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2132Y1 - 중력경첩 - Google Patents

중력경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2132Y1
KR900002132Y1 KR2019840001883U KR840001883U KR900002132Y1 KR 900002132 Y1 KR900002132 Y1 KR 900002132Y1 KR 2019840001883 U KR2019840001883 U KR 2019840001883U KR 840001883 U KR840001883 U KR 840001883U KR 900002132 Y1 KR900002132 Y1 KR 9000021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member
shaft
door
cam
cam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18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4060U (ko
Inventor
히데아끼 다끼모도
Original Assignee
실원소다끼껜 세이조오 가부시끼가이샤
히데아끼 다끼모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실원소다끼껜 세이조오 가부시끼가이샤, 히데아끼 다끼모도 filed Critical 실원소다끼껜 세이조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500040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406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21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1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2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gravity-actuated, e.g. by use of counterweights
    • E05F1/04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gravity-actuated, e.g. by use of counterweights for wings which lift during movement, operated by their own weight
    • E05F1/06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the weight of the wing
    • E05F1/061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the weight of the wing with cams or helical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Hing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중력경첩
제 1 도는 본 고안의 한가지 실시예에 관한 중력경첩의 분해사시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경첩을 좌측으로 여는 문에 적용시켰을때의 평면도.
제 3 도는 제 2 도의 A-A선 단면도.
제 4 도는 문을 완전히 열었을 때의 제 3 도의 대응하는 단면도.
제 5 도는 제 1 도의 경첩을 우측으로 여는 문에 적용시켰을때의 평면도.
제 6 도는 제 5 도의 B-B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회동축 부재 2 : 축공
3 : 축봉 4 : 오목부
5 : 수좌체(受座體) 7 : 수좌체의 경사캠면
8 : 고정측 부재 9 : 축공
14 : 캠통체의 경사캠면 15 : 냉장고 본체
19 : 문 20 : 캠총체
본 고안은 문이 자중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폐쇄되는 중력 경첩에 관한 것이다.
일본 실공소 26-1420호 공보에 개싱된 중력 경첩은 고정측 부재의 통상체의 상단면과 회동측 부재의 통상체의 하단면에 경사캠면을 제공하고, 회동측 부재와 고정측 부재의 상기 각통상체에 축봉을 끼우고 , 양부재의 상기 각 경사캠면을 서로 맞닿게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중력경첩에는, 회동측부재에 부착된 문을 잡아당겨서 열때에 상기 경사캠면의 협동작용에 의해서 문이 밀려 올라가지만, 회동측 부재는 문의 중심상이 아니고 문의 일방측단에 편의(偏倚)되게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문의 회동하여 밀려 올라가는 작동중 문의 편의 하중에 기인하는 큰 휨모멘트가 고정측 부재의 통상체 하부 내면중 문의 중심으로부터 먼쪽의 부위와, 고정측 부재의 경사캠면중 문의 중심에 가까운 쪽부위와를 지점으로 해서 발생해서, 이들 부위에 미끄럼 접합하는 축봉하부나 회동측부재의 경사캠면의 가장자리는 상하 경사방향으로 외력을 강하게 받게 된다.
당해 외력은 축봉하부 보다도 상기 경사캠면의 가장자리에 더 큰 악영향을 미쳐서, 문의 회동하여 밀려올라감이나 자동폐쇄가 장기에 걸쳐 반복되풀이되는 사이에 캠면가장자리가 점차로 왜곡내지 압궤변형 또는 마멸되게 되어, 중력경첩의 내구성이 좋지 않았다.
이 경사캠면의 가장자리 왜곡이나 압궤변형의 문제는 일본 특공소 52-19394호 공보의 좌우 겸용형 중력경첩에서도 생겨났다.
즉, 이 겸용형 중력 경첩에는, 고정측 부재의 기부소켓트에 끼워진 캠통체의 내저부에 경사캠면이 설치되고, 회동측부재에 끼워진 캠종동부(從動部)의 하단에 경사캠면이 설치도이며, 그 캠종동부가 상기 캠통체에 끼워넣어지게 되어 있기 때문에, 문의 현의 하중에 기인하는 휨모멘트는 캠통체의 하부 내주면 중 문의 중심으로부터 먼쪽의 부위와, 캠통체의 상부 내주면중에서 문의 중심에 가까운 쪽의 부위를 지점으로해서 발생하게 되어서, 이들 부위에 미끄럼접합하는 캠종동부의 하단부, 즉 경사캠면의 가장자리나 캠종동부의 상단부는, 상하 경사면 방향으로 큰 외력을 받게 된다.
상기 일본 실공소 26-1420호 공보의 중력 중첩의 경우와 같이, 이 외력은 경사캠면의 가장자리에 보다 큰 영향을 주어 그의 왜곡, 압궤 또는 마멸이 일어나게 되어, 중력 경첩의 수명을 길게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경사캡면 가장자리의 왜곡, 압궤나 마멸이 잘 생기지 않고, 내구성이 우수한 중력 경첩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축공(2)을 수직방향으로 설치한 회동측 부재(1)와; 상면에 개구된 원형오목부(4)를 수직방향으로 설치한 고정측 부재(8)와; 이 오목부(4)에 회전불능하게 끼워진 캠통체(20)와; 회동측 부재(1)의 상기 축공(2)에 상단부를 회전불능하게 삽입한 축공(3)과; 이 축봉(3)에 회전불능하게 끼워 맞춤 고정된 수좌체(5)로 이루어지고 축봉(3)을 중심으로 회동측부재(1)를 고정측 부재(8)에 대하여 문짝 개방방향으로 회동시킬 때에, 상기 캠통체(20)와 수좌체(5) 간의 캠작용에 의해, 회동측 부재(1)가 수직으로 상향이동하는 중력경첩에 있어서, 상기 캠통체(20)를 상기 오목부(4)의 하부에 끼워 넣고, 이 캠통체(20)의 중앙부에 축공(9)을 수직방향으로 설치하고, 상기 수좌체(5)를 축봉(3)의 중간부에 끼워맞춤 고정되고, 이 수좌체(5)의 하측에 돌출하는 축봉(3)의 하단부를 상기 축공에 회전가능하게 삽입하고, 수좌체(5)를 오목부(4)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끼워맞추고 수좌체(5)의 하단면에 설치된 경사캡면(7)을 캠통체(20)의 상단면에 설치한 경사캡면(14)에 맞닿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회동측 부재(1)의 축공(2)은 일부 절결원형이고, 축봉(3)의 단면형상은 축공(2)과 동일하게 되어 있다.
축봉(3)의 상부를 축공(2)에 끼워넣었을때, 축봉의 수직 측벽(3a)이 축공의 수직내벽(2a)에 걸어맞춤되기 때문에 축봉(3)은 회동측 부재(1)에 대하여 회전불능이다.
본 실시예의 중력 경첩은 좌우겸용형의 것으로, 회동측 부재(1)의 상하 각단면에는 수좌체(5)의 상부가 띠워지는 수부(受部)(10,11)를 설치하고, 각 수부(10,11)의 내저면(12,13)은 서로 평행으로 되어 있다.
원판상의 수좌체(5)는 근 중앙공(6)의 상단부가 상기 축공(2)과 돌일형상이고, 하반부는 원형상으로 되어 있어서, 중당공 상반부의 수직내벽(6a)이 축봉의 수직측벽(3a)에 걸어 맞추어지기 때문에 수좌체(5)는 축봉(3)에 대하여 회전불능으로 되어있다.
수좌체(5)의 하부에 형성된 경사캡면(7)은, 중앙공(6)을 경사로 횡단하고 있다.
고정측부재(8)의 축공(9)은 완전한 원형공으로, 고정측부재(8)는 이 축공(9)에서 축봉(3)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게 된다.
캠통체(20)는 수좌체(5)와 동일 외경의 원통상의 것이며, 오목부(4)의 하반부(21)에 회전불능하게 끼워져 있다.
캠통체(20)의 회전제동은, 캠통에(20)의 기단부의 부채꼴 절결부(22)와 오목부 내저부의 부채꼴 돌출부(3)와를 걸어 맞춤으로써 이루어진다.
제 2 도에서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이 중력경첩을 좌측으로 열리는 문(19)에 적용하는 경우에, 고정측 부재(8)는 예를 들면 냉장고 본체(15)의 개구부의 좌측 틀에 고착시키고, 회동측 부재(1)의 아암상의 고정부(16)는 문(19)의 좌측단부의 정면에 고정되며, 수좌체(5)의 상부는 회동측 부재(1)의 수부(11)에 끼워맞추어져 있다.
제 3 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문(19)이 완전히 닫혀진 위치에 있을 때는, 회동측 부재(1)의 하단면과 고정측부재(8)의 상단면이 서로 맞닿고, 상부 오목부(4)의 경사캠면(14)이 수좌체(5)의 경사캠면(7) 전체와 맞닿아 있다.
문(19)을 제 2 도에서 축봉(3)을 중심으로 해서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회동축 부재(1)는 경사캠면(7)에 의해서 밀려올라가서, 문(19)이 완전히 열린 최종 단계에서는, 제 4 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경사캠면(14)의 상부 수평좌면(17)에 경사캠면(7)의 하부 수평좌면(18)이 올려져서, 문(19)은 그 개방에서 안정되게 유지된다.
문(19)에 폐쇄방향으로 회전력을 주어서, 상기 수평좌면(18)으로부터 이탈시키면, 회동측 부재(1)는 문(19)자체의 중력작용의 상기 경사캠면(7)을 따라서 내려와 자동적으로 닫혀지게 된다.
본 실시예의 중력경첩을 제 5 도에 보는 바와 같이 우측으로 열리는 문에 적용하려면 냉장고 본체(15)의 개구부의 우측 틀에 고정측 부재(8)를 제 2 도에서 보는 바와 같은 형태로 고착시키고, 제 2 도의 위치로부터 수평면내에서 180도 회전시키며, 또한 상하로 역전시킨 형태로 회동측 부재(1)를 그 아암 고정부(26)에 의해 문(19)의 우측 단부의 정면에 고착하고, 제 2 도에서 보는 바와 동일한 위치에 있는 수좌체(5)를 다른 수부(10)에 끼워 넣어서 상기 경사캠면(14)을 수좌체의 경사캠면(7)에 맞닿게 한다.
문(19)이 개방조작시에 밀려올라가는 것과, 자중에 의해서 자동폐쇄되는 것은, 왼쪽으로 열려지는 문을 설명할 때의 경우와 같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중력경첩은, 수좌체(5)를 축봉(3)의 중간부에 회전불능하게 끼워맞추고 그 수좌체(5)를 고정측 부재(8)의 상단면으로 개구시킨 오목부(4)에 회전가능하게 끼워 넣고, 수좌체(5)의 밑으로 돌출한 축봉(3)의 하부를, 오목부(4)의 하반부에 회전불능하게 끼워 놓은 캠통체(20)중앙부의 축공(9)에 회전가능하게 끼워넣고, 수좌체(5) 하부의 경사캠면(7)을 상기 캠통체(20)의 상단면에 설치한 경사캠면(9)에 회전가능하게 끼워넣고, 수좌체(5) 하부의 경사캠면(7)을 상기 캠통체(20)의 상단면에 설치한 경사캠면(14)에 맞닿게한 것으로서, 문의 회동하여 밀려올라감이나 자동폐쇄작동중에 있어서 작용하고, 문의 편의 하중에 기인한 상기 휨모멘트, 축공(9)의 하부 내주면중 문의 중심으로 부터 먼쪽의 부위와 오목부의 상단부 내주면중 문의 중심에 가까운쪽 부위와를 지점으로해서 발생하게 되고, 이들 부위에 미끄럼접합하는 축봉(3) 하단부와 수좌체 상단부가, 상하 경사 방향의 외력을 받게 된다.
요약하면 본 고안에서는, 수좌체(5)의 하단부, 즉 경사캠면(7)의 가장자리는 상하경사방향의 외력의 강한 작용을 받지않기 때문에 그것으로 인해 왜곡이나 압궤 또는 마멸로 부터 보호되며, 그 결과 경사캠면의 가장자리나 내구성이 우수해서 내구성이 큰 중력경첩을 얻을 수가 있는 등, 본 고안의 시리용적 가치는 매우 크다.

Claims (1)

  1. 축공(2)을 수직방향으로 설치한 회동축부재(1)와; 상면에 개구한 원형오목부(4)를 수직방향으로 설치한 고정측 부재(8)와, 이 오목부(4)에 회전불가능하게 끼워진 캠통체(20)와; 회동측부재(1)의 상기 축공(2)에 상단부를 회전불능하게 삽입합 축봉(3)과; 이 축봉(3)에 회전불능하게 끼워맞춤 고정된 수좌체(5)로 이루어지고, 축봉(3)을 중심으로 회동측 부재(1)를 고정측 부재(1)가 수직으로 상향이동하는 중력경첩에 있어서, 상기 캠통체(20)를 상기 오목부(4)의 하부에 끼워 넣고, 이 캠통체(20)의 중앙부에 축공(9)을 수직방향으로 설치하고 상기 수좌체(5)를 축봉(3)의 중간부에 끼워맞춤 고정하고, 이 수좌체(5)의 하측에 돌출하는 축봉(3)의 하단부를 상기 축공(9)에 회전가능하게 삽입하고, 수좌체(5)를 오목부(4)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끼워맞추고 수좌체(5)의 하단면에 설치된 경사캠면(7)을 캠통체(20)의 상단면에 설치한 경사캠면(14)에 맞닿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경첩.
KR2019840001883U 1983-10-18 1984-03-06 중력경첩 KR90000213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8-160988 1983-10-18
JP1983160988U JPS6068276U (ja) 1983-10-18 1983-10-18 重力蝶番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4060U KR850004060U (ko) 1985-07-13
KR900002132Y1 true KR900002132Y1 (ko) 1990-03-15

Family

ID=30353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1883U KR900002132Y1 (ko) 1983-10-18 1984-03-06 중력경첩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068276U (ko)
KR (1) KR900002132Y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8875Y2 (ko) * 1980-06-10 1989-03-09
JPS574691U (ko) * 1980-06-11 1982-01-1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068276U (ja) 1985-05-15
KR850004060U (ko) 1985-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31777A (en) Gravity door hinge
US3940828A (en) Snap hinge
US2702651A (en) Snap action hinge for box covers
CA2835140C (en) Sealing assembly for a swing door
US4832479A (en) Spectacle frame with resilient hinges
JP3756909B2 (ja) ヒンジ装置
JPS61254926A (ja) メガネ用弾性ヒンジ
US2635281A (en) Indexing hinge
US6581243B2 (en) Hinge with built-in door stop
US5311644A (en) Hinge having stop notches for a door, particularly a car door
CA2285835A1 (en) Hinge mechanism
US5417340A (en) Spring-biased floating hinge structure
KR20110137449A (ko) 회동식 창호용 스테이바
KR900002132Y1 (ko) 중력경첩
US4494273A (en) Swing control hinge
US6157717A (en) Snap hinge mechanism for flip style portable phone
US2287563A (en) Hinge
KR100461641B1 (ko) 냉장고용 힌지조립체
JP5383284B2 (ja) 横軸回転窓
US3404486A (en) Swinging doors and door leaves
KR100497144B1 (ko) 양변기용 댐퍼장치
KR100424583B1 (ko) 냉장고용 힌지조립체
JPS5912369Y2 (ja) ヒンジ
JPH0627610B2 (ja) 貯蔵庫の扉開閉装置
US2014587A (en) La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202

Year of fee payment: 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