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4106739A1 - 교모세포종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교모세포종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4106739A1
WO2024106739A1 PCT/KR2023/014697 KR2023014697W WO2024106739A1 WO 2024106739 A1 WO2024106739 A1 WO 2024106739A1 KR 2023014697 W KR2023014697 W KR 2023014697W WO 2024106739 A1 WO2024106739 A1 WO 202410673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acid
glioblastoma
formula
active ingredient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3/01469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진희
강현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힐리노엘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힐리노엘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힐리노엘에스
Publication of WO202410673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410673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16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benactizyne, clofibrat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11Aromat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ancer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30Other Organic compound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containing a compound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glioblastoma as an active ingredient.
  • glioma A tumor that arises from glial cells that supply nutrition to nerve cells is called a glioma. These gliomas are histologically classified based on nuclear atypia, cell necrosis, vascular endothelial cell proliferation, mitosis, etc., and when classified into the most malignant grade 4, they are diagnosed as glioblastoma multiform (GBM). . Unlike other solid tumors, it widely infiltrates the surrounding brain tissue, but has the characteristic of rarely metastasizing to tissues other than the brain.
  • GBM glioblastoma multiform
  • glioblastoma treatment still involves traditional methods such as surgical resection followed by radiotherapy or temozolomide (oral chemotherapy) administration. method is used. Although these treatments have succeeded in slightly extending the lifespan of glioblastoma patients, positive treatment has not been possible so far.
  • CSC brain tumor cancer stem cells
  • cancer stem cell theory is a theory that the proliferation of tumor cells is caused by a small amount of cancer stem cells existing inside the tumor continuously supplying cancer cells. After chemotherapy or radiotherapy, which is already well known clinically, the tumor enters a dormant phase and then reappears. It was proposed based on the phenomenon of recurrence and metastasis. In recent research, through technology that can track cells and induce the death of specific cells, it has been known that cancer stem cells have a stem cell niche just like regular stem cells, and a type that does not have a strict differentiation hierarchy. It has also been revealed that cancer stem cells can exist in cancer.
  • cancer stem cells not only have the ability to continuously cause cancer proliferation, making it difficult to treat cancer, but also make cancer treatment more difficult due to heterogeneity within the tumor due to the diversity of cancer cells differentiated through cancer stem cells. It has been don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how regulation of the stem cell capacity and differentiation process of cancer stem cells affects cancer proliferation and development, metastasis, and resistance to treatment.
  • brain tumor cancer stem cells are cells with stem cell characteristics that exist within about 20% of the cells that make up brain tumors, and have been known to be involved in cancer formation, metastasis, recurrence, and anticancer drug resistance. Therefore, the fundamental method to treat glioblastoma, a malignant tumor, is to specifically eliminate cancer stem cells in the brain tumor or differentiate these cells and treat them with existing standard treatments.
  •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one of the cells from which brain tumor cancer stem cells originate is neural stem cells in the brain, and that the molecular mechanisms involved in maintaining the self-proliferation ability of brain tumor cancer stem cells and inducing differentiation into various neural cells have been identified as neural stem cells and neural stem cells. Because they are very similar, various attempts have been made to apply the previously identified neural stem cell induction mechanism to the differentiation induction of brain tumor cancer stem cells, and efforts to overcome anticancer drug resistance caused by cancer stem cells continue to this day.
  •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22-0137154 discloses the use of substituted hexitols, including dianhydrogalactitol and analogs, for the treatment of neoplastic diseases including glioblastoma multiforme and medulloblastoma and cancer stem cells
  • Korean Registration Patent No. 1366613 disclos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brain tumors or temodal-resistant glioblastoma containing azathioprine as an active ingredient, but the compound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glioblastoma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not yet been used. There has been no disclosure regarding compositions containing i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in response to the above-mentioned needs, a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containing a compound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glioblastoma as an active ingredient, and the compound of formula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ffective in glioblastoma cells.
  •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by confirming that it not only inhibits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es into benign glial cells, but also significantly increases the expression of the differentiation indicator protein of glial cell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glioblastoma containing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glioblastoma containing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or a foodolog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terinary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glioblastoma containing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ee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glioblastoma containing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or a foodolog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containing a compound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glioblastoma.
  • the compound of formula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inhibits the proliferation of glioblastoma cells and differentiates them into benign glial cells. , has the effect of significantly increasing the expression of the differentiation indicator protein of glial cells.
  • Figure 1 shows the killing effect according to concentration and time on glioblastoma cells by the compound of Formula 1 of the present invention.
  • *, **, *** indicat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cell viabil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treated with the compound of Formula 1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d to the untreated control group (Ctrl), * is p ⁇ 0.05, ** is p ⁇ 0.01, *** is p ⁇ 0.001.
  • #, ##, ### indicate 48% of the compound of Formula 1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d to the experimental group treated with the compound of Formula 1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24 hours in the experimental group treated with the compound of Formula 1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e same concentration. The cell viabil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treated for 1 hour or 72 hour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reduced, # is p ⁇ 0.05, ## is p ⁇ 0.01, and ### is p ⁇ 0.001.
  • Figure 2 shows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proliferation inhibition effect of glioblastoma cells by the compound of Formula 1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emozolomide, a first-line standard treatment. **, *** mean that the cell proliferation of the group treated with the comp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emozolomid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hibited compared to the untreated group, ** is p ⁇ 0.01, *** is p ⁇ 0.001.
  • Figure 3 shows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inhibitory effect on the migration of glioblastoma cells by the compound of Formula 1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emozolomide, a first-line standard treatment. *** indicates that the migration of glioblastoma cell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reduced when treated with the comp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d to temozolomide, p ⁇ 0.001, ns is when treated with the comp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d to temozolomid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igration of glioblastoma cells.
  • Figure 4 is a photo of cells confirming the effect of differentiation into glial cells by concentration and date according to treatment with the compound of Formula 1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shows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degree of differentiation from glioblastoma to glial cells by the compound of Formula 1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the expression levels of Nestin, GFAP, TUBB3, and CNP, which are differentiation indicators of glial cells.
  • *, **, *** indicat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the expression level of Nestin, GFAP, TUBB3, and CNP genes in the group treated with the compound of Formula 1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d to the untreated control group (Ctrl), * is p ⁇ 0.05, ** is p ⁇ 0.01, and *** is p ⁇ 0.001.
  • #, ##, ### represent the expression levels of Nestin, GFAP, TUBB3, and CNP genes in the group treated with the compound of Formula 1 of the present invention at a concentration of 100 ⁇ M compared to the group treated with the compound of Formula 1 of the present invention at a concentration of 75 ⁇ M within the group with the same treatment time.
  •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means # is p ⁇ 0.05, ## is p ⁇ 0.01, and ### is p ⁇ 0.001.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3-[3,4-dihydroxyphenyl]acrylic acid 1-[3,4-dihydroxyphenyl]2-methoxycarbonylethyl ester)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It relates to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glioblastoma.
  •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is preferably a compound derived from duckwe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refers to any organic or inorganic addition salt that is relatively non-toxic to patients and does not cause side effects due to the salt that reduce the beneficial efficacy of the compound of Formula 1.
  • free acids can be inorganic acids, organic acids, or non-toxic salts.
  • Preferred inorganic acids can be hydrochloric acid, phosphoric acid, sulfuric acid, nitric acid, or tartaric acid.
  • Preferred organic acids include methanesulfonic acid, p-toluenesulfonic acid, Acetic acid, trifluoroacetic acid, maleic acid, succinic acid, oxalic acid, benzoic acid, tartaric acid, fumaric acid, manderic acid, propionic acid, citric acid, lactic acid, glycolic acid, gluconic acid, galacturonic acid, glutamic acid, glutaric acid, glucuronic acid, aspartic acid, ascorbic acid, carbonic acid, vanillic acid or hydroiodic acid. (hydroiodic acid) can be used.
  • Acid addition salts such as the above inorganic acids or organic acids can be prepared by conventional methods, such as dissolving the compound in an excess of acid aqueous solution and precipitating the salt using a water-miscible organic solvent such as methanol, ethanol, acetone or acetonitrile. . Equimolar amounts of the compound and acid or alcohol in water can be heated, and the mixture can then be evaporated to dryness, or the precipitated salt can be suction filtered.
  • a water-miscible organic solvent such as methanol, ethanol, acetone or acetonitrile.
  • the non-toxic salts include sulfate, pyrosulfate, bisulfate, sulfite, bisulfite, nitrate, phosphate, monohydrogen phosphate, dihydrogen phosphate, metaphosphate, pyrophosphate chloride, bromide, iodide, and fluoride.
  • the term 'prevention' refers to all actions that inhibit or delay the onset of glioblastoma by administration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reatment' refers to the suspicion of glioblastoma and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glioblastoma by administration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It refers to any action that improves or changes the symptoms of an affected individual in a beneficial way.
  • the administration route for effective administration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the administration route may be appropriately adopted for use in patients.
  • oral, rectal, transdermal, parenteral (subcutaneous, intramuscular, vascular), intrathecal, topical, inhalation and other administration methods can be used.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ministered through various dosage forms according to common methods known in the pharmaceutical field.
  • Preferred examples include powders, granules, tablets, troches, dispersions, suspensions, and solutions.
  • oral dosage forms such as capsules, emulsions, syrups, aerosols, external preparations, suppositories, injections, patches, and other suitable dosage forms can be used.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ppropriate carriers, excipients, and diluents commonly used in the preparation of pharmaceutical compositions.
  • Carriers, excipients, and diluents that may be included i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include lactose, dextrose, sucrose, sorbitol, mannitol, xylitol, erythritol, maltitol, starch, gum acacia, alginate, gelatin, calcium phosphate, calcium silicate, and cellulose. , methyl cellulose, microcrystalline cellulose, polyvinyl pyrrolidone, water, methylhydroxybenzoate, propylhydroxybenzoate, talc, magnesium stearate, and mineral oil.
  • Solid prepar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include tablets, pills, powders, granules, capsules, etc. These solid preparations contain at least one excipient, such as starch or calcium carbonate, in the strain or endoplasmic reticulum derived from the strain. It is prepared by mixing sucrose, lactose, gelatin, etc. In addition to simple excipients, lubricants such as magnesium stearate and talc are also used.
  • Liquid preparations for oral use include suspensions, oral solutions, emulsions, syrups, etc.
  • Preparations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include sterile aqueous solutions, non-aqueous solutions, suspensions, emulsions, lyophilized preparations, and suppositories.
  • Non-aqueous solvents and suspensions may include propylene glycol, polyethylene glycol, vegetable oil such as olive oil, and injectable ester such as ethyl oleate.
  • injectable ester such as ethyl oleate.
  • As a base for suppositories witepsol, macrogol, tween 61, cacao, laurel, glycerogelatin, etc. can be used.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ministered in a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and the term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in the present invention means sufficient to prevent or treat a disease with a reasonable benefit/risk ratio applicable to medical prevention or treatment.
  • Means the amount, and the effective dose level is the severity of the disease, the activity of the drug, the patient's age, weight, health, gender, the patient's sensitivity to the drug, the administration time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used, the route of administration and excretion rate, and the treatment. Factors including the duration of time, drugs used in combination or concurrently with the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used, and other factors well known in the medical field.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as an individual therapeutic agent or in combination with other therapeutic agents, and may be administered sequentially or simultaneously with conventional therapeutic agents. And it can be administered single or multiple times. It is important to consider all of the above factors and administer the amount that will achieve the maximum effect with the minimum amount without side effects.
  • the frequency of administration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can be administered once a day or divided into multiple doses, and the dosage depends on the patient's age, weight, gender, dosage form, health condition, and disease level. It may vary depending on the condition, and as a preferred example, based on an adult patient weighing 70 kg, the dosage is 0.1 to 300 mg/day, more preferably 0.5 to 100 mg/day, and even more preferably 1 It may be in the range of ⁇ 60 mg/day, but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y way.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glioblastoma containing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or a foodolog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active ingredient is preferably manufactured in a dosage form selected from powder, granule, pill, tablet, capsule, candy, syrup and beverag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or a foodolog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is added as is or together with other foods or food ingredients. It can be used and can be used appropriately according to conventional methods.
  • the mixing amount of the active ingredient can be appropriately determined depending on the purpose of use.
  • the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monly added during food production and may further include foodologically acceptable ingredients.
  • foodologically acceptable ingredients for example, when manufactured as a beverage, in addition to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 foodolog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one or more ingredients such as citric acid, high fructose corn syrup, sugar, glucose, acetic acid, malic acid, fruit juice, etc. may be additionally included. there is.
  • the amount that can be included as an active ingredient in the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depending on the age, gender, weight, condition, and symptoms of the disease of the person who wants a health functional food for preventing or improving glioblastoma, and is preferred. It is preferable that it be included in an amount of about 0.01 to 10.0 g per day for adults, and the effect of preventing or improving glioblastoma can be obtained by consuming foods with this content.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terinary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glioblastoma containing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veterinary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ppropriate excipients and diluents according to conventional methods.
  • Excipients and diluents that may be included in the veterinary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lactose, dextrose, sucrose, sorbitol, mannitol, xylitol, erythritol, maltitol, starch, gum acacia, alginate, gelatin, calcium phosphate, calcium silicate, Cellulose, methyl cellulose, microcrystalline cellulose, polyvinyl pyrrolidone, water, methyl hydroxy benzoate, propyl hydroxy benzoate, talc, magnesium stearate, cetanol, stearyl alcohol, liquid paraffin, sorbitan monostearate.
  • the veterinary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fillers, anti-agglomerates, lubricants, wetting agents, spices, emulsifiers, preservatives, etc. After being administered to an animal, the veterinary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quickly releases the active ingredients, Can be formulated using methods well known in the art to provide sustained or delayed release, and the dosage forms include powders, granules, tablets, capsules, suspensions, emulsions, solutions, syrups, aerosols, soft or hard gelatin capsules. , suppositories, sterile injectable solutions, sterile external preparations, etc.
  • the effective amount of the veterinary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depending on the individual animal. Severity of the disease or condition, sensitivity to the active ingredi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pending on the individual's age, weight, health condition or gender, administration route, administration period, factors including other compositions mixed or used simultaneously with the composition, and other physiological or It can be determined based on factors well known in the veterinary field.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ee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glioblastoma containing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or a foodolog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feed addi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s to supplementary feed under the Feed Management Act.
  • the term 'feed' may mean any natural or artificial diet, meal, etc., or a component of the meal, for or suitable for eating, ingestion, and digestion by animals.
  • the type of fee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eed commonly used in the art can be used.
  • Non-limiting examples of the feed include plant feeds such as grains, roots and fruits, food processing by-products, algae, fiber, pharmaceutical by-products, oils and fats, starches, cucurbits or grain by-products;
  • animal feeds such as proteins, inorganic substances, fats and oils, minerals, fats and oils, single-cell proteins, zooplanktons or foods.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ypes.
  • the concentrated active fraction was subjected to high-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 (column: C 18 , flow rate: 1.5 mL/min) using water and acetonitrile (80:20 to 100:0 water:acetonitrile, 30 minutes) as elution solvents. , 220nm detection) to separate the active fraction, remove the solvent with a reduced pressure dryer, and obtain the residu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3-[3,4-dihydroxyphenyl]acrylic acid 1-[3,4-dihydroxyphenyl]- 2-methoxycarbonylethyl ester) was freeze-dried. Afterwards, 1 H, 13 C and HMBC NMR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structure of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Journal of Natural Products, 2001, vol. 64, No. 5, pp. 659-660).
  • Rodent glioblastoma C6 (Rat glioma cell line) was cultured in DMEM (Thermo, cat#11965-092) medium containing 1% antibiotics (Gibco, 15140-122) and 10% FBS (Fetal bovine serum, Gibco). Neuroglioblasts were subcultured once every 2 to 3 days.
  • an MTT assay was performed on the survival of cancer cells.
  • Glioblastoma C6 was distributed at 5 ⁇ 10 5 cells per well in a 24-well plate, and 24 hours later, the compound of Formula 1 and the positive control temozolomide (TMZ) were treated at 10, 25, 50, 75, and 100 ⁇ M, respectively. , and cultured at 37°C for 24, 48, and 72 hours. After incubation, 10 ⁇ l of MTT (5 mg/ml) solution dissolved in PBS buffer solution was added to each well and reacted for another 2 hours to confirm the formation of formazan, followed by microplate reader (Epoch; Bio Tek, USA). ) and the absorbance was measured at 540 nm. At this time, the experimental group (group treated with compound of formula 1 or TMA) and control group (untreated group) were performed in the same way in three wells, and the same experiment was repeated three times.
  • MTT 5 mg/ml
  • control group untreated group
  • Glioblastoma C6 was cultured in a 24 well plate at 5 1 ⁇ 10 3 cells/well were cultured in an incubator at 37°C and 5% CO 2 for 7 to 8 days. Colonies formed after culture were fixed with 4% formaldehyde, stained with 0.01% crystal violet, and colonies were counted. Cell proliferation rate was calculated by taking the value of the untreated control group as 100%.
  • Example 5 Inhibitory effect on glioblastoma cell migration
  • glioblastoma C6 cells were distributed at 2 ⁇ 10 5 cells per well in a 6-well plate, cultured for 48 hours, and then cultured in serum-free medium for 12 hours. After scraping the single cell layer using a 200 ⁇ l tip, the compound of Formula 1 was treated at various concentrations and cultured in an incubator at 37°C and 5% CO 2 . For cell mobility, after 24 hours of culture, cells were fixed with 4% formaldehyde, stained with 0.01% crystal violet, and the gap between scraped cell monolayers was measured. The degree of cell migration was calculated by setting the cell monolayer spacing of the untreated control group to 100%.
  • the compound of Formula 1 inhibited cell mobility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and had a higher migration inhibition effect compared to temozolomide, the first-line treatment (FIG. 3).
  • C6 cells were dispensed at 2 ⁇ 10 cells per well in a 6-well plate, and then the compound of Formula 1 was added. Differentiation patterns were observed under a microscope after treatment with 75 and 100 ⁇ M for 10 days.
  • glial cell differentiation index factors Nestin (Neuroepithelial stem cell protein), GFAP (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 TUBB3 (Tubulin beta-3 Class III), and CNP (2',3'-cyclic nucleotide 3'-phosphohydrolase)
  • RT-PCR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 C6 glioblastoma cells treated with the compound of Formula 1 of the present invention were treated with TRIzol reagent and chloroform to collect the transparent supernatant, then an equal volume of isopropanol (2-propanol) was added to obtain a pellet, and then centrifuged. RNA was obtained. High-Capacity cDNA Reverse Transcriptase Kit (#4368814, Thermo scientific) was used to synthesize the extracted RNA into cDNA. To 2 ⁇ g of extracted RNA, add 2 ⁇ l of 10 ⁇ RT buffer, 0.8 ⁇ l of 25 Afterwards, cDNA was synthesized in a PCR machine.
  • SYBR TM Green PCR master mix was used for RT-PCR reaction.
  • qPCR conditions include a pre-denaturation step at 95°C for 10 minutes, followed by 40 cycles of 30 seconds at 95°C (denaturation step), 30 seconds at 55°C (annealing step), and 30 seconds at 72°C (extension step). d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Zo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모세포종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화합물이 신경교모세포종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고, 양성의 신경교세포로 분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경교세포의 분화 지표 인자 단백질의 발현이 유의미하게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으므로, 교모세포종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의약품, 건강기능식품 또는 동물용 사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교모세포종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본 발명은 교모세포종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신경세포에 영양을 공급하는 신경교세포에 생긴 종양을 신경교종이라 한다. 이러한 신경교종을 핵의 비정형성, 세포괴사, 혈관내피세포 증식도, 유사분열 등을 기준으로 조직학적으로 분류하여 가장 악성인 4등급으로 분류되면 이를 교모세포종 (glioblastoma multiform; GBM)으로 진단하게 된다. 다른 고형암과 달리 주위 뇌조직에 넓게 침투하지만, 뇌 이외 다른 조직에는 거의 전이되지 않는 특징을 가진다. 베바시주맙(bevacizumab, 상품명: 아바스틴)과 같은 표적 항암제나 면역요법들이 개발되긴 했지만, 여전히 교모세포종 치료는 수술적 절제 후 방사선요법이나 테모졸로마이드(temozolomide; 경구용 화학요법제) 투여와 같은 전통적인 방법이 사용된다. 이러한 치료법들은 교모세포종 환자들의 수명을 근소하게 늘리는 데에는 성공하였으나, 긍정적인 치료는 지금까지 불가능한 실정이다.
교모세포종은 매우 낮은 생존율, 기존 항암제에 대한 강력한 저항성, 그리고 암을 구성하는 세포들의 다양성으로 인해서 뇌종양을 극복할 수 있는 다양한 치료 전략들이 제시되고 있는 가운데 이러한 원인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대안들 중 하나로 뇌종양 암 줄기세포(cancer stem cell; CSC) 제어를 통한 치료방법이 주목을 받고 있다.
종양생물학의 발전에 따라 암 줄기세포 이론이 제안되었다. 이는 종양 세포의 증식은 종양 내부에 존재하는 소량의 암 줄기세포가 지속적으로 암세포를 공급한다는 이론으로, 임상적으로 이미 잘 알려진 화학요법이나 방사선요법 후, 종양이 휴지기 (dormant)에 들어섰다가 다시 재발하고 전이가 되는 현상을 기반으로 제안되었다. 최근 연구에서는 세포를 추적하고 특정 세포의 사멸을 유도할 수 있는 기술을 통하여, 암 줄기세포가 일반 줄기세포와 마찬가지로 줄기세포 적소를 갖고 있다는 것이 알려졌고, 엄격한 분화 위계질서(hierarchy)를 갖지 않는 종류의 암에서도 암 줄기세포가 존재할 수 있다는 점도 밝혀졌다.
또한, 줄기세포의 성질을 띠지 않는 암세포의 경우, 다른 숙주에 이식되었을 때 생존하지 못했지만, 줄기세포의 성질을 띠는 암세포의 경우, 이식 후 생존하고 증식할 수 있음이 밝혀졌다. 이와 같은 연구를 기반으로 종양 내 존재하는 세포의 이질성의 많은 부분이 유전적인 돌연변이의 다양성 때문이 아니라, 암 줄기세포가 분화 위계질서를 통해 만들어내는 암세포들이 다양한 상태에 있기 때문일 것으로 제안되었다. 따라서 암 줄기세포는 지속적으로 암의 증식을 일으키는 능력이 있어 암의 치료를 어렵게 만들 뿐 아니라, 암 줄기세포를 통해 분화된 암세포들의 다양성으로 인한 종양 내 이질성 때문에 암 치료가 더 어려워질 수 있다는 것이 제안되었다. 따라서 암 줄기세포의 줄기세포능과 분화 과정의 조절이 어떻게 암의 증식과 발전, 전이와 치료의 저항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실제로 뇌종양 암 줄기세포는 뇌종양을 구성하고 있는 세포들 가운데 약 20% 이내로 존재하는 줄기세포의 특징을 갖는 세포들이고, 암의 형성, 전이, 재발 및 항암제 내성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따라서 악성종양인 교모세포종을 치료하기 위한 근본적인 방법은 뇌종양 속 암 줄기세포를 특이적으로 없애거나 이들 세포를 분화시켜 기존 표준치료제로 치료하는 것이다. 기존 연구들에서 뇌종양 암 줄기세포의 기원이 되는 세포들 중 하나가 뇌 속 신경 줄기세포라는 사실과 뇌종양 암 줄기세포 자가증식능력 유지 및 다양한 신경세포들로 분화 유도에 관련한 분자 메커니즘이 신경 줄기세포와 매우 유사하므로, 기존에 규명된 신경 줄기세포의 유도 메커니즘을 뇌종양 암 줄기세포의 분화 유도에 적용하려는 다양한 시도들이 이뤄졌고 암 줄기세포로 인해 유발되는 항암제 내성을 극복하고자 하는 노력이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다.
한편, 한국공개특허 제2022-0137154호에 다형교모세포종 및 수모세포종을 비롯한 신생종양 질환 및 암 줄기세포의 치료를 위한 디안히드로갈락티톨 및 유사체를 비롯한 치환된 헥시톨의 용도가 개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1366613호에 아자티오프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종양 또는 테모달 내성 교모세포종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나, 아직까지 본 발명의 교모세포종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에 대해서 개시된 바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교모세포종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하고,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화합물이 신경교모세포종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고, 양성의 신경교세포로 분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경교세포의 분화 지표 인자 단백질의 발현이 유의미하게 증가시킨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교모세포종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교모세포종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교모세포종의 예방 또는 치료용 수의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교모세포종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교모세포종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화합물이 신경교모세포종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고, 양성의 신경교세포로 분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경교세포의 분화 지표 인자 단백질의 발현을 유의미하게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에 의한 신경교모종 세포의 농도 및 시간에 따른 사멸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 **, ***은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Ctrl) 대비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처리한 실험군의 세포 생존율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된 것을 의미하며, *는 p<0.05이며, **는 p<0.01이고, ***는 p<0.001이다. #, ##, ###은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을 동일 농도로 처리한 실험군 내에서,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을 24시간 동안 처리한 실험군 대비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을 48시간 또는 72시간 동안 처리한 실험군의 세포생존율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더 감소된 것으로, #는 p<0.05이며, ##는 p<0.01이고, ###는 p<0.001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에 의한 신경교모종 세포의 증식억제 효과를 1차 표준 치료제인 테모졸로마이드와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 ***은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군 대비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테모졸로마이드로 처리한 군의 세포증식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억제된 것을 의미하며, **는 p<0.01이고, ***는 p<0.001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에 의한 신경교모종 세포의 이동 억제 효과를 1차 표준 치료제인 테모졸로마이드와 비교한 결과이다. ***은 테모졸로마이드 대비 본 발명의 화합물을 처리 시, 신경교모종 세포의 이동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더 감소하였다는 것으로 p<0.001이고, ns는 테모졸로마이드 대비 본 발명의 화합물을 처리 시, 신경교모종 세포의 이동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처리에 따른 농도별, 일자별 신경교세포로의 분화 효과를 확인한 세포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에 의한 신경교모종에서 신경교세포로의 분화 정도를 확인한 결과로, 신경교세포의 분화 지표인자인 Nestin, GFAP, TUBB3, CNP의 발현량을 나타낸 것이다. *, **, ***는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Ctrl) 대비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처리한 군의 Nestin, GFAP, TUBB3, CNP 유전자 발현량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는 것으로, *은 p<0.05이며, **는 p<0.01이고, ***는 p<0.001이다. #, ##, ###은 처리 시간이 동일한 군 내에서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을 75μM의 농도로 처리한 군 대비 100μM의 농도로 처리한 군의 Nestin, GFAP, TUBB3, CNP 유전자 발현량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더 증가하였다는 것으로, #는 p<0.05, ##는 p<0.01이고, ###는 p<0.001이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3-[3,4-dihydroxyphenyl]acrylic acid 1-[3,4-dihydroxyphenyl]2-methoxycarbonylethyl ester)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교모세포종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Figure PCTKR2023014697-appb-img-000001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오리방풀 유래의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란 환자에게 비교적 비독성이고,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이로운 효능을 저하시키는 이 염에 기인한 부작용이 나타나지 않는 임의의 모든 유기 또는 무기 부가 염을 말하며, 예컨대 유리산으로 무기산, 유기산 또는 무독성 염류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한 무기산으로는 염산, 인산, 황산, 질산 또는 주석산을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한 유기산으로는 메탄설폰산, p-톨루엔설폰산, 아세트산,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 말레인산(maleic acid), 석신산, 옥살산, 벤조산, 타르타르산, 푸마르산(fumaric acid), 만데르산, 프로피온산(propionic acid), 구연산(citric acid), 젖산(lactic acid), 글리콜산(glycollic acid), 글루콘산(gluconic acid), 갈락투론산, 글루탐산, 글루타르산(glutaric acid), 글루쿠론산(glucuronic acid), 아스파르트산, 아스코르브산, 카본산, 바닐릭산 또는 요오드화수소산(hydroiodic acid)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무기산 또는 유기산과 같은 산부가염은 통상의 방법, 예컨대 화합물을 과량의 산 수용액에 용해시키고, 이 염을 수혼화성 유기용매, 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또는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여 침전시켜서 제조할 수 있다. 동 몰량의 화합물 및 물 중의 산 또는 알코올을 가열하고,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증발시켜서 건조시키거나, 석출된 염을 흡인 여과시킬 수 있다.
상기 무독성 염류로는 설페이트, 피로설페이트, 바이설페이트, 설파이트, 바이설파이트, 니트레이트, 포스페이트, 모노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디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메타포스페이트, 피로포스페이트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아이오다이드, 플루오라이드,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데카노에이트, 카프릴레이트, 아크릴레이트, 포메이트, 이소부티레이트, 카프레이트, 헵타노에이트, 프로피올레이트, 옥살레이트, 말로네이트, 석시네이트, 수베레이트, 세바케이트, 푸마레이트, 말리에이트, 부틴-1,4-디오에이트, 헥산-1,6-디오에이트, 벤조에이트, 클로로벤조에이트, 메틸벤조에이트, 디니트로 벤조에이트, 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메톡시벤조에이트프탈레이트, 테레프탈레이트, 벤젠설포네이트, 톨루엔 설포네이트, 클로로벤젠설포네이트, 크실렌설포네이트, 페닐아세테이트, 페닐프로피오네이트, 페닐부티레이트, 시트레이트, 락테이트, 베타-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글리콜레이트, 말레이트, 타트레이트, 메탄설포네이트, 프로판설포네이트, 나프탈렌-1-설포네이트, 나프탈렌-2-설포네이트 또는 만델레이트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용어 '예방'이란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교모세포종의 발병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고, '치료'란 상기 약학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교모세포종의 의심 및 발병 개체의 증상이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약학 조성물의 효과적 투여를 위한 투약 경로는 특별히 제한하지 않고, 적절하게 투약 경로를 채택하여 환자에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구, 직장, 경피, 비경구(피하, 근육, 혈관), 경막, 국부, 흡입 및 기타의 투여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약학 조성물의 투여형태로는 제제학 분야에 알려진 통상의 방법에 따라 다양한 제형을 통해서 투여할 수 있는데, 바람직한 일례로는 산제, 과립제, 정제, 트로키제, 분산제, 현탁제, 액제, 캡슐제,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주사제, 패치제 및 기타 적당한 제형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을 포함한 다양한 화합물 또는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균주 또는 상기 균주 유래 소포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용어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이란 의학적 예방 또는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질환의 중증도, 약물의 활성,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 성별, 환자의 약물에 대한 민감도, 사용된 본 발명 조성물의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사용된 본 발명의 조성물과 배합 또는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그리고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 빈도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1일 1회 투여하거나 또는 용량을 분할하여 수회 투여할 수 있고, 투여량은 환자의 나이, 몸무게, 성별, 투여형태, 건강상태 및 질환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바람직한 일례로는 몸무게가 70㎏인 성인 환자를 기준으로 할 때, 상기 투여량은 0.1∼300㎎/일, 더 바람직하게는 0.5∼100㎎/일,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1∼60㎎/일의 범위일 수 있으나,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교모세포종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23014697-appb-img-000002
상기 유효성분은 분말, 과립, 환, 정제, 캡슐, 캔디, 시럽 및 음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건강기능식품 조성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그 사용 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고,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음료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등에서 하나 이상의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포함될 수 있는 양은 교모세포종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원하는 사람의 연령, 성별, 체중, 상태, 질병의 증상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성인기준 1일 0.01~10.0g 정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함량을 갖는 식품을 섭취함으로써 교모세포종의 예방 또는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교모세포종의 예방 또는 치료용 수의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23014697-appb-img-000003
본 발명의 수의학적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른 적절한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의학적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세탄올, 스테아릴알콜, 유동파라핀, 솔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소르베이트 60, 메칠파라벤, 프로필파라벤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의학적 조성물은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신료, 유화제,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수의학적 조성물은 동물에 투여된 후, 유효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잘 알려진 방법을 사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고, 제형은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용액, 시럽, 에어로졸, 연질 또는 경질 젤라틴 캅셀, 좌제, 멸균 주사용액, 멸균 외용제 등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의학적 조성물의 유효한 양은 동물의 개체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질환 내지 상태의 중증도, 개체의 연령, 체중, 건강상태 또는 성별에 따른 본 발명의 유효성분에 대한 민감도, 투여 경로, 투여 기간, 상기 조성물과 배합 또는 동시 사용되는 다른 조성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생리 내지 수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교모세포종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23014697-appb-img-000004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는 사료관리법상의 보조사료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사료'는 동물이 먹고, 섭취하며, 소화시키기 위한 또는 이에 적당한 임의의 천연 또는 인공 규정식, 한끼식 등 또는 상기 한끼식의 성분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사료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사료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곡물류, 근과류, 식품 가공 부산물류, 조류, 섬유질류, 제약 부산물류, 유지류, 전분류, 박류 또는 곡물 부산물류 등과 같은 식물성 사료; 단백질류, 무기물류, 유지류, 광물성류, 유지류, 단세포 단백질류, 동물성 플랑크톤류 또는 음식물 등과 같은 동물성 사료를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실시예 1. 오리방풀에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분리
지리산 일원에서 채집한 후 건조한 2.5kg의 오리방풀(Isodon excisus (Max.) Kudo)을 100% 메탄올로, 48시간 동안 추출하여 감압 농축한 후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상기 에틸아세테이트 층을 농축하여 클로로포름과 메탄올(100:1)을 혼합한 소량의 혼합용매에 용해시킨 후 실리카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20-230 mes, Merk)를 수행하여 활성분획을 농축하였다. 상기 농축된 활성분획을 메탄올에 용해시킨 후 세파덱스 LH-20 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Sephadex LH-20 gel column chromatography)를 수행하여 활성분획을 수집하였다.
상기 농축된 활성분획을 물 및 아세토나이트릴(80:20~100:0의 물:아세토나이트릴, 30분)을 용출용매로 이용하는 고압액체크로마토그래피(컬럼: C18, 유속: 1.5㎖/분, 220nm 검출)를 수행하여 활성분획을 분리하고 감압 건조기로 용매를 제거한 후 얻은 잔사(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3-[3,4-dihydroxyphenyl]acrylic acid 1-[3,4-dihydroxyphenyl]-2-methoxycarbonylethyl ester)를 냉동 건조하였다. 이후 1H, 13C 및 HMBC NMR 분석을 수행하여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구조를 동정하였다(Journal of Natural Products, 2001, vol. 64, No. 5, pp. 659~660).
실시예 2. 신경교모세포의 배양
설치류 교모세포종 C6(Rat glioma cell line)을 1% 항생제(Gibco, 15140-122)와 10% FBS(Fetal bovine serum, gibco)이 포함된 DMEM(Thermo, cat#11965-092)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신경교모세포는 2~3일에 한 번씩 계대배양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3. 신경교모세포의 사멸 효과 확인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화합물의 교모세포종 암세포의 증식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암세포의 생존에 대한 MTT 어세이를 실시하였다.
교모세포종 C6를 24웰 플레이트에 웰당 5×105개의 세포를 분주하고 24시간 후, 화학식 1의 화합물 및 양성대조군인 테모졸로마이드(TMZ)를 각각 10, 25, 50, 75 및 100μM로 처리하고, 37℃에서 24, 48 및 7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각 웰에 PBS 완충용액에 녹인 MTT(5mg/㎖) 용액을 10㎕씩 첨가하여 다시 2시간 동안 반응시켜 포르마잔(formazan) 형성을 확인한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Epoch; Bio Tek, USA)로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실험군(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TMA 처리군)과 대조군(무처리군)은 3개의 웰에 동일하게 실시하였으며, 동일 실험을 3회 반복하였다.
생성된 포르마잔의 양은 웰 내의 생존 세포주와 정비례하므로, 실험군에서 화학식 1의 화합물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평균 포르마잔의 흡광도(OD; Optical density) 및 대조군의 평균 OD를 식 (1)에 대입하여 세포생존율(Cell viability, %)을 확인하였다.
식 (1)
세포생존율(%) = {1-(실험군의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100
세포생존율을 정량화하여 분석한 결과,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처리한 교모세포종 세포주 C6의 경우, 신경교모종 세포의 수가 유의미하게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도 1).
실시예 4. 신경교모종 세포 증식 억제 효과
교모세포종의 증식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세포 집락 형성(cell colony formation) 억제시험을 수행하였다. 교모세포종 C6를 24웰 플레이트에 5×104 세포/웰로 배양시킨 후 화학식 1의 화합물을 25, 50, 75, 100μM의 농도로 처리하고 다시 24시간 반응시킨 후 새로운 배지로 희석하여 12웰 플레이트에 1×103 세포/웰이 되도록 하여 7~8일 동안 37℃, 5%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후 형성된 집락(colony)은 4% 포름알데하이드(formaldehyde)로 고정하고, 0.01% 크리스탈 바이올렛(crystal violet)으로 염색하여 집락을 계수하였다. 세포 증식율은 무처리 대조군의 값을 100%로 두고 계산하여 산출하였다.
집락의 정량적 분석을 통한 세포 증식율 측정 결과, 화학식 1의 화합물이 1차 치료제인 테모졸로마이드 대비 높은 증식 억제율을 농도 의존적으로 나타냄을 확인하였다(도 2).
실시예 5. 신경교모종세포 이동(migration) 억제 효과
교모세포종의 이동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교모세포종 C6를 6웰 플레이트에 웰당 2×105개의 세포를 분주하고, 48시간 동안 배양시킨 후 12시간 동안 무혈청배지에 배양하였다. 200㎕ tip을 이용하여 단일 세포층을 긁어낸 후, 화학식 1의 화합물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37℃, 5%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세포 이동성은 배양 24시간 후 세포를 4% 포름알데하이드(formaldehyde)로 고정하고, 0.01% 크리스탈 바이올렛(crystal violet)으로 염색한 다음, 긁어낸 세포단일층 사이의 간격을 측정하였다. 세포 이동의 정도는 무처리 대조군의 세포 단일층 간격을 100%로 두고 계산하여 산출하였다.
교모세포종 세포의 이동성을 관찰한 결과, 화학식 1의 화합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의 이동성을 저해하였으며, 1차 치료제인 테모졸로마이드 대비 높은 이동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도 3).
실시예 6. 신경교세포로의 분화 유도 효과 확인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처리하여 C6 신경교모종 세포의 신경교세포로의 분화 유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C6 세포를 6웰 플레이트에 웰당 2×104개의 세포를 분주한 후, 화학식 1의 화합물을 75 및 100μM로 처리하여 10일 동안 분화 형태를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 전형적인 신경교세포의 세포모양의 형태로 변화된 것을 확인하였다(도 4).
또한, 신경교세포의 분화 지표 인자인 Nestin(Neuroepithelial stem cell protein), GFAP(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 TUBB3(Tubulin beta-3 Class III), CNP(2',3'-cyclic nucleotide 3'-phosphohydrolase)의 발현 유무를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RT-PCR)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이 처리된 C6 신경교모종 세포에 TRIzol 시약과 클로로포름 처리하여 투명한 상층액을 수거한 후, 같은 부피의 이소프로판올(2-propanol)을 첨가하여 펠렛을 확보한 뒤, 원심분리하여 RNA를 확보하였다. 추출한 RNA를 cDNA로 합성하기 위해 High-Capacity cDNA Reverse Transcriptase Kit (#4368814, Thermo scientific)를 사용하였다. 추출된 RNA 2㎍에 10× RT 완충용액 2㎕, 25X dNTP 믹스 0.8㎕, 10× RT 랜덤 프라이머 2㎕, 역전사효소 1㎕, RNase free water 4.2㎕를 PCR 튜브(#4358293, Thermo scientific)에 첨가한 후, PCR 기기에서 cDNA를 합성하였다.
RT-PCR 반응을 위해 SYBRTM Green PCR 마스터 믹스를 사용하였다. qPCR condition은 95℃에서 10분 동안 Pre-변성단계를 수행하고, 95℃에서 30초(변성 단계), 55℃에서 30초(어닐링 단계), 72℃에서 30초(연장 단계)를 40주기로 실시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프라이머
유전자 방향 서열(5'→3') 서열번호
Nestin 정방향 CTT AGT CTG GAG GTG GCT ACA TAC A 1
역방향 GAG GAT AGC AGA AGA ACT AGG CAC T 2
GFAP 정방향 ATT CCG CGC CTC TCC CTG TCT C 3
역방향 GCT TCA TCC GCC TCC TGT CTG T 4
TUBB3 정방향 AAG GCA TGG ATG AGA TGG AG 5
역방향 GTG CCC TGA AGA GCT GGT AG 6
CNP 정방향 AAC TGT CCA TCT CTG CCC TC 7
역방향 GTC AAG GCC TGT CTG CAC TG 8
GAPDH
(Control)
정방향 CAT CAA GAA GGT GGT GAA GCA GG 9
역방향 CCA CCA CCC TGT TGC TGT AGC CA 10
각각의 유전자 발현 정도는 GAPDH를 housekeeping endogenous control로 사용하여 상대적 증감으로 나타내었다.그 결과, 화학식 1의 화합물 처리에 의해 신경교세포의 분화 지표 인자인 Nestin, GFAP, TUBB3 및 CNP의 발현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도 5).

Claims (8)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교모세포종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CTKR2023014697-appb-img-000005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오리방풀 유래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모세포종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염산, 인산, 황산, 질산 및 주석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무기산; 메탄설폰산, p-톨루엔설폰산, 아세트산,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 말레인산(maleic acid), 석신산, 옥살산, 벤조산, 타르타르산, 푸마르산(fumaric acid), 만데르산, 프로피온산(propionic acid), 구연산(citric acid), 젖산(lactic acid), 글리콜산(glycollic acid), 글루콘산(gluconic acid), 갈락투론산, 글루탐산, 글루타르산(glutaric acid), 글루쿠론산(glucuronic acid), 아스파르트산, 아스코르브산, 카본산, 바닐릭산 및 요오드화수소산(hydroiodic acid)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유기산; 또는 설페이트, 피로설페이트, 바이설페이트, 설파이트, 바이설파이트, 니트레이트, 포스페이트, 모노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디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메타포스페이트, 피로포스페이트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아이오다이드, 플루오라이드,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데카노에이트, 카프릴레이트, 아크릴레이트, 포메이트, 이소부티레이트, 카프레이트, 헵타노에 위트, 프로피올레이트, 옥살레이트, 말로네이트, 석시네이트, 수베레이트, 세바케이트, 푸마레이트, 말리에이트, 부틴-1,4-디오에이트, 헥산-1,6-디오에이트, 벤조에이트, 클로로벤조에이트, 메틸벤조에이트, 디니트로 벤조에이트, 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메톡시벤조에이트프탈레이트, 테레프탈레이트, 벤젠설포네이트, 톨루엔 설포네이트, 클로로벤젠설포네이트, 크실렌설포네이트, 페닐아세테이트, 페닐프로피오네이트, 페닐부티레이트, 시트레이트, 락테이트, 베타-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글리콜레이트, 말레이트, 타트레이트, 메탄설포네이트, 프로판설포네이트, 나프탈렌-1-설포네이트, 나프탈렌-2-설포네이트 및 만델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무독성 염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모세포종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모세포종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5.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교모세포종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CTKR2023014697-appb-img-000006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분말, 과립, 환, 정제, 캡슐, 캔디, 시럽 및 음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모세포종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7.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교모세포종의 예방 또는 치료용 수의학적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CTKR2023014697-appb-img-000007
  8.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교모세포종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CTKR2023014697-appb-img-000008
PCT/KR2023/014697 2022-11-14 2023-09-25 교모세포종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WO2024106739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1331A KR20240072339A (ko) 2022-11-14 2022-11-14 교모세포종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KR10-2022-0151331 2022-11-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106739A1 true WO2024106739A1 (ko) 2024-05-23

Family

ID=91084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3/014697 WO2024106739A1 (ko) 2022-11-14 2023-09-25 교모세포종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72339A (ko)
WO (1) WO2024106739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24670A2 (en) * 2010-08-20 2012-02-23 University Of Washington Through Its Center For Commercialization Composition and methods for treating glioblastoma
KR20160071245A (ko) * 2014-12-11 2016-06-21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항 콕사키바이러스 활성을 갖는 오리방풀 유래 화합물
KR102135148B1 (ko) * 2019-08-28 2020-07-20 김좌진 악테오사이드를 함유하는 뇌종양 치료 및 전이 억제용 약학 조성물
KR102183355B1 (ko) * 2019-08-05 2020-11-26 충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피노레시놀 및 trail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교모세포종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417919B1 (ko) * 2022-02-21 2022-07-06 주식회사 힐리노엘에스 오리방풀 유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24670A2 (en) * 2010-08-20 2012-02-23 University Of Washington Through Its Center For Commercialization Composition and methods for treating glioblastoma
KR20160071245A (ko) * 2014-12-11 2016-06-21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항 콕사키바이러스 활성을 갖는 오리방풀 유래 화합물
KR102183355B1 (ko) * 2019-08-05 2020-11-26 충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피노레시놀 및 trail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교모세포종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135148B1 (ko) * 2019-08-28 2020-07-20 김좌진 악테오사이드를 함유하는 뇌종양 치료 및 전이 억제용 약학 조성물
KR102417919B1 (ko) * 2022-02-21 2022-07-06 주식회사 힐리노엘에스 오리방풀 유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72339A (ko) 2024-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1257B1 (ko) 주주보사이드 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14200B1 (ko)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조성물
WO2023239016A1 (ko) 디메틸제일아스테럴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WO2024106739A1 (ko) 교모세포종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KR20180115916A (ko) Hespereti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신경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CN108295085B (zh) 原薯蓣皂苷在制备抗耐药性骨肉瘤药物中的应用
WO2023158024A1 (ko) 오리방풀 유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8008973A1 (ko) 연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말초신경병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072288B1 (ko) 순무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4―메톡시인돌―3―아세토니트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WO2018058863A1 (zh) 聚醚类化合物用途
US9943560B2 (en) Medical compositions containing liquorice extracts with synergistic effect
EP3811959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muscular diseases, containing, as active ingredient, glycyrrhiza uralensis extract or compound isolated therefrom
KR100456089B1 (ko) 항암 활성을 갖는 산삼 추출정제액을 정제하는 방법 및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KR20110039843A (ko) α-리포산 또는 이의 유도체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갑상선암 치료용 약학조성물
KR20200129596A (ko) 초피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경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8056772A1 (ko) 쑥부지깽이 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종양 또는 항종양 면역작용 유도용 조성물
WO2022158885A1 (ko) 커피, 커피추출물 및 부산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전이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07333B1 (ko) 악테오사이드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WO2021261898A1 (ko) 대마 줄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콜레스테롤혈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95987B1 (ko) 오스만투스 마츠무라누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WO2021221456A1 (ko) 시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3249354A1 (ko) 디메틸제일아스테럴을 포함하는 근육 감소로 인한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WO2015034169A1 (ko) 3-(6-(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벤자미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535840B1 (ko) 2,3,5-치환된 싸이오펜 화합물의 위장관기질종양 예방, 개선 또는 치료 용도
WO2022035169A1 (ko) 근육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389180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