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4080645A1 - 청소기 노즐 - Google Patents

청소기 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4080645A1
WO2024080645A1 PCT/KR2023/014983 KR2023014983W WO2024080645A1 WO 2024080645 A1 WO2024080645 A1 WO 2024080645A1 KR 2023014983 W KR2023014983 W KR 2023014983W WO 2024080645 A1 WO2024080645 A1 WO 202408064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button
stopper
agitator
steering unit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3/01498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류경호
고무현
김성준
이국행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2408064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408064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4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 A47L5/26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with driven dust-loosen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12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substantial longitudinal adjustment or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5/00Special arrang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end fittings of hoses, e.g. safety or protec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소기 노즐에 관한 것으로, 연결관은 고정조향부를 회전조향부에 선택적으로 고정하고 버튼 및 스토퍼를 구비하는 락킹부를 포함하고, 버튼은 지면과 연결관 사이의 각도가 소정 각도 이하에서 버튼 작동부재에 의해 작동되고, 스토퍼는 버튼의 작동에 의해 작동되고 비작동시 적어도 일부가 고정조향부에 형성된 스토퍼 수용부에 삽입되고 작동시 스토퍼 수용부로부터 인출되는 바, 노즐 하우징이 흔들리지 않고 조작성이 확보될 수 있는 청소기 노즐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청소기 노즐
본 발명은 청소기 노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두 개의 아지테이터를 회전시켜 바닥면의 먼지를 흡입하는 청소기 노즐에 관한 것이다.
진공 청소기는 청소기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는 흡입 모터에서 발생되는 흡입력을 이용하여 먼지와 공기를 흡입하고, 공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하여 집진하는 장치를 가리킨다.
흡입 노즐이란 바닥에 닿아 먼지와 공기를 직접적으로 흡입하는 부분을 가리킨다. 청소기 본체의 내부에 장착된 흡입 모터에서 발생된 흡입력은 흡입 모터로 전달되고, 이 흡입력에 의해 먼지와 공기는 흡입 노즐로 빨려 들어간다.
흡입 노즐에는 아지테이터(agitator)가 설치된다. 아지테이터는 회전하면서 바닥 또는 카페트 속의 먼지를 긁어내어 청소 성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청소기 헤드는 조향을 위하여 복수개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하 청소기 헤드의 전진방향을 전방으로 가정하여 복수개의 축을 정의한다. 롤링(Rolling)은 청소기 헤드의 전후방향 축을 중심으로, 좌측단과 우측단이 위아래로 회전하는 것을 말한다. 피칭(Pitching)은 청소기 헤드의 좌우방향 축을 중심으로, 전단과 후단이 상하로 회전하는 것을 말한다. 요잉(Yawing)은 상하방향 축을 중심으로, 좌측단과 우측단이 전후로 회전하는 것을 말한다.
선행문헌 1로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814568호를 제시한다. 선행문헌 1은 진공청소기용 청소기 헤드에 관한 것이다. 선행문헌 1은 제1부스러기 개구와, 제1부스러기 개구의 위쪽에 배치되는 제2부스러기 개구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애지테이터에서 쓸린 먼지는 제1부스러기 개구 또는 제2부스러기 개구를 통하여 청소기 본체로 흡입된다. 선행문헌 1에 의하면, 청소기 헤드와 연장관 사이에는 피칭축과 요잉축이 배치된다. 청소기 본체는 피칭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높낮이를 변경할 수 있고, 요잉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좌우방향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좌우 방향 조향을 위하여 청소기 헤드는 롤링 또는 요잉 중 어느 하나의 회전을 수행한다. 선행문헌 1은 롤링이 아닌 요잉을 수행하며, 청소기 헤드가 요잉을 하는 경우에는 조작성이 좋다는 장점이 있으나, 직진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선행문헌 1에 따른 청소기 헤드는 요잉축에서의 움직임에 저항하는 구성이 없다. 따라서, 바닥면이 불규칙한 경우 청소기 헤드가 종종 흔들릴 수 있으며, 청소기 헤드가 흔들림에 따라 청소기는 직진을 하지 못하고 좌측이나 우측으로 선회하는 움직임을 보인다. 따라서, 사용자는 청소기를 직진시키기 위하여 불필요한 조작을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심지어, 선행문헌 1에 따른 청소기의 본체를 최대한 눕힐 경우에는 상기 문제점은 더욱 심해진다. 청소기의 본체를 세워 요잉축과 지면 사이의 각도가 낮을 경우에는 청소기 본체의 자중에 의하여 청소기 헤드가 흔들리더라도 어느 정도는 청소기를 전진시킬 수 있다. 하지만, 청소기의 본체를 눕혀 요잉축과 지면 사이의 각도가 높아짐에 따라, 청소기 헤드가 조금만 흔들리더라도 청소기 헤드는 요잉축을 중심으로 심하게 흔들리게 되는 바, 좁고 낮은 틈새를 청소할 때에는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문헌 2로 미국 공개특허공보 제2007-0174994호를 제시한다. 선행문헌 2는 캐니스터 청소기의 청소기 헤드에 관한 발명으로, 롤링기능과 피칭기능을 구비한 청소기 헤드를 개시한다. 선행문헌 2에 따르면, 청소기 헤드를 피칭축을 중심으로 접은 채로 고정시켜 청소기 본체에 거치할 수 있고, 청소기 헤드를 펼쳐 청소를 수행하는 청소기에 관한 발명이다.
하지만, 선행기술 2는 청소를 마친 청소기를 거치할 때 청소기 헤드를 접어 고정하고, 청소하고자 할 때 청소기 헤드를 펼쳐 고정하는 구조로써, 사용중인 청소기의 롤링 또는 피칭을 선택적으로 제한하기 위한 구조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지 않고, 청소기 헤드가 요잉이 아닌 롤링만을 하는 바, 직진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은 별론으로 하고, 조작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청소기 노즐이 가지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청소기 본체 및 청소기 본체와 청소기 노즐을 연결시키는 파이프를 지면에 가깝게 눕힐 수 있는 청소기 노즐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두 개의 아지테이터를 회전시키면서도 요구되는 모터 출력을 낮출 수 있는 청소기 노즐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청소 과정에서 청소기 노즐이 하방으로 가압되더라도 아지테이터와 지면의 마찰에 의하여 모터에 큰 부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청소기 노즐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롤링과 피칭과 요잉이 가능한 연장관을 구비한 청소기 노즐에 있어서, 직진할 때 노즐 하우징이 불필요하게 요잉축을 중심으로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청소기 노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청소기 노즐은,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가 형성된 노즐 하우징과, 노즐 하우징의 일 측에 형성된 버튼 작동부재와, 흡입구와 연통되는 유로가 형성된 연결관을 포함한다. 연결관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조향부와, 회전조향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조향부와, 고정조향부를 회전조향부에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락킹부를 포함한다. 락킹부는, 회전조향부에 배치되고 지면과 연결관 사이의 각도가 소정 각도 이하에서 버튼 작동부재에 의해 작동되는 버튼과, 버튼의 작동에 의해 작동되고 비작동시 적어도 일부가 고정조향부에 형성된 스토퍼 수용부에 삽입되고 작동시 스토퍼 수용부로부터 인출되는 스토퍼를 포함한다.
청소기 노즐은, 노즐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아지테이터와, 노즐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아지테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흡입구는 제1 아지테이터와 제2 아지테이터 사이에 형성되고, 제1 아지테이터의 직경은 제2 아지테이터의 직경과 다르고, 제1 아지테이터와 제2 아지테이터가 지면에 접촉된 상태를 기준으로 노즐 하우징의 상측 면은 지면과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르면, 버튼은 이동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작동될 수 있다. 이때 락킹부는 버튼에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락킹부는 버튼 작동부재에 배치되고 버튼의 홀에 삽입되면서 버튼을 이동시키는 해제후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실시예에 따르면 스토퍼는, 회전조향부에 결합되고 회전중심축이 되는 힌지와, 스토퍼의 힌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버튼에 밀착되고 버튼이 작동시 스토퍼의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버튼밀착부와, 스토퍼의 힌지로부터 버튼밀착부가 연장된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버튼이 비작동시 고정조향부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3실시예에 따르면 락킹부는 버튼 또는 스토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기어 결합되고, 버튼의 동력을 스토퍼에 전달하는 피니언을 포함할 수 있다.
제4실시예에 따르면 락킹부는, 버튼의 동력을 스토퍼에 전달하는 전달기어와, 전달기어의 일 면에서 돌출되고 버튼에 연결되고 버튼이 작동시 전달기어를 회전시키는 제1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락킹부는 전달기어의 타 면에서 돌출되고, 스토퍼에 연결되고, 전달기어가 회전하면 스토퍼를 이동시키는 제2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5실시예에 따르면 락킹부는, 스토퍼에 연결되는 와이어와, 와이어가 권선되고 스토퍼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스토퍼에 외력을 가하는 와이어 드럼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조향부는 제3 조향부일 수 있고, 회전조향부는 제2 조향부일 수 있다.
버튼은 작동시 버튼 작동부재에 의해 가압되면서 회전조향부 내부로 삽입되고, 스토퍼는 작동시 회전조향부 내부로 삽입되면서 고정조향부에 형성된 홈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이때, 버튼이 삽입되는 방향과 상기 스토퍼가 삽입되는 방향은 서로 반대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 노즐에 의하면, 두 개의 아지테이터의 직경을 다르게 구성하여 노즐 하우징의 상측 면에 경사면이 형성 가능하게 하여, 파이프를 직경이 작은 아지테이터 방향으로 눕힐 수 있고, 청소기 노즐의 전체적인 높이를 낮출 수 있으며, 파이프를 지면과 가깝게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아랫쪽 공간의 높이가 낮은 가구에 대해서도 청소기 노즐을 깊숙하게 밀어 넣어 청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두 개의 아지테이터의 직경을 다르게 하여 직경이 작은 아지테이터에 인가되는 토크를 감소시킴으로써 모터에 요구되는 출력을 낮출 수 있다. 따라서, 청소기 노즐이 소모하는 전력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청소기 노즐이 하방으로 가압될 경우 캐스터와 제2 아지테이터가 지면에 강하게 눌리고, 제1 아지테이터와 지면의 마찰이 증가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아지테이터와 지면의 마찰에 의하여 모터에 큰 부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피칭과 요잉을 수행하는 청소기 노즐에 있어서, 청소기 노즐이 임의로 흔들리는 것을 차단하여 직진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노즐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연결관 결합부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서 캐스터 수용부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노즐에서 가상의 캐스터 통과면, 가상의 아지테이터 통과면 및 가상의 연결관 연결면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노즐에서 연결관의 조향 방향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노즐에서 연결관을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노즐에서 락킹부와 연결관 체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노즐에서 락킹부와 연결관 체결부가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노즐에서 락킹부와 연결관 체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노즐에서 락킹부와 연결관 체결부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노즐에서 락킹부와 연결관 체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노즐에서 락킹부를 저면에서 바라본 도이다.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노즐에서 락킹부를 저면에서 바라본 도이다.
도 16a 및 도 16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노즐에서 락킹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7a 및 도 17b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노즐에서 락킹부를 저면에서 바라본 도이다.
도 18a 및 도 18b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노즐에서 락킹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9a 및 도 19b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노즐에서 락킹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노즐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3에는 도 2의 저면도가 도시되며,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노즐에서 연결관 결합부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가 도시되고,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노즐에서 캐스터 수용부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청소기 노즐(1)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의 청소기 노즐(1)은, 일 예로 핸디형 청소기 또는 캐니스터형 청소기에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바닥면"은 거실이나 방의 바닥면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카펫 등과 같은 청소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청소기 노즐(1)은 청소기 본체(2) 또는 연장관(3)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청소기 노즐(1)은 상기 청소기 본체(2) 또는 연장관(3)과 연결됨에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청소기 노즐(1)을 이용하여 바닥면을 청소할 수 있다. 이때, 청소기 노즐(1)이 연결되는 청소기 본체(2)는 멀티 싸이클론 방식으로 공기 중의 먼지를 분리할 수 있다.
청소기 노즐(1)은 청소기 본체(2)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청소기 노즐(1)은 청소기 본체(2)에 구비된 배터리(미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될 수 있다.
청소기 노즐(1)이 연결되는 청소기 본체(2)는 흡입 모터(미도시)를 포함하므로, 흡입 모터(미도시)에 의해서 발생되는 흡입력이 청소기 노즐(1)로 인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청소기 노즐(1)은 바닥면의 이물질과 공기를 흡입하여 청소기 본체(2)로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노즐(1)은 노즐 하우징(100), 제1 아지테이터(200), 제2 아지테이터(300) 및 연결관(400)을 포함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방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는 흡입구(121)를 기준으로 하여 청소기 노즐(1)의 방향을 정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흡입구(121)를 기준으로 제1 아지테이터(200)가 배치된 방향을 청소기 노즐(1)의 전방이라고 부를 수 있고, 흡입구(121)를 기준으로 제2 아지테이터(200)가 배치된 방향을 청소기 노즐(1)의 후방이라고 부를 수 있다. 또한, 청소기 노즐(1)이 바닥면(지면)에 놓여진 상태(제1 아지테이터(200)와 제2 아지테이터(300)가 바닥면과 접촉하고 있는 상태)를 기준으로, 바닥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상방(상측)이라고 부를 수 있고, 바닥면에 가까워지는 방향을 하방(하측)이라고 부를 수 있다.
노즐 하우징(100)은, 제1 아지테이터(200) 및 제2 아지테이터(300)가 장착되고, 청소기 노즐(1)의 외형을 이룰 수 있다. 또한, 노즐 하우징(100)에는 연결관(400)이 결합될 수 있다.
노즐 하우징(100)은 연결관(400)이 결합되는 노즐 하우징(100)의 상측 면(1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측 면(110)에는 연결관 결합부(130)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관 결합부(130)는 연결관(400)과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제1 아지테이터(200)와 제2 아지테이터(300)가 바닥면(지면)에 접촉된 상태를 기준으로, 노즐 하우징(100)의 상측 면(110)은 지면과 소정 각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아지테이터(200)와 제2 아지테이터(300)가 바닥면(지면)에 접촉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측 면(110)은 제1 아지테이터(200)가 배치된 일측이 제2 아지테이터(300)가 배치된 타측보다 지면에서 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노즐 하우징(100)의 전체 높이 중에서 후측의 높이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후측의 높이가 낮아지는 경우에는, 노즐 하우징(100)에 힌지 결합되는 연결관(400)이 청소기 노즐(1)의 후측을 향하여 더 큰 각도로 회전될 수 있다. 이 경우, 지면에서부터 연결관(400) 최상단까지의 높이를 낮아지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지면에서부터 연결관(400) 최상단까지의 높이가 낮을수록 가구나 의자 등의 하측의 좁은 공간에도 청소기 노즐이 인입될 수 있고, 청소할 수 있는 구역이 더 넓어지는 효과가 있다.
노즐 하우징(100)은 제1 아지테이터(200)와 제2 아지테이터(300)가 배치되는 하측 면(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하측 면(120)은 노즐 하우징(100)이 바닥면(지면)에 놓여진 상태에서 바닥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노즐 하우징(100)에는 흡입구(121)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노즐 하우징(100)의 하측 면(120)에는 흡입구(121)가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121)는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공간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청소기 본체(2)의 흡입 모터(미도시)가 작동되면 바닥면 주변에 존재하는 먼지 및 공기가 흡입구(121)를 통하여 청소기 노즐(1)의 유로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노즐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아지테이터 모터(미도시)를 제어하기 위한 인쇄 회로 기판(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노즐 하우징(100)에는 흡입구(121)와 연통되어 흡입구(121)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청소기 본체(2)로 유도하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유로는 노즐 하우징(1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유로의 하측 단부는 흡입구(121)와 연통되며, 유로의 상측 단부는 연결관(4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흡입구(121)와 연결관(400)을 연결시키는 유로는 대략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먼지를 포함한 공기가 흡입되는 경로를 최소화시킬 수 있고, 유량 손실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노즐 하우징(100)에는 캐스터 수용홀(122)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노즐 하우징(100)의 하측 면(120)에는 캐스터 수용홀(122)이 형성될 수 있다. 캐스터 수용홀(122)은 캐스터(124)의 적어도 일부를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는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캐스터 수용홀(122)은 제1 아지테이터(200)와 제2 아지테이터(30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캐스터 수용홀(122)은 흡입구(121)의 좌우 방향 양측 단부에서 소정 거리를 두고 한 쌍 배치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캐스터 수용홀(122)은 흡입구(121)를 중심으로 하여 하측 면(120)의 좌우 방향 양 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캐스터 수용홀(122)은 캐스터(124)를 제1 아지테이터(200)와 제2 아지테이터(300)의 사이에 배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청소 작업 중에 외력이 인가되면, 캐스터(124)가 노즐 하우징(100)을 지지할 수 있고 제1 아지테이터(200) 및/또는 제2 아지테이터(300)에 과대한 외력이 인가되어 아지테이터 모터(미도시)에 인가되는 부하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흡입구(121)와 캐스터 수용홀(122) 사이에 거리를 두어 흡입구(121)를 향하여 유동하는 먼지가 캐스터 수용홀(122)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캐스터 수용홀(122)은 캐스터(124)가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캐스터 수용홀(122)은 원형 또는 타원형의 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캐스터 수용부(123) 및 캐스터(124)가 지면과 수직한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더라도 하측 면(120)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캐스터 수용부(123)는 캐스터(124)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노즐 하우징(100)의 하측 면(120)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캐스터 수용부(123)는 노즐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캐스터 수용부(123)는 노즐 하우징(100)의 하측 면(120)과 상측 면(11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캐스터 수용부(123)에 구비된 샤프트(123a)는 노즐 하우징(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캐스터 수용부(123)의 샤프트(123a)는 하측 면(120)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청소기 노즐(1)을 바닥 면에 놓았을 때를 기준으로 하여, 캐스터 수용부(123)는 바닥면과 수직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캐스터 수용부(123)는 캐스터(124)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캐스터 수용부(123)는 샤프트(123a)와 수직한 방향(하측 면(120)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형성된 커버면(123b)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캐스터 수용부(123)는 상기 커버면(123b)에서 수직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 측벽면(123c)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벽면(123c)에는 캐스터(124)의 회전 축이 되는 캐스터 샤프트(123d)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캐스터 샤프트(123d)는 하측 면(120)의 연장 방향과 나란한 방향(바닥면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캐스터 수용부(123)는 바닥면과 수직한 회전 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캐스터(124)가 구름 이동할 수 있는 방향에 제한이 없어지는 효과가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청소기 노즐(1)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는 물론, 좌우 방향 또는 대각 방향으로 이동시키더라도 캐스터 수용부(123)가 회전하면서 캐스터(124)가 구를 수 있는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다양한 방향으로 청소기 노즐(1)을 밀고 당기더라도, 캐스터(124)가 방향을 바꾸어 바닥면을 따라 구를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조작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캐스터(124)는 캐스터 수용부(12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측 면(120) 상에 배치되어 바닥면(지면)을 따라 구를 수 있다.
캐스터(124)는 하측 면(120)에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캐스터(124)는 하측 면(120)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한 쌍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샤프트 사이에는 흡입구(121)가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캐스터(124)는 캐스터 샤프트(123d)에 의하여 캐스터 수용부(12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캐스터(124)의 적어도 일부는 캐스터 수용부(123)와 결합되어 노즐 하우징(1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캐스터(124)의 적어도 일부는 캐스터 수용홀(122)을 통과하여 노즐 하우징(100)의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청소기 노즐(1)을 바닥면 위에 놓을 경우, 캐스터(124)가 바닥면과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청소기 노즐(1)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이동될 경우, 노즐 하우징(100)과 바닥면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고 청소기 노즐(1)의 이동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캐스터의 회전 중심을 통과하여 바닥면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상의 캐스터 통과면(C)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캐스터 수용홀(122)의 외곽에 이물 차단부(125)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이물 차단부(125)는 마찰을 증가시키는 형태 또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이물 차단부(125)는 미세한 돌기가 복수가 돌출 형성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이물 차단부(125)는 고무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물 차단부(125)는 이물질이 이물 차단부(125)의 표면을 통과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물 차단부(125)는 하측 면(120)에 배치되되, 캐스터 수용홀(122)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물 차단부(125)는 흡입구(121)를 향하여 돌출된 말굽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제1 아지테이터(200) 및 제2 아지테이터(300)의 회전에 의하여 이동되는 먼지가 캐스터 수용홀(122)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연결관 결합부(130)는 상측 면(110)에서 돌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아지테이터(200) 및 제2 아지테이터(300)가 바닥면(지면)과 접촉한 상태(청소기 노즐(1)이 바닥면에 놓여진 상태)를 기준으로, 연결관 결합부(130)는 상측 면(110)에서부터 바닥면과 수직한 방향(하측 면(120)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돌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연결관 결합부(130)는 경사면(113)에서부터 바닥면과 수직한 방향(하측 면(120)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돌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연결관 결합부(130)는 상측 면(110)에서 한 쌍이 대칭적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연결관 결합부(130) 사이에는 연결관(40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연결관 결합부(130)는 연결관(400)과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연결관 결합부(130)에는 각각 연결관(400)과 결합되는 힌지 축이 구비될 수 있고, 힌지 축을 중심으로 연결관(400)이 회전(피봇)될 수 있다.
이때, 연결관 결합부(130)의 상측 단부는 상기 노즐 하우징(100)의 상측 면보다 지면에서 멀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청소기 노즐(1)이 바닥면에 놓여진 상태에서 연결관 결합부(130)는 상측 면의 상측 단부보다 지면에서 멀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연결관(400)이 회전할 수 있는 충분한 각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측 면(110)이 제2 아지테이터(300) 방향으로 하방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연결관(400)이 제2 아지테이터(300)를 향하여 회전할 경우 연결관(400)은 바닥면에 가깝게(대략 바닥면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청소기 노즐(1)의 전체적인 높이를 낮출 수 있고, 침대나 소파 등과 같이 출입 가능한 공간의 높이 낮은 곳도 청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연결관(400)과 노즐 하우징(100)을 힌지 결합시키는 힌지 축을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통과하는 가상의 연결관 연결면(P)이 형성될 수 있다.
버튼 작동부재(140)는 노즐 하우징(100)의 후측에 형성되고, 연결관(400)의 일 측에 접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버튼 작동부재(140)는 상측 면(110)의 후측 단부에서 돌출 형성되고, 연결관(400)에 구비된 락킹부(431)와 접촉하여, 락킹부(431)를 작동시킬 수 있다..
연결관(400)은 복수개의 조향부를 구비하여 여러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구성으로, 버튼 작동부재(140)는 연결관(400)이 특정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제1 아지테이터(200)는 노즐 하우징(100)에 설치되어 청소 대상물로부터 이물질을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제1 아지테이터(200)는 청소기 노즐(1)에서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아지테이터(200)는 노즐 하우징(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아지테이터(200)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노즐 하우징(100)의 좌우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아지테이터(200)의 길이 방향(축 방향)은 청소기 노즐(1)의 전후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아지테이터(200)의 외주면에는 브러쉬 또는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아지테이터(20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어가 구비되어 아지테이터 모터(미도시)로부터 회전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제1 아지테이터(200)는 회전에 의하여 외부의 먼지 및 공기를 흡입구(121)로 안내할 수 있다. 제1 아지테이터(200)는 바닥면과 마주보는 외주면이 흡입구(121)를 향하여 이동하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청소기 노즐(1)의 좌측에서 청소기 노즐(1)을 바라볼 때를 기준으로, 제1 아지테이터(200)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외부의 먼지 및 공기는 제1 아지테이터(200)와 마찰되면서 흡입구(121) 방향으로 안내될 수 있다.
한편, 제1 아지테이터(200)는 노즐 하우징(100)에 교체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청소 환경에 따라 제1 아지테이터(200)를 교체하여 청소할 수 있다.
제2 아지테이터(300)는 노즐 하우징(100)에 설치되어 청소 대상물로부터 이물질을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제2 아지테이터(300)는 청소기 노즐(1)에서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아지테이터(300)는 노즐 하우징(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아지테이터(300)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노즐 하우징(100)의 좌우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아지테이터(300)의 길이 방향(축 방향)은 청소기 노즐(1)의 전후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아지테이터(300)의 외주면에는 브러쉬 또는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제2 아지테이터(30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어가 구비되어 아지테이터 모터(미도시)로부터 회전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이때, 제1 아지테이터(200)와 제2 아지테이터(300)는 하나의 아지테이터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일 예로, 제1 아지테이터(200)와 제2 아지테이터(300)는 벨트로 연결되어 아지테이터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아지테이터(200)와 제2 아지테이터(3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어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아지테이터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제2 아지테이터(300)는 회전에 의하여 외부의 먼지 및 공기를 흡입구(121)로 안내할 수 있다. 이때, 제2 아지테이터(300)는 제1 아지테이터(200)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즉, 제2 아지테이터(300)는 바닥면과 마주보는 외주면이 흡입구(121)를 향하여 이동하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청소기 노즐(1)의 좌측에서 청소기 노즐(1)을 바라볼 때를 기준으로, 제2 아지테이터(30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외부의 먼지 및 공기는 제1 아지테이터(200)와 마찰되면서 흡입구(121) 방향으로 안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흡입구(121) 주변의 먼지는 제1 아지테이터(200) 및 제2 아지테이터(300)에 의하여 흡입구(121) 방향으로 모일 수 있고, 청소기 본체(2)의 흡입력에 의하여 흡입되어 바닥면에서 제거될 수 있다.
한편, 제2 아지테이터(300)는 노즐 하우징(100)에 교체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청소 환경에 따라 제2 아지테이터(300)를 교체하여 청소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청소기 노즐(1)은 제1 아지테이터(200) 및 제2 아지테이터(300)를 모두 교체할 수 있으므로, 바닥면의 상태 또는 청소 환경에 따라 다양한 아지테이터 조합을 만들어 청소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노즐(1)에서는 제1 아지테이터(200)의 직경과 제2 아지테이터(300)의 직경이 다르다. 구체적으로, 제1 아지테이터(200)의 직경은 제2 아지테이터(300)의 직경보다 크다.
제1 아지테이터(200)의 직경이 제2 아지테이터(300)의 직경보다 클 경우, 직경이 작은 제2 아지테이터(300)의 토크는 제1 아지테이터(200)의 토크에 비하여 작다. 즉, 제2 아지테이터(300)의 회전을 위하여 요구되는 회전 동력은 제1 아지테이터(200)의 회전을 위한 동력보다 작다.
따라서, 동일한 직경을 갖는 두개의 아지테이터를 회전시키는 것과 비교하여, 본 발명과 같이 제2 아지테이터(300)의 직경이 제1 아지테이터(200)의 직경보다 작을 경우, 두 개의 아지테이터를 회전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모터 출력이 낮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아지테이터 모터(미도시)로 두개의 아지테이터를 회전시키면서도 모터에 요구되는 출력을 낮출 수 있다. 따라서, 청소기 노즐이 소모하는 전력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모터에 인가되는 부하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아지테이터(200)의 직경이 제2 아지테이터(300)의 직경보다 크게 구비되어, 제1 아지테이터(200)와 제2 아지테이터(300)의 상부를 덮는 노즐 하우징(100)의 상측 면(110)에 경사를 형성할 수 있다. 즉, 바닥면(지면)에 제1 아지테이터(200)와 제2 아지테이터(300)를 놓았을 때, 제1 아지테이터(200)의 상단의 높이가 제2 아지테이터(300)의 상단의 높이보다 높고, 이를 덮는 노즐 하우징(100)에도 높이차가 발생할 수 있고 이를 연결하는 경사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노즐 하우징(100)의 상측 면(110)에는 제1 아지테이터(200)의 연직 상측을 덮는 제1 아지테이터 덮개부(111), 제2 아지테이터(300)의 연직 상측을 덮는 제2 아지테이터 덮개부(112) 및 제1 아지테이터 덮개부(111)와 제2 아지테이터 덮개부(112)를 연결하는 경사면(11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연결관(400)을 제2 아지테이터(300)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연결관(400)이 노즐 하우징(100)과 맞닿는 위치를 낮출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연결관(400)을 지면과 가깝게 눕힐 수 있고, 청소기 노즐(1)의 전체적인 높이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노즐에서 가상의 캐스터 통과면, 가상의 아지테이터 통과면 및 가상의 연결관 연결면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아지테이터(300)의 회전 축(회전 중심)을 바닥면(지면)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통과하는 가상의 아지테이터 통과면(A)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아지테이터 통과면(A)과 연결관 연결면(P) 및 캐스터 통과면(C)의 배치 관계 및 그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노즐(1)에서 연결관 연결면(P)은 캐스터 통과면(C)과 아지테이터 통과면(A) 사이에 배치된다.
여기에서 연결관 연결면(P)은 연결관 결합부(130)와 연결관(400)이 서로 결합되는 지점 및 이를 지면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연장한 가상의 면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청소기 노즐(1)이 지면(바닥면)에 놓인 상태를 기준으로, 연결관 연결면(P)은 제1 조향축(X)을 통과하여 지면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연장한 가상의 면일 수 있다.
사용자가 청소기 본체(2)를 조작하면, 사용자가 청소기 본체(2)를 밀거나 당기면서 연장관(3) 및 연결관(400)이 노즐 하우징(100)을 누르거나 들어올릴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누르는 조작력이 연장관(3) 및 연결관(400)을 통하여 노즐 하우징(100)으로 전달되고, 노즐 하우징(100)은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하여 바닥면(지면) 상에서 이동된다.
이때, 사용자의 조작력은 연결관 결합부(130)와 연결관(400)이 서로 결합된 지점을 통하여 인가될 수 있고, 연결관 결합부(130)를 따라 지면과 수직한 방향 하측으로 인가되어 노즐 하우징(100)에 전달될 수 있다. 즉, 연결관 연결면(P)은 사용자의 조작력이 인가되는 위치 및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캐스터 통과면(C)은 한 쌍의 캐스터(124)의 회전 중심을 통과하여 지면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상의 면일 수 있다. 이러한 캐스터 통과면(C)은 한 쌍의 캐스터(124)가 바닥면(지면)과 접촉되는 지점을 통과하여 지면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상의 면일 수 있다.
따라서, 캐스터 통과면(C)은 청소기 노즐(1)의 하중 및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하여 청소기 노즐(1)이 바닥면을 누르는 위치 및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아지테이터 통과면(A)은 제2 아지테이터의 회전축을 통과하여 지면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면과 연장한 가상의 면일 수 있다. 이러한 아지테이터 통과면(A)은 제2 아지테이터(300)가 바닥면(지면)과 접촉되는 선을 통과하여 지면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상의 면일 수 있다.
따라서, 아지테이터 통과면(A)은 청소기 노즐(1)의 하중 및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하여 청소기 노즐(1)이 바닥면을 누르는 위치 및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관 연결면(P)이 캐스터 통과면(C)과 아지테이터 통과면(A) 사이에 배치되므로, 사용자가 누르는 힘(조작력)은 캐스터(124)와 제2 아지테이터(300)로 인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하여 청소기 노즐(1)이 하방으로 가압될 경우, 캐스터(124)와 제2 아지테이터(300)가 지면을 향하여 눌리고, 상대적으로 제1 아지테이터(200)와 지면의 마찰이 증가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아지테이터(200)와 지면의 마찰에 의하여 아지테이터 모터에 큰 부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캐스터(124)와 제2 아지테이터(300)가 지면을 향하여 눌리는 경우, 제2 아지테이터(300)는 제1 아지테이터(200)와 비교하여 지면과의 사이에서 적은 마찰 저항을 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아지테이터(200)와 제2 아지테이터(300)는 하나의 아지테이터 모터로부터 동일한 토크를 인가받는다. 이때, 제1 아지테이터(200)의 직경이 제2 아지테이터(300)의 직경보다 큰 경우, 제1 아지테이터(200)와 지면 사이의 마찰로 인한 토크가 제2 아지테이터(300)와 지면 사이의 마찰로 인한 토크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아지테이터(200)와 지면 사이의 마찰력(F1)과 제2 아지테이터(300)와 지면 사이의 마찰력(F2)이 동일할 경우(F1=F2), 제1 아지테이터(200)의 회전 중심과 지면 사이의 거리(r1)가 제2 아지테이터(300)의 회전 중심(r2)과 지면 사이의 거리보다 크므로(r1>r2), 제1 아지테이터(200)와 지면의 마찰로 인한 토크(r1*?*가 제2 아지테이터(300)와 지면의 마찰로 인한 토크(r2*?*보다 크다.
따라서, 제1 아지테이터(200)가 지면과 마찰하였다면 회전이 정지될 조건에서도, 제2 아지테이터(300)는 회전을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아지테이터(200)의 직경보다 제2 아지테이터(300)의 직경을 작게 사용자의 조작력이 제2 아지테이터(300)를 누르게 하여, 매트 또는 카펫과 같이 마찰력이 큰 바닥면을 청소할 때에도 제2 아지테이터(30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청소기 노즐(1)은 매트 또는 카펫과 같은 바닥면에서도 전진 또는 후진이 손쉽고, 아지테이터 모터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노즐에서 연결관의 조향 방향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노즐에서 연결관을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9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노즐에서 락킹부와 연결관 체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노즐에서 락킹부와 연결관 체결부가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관(400)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연결관(400)은 흡입구(121)와 연통되는 유로가 형성되고, 노즐 하우징(100)과 연장관(3) 또는 노즐 하우징(100)과 청소기 본체(2)를 연결시킨다.
연결관(400)은 파이프(410), 제1 조향부(420), 제2 조향부(430) 및 제3 조향부(440)를 포함한다.
연결관(400)은 제1 조향부(420), 제2 조향부(430) 및 제3 조향부(440)를 구비함으로써, 롤링(rolling)과 피칭(pitching)과 요잉(yawing)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연결관(400)은 제1 조향부(420)의 전단에 배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피칭이 가능하고, 제2 조향부(430)의 전단에 배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요잉이 가능하고, 제3 조향부(44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롤링이 가능하다.
파이프(410)는 흡입구(121)와 연통되는 유로가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파이프(410)는 노즐 하우징(100)과 결합되어 노즐 하우징(100) 내부의 유로와 연통될 수 있다.
파이프(410)는 변형 가능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파이프(410)는 휘어질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파이프(410)는 연결관(400)의 제1 조향부(420), 제2 조향부(430) 및 제3 조향부(440) 각각의 회전에 따라 휘어지면서 변형될 수 있다.
제1 조향부(420)는 파이프(410)의 적어도 일부를 내부에 수용하고, 노즐 하우징(100)과 힌지 결합된다.
제1 조향부(420)는 내부에 파이프(410)가 관통하도록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일측은 연결관 결합부(130)와 힌지 결합되며, 타측은 제2 조향부(430)와 힌지 결합된다.
이때, 연결관 결합부(130)에 대하여 제1 조향부(420)가 회전되는 축은 바닥면(지면)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사용자가 청소기 노즐(1)을 바닥면에 놓고 청소기 본체(2)를 들어 올리거나 내릴 경우, 상기 힌지 축을 중심으로 청소기 본체(2) 및 연결관(400)이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제1 조향부(420)와 연결관 결합부(130)가 결합되는 힌지 축(이하, '제1 조향축(X)'이라고 부를 수 있다)의 방향과 제1 조향부(420)와 제2 조향부(430)가 결합되는 힌지 축(이하, '제2 조향축(Y)'이라고 부를 수 있다)의 방향은 서로 수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사용자가 청소기 노즐(1)을 바닥면에 놓고 청소기 본체(2)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 상기 제2 조향축을 중심으로 청소기 본체(2) 및 연결관(400)이 회전될 수 있다. (pitching)
제1 조향부(420)가 노즐 하우징(100)에 대하여 회전(피봇)하는 방향은 제2 조향부(430)가 제1 조향부(420)에 대하여 회전하는 방향과 서로 교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소기 노즐(1)에서 연결관(400)은 제1 조향부(420)의 회전 방향과 제2 조향부(430)의 회전 방향을 조합하여 다양한 각도로 꺾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2 조향부(430)는 제1 조향부(420)와 힌지 결합되고, 제3 조향부(430)와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yawing)
구체적으로, 제2 조향부(430)는 내부에 파이프(410)가 관통하도록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일측은 제1 조향부(420)와 힌지 결합되며, 타측은 제3 조향부(440)가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제2 조향부(430)에는 락킹부(431)가 배치될 수 있다. 락킹부(431)는 제2 조향부(430)에 고정 결합되고, 직선 이동에 따라 제3 조향부(440)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락킹부(431)에는 직선 운동에 의하여 제3 조향부(440)에 삽입되는 판형의 스토퍼(4312)가 구비될 수 있다.
제3 조향부(440)는 제2 조향부(43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예를 들어, 제3 조향부(440)는 관 형태와 유사하게 형성되고, 제3 조향부(440)의 일측 내주면이 제2 조향부(430)의 타측 단부를 수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2 조향부(430)의 타측 단부에는 턱이 형성되어 제2 조향부(430)와 제3 조향부(440)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제2 조향부(430)의 타측 단부를 회전 축으로하여 제3 조향부(440)는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제3 조향부(440)의 회전 축(이하, '제3 조향축(Z)'이라고 부를 수 있다)은 제1 조향축(X)의 방향 및 제2 조향축(Y)의 방향과 서로 수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사용자가 청소기 노즐(1)을 바닥면에 놓고 청소기 본체(2)를 돌리는 경우, 제3 조향부(440)가 회전될 수 있다. (rolling) 이는, 침대 또는 가구의 하부와 같이 청소기 노즐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이 좁은 장소를 청소할 때, 사용자가 엎드린 상태에서 청소기 본체(2)를 눕혀 바닥면을 청소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연결관(400)은 3개의 회전 축을 통하여 회전될 수 있고 다양한 각도로 꺾일 수 있어 사용자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제3 조향부(440)의 타측은 연장관(3) 또는 청소기 본체(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3 조향부(440)는 내부에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된다. 일 예로, 제3 조향부(440)는 내부에 파이프(410)를 수용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3 조향부(440)에는 파이프(410)와 연통되는 공간이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조향부(440)에는 스토퍼(4312)가 삽입될 수 있는 스토퍼 수용부(440a)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토퍼 수용부(440a)는 판형의 스토퍼(4312)를 수용하도록 사각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 수용부(440a)에 스토퍼(4312)가 결합되면 제2 조향부(430)에 대한 제3 조향부(440)의 상대 회전은 제한된다. 이에 따라, 연장관은 롤링이 제한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제3 조향부(440)의 회전이 불필요한 위치에서는 사용자가 청소기 본체(2)를 돌리더라도 제3 조향부(440)가 회전하지 않고, 청소기 노즐(1) 전체가 회전될 수 있다. 즉, 청소기 본체(2)는 롤링되지 않고 요잉만 가능하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노즐에서 락킹부와 연결관 체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9, 도 10,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고정구조를 설명한다.
청소기 노즐은 락킹부(431)를 포함한다. 락킹부(431)는 고정조향부(440)를 회전조향부(430)에 선택적으로 고정한다.
락킹부(431)는 연결관의 복수개의 회전 중 일부를 선택적으로 고정하거나 해제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연결관은 롤링과 피칭과 요잉이 가능한데, 락킹부(431)는 연결관과 지면 사이의 각도가 소정 각도 이상일 때 롤링을 제한하고, 소정 각도 이하일 때 롤링을 허용한다.
락킹부(431)는 버튼(4311) 및 스토퍼(4312)를 포함한다.
버튼(4311)은 회전조향부(430)에 배치되고, 지면과 연결관 사이의 각도가 소정 각도 이하에서 버튼 작동부재(140)에 의해 작동된다.
예를 들어, 소정 각도는 10도~15도일 수 있다. 지면과 연결관 사이의 각도가 15도 이상의 고각도인 경우, 연결관(400)은 롤링하는 것 보다는 요잉하는 것이 조작성이 좋다. 반대로, 지면과 연결관 사이의 각도가 10도 이하의 저각도인 경우, 연결관(400)은 요잉하는 것 보다는 롤링하는 것이 조작성이 좋다. 또한, 요잉이 언제나 가능하다고 가정하면, 저각도인 경우 청소기 노즐이 임의로 요잉되어 흔들리는 바, 조작이 어렵다는 단점도 있다. 따라서, 락킹부(431)는 고각도에서 연결관(400)의 롤링을 제한하여 연결관(400)이 요잉만 가능하게 하고, 저각도에서 연결관(400)의 롤링을 허용하여 조작성을 향상시킨다.
버튼(4311)은 회전조향부(430)에 배치된다. 버튼(4311)은 적어도 일부가 회전조향부(430)의 전방으로 돌출된다.
미도시하였으나, 버튼(4311)의 일 측에는 탄성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는 버튼(4311)이 작동한 후 외력이 제거되면 버튼(4311)을 원위치로 복원시킨다. 예를 들어, 지면과 연결관 사이의 각도가 소정 각도 이상이 되면, 외력이 제거되는 바, 탄성부재에 의해 버튼(4311)이 회전조향부(430)의 전방으로 다시 돌출된다.
스토퍼(4312)는 버튼(4311)의 작동에 의해 작동되고, 비작동시 적어도 일부가 고정조향부(440)에 형성된 스토퍼 수용부(440a)에 삽입되고, 작동시 스토퍼 수용부(440a)로부터 인출된다.
스토퍼(4312)가 스토퍼 수용부(440a)에 삽입되면, 고정조향부(440)는 스토퍼(4312)에 걸려 회전조향부(430)를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없다. 스토퍼(4312)가 스토퍼 수용부(440a)로부터 인출되면, 고정조향부(440)는 회전조향부(430)를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스토퍼(4312)는 회전조향부(430)에 배치된다. 스토퍼(4312)는 적어도 일부가 회전조향부(430)의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미도시하였으나, 스토퍼(4312)의 일 측에는 탄성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는 버튼(4311)이 작동한 후 외력이 제거되면 스토퍼(4312)를 원위치로 복원시킨다. 예를 들어, 지면과 연결관 사이의 각도가 소정 각도 이상이 되면, 외력이 제거되는 바, 탄성부재에 의해 스토퍼(4312)가 회전조향부(430)의 후방으로 다시 돌출되어 스토퍼 수용부(440a)에 다시 삽입된다.
청소기 노즐은 버튼 작동부재(140)를 포함한다. 버튼 작동부재(140)는 노즐 하우징의 일 측에 형성된다.
버튼 작동부재(140)는 버튼(4311)을 작동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제1실시예 및 제5실시예에 따르면, 버튼 작동부재(140)는 버튼(4311)을 전방으로 당겨 작동시킨다. 제2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에 따르면, 버튼 작동부재(140)는 버튼(4311)을 후방으로 밀어 작동시킨다.
버튼(4311) 작동시 버튼 작동부재(140)는 버튼(4311)에 밀착된다. 버튼(4311) 비작동시 버튼 작동부재(140)는 버튼(4311)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된다.
고정조향부(440)는 제3 조향부(440)일 수 있다. 제3 조향부(440)가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바, 연결관(400)은 지면과의 각도에 따라 롤링이 가능하거나 롤링이 제한된다.
회전조향부(430)는 제2 조향부(430)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노즐 하우징에 피칭 가능한 제1 조향부(420)가 결합되고, 제1 조향부(420)에 요잉 가능한 제2 조향부(430)가 결합되고, 제2 조향부(430)에 롤링 가능한 제3 조향부(440)가 결합된다. 이러한 배치를 가짐으로써, 롤링이 제한될 때 제1 조향부와 제2 조향부(430)에 의하여 피칭 및 요잉이 가능하고, 롤링이 가능할 때 제1 조향부와 제3조향부에 의하여 피칭 및 롤링이 가능해진다.
버튼(4311)은 작동시 버튼 작동부재(140)에 의해 가압되면서 회전조향부(43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스토퍼(4312)는 작동시 회전조향부(430) 내부로 삽입되면서 고정조향부(440)에 형성된 홈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버튼(4311)이 삽입되는 방향과 스토퍼(4312)가 삽입되는 방향은 서로 반대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버튼(4311)은 후방으로 이동하며 회전조향부(430) 내부로 삽입되고, 스토퍼(4312)는 전방으로 이동하며 회전조향부(430) 내부로 삽입된다.
이러한 배치를 가짐으로써, 락킹부(431)의 크기를 최소한으로 한 채, 저각도에서 락킹부(431)를 작동시킬 수 있다.
도 12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노즐에서 락킹부와 연결관 체결부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3a 및 도 13b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노즐에서 락킹부와 연결관 체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 도 12,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여, 제1실시예에 따른 락킹부(1431)를 설명한다.
버튼(14311)은 이동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작동된다.
락킹부(1431)는 버튼(14311)에 홀(14311a)이 형성되고, 해제후크(14313)를 포함한다.
해제후크(14313)는 버튼 작동부재(140)에 배치되고, 버튼(14311)의 홀(14311a)에 삽입되면서 버튼(14311)을 이동시킨다.
제1실시예에 따르면, 버튼(14311)과 스토퍼(1431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토퍼(14312)는 버튼(14311)의 후방에 배치되고, 버튼(1431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버튼(14311)의 홀(14311a)은 버튼(14311)을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또는, 도 12에 도시한 것과 달리, 버튼(14311)에는 하부면에서 상부로 함몰되고, 해제후크(14313)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해제후크(14313)는 버튼 작동부재(140)의 상부면에서 상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해제후크(14313)는 후면이 수직면으로 형성되고, 전면이 전방-하향의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버튼(14311)의 홀(14311a)의 전단이 해제후크(14313)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며 회전조향부(430)의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다.
연결관(400)이 저각도에서 고각도로 위치하면, 탄성부재에 의해 버튼(14311) 및 스토퍼(14312)가 후방으로 복원되며, 스토퍼 수용부(440a)에 삽입된다.
도 14a 및 도 14b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노즐에서 락킹부를 저면에서 바라본 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 도 14a 및 도 14b를 참고하여 제2실시예에 따른 락킹부(2431)를 설명한다.
스토퍼(24312)는 힌지(24312a), 버튼밀착부(24312b) 및 삽입부(24312c)로 구성될 수 있다.
스토퍼 힌지(24312a)는 회전조향부(430)에 결합되고, 회전중심축이 된다.
버튼밀착부(24312b)는 스토퍼 힌지(24312a)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버튼(24311)에 밀착되고, 버튼(24311)이 작동시 스토퍼 힌지(24312a)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예를 들어, 도 14a 및 도 14b를 참조하면 버튼밀착부(24312b)는 스토퍼 힌지(24312a)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버튼(24311) 작동시 버튼(24311)이 버튼밀착부(24312b)를 후방으로 밀어내고, 버튼밀착부(24312b)는 도 14a 및 도 14b를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스토퍼 삽입부(24312c)는 스토퍼 힌지(24312a)로부터 버튼밀착부(24312b)가 연장된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버튼(24311)이 비작동시 고정조향부(440)에 형성된 홈에 삽입된다.
예를 들어, 도 14a 및 도 14b를 참조하면 스토퍼 삽입부(24312c)는 스토퍼 힌지(24312a)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버튼(24311) 작동시 버튼밀착부(24312b)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스토퍼 삽입부(24312c)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스토퍼 삽입부(24312c)는 스토퍼 수용부(440a)로부터 인출된다.
연결관(400)이 저각도에서 고각도로 위치하면, 탄성부재에 의해 스토퍼(24312)가 도 14a 및 도 14b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스토퍼 수용부(440a)에 삽입된다.
도 15a 및 도 15b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노즐에서 락킹부를 저면에서 바라본 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6a 및 도 16b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노즐에서 락킹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 도 15a, 도 15b, 도 16a 및 도 16b를 참조하여, 제3실시예에 따른 락킹부(3431)를 설명한다.
락킹부(3431)는 래크(34311a,34312b) 및 피니언(34313)을 포함한다.
피니언(34313)은 버튼(34311) 또는 스토퍼(343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기어 결합되고, 버튼(34311)의 동력을 스토퍼(34312)에 전달한다.
제1피니언(34313a)은 피니언(34313)의 일 측에 배치된다. 도 15a, 도 15b, 도 16a 및 도 16b를 참조하면, 제1피니언(34313a)은 피니언(34313)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피니언(34313a)은 버튼(34311)에 형성된 제1래크(34311a)에 치합된다.
제1피니언 삽입홈(34311c)은 버튼(34311)의 일 면에서 내측으로 함몰되고, 제1피니언(34313a)이 삽입된다.
도 15a, 도 15b, 도 16a 및 도 16b를 참조하면, 제1피니언 삽입홈(34311c)은 버튼(34311)의 후면에서 전방으로 함몰하여 형성된다. 제1피니언 삽입홈(34311c)은 후방이 개방된 U-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래크(34311a)는 제1피니언(34313a)과 마주하는 버튼(34311)의 내측면에 형성되되, 두개의 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만 형성된다.
도 15a, 도 15b, 도 16a 및 도 16b를 참조하면, 제1래크(34311a)는 우측 내측면에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면에 도시한 것과 달리, 제1래크(34311a)는 좌측 내측면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피니언(34313)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것이다.
제2피니언(34313b)은 피니언(34313)의 타 측에 배치된다. 도 15a, 도 15b, 도 16a 및 도 16b를 참조하면, 제2피니언(34313b)은 피니언(34313)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피니언(34313b)은 스토퍼(34312)에 형성된 제2래크(34312b)에 치합된다.
제2피니언 삽입홈(34312c)은 스토퍼(34312)의 일 면에서 내측으로 함몰되고, 제2피니언(34313b)이 삽입된다.
도 15a, 도 15b, 도 16a 및 도 16b를 참조하면, 제2피니언 삽입홈(34312c)은 스토퍼(34312)의 전면에서 후방으로 함몰하여 형성된다. 제2피니언 삽입홈(34312c)은 전방이 개방된 U-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래크(34312b)는 제2피니언(34313b)과 마주하는 스토퍼(34312)의 내측면에 형성되되, 두개의 면 중 제1래크(34311a)에 대응하지 않는 면에만 형성된다.
도 15a, 도 15b, 도 16a 및 도 16b를 참조하면, 제2래크(34312b)는 좌측 내측면에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면에 도시한 것과 달리, 제2래크(34312b)는 우측 내측면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5a, 도 15b, 도 16a 및 도 16b를 참조하여 제3실시예에 따른 락킹부(3431)의 작동을 설명한다.
연결관(400)이 저각도로 위치하면 버튼(34311)이 버튼 작동부재(140)에 의해 작동되고 후방으로 이동한다. 버튼(34311)이 후방으로 이동하면 제1래크(34311a) 및 제1피니언(34313a)에 의해 피니언(34313)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피니언(34313)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피니언(34313b) 및 제2래크(34312b)에 의해 스토퍼(34312)가 전방으로 이동한다. 스토퍼(34312)가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스토퍼 수용부(440a)로부터 인출되는 바, 고정조향부(440)가 회전할 수 있다.
도 17a 및 도 17b에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노즐에서 락킹부를 저면에서 바라본 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8a 및 도 18b에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노즐에서 락킹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 도 17a, 도 17b, 도 18a 및 도 18b를 참조하여, 제4실시예에 따른 락킹부(4431)를 설명한다.
락킹부(4431)는 전달기어(44313)를 포함할 수 있다.
전달기어(44313)는 버튼(44311)의 동력을 스토퍼(44312)에 전달한다.
전달기어(44313)는 제1가이드(44313a) 및/또는 제2가이드(4431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가이드(44313a)는 전달기어(44313)의 일 면에서 돌출되고, 버튼(44311)에 연결되고, 버튼(44311)이 작동시 전달기어(44313)를 회전시킨다.
도 17a, 도 17b, 도 18a 및 도 18b를 참조하면, 제1가이드(44313a)는 전달기어(44313)의 하부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된다. 버튼(44311)에는 제1슬릿(44311a)이 형성된다. 제1가이드(44313a)는 제1슬릿(44311a)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제2가이드(44313b)는 전달기어(44313)의 타 면에서 돌출되고, 스토퍼(44312)에 연결되고, 전달기어(44313)가 회전하면 스토퍼(44312)를 이동시킨다.
도 17a, 도 17b, 도 18a 및 도 18b를 참조하면, 제2가이드(44313b)는 전달기어(44313)의 상부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된다. 스토퍼(44312)에는 제2슬릿(44312b)이 형성된다. 제2가이드(44313b)는 제2슬릿(44312b)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도 17a, 도 17b, 도 18a 및 도 18b를 참조하여 제4실시예에 따른 락킹부(4431)의 작동을 설명한다.
연결관(400)이 저각도로 위치하면 버튼(44311)이 버튼 작동부재(140)에 의해 작동되고, 후방으로 이동한다. 버튼(44311)이 후방으로 이동하면 제1가이드(44313a)가 제1슬릿(44311a) 내부를 슬라이딩 이동하며 후방으로 이동된다. 제1가이드(44313a)가 후방으로 이동되면 전달기어(44313)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전달기어(44313)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가이드(44313b)가 전방으로 이동된다. 제2가이드(44313b)가 전방으로 이동되면, 제2가이드(44313b)가 제2슬릿(44312b) 내부를 슬라이딩 이동하며 스토퍼(44312)를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스토퍼(44312)가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스토퍼 수용부(440a)로부터 인출되는 바, 고정조향부(440)가 회전할 수 있다.
도 19a 및 도 19b에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노즐에서 락킹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9a 및 도 19b에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노즐에서 락킹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 도 19a 및 도 19b를 참조하여, 제5실시예에 따른 락킹부(5431)를 설명한다.
락킹부(5431)는 와이어(54313) 및 와이어 드럼(54314)을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54313)는 스토퍼(54312)에 연결된다.
와이어 드럼(54314)은 와이어(54313)가 권선되고, 스토퍼(54312)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스토퍼(54312)에 외력을 가한다.
와이어 드럼(54314)은 스토퍼(54312)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버튼(54311)은 고각도에서 스토퍼(54312)를 고정하고, 저각도에서 스토퍼(54312)를 해제한다. 고각도에서 버튼(54311)은 스토퍼(54312)를 고정하는 바, 스토퍼(54312)는 스토퍼 수용부(440a)에 삽입되어 고정조향부(440)의 회전을 차단한다. 저각도에서 버튼(54311)은 스토퍼(54312)의 고정을 해제하는 바, 스토퍼(54312)는 와이어(54313)의 장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되고, 스토퍼 수용부(440a)로부터 인출되고, 고정조향부(440)는 회전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Claims (14)

  1.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가 형성된 노즐 하우징;
    상기 노즐 하우징의 일 측에 형성된 버튼 작동부재;
    상기 흡입구와 연통되는 유로가 형성된 연결관;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관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조향부;
    상기 회전조향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조향부;
    상기 고정조향부를 상기 회전조향부에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락킹부;를 포함하고,
    상기 락킹부는,
    상기 회전조향부에 배치되고, 지면과 상기 연결관 사이의 각도가 소정 각도 이하에서 상기 버튼 작동부재에 의해 작동되는 버튼;
    상기 버튼의 작동에 의해 작동되고, 비작동시 적어도 일부가 상기 고정조향부에 형성된 스토퍼 수용부에 삽입되고, 작동시 상기 스토퍼 수용부로부터 인출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청소기 노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아지테이터;
    상기 노즐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아지테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구는 상기 제1 아지테이터와 상기 제2 아지테이터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아지테이터의 직경은 상기 제2 아지테이터의 직경과 다르고,
    상기 제1 아지테이터와 상기 제2 아지테이터가 지면에 접촉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노즐 하우징의 상측 면은 지면과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청소기 노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이동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작동되는 청소기 노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부는,
    상기 버튼에 홀이 형성되고,
    상기 버튼 작동부재에 배치되고, 상기 버튼의 홀에 삽입되면서 상기 버튼을 이동시키는 해제후크;를 더 포함하는 청소기 노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회전조향부에 결합되고, 회전중심축이 되는 힌지;
    상기 스토퍼의 힌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버튼에 밀착되고, 상기 버튼이 작동시 상기 스토퍼의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버튼밀착부;
    상기 스토퍼의 힌지로부터 버튼밀착부가 연장된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버튼이 비작동시 상기 고정조향부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청소기 노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부는,
    상기 버튼 또는 상기 스토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기어 결합되고, 상기 버튼의 동력을 상기 스토퍼에 전달하는 피니언;을 포함하는 청소기 노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부는,
    상기 피니언의 일 측에 배치된 제1피니언;
    상기 버튼의 일 면에서 내측으로 함몰되고, 상기 제1피니언이 삽입되는 제1피니언 삽입홈;
    상기 제1피니언과 마주하는 상기 버튼의 내측면에 형성되되, 두개의 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만 형성되는 제1래크;
    상기 피니언의 타 측에 배치된 제2피니언;
    상기 스토퍼의 일 면에서 내측으로 함몰되고, 상기 제2피니언이 삽입되는 제2피니언 삽입홈;
    상기 제2피니언과 마주하는 상기 스토퍼의 내측면에 형성되되, 두개의 면 중 제1래크에 대응하지 않는 면에만 형성되는 제2래크;를 포함하는 청소기 노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부는,
    상기 버튼의 동력을 상기 스토퍼에 전달하는 전달기어;
    상기 전달기어의 일 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버튼에 연결되고, 상기 버튼이 작동시 상기 전달기어를 회전시키는 제1가이드;를 포함하는 청소기 노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부는,
    상기 버튼의 동력을 상기 스토퍼에 전달하는 전달기어;
    상기 전달기어의 타 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스토퍼에 연결되고, 상기 전달기어가 회전하면 상기 스토퍼를 이동시키는 제2가이드;를 포함하는 청소기 노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부는,
    상기 스토퍼에 연결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가 권선되고, 상기 스토퍼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상기 스토퍼에 외력을 가하는 와이어 드럼;을 포함하는 청소기 노즐.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은,
    상기 노즐 하우징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연결관을 요잉시키는 제1 조향부;
    상기 제1 조향부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연결관을 피칭시키는 제2 조향부;
    상기 제2 조향부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연결관을 롤링시키는 제3 조향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조향부는 제3 조향부인 청소기 노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조향부는 제2 조향부인 청소기 노즐.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작동시 상기 버튼 작동부재에 의해 가압되면서 상기 회전조향부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스토퍼는,
    작동시 상기 회전조향부 내부로 삽입되면서 상기 고정조향부에 형성된 홈으로부터 인출되는 청소기 노즐.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이 삽입되는 방향과 상기 스토퍼가 삽입되는 방향은 서로 반대되는 청소기 노즐.
PCT/KR2023/014983 2022-10-11 2023-09-27 청소기 노즐 WO2024080645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9864A KR20240050098A (ko) 2022-10-11 2022-10-11 청소기 노즐
KR10-2022-0129864 2022-10-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80645A1 true WO2024080645A1 (ko) 2024-04-18

Family

ID=90669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3/014983 WO2024080645A1 (ko) 2022-10-11 2023-09-27 청소기 노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50098A (ko)
WO (1) WO2024080645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5079A (ja) * 1999-02-08 2000-08-15 Sharp Corp 電気掃除機用吸込口体
KR20060083095A (ko) * 2005-01-14 2006-07-20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굴절 연장관
JP4678682B2 (ja) * 2005-12-08 2011-04-27 株式会社東芝 吸込口体
US20180255992A1 (en) * 2013-07-31 2018-09-13 Dyson Technology Limited Cleaner head for a vacuum cleaner
KR20220112425A (ko) * 2021-02-04 2022-08-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02047B (en) 2003-05-29 2006-07-19 Dyson Ltd A cleaning head
GB2516839B (en) 2013-07-31 2015-12-02 Dyson Technology Ltd Cleaner head for a vacuum clean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5079A (ja) * 1999-02-08 2000-08-15 Sharp Corp 電気掃除機用吸込口体
KR20060083095A (ko) * 2005-01-14 2006-07-20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굴절 연장관
JP4678682B2 (ja) * 2005-12-08 2011-04-27 株式会社東芝 吸込口体
US20180255992A1 (en) * 2013-07-31 2018-09-13 Dyson Technology Limited Cleaner head for a vacuum cleaner
KR20220112425A (ko) * 2021-02-04 2022-08-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0098A (ko) 2024-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312743B2 (en) Cleaner
WO2020096246A1 (en) Robot cleaner, station and cleaning system
WO2021060662A1 (ko) 로봇청소기 및 로봇청소기의 제어방법
WO2019031795A1 (ko) 청소기
WO2018074852A1 (ko) 로봇 청소기
WO2021060661A1 (ko) 로봇 청소기
WO2021054568A1 (ko) 청소기
WO2018124544A1 (ko) 로봇 청소기
WO2019146923A1 (ko) 청소기
WO2022182201A1 (ko) 청소기
WO2021015415A1 (ko) 진공 청소기
WO2024080645A1 (ko) 청소기 노즐
WO2021137522A1 (ko) 로봇 청소기
WO2020013472A1 (ko) 청소기의 노즐
WO2022169121A1 (ko) 청소기
WO2022010029A1 (ko) 로봇 청소기
WO2021141232A1 (ko) 진공 청소기
WO2022015023A1 (ko) 로봇 청소기
WO2021020907A1 (en) Cleaner
WO2021201364A1 (ko) 로봇 청소기
WO2022045679A1 (ko) 진공청소기
WO2022065906A1 (ko) 청소기
WO2022131710A1 (ko) 청소기 시스템
WO2020246720A1 (ko) 청소기
WO2021054569A1 (ko) 진공 청소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