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9174Y1 - 도어 힌지 - Google Patents

도어 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9174Y1
KR960009174Y1 KR2019930010316U KR930010316U KR960009174Y1 KR 960009174 Y1 KR960009174 Y1 KR 960009174Y1 KR 2019930010316 U KR2019930010316 U KR 2019930010316U KR 930010316 U KR930010316 U KR 930010316U KR 960009174 Y1 KR960009174 Y1 KR 9600091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ole
assembled
cente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03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1461U (ko
Inventor
안문휘
Original Assignee
안문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문휘 filed Critical 안문휘
Priority to KR20199300103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9174Y1/ko
Publication of KR9500014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146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91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9174Y1/ko

Links

Landscapes

  • Hinges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도어 힌지
제1도는 본 고안이 부착된 도어의 개략도.
제2도는 상기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주요부 조립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도어 2 : 본원 힌지
4 : 고정편 6 : 케이스
7 : 커버 9 : 고정대
10 : 조립편 13 : 상판
16 : 동작축 17 : 회전 부재
20 : 스프링 21 : 캠축
23 : 홈 24 : 경사면
25 : 멈춤 돌부
본 고안은 도어를 열고 난 다음 일부러 닫지 않아도 자동적으로 서서히 닫히도록 한 도어 힌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도어 힌지는 단순히 도어가 열리고 닫히게 될 때 도어가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만을 하였을 뿐 도어를 자동으로 닫아주지는 못하였다.
따라서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는데, 바로 이러한 장치로 도어 크로저가 있다.
그러나 이 장치는 스프링으로 도어에 닫히는 힘을 주고 그 힘을 실린더 내에 충만된 액체의 유동에 의해 제어되게하여 도어가 자동적으로 서서히 닫히도록 한 것이기 때문에 액체 사용에 따른 실린더의 제작이 매우 까다로우며, 또 스르핑의 힘을 도어에 전달하고 이 힘을 제어하기 위한 전체적인 구조가 복잡하여 많은 부품과 공구가 필요하게 됨은 물론, 이에 따라 단가가 상승되고, 또 설치하면 외부에 노출되어있기 때문에 외관상 좋지 못하게 되며 도어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힌지가 필요하게 되는등 많은 결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이미 1986년 7월 28일자 특허출원 제6174호(공고 제90-3241호)로 신규한 도어 힌지를 출원하여 특허 제37732호로 등록 받은 바 있다.
상기의 선특허는 앞에서 기술한 종래 도어 힌지의 문제점들을 해소하는데 충분한 기능을 갖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선특허의 보다 효과적으로 개량한 것으로 설치가 간편하고동작이 명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도어 힌지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면이 개방되어 있고 중앙에 구멍이 뚫려있는 커버가 상면에 조립되는 케이스와,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되어 상면이 개방되어 있고 밑면 중앙에는 사각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에 구멍이 뚫려있는 상판이 상면에 조립되고 상기 케이스 내에서 하단이 조립편에 의해 조립되어 있는 고정대와, 길게 형성되어 중간에 고리형 돌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하측은 상기 사각구멍에 수직으로 끼워지는 사각축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리형 돌부를 고정대로부터 탄발시키는 스프링을 가지고 상측 중간에는 측방으로 회전 부재가 조립되어 있는 동작축과, 중앙에는 상기 동작축의 상단이 끼워지는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단은 비원형의 연결편이 형성되어 상기 상판 및 커버의 각 구멍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밑면 주연부는 고리형의 경사면이 형성되어서 상기 회전분재에 접촉되어있으며 경사면의 최저부에 멈춤돌부가 형성되어 있는 캠축과, 도어의 하단 내부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캠축의 연결편과 같은 형상의 구멍이 형성되어 연결편이 끼워지도록 된 고정편으로 이루어져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 캠축의 경사면에는 최상부와 최정부에 각각 멈춤용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는 문틀이나 바닥면에 매설되고 고정편이 도어에 설치되어 캠축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도어의 회전시 캠축이 동시에 회전되고 이에 따라 동작축이 상하 이동되면서 도어의 원상복귀를 유도하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내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이 부착된 도어의 개략도이고, 제2도는 상기 제1도의 A-A선 단면도이며, 제3도는 본 고안의 주요부 조립사시도로서, 본원 힌지(2)를 도어(1)의 하측에만 설치되고 상측에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피봇힌지(3) 즉, 원활한 회전만을 가능케 하는 힌지(3)가 사용되는 데 이는 필요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1도 내지 제3도를 참조하면, 도어(1)의 하단에는 길게 형성된 고정편(4)이 고정설치 되어 있는데 이 고정편(4)의 일단 즉, 도어(1)의 회전중심이 되는 부분에 비원형의 구멍(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편(4)에 대응하여 문틀 또는 바닥면에는 본원 힌지의 주요부를 내장한 케이스(6)가 매설되는 데 이케이스(6)를 상면이 커버(7)로 조립되고 이 커버(7)의 중앙에 즉, 도어의 회전중심에 해당되는 위치에 구멍(8)이 뚫려 있다.
상기 케이스(6)의 내부에는 상면이 개방되고 측벽을 가지는 고정대(9)가 조립편(10)에 의해 케이스(6)의 바닥면에 조립 고정되어 있다.
상기 조립편(10)은 상기고정대에 탄성을 주도록 중간에 절곡되어 있고 한쪽 단부가 케이스에 고정되어 다른쪽 단부가 고정대(9)에 조립되도록 되어 있으며 중간에는 자유단의 높이조절이 가능토록 조절나사(11)가 조립되어 있다.
상기고정대(9)의 내부는 수용부(12)로 되고 상면에는 상판(13)이 조립되는데 이 상판(13)의 중앙에는 상기 커버(7)의 구멍(8)과 동일중심의 구멍(14)이 형성되어 있고 고정대(9)의 바닥면에는 동일중심의 사각구멍(1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대(9)의 내부 중앙에는 길게 형성된 동작축(16)이 수직으로 설치되는데, 이 동작축(16)의 중간에는 측방으로 회전부재(17)가 조립되어 있고, 그 하측에는 고리형의 돌부(18)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하단부가 사각축(19)으로 되어서 상기 사각구멍(15)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진다.
상기 사각축(19)에는 스프링(20)이 끼워져서 상기 고정대(9)로부터 상기 고리형돌부(18)에 탄발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동작축(16)의 상측에는 캠축(21)이 연결되는데, 캠축(21)의 상단은 상기 고정편(4)의 구멍(5)에 일치되는 형상의 연결편(22)으로 되어 상기 상판(13) 및 커버(7)의 각 구멍(14)(8)을 통과하여 고정편(4)의 구멍(5)에 접속된다.
상기 캠축(21)의 중앙에는 하측으로부터 홈(23)이 형성되어 상기 동작축(16)의 상단이 이동가능토록 끼워지고 하단부는 측방으로 확장되어 저면부에 경사면(24)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경사면(24)에 상기 회전부재(17)가 접촉된다.
따라서 캠축(21)의 회전시 회전부재(17)가 자체 회전되면서 경사면에 의해 상, 하로 밀리게 되는데 이 회전부재(17)에 대하여 어느 위치에서는 캠축의 회전이 제한되도록 멈춤돌부(25)가 경사면(24)의 최저부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사각축(19)이 접촉되는 사각구멍(15)과, 상기 캠축(21)의 경사면 외측벽에는 마찰을 충분히 허용하기 위하여 부시(26)(27)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판(13)의 구멍(14)에는 시일(seal)(28)이 끼워져 있고, 캠축(21)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 캠축(2)의 중간에 베어링(29)이 설치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30는 부시(27)를 지지하는 지지돌기이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도어 힌지를 도어(1)가 닫혀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회전부재(17)가 경사면(24)의 최상부에 접촉되어 있게 되는데, 도어(1)를 회전시키면, 캠축(2)이 더불어 회전되면서 경사면(24)에 의해 회전부재(17)가 밀려서 동작축(1)이 스프링(20)압에 저항하여 하향 이동된다.
회전된 어느 위치에서라도 도어(1)를 놓으면, 도어(1)의 자중에 의한 힘과 스프링(10)압이 작용하여 회전부재(17)를 경사면(24)이 미끄러지듯 캠축(21)이 원래대로 회전 복귀된다.
또한, 도어(1)를 열 때 어느정도 열면 경사면(24)의 멈춤돌부(25)가 회전부재(17)에 걸리면서 회전이 중지되어 도어의 과다한 열림이 방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은 본 고안은, 설치가 용이하고 설치시 외관이 깨끗하며 도어의 회전 동작이 부드럽고, 적당한 위치에서 회전상태가 제어될 수 있는 편리성을 가지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상면이 개방되어 있고 중앙에 구멍(8)이 뚫려있는 커버(7)가 상면에 조립되는 케이스(6)와, 내부에 수용부(12)가 형성되어 상면이 개방되어 있고 밑면 중앙에는 사각구멍(15)이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에 구멍이 뚫려 있는 상판(13)이 상면에 조립되고 상기 케이스(6)내에서 하단이 조립편(10)에 의해 조립되어 있는 고정대(9)와, 길게 형성되어 중간에 고리형돌부(18)가 형성되어 있고 그 하측은 상기 사각구멍(15)에 수직으로 끼워지는 사각축(19)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리형돌부를 고정대(9)로부터 탄발시키는 스프링(20)을 가지고 상측 중간에는 측방으로 회전부재(17)가 조립되어 있는 동작축(16)과, 중앙에는 상기 동작축(16)의 상단이 끼워지는 홈(23)이 형성되어 있고 상단은 비원형의 연결편(22)이 형성되어 상기 상판 및 커버의 각 구멍(14)(8)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밑면 주연부는 고리형의 경사면(24)이 형성되어서 상기 회전부재(17)에 접촉되어 있으며 경사면(24)의 최저부에 멈춤돌부(25)가 형성되어 있는 캠축(21)과, 동어의 하단 내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캠축의 연결편(22)과 같은 형상의 구멍(5)이 형성되어 연결편(22)이 끼워지도록 된 고정편(4)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힌지.
KR2019930010316U 1993-06-12 1993-06-12 도어 힌지 KR9600091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0316U KR960009174Y1 (ko) 1993-06-12 1993-06-12 도어 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0316U KR960009174Y1 (ko) 1993-06-12 1993-06-12 도어 힌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1461U KR950001461U (ko) 1995-01-04
KR960009174Y1 true KR960009174Y1 (ko) 1996-10-15

Family

ID=19356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0316U KR960009174Y1 (ko) 1993-06-12 1993-06-12 도어 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917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1461U (ko) 1995-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1044B1 (ko) 회전댐퍼및그댐퍼를이용한덮개개폐장치
US5031270A (en) Friction hinge
US4068344A (en) Door hinge mechanism
KR860001572B1 (ko) 도어폐쇄 장치를 갖춘 피벗힌지
US3316582A (en) Viscous liquid damping devices
KR101019780B1 (ko) 웜 내치기어 및 이를 이용하는 자동 복귀 및 정지 기능을갖는 힌지장치
KR950008160Y1 (ko) 접는 문 장치
KR960009174Y1 (ko) 도어 힌지
US3452388A (en) Counterbalancing lid and hinge support
KR100284872B1 (ko) 유압식크로져와 스프링식크로져 및 그것들을 구비한 도어의 경첩
KR100461641B1 (ko) 냉장고용 힌지조립체
KR100424583B1 (ko) 냉장고용 힌지조립체
KR970005507Y1 (ko) 댐퍼 부착힌지
KR930000077Y1 (ko) 도어힌지
KR102520553B1 (ko) 도어용 손끼임방지 경첩
KR200144980Y1 (ko) 쇼케이스
KR0142059B1 (ko) 냉장고 도어 힌지조립체
KR200328910Y1 (ko) 스프링 경첩
KR900009664Y1 (ko) 유압 도어 클로우져
KR200156791Y1 (ko) 화장실 도어용 힌지
KR920003620Y1 (ko) 경첩에 내설되는 여닫이장치
KR0121040Y1 (ko) 도어힌지
KR0111198Y1 (ko) 냉장고도어 개폐장치
KR970005508Y1 (ko) 댐퍼 부착힌지
KR940002556Y1 (ko) 도어체크 일체형 경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11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