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090673A1 - 식품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식품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090673A1
WO2023090673A1 PCT/KR2022/016360 KR2022016360W WO2023090673A1 WO 2023090673 A1 WO2023090673 A1 WO 2023090673A1 KR 2022016360 W KR2022016360 W KR 2022016360W WO 2023090673 A1 WO2023090673 A1 WO 202309067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unit
container
vacuum
mixing
mix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1636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종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Publication of WO202309067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09067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6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bottom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8Driving mechanism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식품 가공장치는 피가공물이 공급되는 개구부 및 피가공물이 수용되어 가공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용기, 용기 내부에 수용되어 수용 공간에 수용된 피가공물을 교반 및 분쇄하는 블레이드 유닛, 용기의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리드유닛 및 리드유닛의 하부로부터 블레이드 유닛이 배치된 용기의 바닥면을 향해 하향으로 연장되어 수용 공간에 수용된 피가공물을 교반하는 복수 개의 아암을 갖는 믹싱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식품 가공장치
본 발명은 식품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가공물인 식품을 분쇄 및 교반하여 가공하는 식품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식품 가공장치는 채소류, 과일류, 고기류, 곡류 등의 식품을 피가공물로 하여 조리하는 식품 제조가 가능한 기기이다. 식품 가공장치는 분쇄 및 교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피가공물을 가공하는 믹서 및 블렌더와 같은 식품 가공장치뿐만 아니라 피가공물을 착즙하는 착즙기와 같은 다양한 식품 가공장치가 존재한다.
이러한 믹서, 블렌더 및 착즙기와 같은 식품 가공장치는 기업에서 대량으로 제조되는 가공물을 대체하여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피가공물을 가공하여 가공물을 제조하기 위한 요구에 따라 지속적으로 개발 및 구매가 성장하고 있다.
여기서, 분쇄 및 교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식품 가공장치의 기본적인 구조는 피가공물을 수용하는 용기, 용기 내부에 배치되어 용기에 수용된 피가공물을 분쇄 및 교반 중 적어도 하나로 가공하는 블레이드 및 용기가 결합되고 블레이드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터를 수용한 본체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한 분쇄 및 교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피가공물을 가공하는 식품 가공장치는 용기의 바닥면에 배치된 블레이드의 회전 운동력을 이용하고, 이때 블레이드의 회전 운동력에 따른 원심력에 의해 피가공물은 용기의 내벽면을 타고 상방으로 이동될 뿐만 아니라 용기의 내벽면에 부착된다.
그런데, 종래와 같이 용기의 바닥면에 배치된 블레이드의 회전 운동력에 따라 피가공물이 용기의 내벽면을 타고 상방으로 이동 및 용기의 내벽면에 부착되면 용기 내부에서 피가공물의 가공 효율, 즉 피가공물의 분쇄 및 교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분쇄 및 교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피가공물을 가공할 때 피가공물을 분쇄 및 교반 효율을 향상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식품 가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에 따라 피가공물이 공급되는 개구부 및 피가공물이 수용되어 가공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용기와, 상기 용기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된 피가공물을 교반 및 분쇄하는 블레이드 유닛과, 상기 용기의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리드유닛과, 상기 리드유닛의 하부로부터 상기 블레이드 유닛이 배치된 상기 용기의 바닥면을 향해 하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된 피가공물을 교반하는 복수 개의 아암을 갖는 믹싱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가공장치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용기의 상기 수용 공간과 선택적으로 연통되어 상기 수용 공간의 내부를 진공 분위기로 형성하는 진공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믹싱유닛은 상기 블레이드 유닛의 회전축선과 동일한 회전축선을 가지고 배치되며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된 피가공물을 교반 및 상기 용기의 내벽면에 부착된 피가공물의 스크레이핑(scraping)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도록 회전 운동할 수 있다.
상기 믹싱유닛은 복수 개의 상기 아암에 대응되며 복수 개의 상기 아암이 회전 운동하는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각각 상기 아암의 회전 운동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서포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암은 상기 아암이 회전 운동할 때 형성하는 가상의 원주에 접선 방향으로 상기 용기의 내벽면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용기의 내벽면에 부착된 피가공물을 스크레이핑 하는 스크레이핑부와, 상기 스크레이핑부의 중심으로부터 가상의 원주의 중심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블레이드 유닛의 회전 운동에 따른 원심력에 의해 상기 용기의 내벽면으로 이동되는 피가공물에 구심력을 제공하는 구심력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 가공장치는 상기 용기가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블레이드 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블레이드 유닛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블레이드 유닛 구동부와,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리드유닛을 사이에 두고 상기 용기를 커버하는 커버유닛과, 상기 커버유닛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믹싱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믹싱유닛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믹싱유닛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는 상기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용기 본체 및 상기 용기 본체의 외부에 배치된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리드유닛은 상기 용기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리드본체와, 상기 리드본체의 중심 영역에 관통된 관통 홀에 배치되고 상기 믹싱유닛과 상기 믹싱유닛 구동부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믹싱유닛 구동부로부터 제공된 회전 구동력을 상기 믹싱유닛에 전달하는 구동 전달부와, 상기 리드본체의 외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의 상부 영역에 결합되어 상기 믹싱유닛의 회전 운동 시 상기 리드본체의 회전을 제한하는 키(key)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전달부는 상기 믹싱유닛 구동부와 맞물리는 제 1구동 전달부와, 상기 믹싱유닛과 맞물리며 상기 제 1구동 전달부로부터 전달된 회전 구동력을 상기 믹싱유닛에 전달하는 제 2구동 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전달부는 상기 제 1구동 전달부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관통 홀과 상기 제 1구동 전달부의 외주면을 밀폐하여 상기 용기의 기밀성을 유지하는 리테이너와, 상기 제 2구동 전달부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관통 홀에 대해 상기 제 2구동 전달부를 홀딩하여 상기 관통 홀로부터 상기 제 1구동 전달부 및 상기 제 2구동 전달부의 이탈을 저지하는 홀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공유닛은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수용 공간을 진공 분위기로 형성하는 진공 펌프와, 상기 커버유닛 내부의 상기 믹싱유닛 구동부의 일측 및 상기 믹싱유닛 구동부와 대응된 상기 리드유닛의 진공 홀에 배치되고 상기 진공 펌프가 작동할 때 선택적으로 개방되어 상기 수용 공간과 진공 라인을 연통하는 진공 밸브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공 밸브 조립체는 상기 리드유닛의 상기 수용 공간과 연통되는 상기 진공 홀에 배치되어 상기 진공 홀을 개방하는 개방위치와 폐쇄하는 폐쇄위치 사이에서 이동되는 진공 밸브와, 상기 커버유닛에 의해 상기 리드유닛이 커버될 때 상기 진공 밸브를 둘러싸는 연성 재질로 마련되어 상기 진공 밸브 영역을 밀폐하는 밀폐부와, 상기 커버유닛이 상기 리드유닛을 커버할 때 상기 밀폐부가 상기 진공 밸브 영역을 밀폐하도록 상기 밀폐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밀폐부에 연결되며 상기 탄성부재로부터 제공된 탄성력에 의해 상기 밀폐부를 상기 커버유닛의 하부면으로부터 상기 리드유닛의 상부면을 향해 이동시키는 스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는 상기 개구부에 인접한 위치에 내벽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고 복수 개의 상기 서포터를 지지하여 상기 리드유닛과의 사이에서 상기 믹싱유닛의 회전 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와 상기 본체의 결합은 상기 진공유닛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용기가 상기 본체에 대해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결합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식품 가공장치는 상기 블레이드 유닛과 상기 믹싱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작동하도록 입력 신호를 인가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블레이드 유닛과 상기 믹싱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작동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진공유닛의 작동 중에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된 피가공물을 교반하도록 상기 믹싱유닛을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진공유닛의 작동 후 상기 수용 공간의 진공 분위기 상태에서 상기 블레이드 유닛 및 상기 믹싱유닛을 작동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가공장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용기의 상부로부터 용기의 내벽면을 인접하여 용기의 바닥면을 향해 배치되는 복수 개의 아암을 갖는 믹싱유닛을 배치하고 용기 내부의 수용 공간에서 믹싱유닛을 회전 운동하여 용기의 내벽면에 부착되는 피가공물을 스크레이핑 할 뿐만 아니라 용기의 내벽면으로 이동하는 피가공물에 구심력을 제공하여 피가공물의 이동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피가공물의 분쇄 및 교반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둘째, 용기 내부를 진공 분위기 상태로 형성하는 진공유닛을 배치하여 피가공물의 산화 등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기 내부의 진공 배기 시 믹싱유닛의 회전 운동에 의해 피가공물의 틈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용기 내부의 진공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식품 가공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식품 가공장치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식품 가공장치의 커버유닛이 개방된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Ⅳ-Ⅳ 선의 단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Ⅴ-Ⅴ 선의 단면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Ⅵ-Ⅵ 선의 단면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A 영역의 확대 단면도,
도 8은 도 3에 도시된 B 영역의 확대 사시도,
도 9는 도 1에 도시된 리드유닛 및 진공유닛의 일부에 대한 사시도,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C 영역의 확대 단면도,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믹싱유닛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믹싱유닛을 X축선을 기준으로 본 정면도,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믹싱유닛의 평면도,
도 14는 도 11에 도시된 믹싱유닛의 배면도,
도 15는 도 4에 도시된 D 영역의 확대 단면도,
도 16은 도 1에 도시된 커버유닛, 믹싱유닛 구동부 및 진공유닛의 일부에 대한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식품 가공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식품 가공장치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식품 가공장치는 용기 내부를 진공 분위기로 형성하는 진공유닛을 포함하고 있으나, 진공유닛을 제외한 구성으로 사용할 수 있음도 미리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식품 가공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식품 가공장치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식품 가공장치의 커버유닛이 개방된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Ⅳ-Ⅳ 선의 단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Ⅴ-Ⅴ 선의 단면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Ⅵ-Ⅵ 선의 단면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A 영역의 확대 단면도, 그리고 도 8은 도 3에 도시된 B 영역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식품 가공장치(1)는 용기(10), 블레이드 유닛(50), 리드유닛(130) 및 믹싱유닛(150)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식품 가공장치(1)는 본체(30), 블레이드 유닛 구동부(70), 커버유닛(90), 믹싱유닛 구동부(110), 진공유닛(170), 입력부(190) 및 제어부(210)를 더 포함한다.
용기(10)는 용기본체(11), 손잡이(15), 결합 돌기(17) 및 가이드 레일(19)을 포함한다. 용기본체(11)는 피가공물이 공급되는 개구부(21) 및 개구부(21)로 투입된 피가공물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13)을 형성한다. 용기본체(11)는 본체(30)에 형성된 수용부(33)에 결합 및 분리된다.
손잡이(15)는 용기본체(11)의 일측에 배치된다. 손잡이(15)는 용기본체(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파지부(15a) 및 파지부(15a)의 상부에 배치되어 후술할 리드유닛(130)의 키(key)(137)와 맞물리는 키 결합홈(15b)을 포함한다. 키 결합홈(15b)은 파지부(15a)의 상부에 함몰된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리드유닛(130)의 키(137)와 결합하여 용기본체(11)에 대해 리드유닛(130)의 회전을 제한한다.
결합 돌기(17)는 본체(30)의 수용부(33)에 형성된 결합 홈(35)에 맞물린다. 상세하게 용기(10)와 본체(30)의 결합은 커버유닛(90)과 리드유닛(130)의 중심에서 편향된 위치에 배치된 진공유닛(170)이 상호 대응되도록 용기(10)가 본체(30)에 대해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이루어진다. 즉, 결합 돌기(17)와 결합 홈(35)은 진공유닛(170)의 위치를 고려하여 일 방향으로만 결합되며, 결합 돌기(17)와 결합 홈(35)의 위치는 각각 본체(30)와 용기(10)에 교호적으로 설계 변경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9)은 개구부(21)에 인접한 위치에 내벽면을 따라 돌출 형성된다. 가이드 레일(19)은 후술할 믹싱유닛(150)의 복수 개의 서포터(153)를 지지하여 리드유닛(130)과의 사이에서 믹싱유닛(150)의 회전 운동을 가이드 한다. 상세하게 가이드 레일(19)은 용기(10)의 내벽면으로부터 중심을 향해 돌출되어 서포터(153)의 자유단을 지지한다.
본체(30)는 용기(10)가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되도록 마련된다. 본체(30)는 케이스(31), 수용부(33) 및 결합 홈(35)을 포함한다. 케이스(31)는 블레이드 유닛(50)과 결합하여 블레이드 유닛(50)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블레이드 유닛 구동부(70) 및 용기(10)의 수용 공간(13)을 진공 분위기로 형성하기 위한 진공유닛(170)의 후술할 진공 펌프(171)를 수용한다. 케이스(31)의 외부에는 블레이드 유닛 구동부(70), 믹싱유닛 구동부(110) 및 진공유닛(170)에 입력 신호를 인가하는 입력부(190)가 배치된다. 수용부(33)는 케이스(31)의 상부에 배치되며 용기(10)의 하부에 결합된다. 결합 홈(35)은 상술한 바와 같이 용기(10)의 결합 돌기(17)와 맞물림 결합된다.
블레이드 유닛(50)은 용기(10) 내부, 상세하게 용기(10) 내부의 바닥면에 수용되어 수용 공간(13)에 수용된 피가공물을 교반 및 분쇄한다. 블레이드 유닛(50)은 용기(10)와 본체(30)의 결합 시 본체(30)에 수용된 블레이드 유닛 구동부(70)와 결합하고, 블레이드 유닛 구동부(70)로부터 제공된 회전 구동력에 따라 회전 운동한다.
다음으로 도 9는 도 1에 도시된 리드유닛 및 진공유닛의 일부에 대한 사시도,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C 영역의 확대 단면도,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믹싱유닛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믹싱유닛을 X축선을 기준으로 본 정면도,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믹싱유닛의 평면도, 도 14는 도 11에 도시된 믹싱유닛의 배면도, 도 15는 도 4에 도시된 D 영역의 확대 단면도, 그리고 도 16은 도 1에 도시된 커버유닛, 믹싱유닛 구동부 및 진공유닛의 일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커버유닛(90)은 도 9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3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리드유닛(130)을 사이에 두고 용기(10)를 커버한다. 커버유닛(90)은 상술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30)에 대해 X축선 방향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리드유닛(130)의 상부를 개방 및 폐쇄한다.
커버유닛(90)은 커버본체(91) 및 버튼(93)을 포함한다. 커버본체(91)는 믹싱유닛 구동부(110) 및 진공유닛(170)의 일부, 즉 진공 밸브 조립체(173)의 밀폐부(173b), 탄성부재(173c), 스풀(173d) 및 진공 배관(175)을 수용한다. 버튼(93)은 커버본체(91)가 리드유닛(130)을 폐쇄하는 락킹 상태에서 리드유닛(130)을 개방하기 위해 락킹 해제하도록 사용된다.
믹싱유닛 구동부(110)는 커버유닛(90)의 내부에 수용된다. 믹싱유닛 구동부(110)는 믹싱유닛(150)과 연결되어 믹싱유닛(150)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한다. 믹싱유닛 구동부(110)는 믹싱모터(111)와 믹싱모터(111)에 결합되고 믹싱유닛(150)에 연결되는 구동 연결부(113)를 포함한다. 구동 연결부(113)는 실질적으로 리드유닛(130)의 구동 전달부(139)를 통해 믹싱유닛(150)과 연결된다.
리드유닛(130)은 용기(10)의 개구부(21)를 개폐한다. 리드유닛(130)은 커버유닛(90)과 용기(10)의 개구부(21) 사이에 배치된다. 리드유닛(1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리드본체(131), 관통 홀(133), 진공 홀(135), 키(137) 및 구동 전달부(139)를 포함한다.
리드본체(131)는 용기(10)의 개구부(21)와 커버유닛(90) 사이에 배치된다. 상세하게 리드본체(131)는 용기(10)의 개구부(21)를 폐쇄한 상태에서 커버유닛(90)에 의해 커버되고, 용기(10)의 개구부(21)를 통해 피가공물의 공급 및 가공된 가공물을 배출하기 위해 개구부(21)를 개방한다. 리드본체(131)의 중앙에는 믹싱유닛(150)과 믹싱유닛 구동부(110)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관통 홀(133)이 형성되고, 관통 홀(133)의 일측에는 수용 공간(13)의 진공 배기를 위한 진공 홀(135)이 형성된다. 여기서, 관통 홀(133)에는 믹싱유닛(150)과 믹싱유닛 구동부(110)를 상호 연결하는 구동 전달부(139)가 배치된다.
키(137)는 리드본체(131)의 외주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키(137)는 손잡이(15)의 상부 영역, 상세하게 파지부(15a)의 상부에 형성된 키 결합홈(15b)에 결합되어 믹싱유닛(150)의 회전 운동 시 믹싱유닛(150)과 리드본체(131)가 함께 회전되는 것을 제한한다.
구동 전달부(139)는 리드본체(131)의 중심 영역에 관통된 관통 홀(133)에 배치된다. 구동 전달부(139)는 믹싱유닛(150)과 믹싱유닛 구동부(110)를 상호 연결하여 믹싱유닛 구동부(110)로부터 제공된 회전 구동력을 믹싱유닛(150)에 전달한다. 구동 전달부(13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믹싱유닛 구동부(110)의 구동 연결부(113)와 맞물리는 제 1구동 전달부(139a)와 후술할 믹싱유닛(150)의 믹싱유닛 연결부(155)와 맞물리며 제 1구동 전달부(139a)로부터 전달된 회전 구동력을 믹싱유닛(150)에 전달하는 제 2구동 전달부(139b)를 포함한다. 제 1구동 전달부(139a)와 제 2구동 전달부(139b)는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고, 각각 제작되어 상호 결합된 제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구동 전달부(139)는 리테이너(139c) 및 홀더부(139d)를 더 포함한다.
리테이너(139c)는 제 1구동 전달부(139a)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되며 관통 홀(133)과 제 1구동 전달부(139a)의 외주면을 밀폐하여 용기(10)의 기밀성을 유지한다. 상세하게 리테이너(139c)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립 방향으로 'ㄷ'자 형상을 갖는 고무와 같은 연성 재질로 마련된다. 리테이너(139c)는 믹싱유닛(150)이 회전 운동될 때 용기(10)의 기밀성을 유지하도록 사용된다. 특히, 리테이너(139c)는 진공유닛(170)의 작동에 의해 용기(10) 내부가 진공 분위기를 유지하도록 관통 홀(133)과 제 1구동 전달부(139a) 사이의 기밀을 유지한다. 상술한 리테이너(139c)의 기립 방향으로 '
Figure PCTKR2022016360-appb-img-000001
' 형상을 갖는 이유는 진공유닛(170)의 작동에 의해 용기(10) 내부가 진공 분위기로 형성되면 압력의 영향에 의해 용기(10) 방향으로 당겨지는 현상에 따라 변형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이를 해소하기 위함이다.
홀더부(139d)는 제 2구동 전달부(139b)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되고 관통 홀(133)에 대해 제 2구동 전달부(139b)를 홀딩하여 관통 홀(133)로부터 제 1구동 전달부(139a) 및 제 2구동 전달부(139b)의 이탈을 저지한다. 홀딩부(139d)는 제 1구동 전달부(139a) 및 제 2구동 전달부(139b)가 관통 홀(133)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또한, 홀딩부(139d)는 진공유닛(170)의 작동 시 제 1구동 전달부(139a)와 제 2구동 전달부(139b)가 압력의 영향에 의해 용기(10)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제한 한다. 더불어, 홀딩부(139d)는 용기(10)로부터 공기의 누설되는 경로를 최소화 함으로써 리테이너(139c)로 가는 압력을 영향을 최소화 하는 역할도 함께 수행한다.
믹싱유닛(150)은 리드유닛(130)의 하부로부터 블레이드 유닛(50)이 배치된 용기(10)의 바닥면을 향해 하향으로 연장되어 수용 공간(13)에 수용된 피가공물을 교반한다. 믹싱유닛(15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아암(151), 서포터(153) 및 믹싱유닛 연결부(155)를 포함한다. 믹싱유닛(150)은 블레이드 유닛(50)의 회전축선과 동일한 회전축선을 가지고 배치되어 수용 공간(13)에 수용된 피가공물을 교반 및 용기(10)의 내벽면에 부착된 피가공물의 스크레이핑(scraping)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도록 회전 운동한다.
상세하게 믹싱유닛(150)은 블레이드 유닛(50)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회전수를 가지고 회전 운동한다. 구체적으로 믹싱유닛(150)이 블레이드 유닛(50)과 같거나 더 빠른 속도의 회전수를 가지고 구동될 때 용기(10)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여 블레이드 유닛(50) 또는 믹싱유닛(150) 등의 파손 우려 또는 리드유닛(130)의 이탈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믹싱유닛(150)은 블레이드 유닛(50)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회전수를 가지고 회전 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믹싱유닛(150)은 블레이드 유닛(50)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 또는 역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믹싱유닛(150)은 블레이드 유닛(50)의 회전 방향의 역 방향으로 회전 운동한다. 믹싱유닛(150)이 블레이드 유닛(50)의 회전 방향의 역 방향으로 회전 운동 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 운동할 때 대비 상대적으로 와류 현상이 더 크게 발생하여 교반 및 분쇄 효율을 향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아암(151)은 용기(10)의 내벽면에 인접하여 리드유닛(130)의 하부로부터 블레이드 유닛(50)이 배치된 용기(10)의 바닥면을 향해 하향으로 연장된다. 아암(15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3개가 사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2개 또는 3개를 초과하여 사용될 수 있다.
아암(151)은 스크레이핑부(151a) 및 구심력 제공부(151b)를 포함한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레이핑부(151a)는 아암(151)이 회전 운동할 때 형성하는 가상의 원주에 접선 방향으로 용기(10)의 내벽면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스크레이핑부(151a)는 회전 운동하여 용기(10)의 내벽면에 부착된 피가공물을 스크레이핑 한다. 한편, 구심력 제공부(151b)는 스크레이핑부(151a)의 중심으로부터 가상의 원주의 중심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구심력 제공부(151b)는 용기(10)의 중심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블레이드 유닛(50)의 회전 운동에 따른 원심력에 의해 용기(10)의 내벽면으로 이동되는 피가공물에 구심력을 제공한다. 또한, 구심력 제공부(151b)는 믹싱유닛(150)이 단독으로 회전 운동할 때 용기(10)의 내벽면으로 피가공물이 이동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피가공물에 구심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구심력 제공부(151b)에 의해 피가공물이 용기(10)의 내벽면으로 이동하는 것을 최소화하여 피가공물의 교반 및 분쇄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서포터(153)는 복수 개의 아암(151)에 대응되며 복수 개의 아암(151)이 회전 운동하는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각각 아암(151)의 회전 운동을 지지한다. 서포터(153)는 실질적으로 아암(151)과 믹싱유닛 연결부(155)를 상호 연결한다. 그리고, 서포터(153)는 상술한 용기(10)의 가이드 레일(19)에 안착되어 믹싱유닛(150)의 회전 운동 시 가이드 레일(19)을 따라 회전 운동함으로써 믹싱유닛(150)의 편심 회전 운동을 제한한다.
믹싱유닛 연결부(155)는 믹싱유닛(150)의 중심, 즉 복수 개의 서포터(153)가 교차하는 교차점에 형성된다. 믹싱유닛 연결부(155)는 믹싱유닛 구동부(110)로부터 제공된 회전 구동력이 믹싱유닛(150)에 전달될 수 있도록 구동 전달부(139), 상세하게 제 2구동 전달부(139b)와 연결된다.
진공유닛(170)은 용기(10)의 수용 공간(13)과 선택적으로 연통되어 수용 공간(13)의 내부를 진공 분위기로 형성한다. 진공유닛(170)은 수용 공간(13)의 내부를 음압 상태, 즉 진공 분위기로 형성함으로써, 수용 공간(13)에 수용된 피가공물의 산화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진공유닛(17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진공 펌프(171), 진공 밸브 조립체(173) 및 진공 배관(175)을 포함한다. 진공 펌프(171)는 본체(30) 내부에 수용되고, 진공 배관(175)은 진공 펌프(171)와 진공 밸브 조립체(173)를 상호 연결하여 수용 공간(13)을 진공 배기하는 진공 유로를 형성한다.
진공 밸브 조립체(173)는 커버유닛(90) 내부의 믹싱유닛 구동부(110)의 일측 및 믹싱유닛 구동부(110)와 대응된 리드유닛(130)의 진공 홀(135)에 배치된다. 진공 밸브 조립체(173)는 진공 펌프(171)가 작동할 때 선택적으로 개방되어 수용 공간(13)과 진공 라인을 연통한다. 진공 밸브 조립체(173)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진공 밸브(173a), 밀폐부(173b), 탄성부재(173c) 및 스풀(173d)을 포함한다.
진공 밸브(173a)는 리드유닛(130)의 수용 공간(13)과 연통되는 진공 홀(135)에 배치되어 진공 홀(135)을 개방하는 개방위치와 폐쇄하는 폐쇄위치 사이에서 이동한다. 진공 밸브(173a)는 진공 펌프(171)가 작동할 때 진공 홀(135)을 폐쇄하는 폐쇄위치에서 진공 홀(135)을 개방하는 개방위치로 이동한다. 이렇게 진공 밸브(173a)가 진공 홀(135)을 개방하면 진공 펌프(171)와 수용 공간(13) 사이에는 진공 라인이 형성되어 수용 공간(13)이 진공 배기된다.
밀폐부(173b)는 커버유닛(90)에 의해 리드유닛(130)이 커버될 때 진공 밸브(173a)를 둘러싸는 고무와 같은 연성 재질로 마련되어 진공 밸브(173a) 영역을 밀폐한다. 밀폐부(173b)는 진공 홀(135)을 형성하는 리드본체(131)의 내벽 기준으로 하향으로 배치된다. 밀폐부(173b)는 진공 밸브(173a)를 둘러싸서 진공 펌프(171)의 작동 시 진공 홀(135)을 통해 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밀폐한다.
탄성부재(173c)는 커버유닛(90)이 리드유닛(130)을 커버할 때 밀폐부(173b)가 진공 밸브(173a) 영역을 밀폐하도록 밀폐부(173b)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탄성부재(173c)는 일 실시 예로서, 인장 스프링으로 마련된다. 즉, 탄성부재(173c)는 인장 스프링으로 마련되어 커버유닛(90)이 리드유닛(130)을 개방할 때 형상을 유지하고, 커버유닛(90)이 리드유닛(130)을 폐쇄할 때 압축되어 리드유닛(130) 방향으로 밀폐부(173a)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이렇게 탄성부재(173c)가 리드유닛(130) 방향으로 밀폐부(173b)에 탄성력을 제공하면 밀폐부(173b)에 의한 진공 밸브(173a) 영역의 밀폐력이 증가한다.
스풀(173d)은 밀폐부(173b)에 연결되며 탄성부재(173c)로부터 제공된 탄성력에 의해 밀폐부(173b)를 커버유닛(90)의 하부면으로부터 리드유닛(130)의 상부면을 향해 이동시킨다. 즉, 스풀(173d)은 밀폐부(173b)에 연결되고 탄성부재(173c)에 의해 제공되는 탄성력을 밀폐부(173b)에 전달한다.
마지막으로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식품 가공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90)는 블레이드 유닛(50)과 믹싱유닛(1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작동하도록 입력 신호를 인가한다. 또는 입력부(190)는 진공유닛(170)이 작동하도록 입력 신호를 인가한다. 여기서, 입력부(190)의 입력 신호는 진공유닛(170)과 믹싱유닛(150)을 동시에 작동하는 입력 신호 또는 블레이드 유닛(50)의 회전 속도를 조정할 수 있는 입력 신호와 같이 제어적인 변경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입력부(190)로부터 입력되는 인가되는 입력 신호는 진공유닛(170)과 믹싱유닛(150)의 동시 작동, 믹싱유닛(150)과 블레이드 유닛(50)의 동시 작동 및 블레이드 유닛(50)의 회전 속도 조정의 입력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입력부(190)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블레이드 유닛(50)과 믹싱유닛(1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작동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10)는 입력부(190)로부터 입력된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진공유닛(170)의 작동 중에 수용 공간(13)에 수용된 피가공물을 교반하도록 믹싱유닛(150)을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제어부(210)의 제어 신호 출력은 진공유닛(170)의 작동 중에 수용 공간(13)에 수용된 복수 개의 피가공물을 교반하여 복수 개의 피가공물의 틈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수용 공간(13)의 진공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10)는 입력부(190)로부터 입력된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진공유닛(170)의 작동 후 수용 공간(13)의 진공 분위기 상태에서 블레이드 유닛(50) 및 믹싱유닛(150)을 작동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이렇게 제어부(210)는 블레이드 유닛(50)과 믹싱유닛(150)이 함께 작동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믹싱유닛(150)의 회전 운동에 의해 블레이드 유닛(50)의 회전 운동에 따른 원심력에 의해 용기(10)의 내벽면으로 이동하는 피가공물에 구심력을 제공하여 용기(10)의 내벽면으로 이동하는 피가공물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기(10)의 내벽면에 부착되는 피가공물을 스크레이핑 하여 분쇄 및 교반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식품 가공장치(1)의 작동 과정을 이하에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식품 가공장치(1)의 작동 과정은 진공유닛(170)이 미배치된 식품 가공장치(1)와 진공유닛(170)이 배치된 식품 가공장치(1)로 구분되나, 이하에서는 진공유닛(170)이 배치된 식품 가공장치(1)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식품 가공장치(1)는 작동 과정은 용기(10)의 개구부(21)를 통해 피가공물을 용기(10)의 수용 공간(13)으로 투입한다. 용기(10)의 내부에 믹싱유닛(150)을 배치한다. 그리고, 용기(10)의 개구부(21)를 리드유닛(130)으로 커버한다. 이때, 리드유닛(130)의 키(137)와 용기(10)의 손잡이(15) 상부 영역이 맞물리도록 용기(10)와 리드유닛(130)을 결합한다.
진공유닛(170)의 배치 위치를 고려하여 본체(30)에 대해 용기(10)를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결합한다. 커버유닛(90)으로 리드유닛(130)을 커버한다. 입력부(190)를 통해 입력 신호를 인가한다. 여기서, 입력부(19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는 진공유닛(170)과 믹싱유닛(150)의 작동 신호를 별도로 입력할 수도 있고, 한 개의 신호에 의해 진공유닛(170)과 믹싱유닛(150)의 작동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진공유닛(170)의 작동 중에 믹싱유닛(150)도 함께 작동한다. 그러면, 믹싱유닛(150)의 회전 운동에 의해 수용 공간(13)에 수용된 피가공물 사이의 틈이 최소화 되고, 이에 따라 수용 공간(13)의 진공 효율이 향상된다. 진공유닛(170)의 작동 종료 후에 입력 신호를 인가하여 블레이드 유닛(50)과 믹싱유닛(150)을 함께 회전 운동한다. 블레이드 유닛(50)의 회전 운동에 따른 원심력에 용기(10)의 내벽면으로 이동하는 피가공물은 믹싱유닛(150)의 구심력 제공부(151b)에 의해 최소화 되고 용기(10)의 내벽면에 부착되는 피가공물은 믹싱유닛(150)의 스크레이핑부(151a)에 의해 스크레이핑 된다. 이때, 블레이드 유닛(50)의 회전 속도는 입력부(190)의 입력 신호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이에, 용기의 상부로부터 용기의 내벽면을 인접하여 용기의 바닥면을 향해 배치되는 복수 개의 아암을 갖는 믹싱유닛을 배치하고 용기 내부의 수용 공간에서 믹싱유닛을 회전 운동하여 용기의 내벽면에 부착되는 피가공물을 스크레이핑 할 뿐만 아니라 용기의 내벽면으로 이동하는 피가공물에 구심력을 제공하여 피가공물의 이동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피가공물의 분쇄 및 교반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용기 내부를 진공 분위기 상태로 형성하는 진공유닛을 배치하여 피가공물의 산화 등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기 내부의 진공 배기 시 믹싱유닛의 회전 운동에 의해 피가공물의 틈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용기 내부의 진공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들이 변경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 발명을 지원한 국가연구개발사업]
과제고유번호, 과제번호, 부처명, 과제관리(전문)기관명, 연구사업명, 연구과제명, 기여율, 과제수행기관명, 연구기간
1415169243, 20009951,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KEIT), 디자인혁신연략강화사업(시장주도형제품디자인개발), 저소음과 저속회전 기술을 적용한 혁신 블렌더 서비스 디자인 개발, 1/1, ㈜엔유씨전자, 2020.04.01. ~ 2022.12.31.

Claims (16)

  1. 피가공물이 공급되는 개구부 및 피가공물이 수용되어 가공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용기와;
    상기 용기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된 피가공물을 교반 및 분쇄하는 블레이드 유닛과;
    상기 용기의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리드유닛과;
    상기 리드유닛의 하부로부터 상기 블레이드 유닛이 배치된 상기 용기의 바닥면을 향해 하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된 피가공물을 교반하는 복수 개의 아암을 갖는 믹싱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가공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상기 수용 공간과 선택적으로 연통되어, 상기 수용 공간의 내부를 진공 분위기로 형성하는 진공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가공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믹싱유닛은 상기 블레이드 유닛의 회전축선과 동일한 회전축선을 가지고 배치되며,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된 피가공물을 교반 및 상기 용기의 내벽면에 부착된 피가공물의 스크레이핑(scraping)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도록 회전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가공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믹싱유닛은,
    복수 개의 상기 아암에 대응되며, 복수 개의 상기 아암이 회전 운동하는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각각 상기 아암의 회전 운동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서포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가공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은,
    상기 아암이 회전 운동할 때 형성하는 가상의 원주에 접선 방향으로 상기 용기의 내벽면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용기의 내벽면에 부착된 피가공물을 스크레이핑 하는 스크레이핑부와;
    상기 스크레이핑부의 중심으로부터 가상의 원주의 중심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블레이드 유닛의 회전 운동에 따른 원심력에 의해 상기 용기의 내벽면으로 이동되는 피가공물에 구심력을 제공하는 구심력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가공장치.
  6. 제 2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가공장치는,
    상기 용기가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블레이드 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블레이드 유닛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블레이드 유닛 구동부와;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리드유닛을 사이에 두고 상기 용기를 커버하는 커버유닛과;
    상기 커버유닛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믹싱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믹싱유닛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믹싱유닛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가공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기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용기 본체 및 상기 용기 본체의 외부에 배치된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리드유닛은,
    상기 용기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리드본체와;
    상기 리드본체의 중심 영역에 관통된 관통 홀에 배치되고 상기 믹싱유닛과 상기 믹싱유닛 구동부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믹싱유닛 구동부로부터 제공된 회전 구동력을 상기 믹싱유닛에 전달하는 구동 전달부와;
    상기 리드본체의 외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의 상부 영역에 결합되어, 상기 믹싱유닛의 회전 운동 시 상기 리드본체의 회전을 제한하는 키(key)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가공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전달부는,
    상기 믹싱유닛 구동부와 맞물리는 제 1구동 전달부와;
    상기 믹싱유닛과 맞물리며, 상기 제 1구동 전달부로부터 전달된 회전 구동력을 상기 믹싱유닛에 전달하는 제 2구동 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가공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전달부는,
    상기 제 1구동 전달부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관통 홀과 상기 제 1구동 전달부의 외주면을 밀폐하여 상기 용기의 기밀성을 유지하는 리테이너와;
    상기 제 2구동 전달부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관통 홀에 대해 상기 제 2구동 전달부를 홀딩하여, 상기 관통 홀로부터 상기 제 1구동 전달부 및 상기 제 2구동 전달부의 이탈을 저지하는 홀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가공장치.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유닛은,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수용 공간을 진공 분위기로 형성하는 진공 펌프와;
    상기 커버유닛 내부의 상기 믹싱유닛 구동부의 일측 및 상기 믹싱유닛 구동부와 대응된 상기 리드유닛의 진공 홀에 배치되고, 상기 진공 펌프가 작동할 때 선택적으로 개방되어 상기 수용 공간과 진공 라인을 연통하는 진공 밸브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가공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밸브 조립체는,
    상기 리드유닛의 상기 수용 공간과 연통되는 상기 진공 홀에 배치되어, 상기 진공 홀을 개방하는 개방위치와 폐쇄하는 폐쇄위치 사이에서 이동되는 진공 밸브와;
    상기 커버유닛에 의해 상기 리드유닛이 커버될 때, 상기 진공 밸브를 둘러싸는 연성 재질로 마련되어 상기 진공 밸브 영역을 밀폐하는 밀폐부와;
    상기 커버유닛이 상기 리드유닛을 커버할 때, 상기 밀폐부가 상기 진공 밸브 영역을 밀폐하도록 상기 밀폐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밀폐부에 연결되며, 상기 탄성부재로부터 제공된 탄성력에 의해 상기 밀폐부를 상기 커버유닛의 하부면으로부터 상기 리드유닛의 상부면을 향해 이동시키는 스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가공장치.
  12.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기 개구부에 인접한 위치에 내벽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고 복수 개의 상기 서포터를 지지하여, 상기 리드유닛과의 사이에서 상기 믹싱유닛의 회전 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가공장치.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와 상기 본체의 결합은 상기 진공유닛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용기가 상기 본체에 대해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가공장치.
  1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가공장치는,
    상기 블레이드 유닛과 상기 믹싱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작동하도록 입력 신호를 인가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블레이드 유닛과 상기 믹싱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작동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가공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진공유닛의 작동 중에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된 피가공물을 교반하도록 상기 믹싱유닛을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가공장치.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진공유닛의 작동 후 상기 수용 공간의 진공 분위기 상태에서 상기 블레이드 유닛 및 상기 믹싱유닛을 작동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가공장치.
PCT/KR2022/016360 2021-11-22 2022-10-25 식품 가공장치 WO2023090673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1152A KR102407113B1 (ko) 2021-11-22 2021-11-22 식품 가공장치
KR10-2021-0161152 2021-11-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90673A1 true WO2023090673A1 (ko) 2023-05-25

Family

ID=81986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16360 WO2023090673A1 (ko) 2021-11-22 2022-10-25 식품 가공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07113B1 (ko)
WO (1) WO20230906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7113B1 (ko) * 2021-11-22 2022-06-10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식품 가공장치
KR20240010863A (ko) 2022-07-18 2024-01-25 안중근 회전교반유닛이 장착된 진공블렌더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5301B1 (ko) * 2011-03-29 2012-08-20 정상현 식품 원료 교반 장치
KR20210031142A (ko) * 2019-09-11 2021-03-19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진공 조리기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KR20210123873A (ko) * 2020-04-06 2021-10-14 박준국 음식분쇄 다목적 믹서
KR20210125265A (ko) * 2020-04-08 2021-10-18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소음 발생이 차단되는 블렌더
KR102407113B1 (ko) * 2021-11-22 2022-06-10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식품 가공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5301B1 (ko) * 2011-03-29 2012-08-20 정상현 식품 원료 교반 장치
KR20210031142A (ko) * 2019-09-11 2021-03-19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진공 조리기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KR20210123873A (ko) * 2020-04-06 2021-10-14 박준국 음식분쇄 다목적 믹서
KR20210125265A (ko) * 2020-04-08 2021-10-18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소음 발생이 차단되는 블렌더
KR102407113B1 (ko) * 2021-11-22 2022-06-10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식품 가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7113B1 (ko) 2022-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3090673A1 (ko) 식품 가공장치
CN208808280U (zh) 用于处理食物的搅拌机
WO2018092997A1 (en) Blender
WO2018016880A1 (ko) 유리조리용기를 구비한 조리기기 및 이의 손잡이 구조
JPH0415017B2 (ko)
WO2016190565A1 (ko) 진공청소기용 집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
WO2017111516A1 (ko) 착즙기
WO2017188493A1 (ko) 2개의 회전축이 대칭회전과 동 방향회전이 가능한 교차 교반날개를 갖는 교반기 및 교반방법
WO2022085932A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O2013002456A1 (ko) 분유 디스펜서
CN214552885U (zh) 一种检验科用多功能试管搅拌器
WO2022158733A1 (ko) 식품가공기의 진공장치
CN217085004U (zh) 一种转运盘及体外诊断分析仪
WO2023277239A1 (ko) 용기의 진공 형성용 밀폐 장치
CN211270333U (zh) 一种蛋清搅拌器
WO2022114518A1 (ko) 식품 가공기
WO2021157822A1 (ko) 다축형 분말 혼합장치
JPH11304810A (ja) 検体処理システム
WO2023038355A1 (ko) 조리 장치
CN220047822U (zh) 一种生化检验用样品除杂设备
CN214862966U (zh) 一种新型的多向运动混合机的分散装置
JP3695543B2 (ja) 粉末用攪拌混合装置
CN108079818A (zh) 一种鸡精原料搅拌混合器
CN213102021U (zh) 一种粽子加工用的高效节能型拌米机
CN220405527U (zh) 一种带有加压便排功能的立式混色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89588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