하는 마찰력으로 인하여, 그 위치에 멈출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D)를 닫는 경우에는, 상기 도어(D)가 거의 대부분 닫히게 되면(즉 사용자가 본체 내부를 사용할 수 없을 정도의 열림각을 가지게 되면), 상기 가이드블럭(310)의 하단부(312)는, 실질적으로 쿠션캡(340)에서 상부로 빠져나오게 된다. 즉, 상기 가이드블럭(310)의 하단부(312)와 우레탄고무층(342)와의 마찰력이 완전히 없어지게 되는데, 이러한 상태에서는 도어(D) 자체의 하중이 스프링(330)의 탄성력 보다 크게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도어(D)의 자중에 의하여 도어는 본체(C)의 상부를 완전하게 덮게 되어, 실질적으로 냉장고는 완전히 닫혀진 상태로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실질적으로 김치냉장고와 같은 체스트타입의 냉장고에 있어서, 도어(D)가 어떠한 각위치에서도 열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어를 임의의 열린위치로 유지할 수 있게 되어, 필요에 따라 가장 적합한 열림각도로 김치냉장고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도어의 열림시 도어(D)와 본체(C) 사이에서 틈새의 발생을 최대한 억제하는 것에 의하여, 힌지조립체가 사용자의 눈에 띄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힌지조립체에 대한 일실시예로서 도어가 임의의 열림각도에서 열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실시예를 보이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상술한 힌지조립체 자체의 구성에 대한 실시예는, 도어가 일정한 열림각도에서 멈출 수 있도록 구성하는 실시예를 보이는 것이나, 힌지축(112)에 대한 본 발명의 주제가 나타나는 범위 내에서, 상기 힌지조립체 자체의 구성예에서는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D)를 열었을 때 본체(C)와의 사이에서 틈새의 발생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도록 힌지축(112)의 위치를 설정하고 있기 때문에, 도어가 열린상태에서 힌지조립체가 눈에 띄지 않게 되는 사용상의 편리함이 기대된다.
그리고 힌지조립체의 구성에 대한 실시예에 의하면, 김치냉장고와 같은 체스트타입의 냉장고에 있어서, 도어(D)는 본체(C)에서 어떠한 각위치에서도 열린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사용시 도어의 열림각을 임의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사용상의 편리함이 기대된다고 할 수 있다.

Claims (16)

  1. 상부가 개방된 냉장고 본체와;
    상기 냉장고 본체의 상부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와;
    상기 도어의 이면에 부착되어 도어의 열림시 회동하는 도어브라켓;
    상기 냉장고 본체의 이면에 부착되고, 상기 도어브라켓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도어의 열림시 중심축이 되는 힌지축을 구비하는 바디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축은, 냉장고 본체의 상단부와 같은 상하위치를 가짐과 동시에, 상기 도어브라켓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냉장고 본체의 이면에 밀착되게 좌우위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힌지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플레이트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되고, 외주에 스프링이 설치된 샤프트와;
    상기 도어브라켓의 회동에 의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링크와;
    상기 링크와 연결되어 같이 상하이동하고, 상기 스프링의 하부에 접촉하여 탄성력을 인가받으며, 샤프트를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블럭; 그리고
    상기 바디플레이트에 고정되고, 내부에는 우레탄고무층을 구비하는 쿠션캡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블럭이 하방으로 이동할 때, 그 하단부가 상기 우레탄고무층 내부에 삽입되면서, 가이드블럭의 상방 이동을 억제하는 마찰력을 그 사이에서 발생시켜서, 도어가 임의의 열림각도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힌지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캡 및 그 내부의 우레탄고무층은,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블럭의 하단부는 우레탄고무층의 내주연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힌지조립체.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가이드블럭의 내부를 관통하여, 쿠션캡의 내부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힌지조립체.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상단부는, 상기 힌지축에 끼워져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힌지조립체.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캡의 하부에는 바디플레이트에 고정되는 가이드플레이트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힌지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가이드플레이트의 내부까지 연장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힌지조립체.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블럭의 내부에는, 삽입되는 샤프트를 그 내주연에서 접촉하는 우레탄고무층(324)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힌지조립체.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블럭의 내부에는, 삽입되는 샤프트를 가이드하기 위한 베어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힌지조립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브라켓과 연결되어, 도어의 개폐동작에 의하여 상하 이동하는 링크와;
    상기 링크와 연결되어, 같이 상하이동하는 가이드블럭;
    도어가 열리면서 가이드블럭의 하단부가 내부로 삽입되는 쿠션캡; 그리고
    상기 쿠션캡의 내부로 삽입된 가이드블럭의 하단부를, 상부로 이동하지 않도록 하는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마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힌지조립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수단은, 상기 가이드블럭의 하단부와 접촉할 때, 가이드블럭과 밀착되어 마찰력을 발생시키도록, 쿠션캡의 내부에 설치된 탄성 우레탄고무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힌지조립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고무층은, 원통상으로 성형되고, 상기 가이드블럭의 하단부는 그 내주연에 끼워지면서 마찰력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힌지조립체.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플레이트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되고, 외주에 스프링이 설치된 샤프트;
    상기 도어브라켓의 회동에 의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링크;
    상기 링크와 연결되어 같이 상하이동하고, 상기 스프링의 하부에 접촉하여 탄성력을 인가받으며, 샤프트를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블럭;
    바디플레이트에 고정되고, 상기 도어가 열렸을 때, 상기 가이드블럭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쿠션캡;
    도어가 열렸을 때 상기 가이드블럭과 상기 쿠션캡 사이에서, 가이드블럭의 상방이동을 억제하는 마찰력을 발생하는 주마찰수단;
    도어가 열렸을 때 상기 샤트프와 가이드블럭 사이에서, 가이드블럭에 일정한 마찰력을 인가하는 보조마찰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마찰력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블럭이 정지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도어가 열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힌지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주마찰수단은, 상기 가이드블럭의 하단부와 접촉할 때, 가이드블럭과 밀착되어 마찰력을 발생시키도록, 쿠션캡의 내부에 설치된 탄성 우레탄고무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힌지조립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고무층은, 원통상으로 성형되고, 상기 가이드블럭의 하단부는 그 내주연에 끼워지면서 마찰력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힌지조립체.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가이드블럭을 관통하는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보조마찰수단은, 가이드블럭의 내부에 설치되어 샤프트의 외주연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탄성 우레탄고무층으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힌지조립체.
KR10-2001-0086068A 2001-12-27 2001-12-27 냉장고용 힌지조립체 KR1004616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6068A KR100461641B1 (ko) 2001-12-27 2001-12-27 냉장고용 힌지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6068A KR100461641B1 (ko) 2001-12-27 2001-12-27 냉장고용 힌지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5936A KR20030055936A (ko) 2003-07-04
KR100461641B1 true KR100461641B1 (ko) 2004-12-14

Family

ID=32214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6068A KR100461641B1 (ko) 2001-12-27 2001-12-27 냉장고용 힌지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16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397B1 (ko) * 2007-07-04 2008-09-08 아이앤에이시스템 (주) 도어 개폐장치와 이를 이용한 카드프린터
US10203149B2 (en) * 2014-04-25 2019-02-12 Hefei Hualing Co., Ltd. Freezer and hinge for same
KR102021985B1 (ko) 2018-03-30 2019-09-18 주식회사 다이아벨 다단 링크 힌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KR102180678B1 (ko) 2018-12-21 2020-11-20 주식회사 다이아벨 다단 링크 힌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CN117824269A (zh) * 2021-04-14 2024-04-05 海信冰箱有限公司 冰箱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1142Y1 (ko) * 2000-03-18 2000-08-16 대우전자주식회사 냉장고의 힌지 조립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1142Y1 (ko) * 2000-03-18 2000-08-16 대우전자주식회사 냉장고의 힌지 조립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5936A (ko) 200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92981B1 (en) Crescent hinge
US3940828A (en) Snap hinge
JP5535580B2 (ja) 自動開閉扉蝶番
US6581243B2 (en) Hinge with built-in door stop
US3255484A (en) Door hinge
KR100461641B1 (ko) 냉장고용 힌지조립체
CN111042684A (zh) 一种任意角度悬停的上翻门铰链
KR100424583B1 (ko) 냉장고용 힌지조립체
CN102037205A (zh) 具有手指防夹机构的全玻璃门结构设置
US5586362A (en) Anti-rubbing block
US4224975A (en) Swivel roller assembly for folding doors
KR102613455B1 (ko) 멀티링크 힌지
KR102339023B1 (ko) 도어용 힌지 구조
KR0142056B1 (ko) 냉장고 도어 힌지조립체
KR20040016362A (ko) 안전 경첩
US6237191B1 (en) Hinge of the soft type with braked open position
JPH08312236A (ja) 貯蔵庫
KR100389439B1 (ko) 냉장고용 힌지조립체
JPH09303036A (ja) 扉開閉装置
KR920007410Y1 (ko) 턴테이블의 터스트커버용 경첩
KR910006412Y1 (ko) 도어의 방풍장치
JPH10196209A (ja) フラップドアキャビネット
KR900002132Y1 (ko) 중력경첩
KR200266489Y1 (ko) 상부 도어 완충장치를 구비한 김치 냉장고
KR0111198Y1 (ko) 냉장고도어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