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4837B1 - 음료를 준비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를 갖춘 시스템. - Google Patents

음료를 준비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를 갖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4837B1
KR101464837B1 KR1020127001247A KR20127001247A KR101464837B1 KR 101464837 B1 KR101464837 B1 KR 101464837B1 KR 1020127001247 A KR1020127001247 A KR 1020127001247A KR 20127001247 A KR20127001247 A KR 20127001247A KR 101464837 B1 KR101464837 B1 KR 101464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sule
opened
sealed
container
inlet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1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6174A (ko
Inventor
랄프 카메르비크
안제니타 도로시아 포스트 반 룬
헨드릭 코르넬리스 코엘링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도우베 에그베르츠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도우베 에그베르츠 비.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도우베 에그베르츠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120046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61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4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4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6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hereby the loading of the brewing chamber with the brewing material is performed by the user
    • A47J31/3676Cartridges being employed
    • A47J31/368Permeable cartridges being employ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57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for brewing coffee under pressure, e.g. for espresso machines
    • A47J31/0668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for brewing coffee under pressure, e.g. for espresso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cartridges
    • A47J31/0673Means to perforate the cartridge for creating the beverage outl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0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ith a mechanism arranged to move the brewing chamber between loading, infusing and ejecting stations
    • A47J31/3623Cartridges being employed
    • A47J31/3628Perforat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바닥을 구비하고 밀봉되어있으며 밀봉 제1 캡슐, 입구필터를 포함하는 바닥을 구비하고 개봉된 개봉 2 캡슐, 밀봉 제1 캡슐을 잡아주는 지지면이 있는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밀봉 제1 캡슐의 바닥면을 관통하기 위한 바닥관통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밀봉 제1 캡슐에 미치는 압력하에서 물과 같은 유체의 상당한 양을 공급하기 위해 유체 분배 장치를 구비하는 제1 알려진 장치, 개봉 제2 캡슐을 잡아주는 지지면이 있는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개봉 제2 캡슐에 미치는 압력 하에서 물과 같은 유체의 상당한 양을 공급하기 위해 유체 분배 장치를 구비하는 제2 새로운 장치를 포함하는 추출 가능한 제품(product)을 사용하여 섭취하기에 적합한 음료의 기설정된 양을 준비하기 위한 시스템.

Description

음료를 준비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를 갖춘 시스템.{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PREPARING A BEVERAGE}
본 발명은 추출 가능한 제품을 사용하여 마시기에 적합한 음료의 기설정된 양을 준비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시스템은 바닥을 구비하고 밀봉 제1 캡슐, 상기 밀봉 제1 캡슐을 잡아주는 지지면이 있는 용기를 포함하는 제1 알려진 장치, 상기 제1 알려진 장치는 상기 밀봉 제1 캡슐의 바닥을 관통하기 위한 바닥관통수단을 가지고 상기 밀봉 제1 캡슐에 압력하에서 물과 같은 유체의 일정한 양을 공급하기 위한 유체 분배 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시스템의 특별한 클래스(class)는 추출 가능한 제품을 구성되어 밀폐하여 포장된 밀봉 제1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를 준비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음료 준비하는 동안 상기 밀봉 제1 캡슐의 입구 영역은 입구 개방을 통해 상기 캡슐의 내부 공간 안에 교환 가능한 제품에 압력하에서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최소한 하나 이상의 개구부를 제공하는 상기 시스템의 바닥 관통 수단에 의해 관통된다. 상기 내부 공간에 일정한 압력하에서 상기 유체를 제공하는 것은 상기 캡슐의 상기 내부 공간에 상기 압력을 상승하는 원인이다. 결국, 이것은 상기 밀봉 제1 캡슐의 출구 영역을 상기 용기의 지지면에 있는 뚜껑 관통 수단으로 누르는 원인이 된다.
상기 출구 영역을 충분한 힘에 의해 상기 뚜껑 관통 수단으로 누를 때, 상기 출구 영역은 상기 캡슐에서 상기 음료를 배수할 수 있는 최소한 하나의 출구 개구부를 생성하는 상기 뚜껑 관통 수단에 의해 뚫어진다. 밀봉 제1 캡슐(사용 시 캡슐은 상기 캡슐의 내부 공간에 유체 유입이 가능하게 하는 상기 시스템의 바닥 관통 수단에 의해 관통된다)을 사용 할 때, 상기 관통 수단은 또한 상기 밀봉 제1 캡슐이 상기 시스템의 상기 출구,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출구 영역에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하며, 더 특별하게는 상기 장치의 상기 지지면에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상기 음료의 준비를 하는 동안, 상기 캡슐의 출구 영역은 상기 장치의 상기 지지면에 반대에 붙을 수 있으며, 그 예로 상기 출구 영역은 상기 음료의 준비를 하는 동안 축축해지고, 또한 상기 유체 압력은 적어도 상기 지지면의 한 부분에 반대되는 또는 상기 뚜껑 관통 수단에 반대되는 상기 출구 영역에 압력을 가하기 때문이다.
상기 종래의(the prior) 기술로 밀봉 제1 캡슐의 바닥은 상기 바닥 관통 수단을 통해 확장되기 때문에, 상기 바닥의 재료는 상기 용기가 후퇴할 때 상기 지지면으로부터 상기 종래 기술로 밀봉 제1 캡슐을 끌어당기는 상기 바닥 관통 수단을 감싼다. 상기 용기가 후퇴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캡슐은 상기 시스템에 제공되는 폐기물 용기 안에 떨어지는 대신에 상기 용기에 쉽게 남아 있을 수 있다.
기공개되지 않은(pre-published), 추가된 시스템은 개봉 제2 캡슐(open second capsule)이며, 입구 필터를 포함하는 바닥을 구비하고 개봉 제2 캡슐의 응용을 제공한다. 상기 개봉 제2 캡슐은 상기 제1 (알려진) 장치에 설치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1 알려진 장치에서 상기 개봉 제2 캡슐을 사용할 때 (즉, 배치 후에), 그 장치의 상기 바닥 관통 수단은 상기 개봉 제2 캡슐의 입구 필터를 관통하지 않는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제2 개봉 제2 캡슐의 상기 입구 필터는 이미 상기 개봉 제2 캡슐의 내부 공간에 상기 유체 분배장치로부터 유체를 공급하는 것을 적용한다.
관통되지 않은 입구 필터를 가지고 개봉 제2 캡슐을 사용하는 상기 시스템에서 음료를 준비하면, 상기 개봉 제2 캡슐은 상기 용기의 후퇴력에 의해 지지면에 붙어 있을 수 있다. 그 다음에, 추가된 개봉 제2 캡슐을 삽입한 후 음료의 또 다른 양을 준비하기 전에 예를 들어 사람의 손가락 또는 어떤 다른 적합한 수단과 같은 도구가 상기 용기로부터 상기 캡슐을 적극적으로(actively) 제거하기 위해 필요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개봉 제2 캡슐이 상기 지지면 반대에 붙어 있고 추가된 캡슐이 삽입된 것을 알아차리지 못한다면, 상기 캡슐은 추출 가능한 제품 함유하거나 심지어 손상된 장치에 저품질의 음료에 결과로 상기 용기를 막히게 하는 손상을 입힐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위에서 설명한 유형에 따라 개선된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발명의 목적이다. 게다가 특히, 발명의 목적은 상기 용기 속에 붙어있는 캡슐들의 손상을 최소화하여 기설정된 음료의 양을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위에 설명된 시스템은 제1항에 따른 특징에 의해 특징을 나타낸다.
장점으로써, 추출 가능한 제품 사용하여 섭취하기에 적합한 음료의 기설정된 양을 준비하기 위한 시스템은 밀봉 제1 캡슐(closed first capsule)이며 바닥을 구비하는 밀봉 제1 캡슐, 개봉 제2 캡슐(open second capsule)이며 입구필터를 포함하는 바닥을 구비하는 개봉 제2 캡슐, 밀봉 제1 캡슐을 잡아주는 지지면이 있는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밀봉 제1 캡슐의 바닥면을 관통하기 위한 바닥관통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밀봉 제1 캡슐에 미치는 압력하에서 물과 같은 유체의 상당한 양을 공급하기 위해 유체 분배 장치를 구비하는 제1 알려진 장치, 개봉 제2 캡슐을 잡아주는 지지면이 있는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개봉 제2 캡슐에 미치는 압력 하에서 물과 같은 유체의 일정한 양을 공급하기 위해 유체 분배 장치를 구비하는 제2 새로운 장치,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알려진 장치를 사용할 때, 상기 개봉 제2 캡슐의 입구필터는 상기 제1 알려진 장치의 바닥관통수단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되며, 상기 개봉 제2 캡슐은 바닥관통수단에 의해 관통되지 않고 상기 개봉 제2 캡슐의 바닥은 그대로 유지되며, 상기 제2 새로운 장치의 용기는 상기 용기의 후퇴시 캡슐이 상기 용기의 후퇴 방향으로 움직여서 상기 입구필터에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만들기 위해 상기 개봉 제2 캡슐의 상기 입구필터를 관통하는 확장바닥관통수단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개봉 제2 캡슐의 입구영역을 관통하기 위해 설치되는 확장바닥관통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확장바닥관통수단은 상기 음료의 준비를 하기 전에 상기 용기의 밀폐시 상기 입구 필터를 통하여 확장된다.
상기 음료의 준비 후에 상기 용기는 후퇴되며 그로 인하여 상기 용기의 후퇴하는 방향으로 또한 상기 바닥관통수단이 이동한다. 상기 개봉 제2 캡슐의 입구 필터의 재료는 상기 바닥관통수단을 감싸므로, 상기 관통수단들은 상기 입구 필터로부터 제거될 때까지 상기 캡슐은 상기 바닥관통수단과 함께 후퇴방향으로 움직인다.
상기 확장바닥관통수단과 상기 입구필터 사이의 초기 결합력은 상기 개봉 제2 캡슐의 상기 뚜껑와 상기 용기 지지면의 적어도 일부분 사이의 접착력 보다 클 수 있으며, 상기 캡슐은 상기 확장바닥관통수단으로부터 제거되어 지기 전에 상기 캡슐은 상기 용기의 지지면으로부터 풀려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바닥관통수단을 가진 상기 제2 새로운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개봉 제2 캡슐은 쉽게 상기 용기에 남아 있을 수 있고 그리하여 추가의 기설정된 음료의 양을 준비하기 위한 추가 캡슐을 받을 준비가 되어 있는 상기 장치 안에 수신 개구부(receiving opening)를 제공한다.
상기 발명의 더 상세한 설명에 따라 이점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확장바닥관통수단과 상기 개봉 제2 캡슐의 입구 필터 사이에 상기 목표한 초기 결합력 제공하기 위해, 상기 시스템의 상기 제2 새로운 장치의 상기 확장바닥관통수단은 상기 개봉 제2 캡슐의 상기 입구 필터를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확장되는 관통 요소의 관통 끝단에 의해 선택되는 길이를 가지는 칼과 같은 하나 이상의 관통 요소를 포함한다. 상기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둘 이상의 관통 요소를 포함하는 확장바닥관통수단은 실질적으로 캡슐 중심점, 보다 더 구체적으로 바닥 중심점에 관련해서 동등한 거리에 배치되며, 상기 캡슐은 경사 또는 기울어진 것 없이 바로 후퇴 방향으로 후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용기로부터 상기 개방 캡슐의 적절한 제거가 추가로 향상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개봉 제2 캡슐은 원주 벽, 제1단에서 상기 원주 벽을 밀봉하는 바닥 및 상기 바닥 반대편의 제2단에서 상기 원주 벽을 밀봉하는 뚜껑를 포함하며, 상기 벽, 바닥과 뚜껑는 추출 가능한 제품을 포함하는 내부 공간을 밀폐한다. 예를 들어, 상기 뚜껑는 출구 영역을 포함하고 사용 시 상기 제2 새로운 장치는 상기 캡슐에서 준비된 음료 배수 및 컵과 같은 용기에 음료 공급을 위한 상기 출구 영역에 있는 유체전달부인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봉 제2 캡슐의 상기 바닥은 입구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시스템은 상기 음료를 준비하기 위한 상기 추출 가능한 제품에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입구 영역에 있는 유체연결부에 (제2 새로운 장치의) 유체분배장치 제공하기 위해 정렬할 수 있다. 밀봉(제1)캡슐은 상기 시스템의 상기 제2 새로운 장치에 사용할 때 상기 확장바닥관통수단의 추가 이점이 제공되며, 상기 확장바닥관통수단은 사용시 관통 요소는 상기 바닥에서 상기 캡슐의 상기 뚜껑로 상기 밀봉 제1 캡슐의 종방향 중심축에 따라 그 길이의 최소 21.7% 이상 상기 밀봉 제1 캡슐을 관통하기에 적당한 하나 이상의 관통 요소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밀봉 제1 캡슐의 내부 공간 안에 관통수단의 높은 침투 깊이는 이러한 확장바닥관통수단에서 얻을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준비된 음료의 재활용과 품질의 장점에 상기 캡슐 자체를 통해 유체가 통과하기 위한 최적의 유량조건을 제공한다. 사실상, 상기 확장바닥관통수단을 상기 캡슐 내부에 분배기 판으로써의 역할을 할 수 있고, 상기 추출 가능한 제품을 통해 우선적인 유체 흐름 경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확장바닥관통수단은 추가 이점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캡슐 내에 있는 상기 추출 가능한 제품이 추출과정 직전에 더 집중적으로 압축되며, 또한 상기 준비된 음료의 품질의 관점에서 좋을 수 있다.
또한,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시스템의 캡슐과 상기 시스템의 상기 캡슐의 사용에 관련된다. 상기 발명 추가는 청구항 14에 따른 추출 가능한 제품을 사용하여 섭취하기에 적합한 음료의 기설정된 양을 준비하기 위한 방법에 관련된다. 이러한 캡슐, 캡슐과 방법의 사용은 상기 시스템과 함께 설명된 것으로써 유사한 이점과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 캡슐과 방법은 종속 청구항에 명시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개봉 제2 캡슐의 입구영역을 관통하기 위해 설치되는 확장바닥관통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확장바닥관통수단은 상기 음료의 준비를 하기 전에 상기 용기의 밀폐시 상기 입구 필터를 통하여 확장된다.
바닥관통수단을 가진 상기 제2 새로운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개봉 제2 캡슐은 쉽게 상기 용기에 남아 있을 수 있고 그리하여 추가의 기설정된 음료의 양을 준비하기 위한 추가 캡슐을 받을 준비가 되어 있는 상기 장치 안에 수신 개구부(receiving opening)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둘 이상의 관통 요소를 포함하는 확장바닥관통수단은 실질적으로 캡슐 중심점, 보다 더 구체적으로 바닥 중심점에 관련해서 동등한 거리에 배치되며, 상기 캡슐은 경사 또는 기울어진 것 없이 바로 후퇴 방향으로 후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용기로부터 상기 개방 캡슐의 적절한 제거가 추가로 향상된다.
또한, 상기 확장바닥관통수단을 상기 캡슐 내부에 분배기 판으로써의 역할을 할 수 있고, 상기 추출 가능한 제품을 통해 우선적인 유체 흐름 경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확장바닥관통수단은 추가 이점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캡슐 내에 있는 상기 추출 가능한 제품이 추출과정 직전에 더 집중적으로 압축되며, 또한 상기 준비된 음료의 품질의 관점에서 좋을 수 있다.
다른 그림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요소가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참조 번호로 표시되는 것을 명시한다.
도1은 밀봉 제1 캡슐의 일부는 점선 라인(102)으로 표시되며, 개봉 제2 캡슐을 포함하며 음료를 준비하기 위한 종래 기술 장치를 간략하게 보여준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새로운 장치의 일 실시예 시스템을 간략하게 보여준다. 및
도3은 밀봉 제1 캡슐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제2 새로운 장치를 간략하게 보여준다.
다른 그림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요소가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참조 번호로 표시되는 것을 명시한다.
도 1은 상기 시스템(1)의 제1 알려진 장치(104)를 보여주며, 추출 가능한 제품을 사용하여 마시기에 적합한 음료의 기설정된 양을 준비하기 위한 종래 기술 장치인 제1 알려진 장치(104). 도2와 도3은 상기 시스템의 제2 새로운 장치(4)의 일 실시예를 보여준다.
상기 제1 알려진 장치(104)는 제1(종래기술)캡슐(102)을 고정하기 위한 지지면(24)이 있는 용기(103)를 포함한다. 밀봉 제1 캡슐(102)의 일부분은 도1에서 점선으로 표시된다. 도3은 제2 새로운 장치(4)에 배치된 밀봉 제1 캡슐(102)을 보여준다.
다음 도1에서, 제1 알려진 장치(104)는 밀봉 제1 캡슐(102)의 밀폐된 바닥(107)(도3을 보면)을 관통하기 위하여 바닥관통수단(112)을 구비하고, 상기 밀봉 제1 캡슐(102)에 의한 압력하에 물과 같은 유체의 양을 공급하기 위한 유체분배장치(105)를 구비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제1 알려진 장치(104)의 상기 용기(103)는 상기 밀봉 제1 캡슐(102)의 형태를 최소한 부분적으로 보완하는 형태를 가진다.
도1에서, 상기 제1 알려진 장치(104)는 개봉 제2 캡슐(2)을 포함한다(실선으로 표시함). 상기 용기(103)는 상기 개봉 제2 캡슐(2)을 고정할 수 있다. (예로 밀봉 제1 캡슐(102)대신). 일반적으로, 상기 용기(103)는 상기 개봉 제2 캡슐(2)의 형태를 최소한 부분적으로 보완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유체분배장치(105)는 물과 같은 일정한 양의 유체를 6bars 이상인 9bars의 일정 압력하에서 상기 교환 캡슐(2)에 공급할 수 있다. 예로, 작동 중에 상기 압력은 6bars 또는 그 이상 만들어 질 수 있다.
상기 제1 알려진 장치(104)의 상기 용기(103) 안에 제공되는 것으로 상기 개봉 제2 캡슐(2)은 상당히 단단한 원주 벽(6), 제1단(8)에서 상기 원주 벽(6)을 밀봉하는 바닥(7), 및 상기 바닥 반대편 제2단(10)에서 상기 원주 벽(6)을 밀봉하는 뚜껑(9)를 포함한다. 상기 원주 벽(6), 상기 바닥(7) 및 상기 뚜껑(9)는 상기 추출 가능한 제품을 포함하는 내부 공간(11)을 둘러싸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출 가능한 제품은 볶은 커피와 분말커피의 양을 포함한다.
이전에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알려진 장치(104)는 선행기술인 밀봉 제1 캡슐(102)의 밀봉된 바닥(107)을 관통하기 위한 바닥관통수단(112)을 포함한다. 상기 바닥관통수단(112)과 도1에 도시된 상기 용기(103의 윗부분(3a)은 입구 개구부(124)을 통해 상기 추출 가능한 제품에 유체를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밀봉 제1 캡슐(102)의 상기 바닥(107) 내에 입구 개구부(124')를 만들기 위한 확장된 위치(extended position)에 있다. 상기 바닥관통수단(112)은 상기 밀봉 제1 캡슐(102)의 내부 공간 (111) 안에 포함된 상기 추출 가능한 제품을 공급할 수 있는 상기 유체가 통과하는 구멍(bore, 114)을 포함한다. 추가로 상기 제1 알려진 장치(104)는 여기에 돌출부로 포함되며, 상기 밀봉 제1 캡슐(102)의 상기 뚜껑(109)를 관통하도록 의도된 뚜껑 관통 수단(122)을 포함한다. 도1에 따라 상기 개봉 제2 캡슐(2)은 상기 뚜껑 관통 수단(122)에 의해 관통되지 않는 출구 필터를 구비한 뚜껑(9)를 포함한다.
제1 알려진 장치(104)에 제공되는 것으로 상기 개봉 제2 캡슐(2)은 상기 바닥 관통 수단(112)에 의해 관통되지 않는다. 상기 유체분배장치(105)로부터 상기 유체는 상기 구멍(bore)(114)을 통해 상기 용기(103) 및 상기 개봉 제2 캡슐(2) 사이에 제공된 구멍(cavity, 144)으로 들어간다. 상기 개봉 제2 캡슐(2)은 상기 추출 가능한 제품에서 원하는 물질을 추출하기 위해 상기 개봉 제2 캡슐(2)의 내부 공간(11)에 구멍(cavity, 144)에서 유체를 배수하기 위해 적용된 상기 바닥(7)에 제공된 입구 필터(15)을 포함하며, 이 예에서 30-200ml의 한잔의 음료 커피를 준비하기 위해 약4.5~8g(예로 5~6.5g)의 볶은 커피와 분말커피를 제공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도1의 예에서, 상기 바닥(7)은 상기 바닥 관통 수단(112)에서 이격되어 위치하는 상기 입구 필터(15)에 의해 형성된 입구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알려진 장치(104)는 음료를 준비하기 위해 상기 추출 가능한 제품에 상기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상기 입구 영역이 달린 유체 연결부(fluid connection)에 유체 분배 장치(105)을 가져오기 위해 배열된다. 상기 뚜껑(9)는 상기 시스템(1)의 제1 알려진 장치(104)의 상기 출구(126)에 상기 캡슐(2)로부터 상기 준비된 음료를 배수하기 위해 적용된 개구부(23)가 제공된다.
도2은 제2 새로운 장치(4)와 개봉 제2 캡슐인 제2 캡슐(2)을 보여준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1에서 다른 유일한 요소는 여기서 자세히 설명할 것이다. 상기 개봉 제2 캡슐(2)은 상기 개봉 제2 캡슐(2)의 상기 바닥(7) 안에 입구 필터(15)를 포함한다. 상기 입구 필터(15)는 상기 캡슐의 상기 내부 공간(11)에 상기 장치(4)의 유체 분배 장치(5)에서 유체를 공급하기 위해 일정 크기의 구멍을 포함하다. 상기 입구 필터는 축 방향에서 약 23.7mm±0.2mm의 높이(h1)를 가진다. 상기 바닥(7)의 두께(t)는 약 0.7 mm - 0.05 mm 일 수 있다.
상기 시스템(1)의 상기 제2 새로운 장치(4)는 윗부분(3a)과 사용시 상기 개봉 제2 캡슐을 동봉한 것이 적용된 지지면(24)을 구비한 용기(3)를 포함한다. 상기 윗부분(3a)은 상기 용기(3)를 밀봉하기 위하여 후퇴 위치에서 확장된 위치까지, 그리고 상기 용기(3)로부터 상기 사용된 캡슐(2)을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용기(3)를 개봉하는 후퇴 방향(R) 내의 확장된 위치에서 후퇴 위치까지 옮길 수 있다. 상기 제2 새로운 장치(4)의 상기 유체 분배 장치(5)는 관통 끝단(12b)을 가진 칼날과 같은 관통 요소(12a)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알려진 장치의 상기 바닥 관통 수단에 관련하여 확장된)확장 바닥 관통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확장 관통 수단(12)은 상기 입구 필터에 최소 하나 이상의 개구부을 만들기 위한 상기 개봉 제2 캡슐(2)의 상기 입구 필터(15)을 관통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용기의 후퇴 시 상기 개봉 제2 캡슐(2)은 상기 용기(3)의 후퇴 방향(R)으로 이동된다.
상기 관통 요소(12)의 길이는 도2에서 처럼, 확장된 위치에서 상기 관통 끝단(12b)은 상기 개봉 제2 캡슐(2)의 상기 입구 필터(15)을 통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확장되어 선택된다. 상기 관통 요소(12)는 가급적으로 상기 용기(3)의 상기 윗부분(3a)의 확장된 위치에 있는 상기 입구 필터(15)에서 상기 캡슐(2)의 상기 뚜껑(9)를 향해 상기 캡슐의 종방향 중심축에 그 길이의 적어도 2.7%를 초과하여 상기 개봉 제2 캡슐(2)을 관통하는 길이를 가진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입구 필터(15)는 상기 개봉 제2 캡슐(2)의 상기 바닥(7) 내에 제공되는 복수의 입구 개구부를 포함한다. 이 예에서 입구 개구부의 복수는 실질적으로 전체 바닥(7) 위에 배포된다. 그래서 상기 추출 가능한 제품에 유체의 매우 균등한 공급이 제공된다. 또 다른 실시예(도시되지 않음), 상기 입구 필터(15)는 필터링 종이, 유연한 호일 및 같은 재질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2에 도시된 상기 시스템(1)은 한잔의 커피를 준비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운영되며, 추출 가능한 제품은 볶은 커피 및 분말 커피일 수 있다.
상기 개봉 제2 캡슐(2)는 상기 용기(3) 내에 배치된다. 상기 용기의 윗부분(3)은 상기 용기(3)의 지지면(24)으로 확장된다. 상기 용기의 윗부분(3a)에 기인하여, 상기 확장바닥관통수단(12)은 상기 개봉 제2 캡슐(2)의 상기 바닥(7)을 관통하기 위해 작동되며, 상기 확장바닥관통수단(12)은 상기 입구 필터(15)을 관통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확장된다. 그런 다음 압력하에 온수인 유체는 상기 입구 필터(15)의 개구부와 상기 관통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내부 공간(11)에 상기 추출 가능한 제품에 공급되며, 상기 구멍(bore, 14)과 상기 확장바닥관통수단(12)에 제공된 구멍 개구부(bore opening, 14a)를 통과한다. 물은 상기 커피 찌꺼기를 젖게 하고(wet) 상기 커피음료를 형성하여 원하는 제품을 추출한다.
상기 준비된 커피는 상기 지지면(24)의 출구 개구부(26)을 통하여 상기 개봉 제2 캡슐(2)로 배수 될 수 있고, 컵과 같은 용기에 공급될 수 있다(도시되지 않음).
상기 제2 새로운 장치의 사용 중에 상기 뚜껑(9)(개봉 제2 캡슐의)는 적어도 일부가 지지면(24) 및 상기 뚜껑 관통 수단(22)에 붙어 있다. 음료를 준비한 후 상기 용기의 상기 윗부분(3a)은 후퇴 방향(R)으로 후퇴되며 상기 확장 바닥 관통 수단은 후퇴 방향(R)으로 후퇴된다. 상기 확장바닥관통수단(12)과 상기 입구 필터(15) 사이의 상기 초기 결합력은 상기 개봉 제2 캡슐(2)의 상기 뚜껑(9)와 상기 용기(3)의 상기 지지면(24) 사이의 상기 접착력 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개방 캡슐(2)은 상기 후퇴 방향(R)으로 상기 확장바닥관통수단(12)과 함께 움직인다. 결과적으로, 상기 개봉 제2 캡슐(2)은 쉬운 방식으로 상기 용기(3)로부터 제거되기 때문에 상기 개봉 제2 캡슐(2)이 상기 용기(3)에 갇히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3에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시스템(1)의 제2 새로운 장치(4)는 밀봉 제1 캡슐(102)을 포함한 것을 도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2와 함께 설명되고 도시된 상기 시스템(1)의 상기 장치(4)와 다른 유일한 요소는 여기에 설명된다. 도3에서 갭(gap)은 명확함을 위하여 상기 밀봉 제1 캡슐(102)과 상기 용기(3) 사이에 도시된다. 사용 시 상기 밀봉 제1 캡슐(102)은 상기 용기(3)에 접촉하여 놓여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밀봉 제1 캡슐(102)은 상기 밀봉 제1 캡슐(102)의 종방향 중심점에 따라 실질적으로 30mm의 길이(h2)를 가진다. 도3에 도시된 것으로 상기 용기(3)의 확장된 위치에서 상기 확장바닥관통수단(12)의 상기 관통 요소(12a)은 상기 개봉 제2 캡슐(102)의 종방향 중심축에 따라 그 길이(h2)의 적어도 21.7% 를(도3 내의 1) 초과하여 상기 밀봉 제1 캡슐(102)를 통하서 확장된다. 밀봉 제1 캡슐(102)을 사용 할 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시스템(1)의 제2 새로운 장치(4)의 상기 확장바닥관통수단(12)은 상기 밀봉 제1 캡슐(102)을 통과하는 유체에 대한 최적의 유량 조건을 제공하며, 상기 추출 가능한 제품을 통하여 우선적인 유체 흐름 경로의 발생을 방지하고 상기 준비된 커피의 품질에 대해 유리하게 좀더 집중적으로 상기 추출 가능한 제품을 압축할 수 있다.
앞서 언급된 설명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구현들의 특정 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다. 그러나 첨부된 청구항들과 같이 본 발명의 더 넓은 범위와 진의(spirit)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분명이 있을 것이다.
상기 캡슐과 부속들은 각종 재료 또는 각종 재료의 다양한 조합에 의해 만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캡슐은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캡슐의 원주 벽은 팔각형 또는 육각형과 같은, 원통형, 원추형 또는 다각형과 같은 어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과 상기 뚜껑는 평면 모양이 아닌 것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습니다. 게다가, 상기 확장 바닥 관통 수단은 다른 모양을 가지며, 관통 요소의 다른 개수를 포함하고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용기는 다른 구조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용기의 상기 윗부분은 상기 지지면에서 후퇴될 수 있고 옮겨 놓을 수 있다.
그러나, 다른 변경 및 대체도 가능하다. 따라서 앞서 언급된 설명, 도면 및 예들은 본 발명을 분명하게 보여주기 위함이지 제한하는 의미는 아니다.
청구항에서, 삽입 어구(parenthese) 사이에 위치한 모든 참조 부호들은 청구항을 제한하는 것을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포함한다'는 단어는 청구항에 기재된 다른 특성 또는 단계의 존재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게다가, '하나의' 라는 단어도 '오직 하나'의 의미가 아니라, '적어도 하나'의미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며 '다수'라는 의미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서로 다른 청구항에 나열된 특정 방법(measure)들이 상기 방법들의 조합이 유리하게 사용되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1 : 시스템
2 : 개봉 제2 캡슐
3 : 용기
4 : 제2 새로운 장치
5 : 유체 분배 장치
6 : 원주벽
7 : 바닥
8 : 제1단
9 : 뚜껑
10: 제2단
12 : 확장바닥관통수단
15 : 입구 필터
24 : 지지면
26 : 배출구
102 : 밀봉 제1 캡슐
104 : 제1 알려진 장치
112 : 바닥 관통 수단

Claims (15)

  1. 바닥(107) 및 추출 가능한 제품을 포함하는 내부 공간(111)을 구비하는 밀봉 제1 캡슐(102);
    입구필터(15)를 포함하는 바닥(7)을 구비하고, 원주 벽(6) 및 뚜껑(9)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바닥(7)은 제1단(8)에서 상기 원주벽을 밀봉하고, 상기 뚜껑(9)은 상기 바닥(7)과 반대쪽인 제2단(10)에서 상기 원주벽(6)을 밀봉하고, 상기 원주벽, 바닥, 및 뚜껑은 추출 가능한 제품을 포함하는 내부 공간(11)을 둘러싸는 개봉 제2 캡슐(2);
    밀봉 제1 캡슐(102)을 잡아주는 지지면(124)이 있는 용기(103)를 포함하고, 상기 밀봉 제1 캡슐(102)의 바닥(107) 내 입구 개구부(124')을 만들기 위하여 상기 밀봉 제1 캡슐(102)의 바닥면(107)을 관통하기 위한 바닥관통수단(112)을 구비하며, 상기 밀봉 제1 캡슐(102)에 미치는 압력하에서 유체의 일정한 양을 공급하기 위해 유체 분배 장치(105)를 구비하는 제1 알려진 장치(104);
    개봉 제2 캡슐(2)을 잡아주는 지지면(24)이 있는 용기(3)를 포함하고, 상기 개봉 제2 캡슐(2)에 미치는 압력 하에서 유체의 일정한 양을 공급하기 위해 유체 분배 장치(5)를 구비하는 제2 새로운 장치(4);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알려진 장치(104)를 사용할 때, 상기 개봉 제2 캡슐(2)의 입구필터(15)는 상기 제1 알려진 장치(104)의 바닥관통수단(112)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개봉 제2 캡슐(2)은 바닥관통수단(112)에 의해 관통되지 않고 상기 개봉 제2 캡슐(2)의 바닥은 그대로 유지되며, 상기 개봉 제2 캡슐(2)의 상기 입구 필터(15)는 상기 유체 분배 장치(105)로부터 상기 개봉 제2 캡슐(2)의 내부 공간(11)으로 유체를 공급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2 새로운 장치(4)의 용기(3)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만들기 위하여 개봉 제2 캡슐(2)의 상기 입구 필터(15)를 관통하도록 의도된 확장바닥관통수단(12)을 포함하여서, 상기 용기(3)의 후퇴시 상기 개봉 제2 캡슐(2)이 상기 용기(3)의 후퇴 방향(R)으로 움직이는,
    추출 가능한 제품(product)을 사용하여 섭취하기에 적합한 음료를 준비하기 위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9)은 출구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새로운 장치(4)는, 사용시, 통에 음료를 공급하고 상기 개봉 제2 캡슐(2)에서 준비된 음료를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출구 영역과 유체연결(fluid communincation)되는 배출구(26)를 포함하는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바닥관통수단(12)과 상기 개봉 제2 캡슐(2)의 상기 입구필터(15) 사이의 초기 결합력은 상기 개봉 제2 캡슐(2)의 뚜껑(9)과 상기 용기(3)의 지지면(24)의 일부분 사이의 접착력보다 큰 힘을 가지는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새로운 장치(4)의 상기 확장바닥관통수단(12)은 선택된 길이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요소(12a)를 포함하여서, 사용 시, 상기 관통 요소(12 a)의 관통 끝단(12b)이 상기 개봉 제2 캡슐(2)의 상기 입구 필터(15)를 통해 적어도 일부분으로 확장하는 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바닥관통수단(12)은 캡슐 중심점, 더 구체적으로는 바닥중심점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동등한 거리에 배열되는 적어도 2개의 관통 요소(12a)를 포함하는 시스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봉 제2 캡슐(2)의 상기 입구필터의 두께(t)는 0.7mm ±0.05mm인 시스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봉 제2 캡슐(2)은 상기 개봉 제2 캡슐(2)의 종방향 중심 축에 따라 23.7mm±0.2mm의 길이(h1)를 가지는 시스템.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장치(4)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요소(12a)를 구비하며, 상기 관통 요소(12a)는 선택된 길이를 구비하여서, 사용시, 상기 입구필터(15)로부터 상기 개봉 제 2 캡슐(2)의 상기 뚜껑(9)으로 향하여 상기 개봉 제2 캡슐(2)의 종방향 중심 축을 따라 상기 개봉 제2 캡슐(2) 길이의 적어도 2.7%를 초과하여 개봉 제2 캡슐(2)을 관통하는 시스템.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봉 제2 캡슐(2)의 상기 입구필터(15)는,
    유연한 다공성 시트,
    복수의 입구 개구부(124')가 제공되는 유연한 호일, 또는
    상기 개봉 제2 캡슐(2)의 바닥(7) 내에 제공되는 복수의 입구 개구부(124')
    에 의하여 형성하는 시스템.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바닥관통수단(12)은 적어도 하나의 관통 요소(12a)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요소(12a)는, 사용시, 바닥(107)에서 상기 밀봉 제1 캡슐(102)의 뚜껑으로 향하여 상기 밀봉 제1 캡슐(102)의 종방향 중심 축을 따라 상기 밀봉 제1 캡슐(102) 길이의 최소 21.7%를 초과하여 상기 바닥(107)을 구비하는 상기 밀봉 제1 캡슐(102)을 관통하도록 마련되는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제1 캡슐(102)은 상기 밀봉 제1 캡슐(102)의 종방향 중심축을 따라 실질적으로 30mm의 길이(h2)를 가지는 시스템.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상기 시스템(1)의 상기 제2 새로운 장치(4)를 사용하여 음료를 준비하기 위하여,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상기 시스템(1)의 개봉 제2 캡슐 이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개봉 제2 캡슐(2)은 입구 필터(15)를 구비하고, 상기 입구 필터(15)는 상기 확장바닥관통수단(12)과 상호 협력하여서, 상기 개봉 제2 캡슐(2)이 상기 제2 새로운 장치(4)의 용기(3) 내 수용될 때, 상기 입구 필터(15)는 상기 제2 새로운 장치(4)의 확장바닥관통수단(12)에 의하여 관통되는 방법.
  13. 추출 가능한 재료를 사용하여 섭취하기에 적합한 음료를 준비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바닥(107) 및 추출 가능한 제품을 포함하는 내부 공간(111)을 구비하는 밀봉 제1 캡슐(102)을 제공하는 단계;
    원주 벽(6), 제1단(8)에서 상기 원주벽(6)을 밀봉하는 바닥(7) 및 상기 바닥 반대편에 제2단(10)에서 상기 원주벽(6)을 밀봉하는 뚜껑(9)을 포함하며, 상기 벽, 상기 바닥과 뚜껑은 추출 가능한 제품을 포함하는 내부 공간(11)을 감싸는 개봉 제2 캡슐(2) 내 바닥에 입구필터(15)를 포함하는, 상기 개봉 제2 캡슐(2)을 제공하는 단계;
    밀봉 제1 캡슐(102)을 잡아주는 지지면(124)이 있는 용기(103)를 포함하고, 상기 밀봉 제1 캡슐(102의 바닥면(107)을 관통하기 위하여 의도된 바닥관통수단(112)을 구비하며, 상기 밀봉 제1 캡슐(102)의 내부 공간(111) 내 포함된 추출가능한 제품에 미치는 압력하에서 유체의 일정한 양을 공급하기 위한 유체 분배 장치(105)를 구비하는 제1 알려진 장치(104)를 제공하는 단계;
    개봉 제2 캡슐(2)을 고정하기 위하여 지지면(24)를 구비하는 용기(3). 상기 개봉 제2 캡슐(2)에 압력하에서 유체의 일정한 양을 공급하기 위한 유체분배장치(5), 및 사용시 통에 음료를 공급하고 상기 개봉 제2 캡슐에서 준비된 음료를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개봉 제2 캡슐(2)과 유체 연결(fluid communication)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3)는 상기 개봉 제2 캡슐(2)의 입구 필터(15)를 관통하기 위하여 의도된 확장바닥관통수단(12)를 포함하는, 제2 새로운 장치(4)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2 새로운 장치(4)의 용기(3) 내로 상기 개봉 제2 캡슐(2)을 삽입하여서, 상기 개봉 제2 캡슐(2)의 상기 입구필터(15)를 관통하기 위하여 의도된 상기 확장바닥관통수단(12)은 상기 입구 필터(15 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구부를 만들고, 상기 용기(3)의 후퇴시 상기 개봉 제2 캡슐(2)이 상기 용기(3)의 후퇴방향(R)으로 움직이는 단계; 및
    음료를 준비하기 위해서 추출 가능한 재료에 유체를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개봉 제2 캡슐의 상기 입구필터(15)는. 상기 제1 알려진 장치(102) 내에 사용될 때, 상기 제1 알려진 장치(102)의 바닥관통수단(112)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여서, 상기 개봉 제2 캡슐(2)은 상기 장치의 바닥관통수단(112)에 의해 관통되지 않고 상기 개봉 제2 캡슐(2)의 바닥(7)은 그대로 유지되며, 상기 개봉 제2 캡슐(2)의 상기 입구 필터(15)는 유체 분배 장치(105)로 부터 상기 개봉 제2 캡슐(2)의 내부 공간(11)으로 유체를 공급하도록 마련된,
    추출 가능한 재료를 사용하여 섭취하기에 적합한 음료를 준비하기 위한 방법.
  14. 삭제
  15. 삭제
KR1020127001247A 2009-06-17 2009-12-30 음료를 준비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를 갖춘 시스템. KR1014648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9163013 2009-06-17
EP09162920 2009-06-17
EP09163013.7 2009-06-17
EP09162920.4 2009-06-17
PCT/NL2009/050819 WO2010137951A1 (en) 2009-06-17 2009-12-30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preparing a bever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6174A KR20120046174A (ko) 2012-05-09
KR101464837B1 true KR101464837B1 (ko) 2014-12-04

Family

ID=41650031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6427A KR101522512B1 (ko) 2009-06-17 2009-12-30 음료 제조를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용기
KR1020127001247A KR101464837B1 (ko) 2009-06-17 2009-12-30 음료를 준비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를 갖춘 시스템.
KR20127001211A KR20120030546A (ko) 2009-06-17 2009-12-30 음료 제조를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용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6427A KR101522512B1 (ko) 2009-06-17 2009-12-30 음료 제조를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용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7001211A KR20120030546A (ko) 2009-06-17 2009-12-30 음료 제조를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용기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2) US9131799B2 (ko)
EP (2) EP2442696B1 (ko)
JP (2) JP5653424B2 (ko)
KR (3) KR101522512B1 (ko)
CN (2) CN102573581B (ko)
AU (2) AU2009347088B2 (ko)
BR (1) BRPI0925308A2 (ko)
CA (2) CA2764947C (ko)
DK (2) DK2442698T3 (ko)
ES (2) ES2478843T3 (ko)
HK (2) HK1172805A1 (ko)
IL (2) IL217028A (ko)
MX (2) MX2011013550A (ko)
PL (2) PL2442698T3 (ko)
PT (2) PT2442696E (ko)
RU (2) RU2526685C2 (ko)
SG (2) SG176744A1 (ko)
WO (2) WO2010137951A1 (ko)
ZA (2) ZA20120031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53424B2 (ja) 2009-06-17 2015-01-14 コーニンクラケ ダウ エグバート ビー.ブイ. 飲料を作るための方法、システム及び収容器
US9428328B2 (en) 2011-09-01 2016-08-30 2266170 Ontario Inc. Beverage capsule
GB2499201B (en) * 2012-02-07 2014-07-02 Kraft Foods R & D Inc A beverage preparation system, a coded insert and methods of use thereof
RU2628716C2 (ru) * 2012-10-09 2017-08-21 Нестек С.А. Машина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ов
EP2908706B1 (en) * 2012-10-19 2016-12-14 Nestec S.A. Extensible cartridge cage with a lock
EP2730523B1 (en) 2012-11-12 2016-04-06 2266170 Ontario, Inc. Beverage capsule and process and system for making same
US9783361B2 (en) 2013-03-14 2017-10-10 Starbucks Corporation Stretchable beverage cartridges and methods
CA2905217C (en) 2013-04-03 2016-11-08 2266170 Ontario Inc. Capsule machine and components
CA2912723C (en) 2013-05-23 2017-02-07 2266170 Ontario Inc. Capsule housing
WO2015024125A1 (en) 2013-08-20 2015-02-26 2266170 Ontario Inc. A capsule containing a dosing agent and system and process for making same
US10314319B2 (en) * 2013-11-20 2019-06-11 2266170 Ontari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lerated or controlled degassing of roasted coffee
US10442610B2 (en) 2014-03-11 2019-10-15 Starbucks Corporation Pod-based restrictors and methods
US10336531B2 (en) 2014-03-21 2019-07-02 2266170 Ontario Inc. Capsule with steeping chamber
US9877495B2 (en) 2015-01-09 2018-01-30 Starbucks Corporation Method of making a sweetened soluble beverage product
IT201700054650A1 (it) * 2017-05-19 2018-11-19 Aroma System S R L Metodo e sistema per ottenere bevande
NL2019253B1 (en) * 2017-07-14 2019-01-28 Douwe Egberts Bv Assembly of a capsule and a brew chamber, brew chamber,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capsule and use of a capsule.
CN111432691B (zh) * 2017-12-22 2022-11-04 雀巢产品有限公司 分配设备及其组合或与容器的组合、分配方法和饮料机器
DK3536637T3 (da) * 2018-03-05 2020-12-14 Nootrie Ag Kapsel til fremstilling af en drikkevare
EP3764855A1 (en) * 2018-03-14 2021-01-20 Société des Produits Nestlé S.A. Beverage machine with a partly closed dispensing fa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6858B1 (ko) * 1991-07-05 2000-01-15 뷜르 로망 엘. 카트리지의 추출용 장치
WO2004083071A1 (en) * 2003-03-18 2004-09-30 Segafredo Zanetti Coffee System S.P.A. Capsule containing coffee or any substance for the preparation of a beverage
JP2006528507A (ja) * 2003-07-23 2006-12-21 モノドール・エスアー カプセルから飲み物を調製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この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装置
EP1870349A2 (en) * 2005-03-29 2007-12-26 Dual Coffee System S.L. Capsule containing ground products for producing infusions

Family Cites Families (6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534274A (fr) 1967-08-11 1968-07-26 Filtre individuel pour la conservation et la préparation de boissons
US4321139A (en) 1980-05-07 1982-03-23 American Home Products Corporation Filtering unit for biological fluids
US4417504A (en) 1981-04-02 1983-11-29 Mitsumoto Coffee Co., Ltd. Regular coffee set
DE3623952A1 (de) 1986-07-16 1988-01-28 Erich H Dipl Ing Woltermann Filter zum portionierten aufbruehen von kaffee oder tee
FR2617389B1 (fr) * 1987-06-30 1991-05-24 Desaltera Cartouche filtrante et machine pour la preparation d'une boisson expresse
CH673082A5 (ko) * 1987-10-01 1990-02-15 Nestle Sa
DE4192762C2 (de) * 1990-10-31 2002-09-19 Monodor Sa Apparat und Kapsel zur Herstellung eines flüssigen Produktes
US5897899A (en) * 1991-05-08 1999-04-27 Nestec S.A. Cartridges containing substances for beverage preparation
TW199884B (ko) * 1991-05-08 1993-02-11 Sociere Des Produits Nestle S A
US5840189A (en) 1992-09-16 1998-11-24 Keurig, Inc. Beverage filter cartridge
US5325765A (en) 1992-09-16 1994-07-05 Keurig, Inc. Beverage filter cartridge
USD408679S (en) 1998-05-14 1999-04-27 Keurig, Inc. Coffee brewer
US6079315A (en) 1999-01-19 2000-06-27 Keurig, Inc. Beverage filter cartridge holder
US6142063A (en) 1999-01-19 2000-11-07 Keurig, Inc. Automated beverage brewing system
US6082247A (en) 1999-01-19 2000-07-04 Keurig, Inc. Apparatus for consecutively dispensing an equal volume of liquid
US6607762B2 (en) 2000-02-18 2003-08-19 Keurig, Incorporated Disposable single serve beverage filter cartridge
US6589577B2 (en) 2000-02-18 2003-07-08 Keurig, Inc. Disposable single serve beverage filter cartridge
US6645537B2 (en) 2000-02-18 2003-11-11 Keurig, Incorporated Beverage filter cartridge
US6499388B2 (en) * 2000-06-14 2002-12-31 Fianara Interational B. V. Coffee machine for brewing coffee power pre-packed in a cartridge
US6440256B1 (en) 2000-06-20 2002-08-27 Keurig, Incorporated Method of forming and inserting filter elements in cup-shaped containers
TWI236360B (en) * 2000-06-30 2005-07-21 Nestle Sa Capsule cage
US6832542B2 (en) * 2001-03-23 2004-12-21 Nestec S.A. Method and device for preparing a hot beverage
DE20105672U1 (de) * 2001-03-31 2001-09-13 Eugster Frismag Ag Romanshorn Espressobrüheinrichtung
US6606938B2 (en) 2001-04-06 2003-08-19 Keurig, Incorporated Two step puncturing and venting of single serve filter cartridge in a beverage brewer
US6708600B2 (en) 2001-04-06 2004-03-23 Keurig, Incorporated Puncturing and venting of single serve beverage filter cartridge
US6666130B2 (en) 2001-04-06 2003-12-23 Keurig, Incorporated Baffle operated liquid heating and dispensing system for a single serve beverage brewer
US6644173B2 (en) 2001-04-11 2003-11-11 Keuring, Incorporated Beverage filter cartridge holder
US6655260B2 (en) 2001-04-11 2003-12-02 Keurig, Incorporated Beverage filter cartridge holder
US6658989B2 (en) 2001-04-11 2003-12-09 Keurig, Incorporated Re-usable beverage filter cartridge
CA2443591A1 (en) 2001-04-18 2002-10-31 Keurig, Incorporated System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single serve beverage brewer
USD452433S1 (en) 2001-05-17 2001-12-25 Keurig, Incorporated Cup shaped container
USD452434S1 (en) 2001-05-17 2001-12-25 Keurig, Incorporated Cup shaped container
USD462865S1 (en) 2001-06-04 2002-09-17 Keurig, Incorporated Coffee brewer
US20030216189A1 (en) * 2001-11-07 2003-11-20 Tiffin Richard Edward Divot practice mat
EP1310199B1 (fr) * 2001-11-09 2007-01-24 Societe Des Produits Nestle S.A. Dispositif et méthode pour la sélection et l'extraction d'une capsule pour la préparation d'une boisson
CA2421128C (en) * 2002-03-14 2008-05-20 Robert Hale Beverage cartridge and filter assembly
DE10211327B4 (de) * 2002-03-14 2015-09-24 Caffitaly System S.P.A. Portionenkapsel mit einer partikelförmigen mittels Wasser extrahierbaren Substanz zur Herstellung eines Getränks
US20040045443A1 (en) 2002-06-19 2004-03-11 Lazaris Nicholas G. Disposable beverage filter package
FR2842092B1 (fr) * 2002-07-12 2004-12-24 Seb Sa Machine a cafe fonctionnant avec des doses
USD474110S1 (en) 2002-07-30 2003-05-06 Keurig, Incorporated Cup shaped container
USD474111S1 (en) 2002-07-30 2003-05-06 Keurig, Incorporated Cup shaped container
USD489215S1 (en) 2002-09-12 2004-05-04 Keurig, Incorporated Coffee brewer
USD554299S1 (en) 2003-02-21 2007-10-30 Jw Pet Company, Inc. Birdcage attachment
US20050051478A1 (en) 2003-09-10 2005-03-10 Basil Karanikos Beverage filter cartridge
ITTO20030885A1 (it) * 2003-11-07 2005-05-08 Sgl Italia Srl Metodo e dispositivo di infusione per la realizzazione di una bevanda a base di caffe'.
USD502362S1 (en) 2003-12-03 2005-03-01 Keurig, Incorporated Disposable beverage filter cartridge
US7523695B2 (en) 2003-12-12 2009-04-28 Keurig, Incorporated System for dispensing metered volumes of heated water to the brew chamber of a single serve beverage brewer
US7165488B2 (en) 2003-12-12 2007-01-23 Keurig, Incorporated Brew chamber for a single serve beverage brewer
DE102004002004A1 (de) 2004-01-14 2005-08-11 Schifferle, René Kaffeemaschine zum Aufbrühen von in einer Kapsel abgepacktem Pulverkaffee
DE102004002005A1 (de) 2004-01-14 2005-08-11 Schifferle, René Portionskapsel mit gemahlenem Kaffee zur Herstellung eines Kaffeegetränks
MY138658A (en) * 2004-02-20 2009-07-31 Nestec Sa System for dispensing short and long coffee beverages
US20050205601A1 (en) 2004-03-01 2005-09-22 Jon Taylor Water dispensing systrem with vaccum-filled metering chamber
USD513572S1 (en) 2004-06-03 2006-01-17 Keurig, Incorporated Coffee brewer
ITTO20040441A1 (it) * 2004-06-29 2004-09-29 Sgl Italia Srl Metodo e dispositivo di infusione per la realizzazione selettiva di un caffe'di tipo "americano" e di tipo "espresso" a partire da una stessa capsula contenente polvere di caffe'.
DE602004008113T3 (de) * 2004-10-25 2019-03-07 Nestec S.A. Getränkezubereitungssystem
DE102005016297A1 (de) * 2005-04-08 2006-10-12 Tchibo Gmbh Portionskapsel
ITRM20050181A1 (it) * 2005-04-14 2006-10-15 Cafe Do Brasil S P A Macchina per la preparazione di bevande a partire da preparati in capsule e relativa unita' di estrazione intercambiabile.
US7360418B2 (en) 2005-06-28 2008-04-22 Keurig,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ensing liquid level using baseline characteristic
US20060292012A1 (en) 2005-06-28 2006-12-28 Keurig,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ump control
US7377162B2 (en) 2005-06-28 2008-05-27 Keurig,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liquid level sensing
US7640845B2 (en) 2005-09-12 2010-01-05 Keurig, Incorporated Drain for beverage forming machine
US7513192B2 (en) 2006-03-23 2009-04-07 Keurig, Incorporated Beverage forming device with opening/closing mechanism for a beverage cartridge receiver
ATE495690T1 (de) * 2006-05-24 2011-02-15 Nestec Sa Kapselperforationsmodul
KR101148249B1 (ko) 2006-09-07 2012-05-21 큐릭, 인코포레이티드 음료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ITMI20061989A1 (it) * 2006-10-17 2008-04-18 Maddalena Ricotti Apparatio di infusione per macchina da caffe' e relativo metodo di azionamento
WO2009153815A1 (en) * 2008-06-19 2009-12-23 Essence-Sbt Sa Delivering element for hot and cold beverages, capsules for cold beverages adapted to be used with such element, and related process for delivering hot and cold beverages
US8151694B2 (en) 2008-08-01 2012-04-10 Keurig, Incorporated Beverage forming apparatus with centrifugal pump
US9750370B2 (en) 2009-05-29 2017-09-05 Keurig Green Mountain, Inc. Cartridge with filter guard
JP5653424B2 (ja) 2009-06-17 2015-01-14 コーニンクラケ ダウ エグバート ビー.ブイ. 飲料を作るための方法、システム及び収容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6858B1 (ko) * 1991-07-05 2000-01-15 뷜르 로망 엘. 카트리지의 추출용 장치
WO2004083071A1 (en) * 2003-03-18 2004-09-30 Segafredo Zanetti Coffee System S.P.A. Capsule containing coffee or any substance for the preparation of a beverage
JP2006528507A (ja) * 2003-07-23 2006-12-21 モノドール・エスアー カプセルから飲み物を調製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この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装置
EP1870349A2 (en) * 2005-03-29 2007-12-26 Dual Coffee System S.L. Capsule containing ground products for producing infus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11013550A (es) 2012-02-21
ZA201200314B (en) 2013-03-27
JP2012530524A (ja) 2012-12-06
KR20120046174A (ko) 2012-05-09
IL217019A (en) 2014-02-27
RU2012101446A (ru) 2013-07-27
ZA201200323B (en) 2013-05-29
CA2764947A1 (en) 2010-12-02
DK2442698T3 (da) 2014-07-21
KR101522512B1 (ko) 2015-05-21
HK1172805A1 (en) 2013-05-03
EP2442698A1 (en) 2012-04-25
PT2442698E (pt) 2014-07-28
EP2442696A1 (en) 2012-04-25
JP5653424B2 (ja) 2015-01-14
US20120251692A1 (en) 2012-10-04
US20120251693A1 (en) 2012-10-04
WO2010137964A1 (en) 2010-12-02
AU2009347088B2 (en) 2016-02-11
IL217028A (en) 2015-02-26
CA2765385A1 (en) 2010-12-02
US9131799B2 (en) 2015-09-15
PL2442696T3 (pl) 2014-10-31
AU2009347088A1 (en) 2012-02-02
EP2442698B1 (en) 2014-05-07
MX2011013271A (es) 2012-02-01
KR20120030546A (ko) 2012-03-28
AU2009347075A1 (en) 2012-02-02
CN102573579A (zh) 2012-07-11
EP2442696B1 (en) 2014-05-21
ES2483490T3 (es) 2014-08-06
PL2442698T3 (pl) 2015-01-30
KR20140128445A (ko) 2014-11-05
CN102573581A (zh) 2012-07-11
WO2010137951A1 (en) 2010-12-02
RU2012101442A (ru) 2013-07-27
CA2765385C (en) 2017-01-24
SG177256A1 (en) 2012-02-28
RU2526685C2 (ru) 2014-08-27
RU2568397C2 (ru) 2015-11-20
SG176744A1 (en) 2012-01-30
BRPI0925308A2 (pt) 2019-09-10
JP5735959B2 (ja) 2015-06-17
HK1172806A1 (zh) 2013-05-03
AU2009347075B2 (en) 2016-02-11
IL217019A0 (en) 2012-02-29
JP2012530536A (ja) 2012-12-06
DK2442696T3 (da) 2014-08-11
PT2442696E (pt) 2014-08-05
CN102573581B (zh) 2014-11-12
CN102573579B (zh) 2015-11-25
ES2478843T3 (es) 2014-07-23
IL217028A0 (en) 2012-02-29
CA2764947C (en) 2017-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4837B1 (ko) 음료를 준비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를 갖춘 시스템.
US9409705B2 (en) System, a method and a capsule for preparing a pre-determined quantity of beverage
EP2510843B2 (en) System, capsule and method for preparing a beverage
US8178139B2 (en) Spherical capsule for an automatic beverage preparation and dispensing machine and method of use of the capsule
EP2906085B1 (en) A capsule-based food preparation system
KR20140069357A (ko) 음료를 준비하는 시스템, 방법 및 캡슐
KR20140095577A (ko)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캡슐
JP2014524320A (ja) カートリッジ位置合わせシステム
JP2014524318A (ja) カートリッジ除去システム
JP2014524319A (ja) 長持ちするカートリッジ穿孔器
AU2021387788A1 (en) Capsule and system for preparing a beverage
WO2018130698A1 (en) Cartridge and machine for multi-component beverage prepa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