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090624A1 - 그립퍼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그립퍼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090624A1
WO2023090624A1 PCT/KR2022/014477 KR2022014477W WO2023090624A1 WO 2023090624 A1 WO2023090624 A1 WO 2023090624A1 KR 2022014477 W KR2022014477 W KR 2022014477W WO 2023090624 A1 WO2023090624 A1 WO 202309062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gas pocket
fixing
gripper
secondary battery
electrode l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1447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우창하
백정규
지창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CN202280030406.7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7203807A/zh
Priority to JP2023560299A priority patent/JP2024511646A/ja
Priority to EP22895833.6A priority patent/EP4318696A1/en
Publication of WO202309062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09062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04Machines for assembling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81Compression means other than compression means for stacks of electrodes and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94Gas-pervious parts or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ipper and a secondary battery transport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gripper for transporting a secondary battery and a secondary battery transport device including the same.
  • Lithium secondary batteries occupy an important position in the development base for such a ubiquitous society. Specifically, lithium secondary batteries capable of charging and discharging are not only widely used as an energy source for wireless mobile devices, but are also proposed as a way to solve air pollution such as existing gasoline vehicles and diesel vehicles using fossil fuels. It is also used as an energy source for electric vehicles and hybrid electric vehicles.
  • lithium secondary batteries are diversified to provide output and capacity suitable for the devices to which they are applied.
  • the above-described lithium secondary battery may be classified into a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a prismatic secondary battery, and a pouch-typ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its shape.
  • a pouch-type secondary battery that can be stacked with a high degree of integration, has a high energy density per weight, is inexpensive, and is easily deformable has attracted much attention.
  • the pouch-type secondary battery 10 as shown in FIG. 1,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11 composed of a positive electrode, a negative electrode, and a separator disposed therebetween, together with an electrolyte solution, and a pouch 12 with an empty space formed therein. , and has a structure to seal the outer periphery of the battery case, and an electrode lead 13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assembly 11 protrudes from the pouch 12 .
  • the pouch 12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n inner resin layer made of synthetic resin, an ultra-thin metal layer made of metal, and an outer resin layer made of synthetic resin are laminated from the inside toward the outside, and the electrode assembly 11 and the electrolyte are It may include an accommodating portion 12a and a gas pocket portion 12b extending from the accommodating portion 12a and collecting gas generated from the electrode assembly 11 .
  • Such a secondary battery 10 is transported in each step of the secondary battery manufacturing process, and at this time, as one of the transportation means of the secondary battery 10, a gripper for pressurizing and fixing the secondary battery 10 is included. A secondary battery transfer device is used.
  • the gripper may move the secondary battery 10 in a vertical or horizontal direction after pressurizing and fixing the secondary battery 10 to transfer the secondary battery 10 in each process step.
  • the gripper is erected vertically so that the gas pocket portion 12b is located above the housing portion 12a, pressurizes and fixes at least one region of the stored secondary battery 10, and then moves vertically or horizontally. By doing so, the transfer of the secondary battery 10 is performed.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ripper capable of fixing the position of a gas pocket and a secondary battery transfer device including the gripper.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ipper for pressurizing and fixing a secondary battery including a pouch including an accommodating portion accommodating an electrode assembly and a gas pocket portion extending from the accommodating portion, and an electrode lead protruding from the pouch. at least one electrode lead fixing unit pressurizing and fixing the electrode lead; and at least one gas pocket fixing part pressurizing and fixing the gas pocket part.
  • the electrode lead fixing parts are provided as a pair and may be movably provided to adjust a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m.
  • the gas pocket fixing parts are provided as a pair and may be movably provided to adjust a separation distance between each other.
  • the gas pocket fixing part may include a connecting part connected to the electrode lead fixing part; A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connection portion may be included to face one surface of the gas pocket portion.
  • the protruding portion may protrude vertically from the connecting portion.
  • the protruding portion may include a pressing portion provided to face the gas pocket portion and pressurizing the gas pocket portion; and an inclined portion extending from the pressing portion;
  • the inclined portion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gas pocket portion as the distance from the pressing portion increases.
  • the inclined portion may be formed below the pressing portion and be inclin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gas pocket portion toward a lower side.
  • the gas pocket fixing part may further include a pad part provided in an area facing the gas pocket part to improve adhesion with the gas pocket part.
  • a material of the pad part may include silicon.
  • the gas pocket fixing part may further include a pad part provided between the pressing part and the gas pocket part to improve adhesion with the gas pocket part.
  •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condary battery transfer device for transporting a secondary battery including a pouch including an accommodating portion accommodating an electrode assembly and a gas pocket portion extending from the accommodating portion, and an electrode lead protruding from the pouch, body part; and a pair of grippers movably connected from the main body and pressurizing and fixing the secondary battery;
  • the gripper may include at least one electrode lead fixing part pressurizing and fixing the electrode lead; and at least one gas pocket fixing part pressurizing and fixing the gas pocket part.
  •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in that the gripper can press and fix the secondary battery smoothly by fixing the position of the gas pocket part using the gas pocket part fixing part.
  •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minimizing damage that the gripper may cause to the exterior of the secondary battery by fixing the position of the gas pocket unit using the gas pocket unit fixing unit.
  • 1 is a front view showing a secondary battery viewed from the front.
  •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econdary battery manufacturing apparatus including a gripp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viewed from the front.
  • 3A to 3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shape of the gripper in the secondary battery manufacturing apparatus of FIG. 2 in more detail.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gas pocket fixing part in FIG. 3A in more detail.
  • a pouch 12 including a housing part 12a for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11 and a gas pocket part 12b extending from the housing part 12a, and a pouch protruding from the pouch 12
  • a gripper (100) for pressing and fixing the secondary battery (10) including the electrode lead (13) is provided.
  • the secondary battery 10 may be supported by the support part 20 .
  • the support part 20 supports the secondary battery 10 and can have various configurations.
  • the support part 20 extends vertically upward from the horizontal support part 21 and the horizontal support part 22 supporting the secondary battery 10 from the lower side, and the secondary battery 10 is formed. It may include at least one vertical support 22 supporting the battery 10 from the side.
  • the horizontal support part 21 and the vertical support part 22 may have various shapes.
  • the horizontal support part 21 and the horizontal support part 22 may have a flat plate shape or a block shape.
  • the vertical support part 22 may have a 'c' shape so that the accommodating part 12a of the secondary battery 10 can be fitted and fixed. and.
  • the horizontal support part 21 and the vertical support part 22 may be integrally formed or may be formed separately from each other.
  • the gripper 100 presses and fixes the secondary battery 10, and various configurations are possible.
  • the gripper 100 presses and fixes the secondary battery 10 and then moves it, thereby transferring the secondary battery 10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gripper 100 may be variously set such as a vertical direction or a horizontal direction.
  • the gripper 100 may be provided in various numbers.
  • the grippers 100 may be provided as a pair.
  • the gripper 100 may be dispos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both ends of the pouch 12 in which the electrode lead 13 is formed.
  • the gripper 100 may have various structures.
  • the gripper 100 may include at least one electrode lead fixing part 110 pressurizing and fixing the electrode lead 13; and at least one gas pocket fixing part 120 pressurizing and fixing the gas pocket part.
  • the electrode lead fixing part 110 is a configuration for pressurizing and fixing the electrode lead 13, and various configurations are possible.
  • the electrode lead fixing part 110 simultaneously presses one surface of the electrode lead 13 protruding from the pouch 12 and the other surface loc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electrode lead ( 13) can be grabbed and fixed.
  • the electrode lead fixing parts 110 are provided facing each other and may be provided as a pair. At this time, the electrode lead fixing part 110 is provided to be movable to adjust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m and can hold the electrode lead 13 .
  • the pair of electrode lead fixing parts 11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s shown in FIG. 3A before pressing and fixing the electrode lead 13 .
  • the pair of electrode lead fixing parts 110 may press and fix the electrode leads 13 by mov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y direction in FIG. 3)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m is narrowed. .
  • the pair of electrode lead fixing parts 110 may be spaced apart by a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electrode lead 13 .
  • the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electrode lead 13 may be a distance formed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electrode lead 13 .
  • the gripper 100 described above may further include a body part 130 to move the electrode lead fixing part 110 . That is, the electrode lead fixing part 110 may be connected to be movable from the body part 130, and the body part 130 may move the electrode lead fixing part 110 to the electrode lead fixing part 110. ) and a driving device such as a linear motion (LM) guide that interlocks with.
  • LM linear motion
  • the electrode lead fixing part 110 may have various shapes.
  • the electrode lead fixing part 110 may have a bar shape extending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secondary battery 10 (the z direction in FIG. 1 ) as a longitudinal direction.
  • the electrode lead fixing part 110 may additionally include a pad made of silicon or the like capable of improving adhesion with the electrode lead 13 in an area provided facing the electrode lead 13. .
  • the pad may be provided at an end of the bar shape.
  • the gas pocket fixing part 120 is configured to press and fix the gas pocket part, and various configurations are possible.
  • the gas pocket part fixing part 120 may pressurize and fix the gas pocket part 12b so that the gas pocket part 12b is positioned in the correct position.
  • the correct position may be understood as a position in which the gas pocket part 12b is aligned in parallel with the receiving part 12a.
  • the gas pocket fixing part 120 rearranges the gas pocket part 12b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the gas pocket part 12b is biased toward the front or rear of the pouch 12 and leaves its original position. can do. At this time, the aligned gas pocket portion 12b can maintain its aligned position due to the stiffness of the ultra-thin metal layer having a metal material (ex. aluminum, etc.) constituting the pouch 12 .
  • the gas pocket part fixing part 120 can hold and fix the gas pocket part 12b by simultaneously pressing one surface of the gas pocket part 12b and the other surface loc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one surface. .
  • the gas pocket fixing parts 120 are provided facing each other and may be provided as a pair.
  • the gas pocket fixing part 120 is movably provided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each other and can hold the gas pocket fixing part 120 .
  • the pair of gas pocket fixing parts 12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s shown in FIG. 3A, before pressing and fixing the gas pocket part 12b.
  • the pair of gas pocket fixing parts 120 mo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y direction in FIG. 3)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m is narrowed, thereby pressurizing and fixing the gas pocket part 12b.
  • the pair of gas pocket fixing parts 120 may be spaced apart by a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gas pocket part 12b.
  • the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gas pocket portion 12b may be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gas pocket portion 12b.
  • the gas pocket fixing part 120 as described above may have various structures.
  • the gas pocket fixing part 120 includes a connection part 121 connected to the electrode lead fixing part 110; A protruding portion 122 protruding from the connection portion 121 may be included to face one surface of the gas pocket portion 12b.
  • the gas pocket fixing part 120 may further include a pad part 123 provided in an area facing the gas pocket part 12b to improve adhesion with the gas pocket part 12b.
  • connection unit 121 is a configuration connected to the electrode lead fixing unit 110, and various configurations are possible.
  • connection part 121 is connected to the electrode lead fixing part 110 so that the protruding part 122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moved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electrode lead fixing part 110 .
  • connection part 121 may be connected to the electrode lead fixing part 110 at one side of the electrode lead fixing part 110 .
  • the connection part 121 may be bolted to the electrode lead fixing part 110 .
  • the protruding portion 122 protrudes from the connection portion 121 so as to face one surface of the gas pocket portion 12b, and various configurations are possible.
  • the protruding portion 122 may protrude from the connecting portion 121 toward a direction parallel to the gas pocket portion 12b so as to face one surface of the gas pocket portion 12b.
  • the protrusion 122 may protrude in various directions from the connection part 121 , and may protrude vertically from the connection part 121 , for example.
  • the protruding part 122 is provided facing the gas pocket part 12b and pressurizing part 122a for pressing the gas pocket part 12b; and an inclined portion 122b extending from the pressing portion 122a.
  • the pressing part 122a is provided to face the gas pocket part 12b and presses the gas pocket part 12b, and various configurations are possible.
  • the pressing part 122a has one surface facing the gas pocket part 12b, so that when the gas pocket part fixing part 120 mov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one surface faces the gas pocket part 12b. can pressurize.
  • FIG. 1 a pad part 123 capable of improving adhesion between the pressing part 122a and the gas pocket part 12b may be provided.
  • the pad part 123 may have various materials.
  • the pad part 123 may have a material such as silicon, urethane, or rubber.
  • the pad part 123 may be provided in various ways such as being adhesively fixed to the pressing part 122a or spray coated.
  • the inclined portion 122b is configured to extend from the pressing portion 122a, and various configurations are possible.
  • the inclined portion 122b may be formed to extend obliquely from the pressing part 122a.
  • the gas pocket portion 12b may be positioned to face the aforementioned pressing portion 122a by being guided along the inclined direction of the inclined surface.
  • the inclined portion 122b may be inclin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gas pocket portion as the distance from the pressing portion 122a increases.
  • the inclined portion 122b is formed below the pressing portion 122a, It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gas pocket portion 12b toward the lower side.
  • the inclined portion 122b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pressing portion 122a. It is formed and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gas pocket part 12b toward one side away from the pressing part 122a.
  •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uch 12 including a housing part 12a for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11 and a gas pocket part 12b extending from the housing part 12a and protruding from the pouch 12
  • a secondary battery transfer device for transferring a secondary battery 10 including an electrode lead 13 to be comprising: a body portion; and a pair of grippers 100 that are movably connected from the main body and pressurize and fix the secondary battery 10 .
  • the body part 200 is a configuration to which the gripper 100 is connected, and the gripper 100 is movable in at least one of a vertical direction and a horizontal direction LM (Linear motion) interlocking with the gripper 100
  • a driving device such as a guide may be included.
  • the gripper 100 presses and fixes the secondary battery 10, and various configurations are possible.
  • the gripper 100 includes at least one electrode lead fixing part 110 pressurizing and fixing the electrode lead 13; and at least one gas pocket fixing part 120 pressurizing and fixing the gas pocket part, and various configurations are possible.
  • the details of the electrode lead fixing part 110 and the gas pocket part fixing part 120 can be replaced with the above-described information.

Abstract

본 발명은 그립퍼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차전지를 이송하는 그립퍼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극조립체를 수납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로부터 연장형성되는 가스포켓부를 포함하는 파우치 및 상기 파우치로부터 돌출되는 전극 리드를 포함하는 이차전지를 가압 및 고정하는 그립퍼(gripper)에 있어서, 상기 전극 리드를 가압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극 리드 고정부; 및 상기 가스 포켓부를 가압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스포켓부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그립퍼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이송장치
관련 출원과의 상호인용
본 출원은 2021년 11월 18일자 한국특허출원 제10-2021-0159688호에 기초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해당 한국특허출원의 문헌에 개시된 모든 내용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포함된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그립퍼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차전지를 이송하는 그립퍼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IT(Information Technology) 기술이 눈부시게 발달함에 따라 다양한 휴대형 정보통신 기기의 확산이 이뤄짐으로써, 21세기는 시간과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고품질의 정보서비스가 가능한 '유비쿼터스 사회'로 발전되고 있다.
이러한 유비쿼터스 사회로의 발전 기반에는, 리튬 이차전지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충방전이 가능한 리튬 이차전지는 와이어리스 모바일 기기의 에너지원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기존의 가솔린 차량, 디젤 차량 등의 대기오염 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등의 에너지원으로서도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리튬 이차전지가 적용되는 디바이스들이 다양화됨에 따라, 리튬 이차전지는, 적용되는 디바이스에 알맞은 출력과 용량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다양화되고 있다. 더불어, 소형 경박화가 강력히 요구되고 있다.
상기한 리튬 이차전지는, 그것의 형상에 따라 원통형 이차전지, 각형 이차전지, 파우치 타입의 이차전지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높은 집적도로 적층될 수 있고 중량당 에너지 밀도가 높으며 저렴하고 변형이 용이한 파우치 타입의 이차전지가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다.
여기서 파우치 타입의 이차전지(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극, 음극 및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분리막으로 이루어진 전극조립체(11)를 전해액과 함께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파우치(12)에 내장하고, 전지케이스의 외주변을 실링하여 밀봉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극조립체(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극리드(13)가 파우치(12)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이때 파우치(12)는 합성 수지 재질의 내부 수지층, 금속 재질의 금속 극박층 및 합성 수지 재질의 외부 수지층이 내부로부터 외부를 향하여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전극조립체(11) 및 전해액이 수용되는 수납부(12a)와 상기 수납부(12a)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전극조립체(11)로부터 발생하는 가스가 포집되는 가스포켓부(12b)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이차전지(10)는 이차전지 제조 공정 중 공정 단계별로 이송되며, 이때 이차전지(10)의 이송 수단 중 하나로서, 이차전지(10)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그립퍼(gripper)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이송장치가 사용된다.
여기서 그립퍼는 이차전지(10)를 가압 고정한 후 상하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이차전지(10)를 공정 단계별로 이송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그립퍼는 가스포켓부(12b)가 수납부(12a)보다 상방에 위치되도록 수직하게 세워져 수납된 상태의 이차전지(10)의 적어도 일 영역을 가압 고정한 후, 상하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이차전지(10)의 이송을 수행한다.
다만, 이차전지(10)의 수납 또는 이송 과정에서, 가스포켓부(12b)가 파우치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치우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 경우, 그립퍼가 이차전지(10)를 향하여 이동 시 가스 포켓부(12b)가 그립퍼와 간섭하여 이차전지 외관에 스크래치가 발생하거나, 그립퍼가 이차전지를 파지(把持)하기 어려워지므로 이차전지 품질이 저하되고, 공정 효율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이러한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과제는 가스포켓부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그립퍼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극조립체를 수납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로부터 연장형성되는 가스포켓부를 포함하는 파우치 및 상기 파우치로부터 돌출되는 전극 리드를 포함하는 이차전지를 가압 및 고정하는 그립퍼(gripper)에 있어서, 상기 전극 리드를 가압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극 리드 고정부; 및 상기 가스 포켓부를 가압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스포켓부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퍼를 제공한다.
상기 전극 리드 고정부는, 한 쌍으로 구비되며, 상호 간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도록 이동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가스포켓부 고정부는, 한 쌍으로 구비되며, 상호 간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도록 이동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가스포켓부 고정부는, 상기 전극 리드 고정부와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가스포켓부의 일 면과 마주보도록 상기 연결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연결부로부터 수직하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가스포켓부와 마주보게 구비되어 상기 가스포켓부를 가압하는 가압부; 및 상기 가압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경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경사부는, 상기 가압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가스 포켓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부는, 상기 가압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가스포켓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스포켓부 고정부는, 상기 가스포켓부를 마주보는 영역에 구비되어 상기 가스포켓부와의 밀착력을 향상시키는 패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드부의 재질은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스포켓부 고정부는, 상기 가압부와 상기 가스포켓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가스포켓부와의 밀착력을 향상시키는 패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전극조립체를 수납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로부터 연장형성되는 가스포켓부를 포함하는 파우치 및 상기 파우치로부터 돌출되는 전극 리드를 포함하는 이차전지를 이송하는 이차전지 이송장치에 있어서,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로부터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이차전지를 가압 및 고정하는 한 쌍의 그립퍼(gripper)를 포함하며; 상기 그립퍼는, 상기 전극 리드를 가압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극 리드 고정부; 및 상기 가스 포켓부를 가압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스포켓부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이송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가스포켓부 고정부를 이용하여 가스포켓부의 위치를 고정시킴으로써 그립퍼가 이차전지를 원활하게 가압 고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스포켓부 고정부를 이용하여 가스포켓부의 위치를 고정시킴으로써 그립퍼가 이차전지 외관에 발생시킬 수 있는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이차전지를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그립퍼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제조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b는, 도 2의 이차전지 제조장치에서 그립퍼의 모습을 보다 상세하게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a에서 가스포켓부 고정부의 모습을 보다 상세하게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 또는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으며,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는,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그립퍼(gripper)
본 발명은, 전극조립체(11)를 수납하는 수납부(12a)와 상기 수납부(12a)로부터 연장형성되는 가스포켓부(12b)를 포함하는 파우치(12) 및 상기 파우치(12)로부터 돌출되는 전극 리드(13)를 포함하는 이차전지(10)를 가압 및 고정하는 그립퍼(100, gripper)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이차전지(10)는, 지지부(20)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부(20)는 상기 이차전지(10)를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부(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차전지(10)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수평 지지부(21) 및 상기 수평 지지부(22)로부터 상방으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이차전지(10)를 측면에서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직 지지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수평 지지부(21) 및 수직 지지부(22)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평 지지부(21) 및 수평 지지부(22)는, 평판 형의 플레이트(plate) 형상 또는 블록(block)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직 지지부(22)는, 이차전지(10)에서 수납부(12a)를 끼움 고정시킬 수 있도록 'ㄷ'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 지지부(21) 및 수직 지지부(22)는 일체 구성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서로 분리된 구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그립퍼(100)는 이차전지(10)를 가압 및 고정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그립퍼(100)는 상기 이차전지(10)를 가압하여 고정한 후 이동 됨으로써, 상기 이차전지(10)를 일 위치로부터 다른 위치로 이송 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그립퍼(100)의 이동 방향은 상하 방향 또는 수평 방향 등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그립퍼(100)는 다양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그립퍼(100)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그립퍼(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극 리드(13)가 형성된 파우치(12)의 양 단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그립퍼(100)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그립퍼(100)는, 상기 전극 리드(13)를 가압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극 리드 고정부(110); 및 상기 가스 포켓부를 가압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스포켓부 고정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극 리드 고정부(110)는, 상기 전극 리드(13)를 가압 고정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전극 리드 고정부(110)는, 상기 파우치(12)로부터 돌출 형성된 전극 리드(13)의 일 면과 상기 일 면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타 면을 동시에 가압함으로써 상기 전극 리드(13)를 잡아 고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극 리드 고정부(110)는, 도 3a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게 구비되며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극 리드 고정부(110)는, 상호 간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도록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전극 리드(13)를 파지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한 쌍의 전극 리드 고정부(110)는, 상기 전극 리드(13)의 가압 고정 전,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거리만큼 상호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전극 리드 고정부(110)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이격 거리가 좁아지도록 수평방향(도 3 기준 y방향) 이동함으로써 전극 리드(13)를 가압 고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한 쌍의 전극 리드 고정부(110)는, 전극 리드(13)의 폭에 대응되는 거리로 이격될 수 있다. 여기서 전극 리드(13)의 폭에 대응되는 거리란, 상기 전극 리드(13)의 폭과 동일하거나 상기 전극 리드(13)의 폭보다 작게 형성된 거리일 수 있다.
이때, 전술한 그립퍼(100)는, 상기 전극 리드 고정부(110)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바디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전극 리드 고정부(110)는 상기 바디부(130)로부터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바디부(130)는 상기 전극 리드 고정부(110)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전극 리드 고정부(110)와 연동하는 LM(Linear motion) 가이드 등의 구동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전극 리드 고정부(110)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극 리드 고정부(110)는 이차전지(10)의 높이 방향(도 1기준 z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여 연장 형성된 바(bar)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 리드 고정부(110)는, 상기 전극 리드(13)와 마주보게 구비되는 영역에 상기 전극 리드(13)와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리콘 재질 등의 패드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극 리드 고정부(110)가 바(bar) 형상을 가지는 경우, 상기 바(bar) 형상의 단부에 상기 패드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가스포켓부 고정부(120)는, 상기 가스 포켓부를 가압 고정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스포켓부 고정부(120)는, 가스포켓부(12b)가 정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가스포켓부(12b)를 가압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정 위치란, 가스포켓부(12b)가 상기 수납부(12a)와 평행하게 정렬되는 위치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스포켓부 고정부(120)는, 가스포켓부(12b)가 파우치(12)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치우쳐져 정 위치를 이탈하는 경우, 상기 가스포켓부(12b)를 정 위치로 재 정렬할 수 있다. 이때, 정렬된 가스포켓부(12b)는, 파우치(12)를 구성하는 금속 재질(ex. 알루미늄 등)을 가지는 금속극박층의 강성(stiffness)으로 인하여 정렬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가스포켓부 고정부(120)는 상기 가스포켓부(12b)의 일 면과 상기 일 면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타 면을 동시에 가압함으로써 상기 가스포켓부(12b)를 잡아 고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스포켓부 고정부(120)는, 도 3a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게 구비되며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가스포켓부 고정부(120)는, 상호간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도록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가스포켓부 고정부(120)를 파지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한 쌍의 가스포켓부 고정부(120)는, 상기 가스포켓부(12b) 가압 고정 전,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거리만큼 상호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가스포켓부 고정부(120)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이격 거리가 좁아지도록 수평방향(도 3기준 y방향) 이동함으로써 가스포켓부(12b)를 가압 고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한 쌍의 가스포켓부 고정부(120)는, 가스포켓부(12b)의 폭에 대응되는 거리로 이격될 수 있다. 여기서 가스포켓부(12b)의 폭에 대응되는 거리란, 상기 가스포켓부(12b)의 폭과 동일하거나 상기 가스포켓부(12b)의 폭보다 작게 형성된 거리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가스포켓부 고정부(120)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스포켓부 고정부(120)는, 상기 전극 리드 고정부(110)와 연결되는 연결부(121) 및; 상기 가스포켓부(12b)의 일 면과 마주보도록 상기 연결부(121)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포켓부 고정부(120)는, 상기 가스포켓부(12b)를 마주보는 영역에 구비되어 상기 가스포켓부(12b)와의 밀착력을 향상시키는 패드부(1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121)는, 상기 전극 리드 고정부(110)와 연결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부(121)는 전극 리드 고정부(110)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전극 리드 고정부(110)의 이동과 연동하여 후술할 돌출부(122)를 이동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부(121)는, 도 3a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극 리드 고정부(110)의 일 측면에서 상기 전극 리드 고정부(110)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결부(121)는 상기 전극 리드 고정부(110)에 볼트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돌출부(122)는, 상기 가스포켓부(12b)의 일 면과 마주보도록 상기 연결부(121)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돌출부(122)는 상기 가스포켓부(12b)의 일 면과 마주보도록 상기 연결부(121)로부터 상기 가스포켓부(12b)와 나란한 방향을 향하여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출부(12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121)로부터 다양한 방향을 향하여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연결부(121)로부터 수직하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돌출부(122)는 상기 가스포켓부(12b)와 마주보게 구비되며 상기 가스포켓부(12b)를 가압하는 가압부(122a); 및 상기 가압부(122a)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경사부(122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압부(122a)는, 상기 가스포켓부(12b)와 마주보게 구비되며 상기 가스포켓부(12b)를 가압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압부(122a)는, 일 면이 상기 가스포켓부(12b)와 마주보게 구비됨으로써 상기 가스포켓부 고정부(120)의 수평방향 이동 시 상기 일 면이 상기 가스포켓부(12b)를 가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압부(122a)와 상기 가스포켓부(12b) 사이, 즉 상기 가압부(122a)가 상기 가스포켓부(12b)를 마주보는 일 면과 상기 가스포켓부(12b) 사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부(122a)와 상기 가스포켓부(12b)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패드부(123)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는 도면부호 122a와 123이 동일한 위치를 가리키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패드부(123)는 가압부(122a)의 일 면에 추가로 구비되는 구성이므로 패드부(123)와 가압부(122a)는 서로 구별되는 개념임에 유의한다.
여기서 패드부(123)는 다양한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패드부(123)는 실리콘, 우레탄 및 고무 등의 재질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드부(123)는 상기 가압부(122a)에 다양하게 접착 고정되거나 스프레이 코팅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경사부(122b)는, 상기 가압부(122a)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경사부(122b)는, 가스포켓부(12b)가 이차전지(10)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치우쳐져 있더라도, 상기 가스포켓부(12b)가 상기 한 쌍의 가스포켓부 고정부(120) 사이로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가압부(122a)로부터 경사지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스포켓부(12b)는 상기 경사면의 경사 방향을 따라 가이드됨으로써 전술한 가압부(122a)와 마주보게 위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경사부(122b)는, 상기 가압부(122a)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가스 포켓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그립퍼(100)가 상기 이차전지(10)에 대하여 상하 방향(도2 기준 z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경사부(122b)는, 상기 가압부(122a)의 하부에 형성되며,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가스포켓부(12b)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그립퍼(100)가 상기 이차전지(10)에 대하여 수평 방향(도2 기준 x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경사부(122b)는, 상기 가압부(122a)의 일 측부에 형성되며, 상기 가압부(122a)로부터 멀어지는 일 측으로 갈수록 상기 가스포켓부(12b)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차전지 이송장치
한편, 본 발명은 전극조립체(11)를 수납하는 수납부(12a)와 상기 수납부(12a)로부터 연장형성되는 가스포켓부(12b)를 포함하는 파우치(12) 및 상기 파우치(12)로부터 돌출되는 전극 리드(13)를 포함하는 이차전지(10)를 이송하는 이차전지 이송장치에 있어서,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로부터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이차전지(10)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한 쌍의 그립퍼(100, gripper)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이송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본체부(200)는, 상기 그립퍼(100)가 연결되는 구성으로서, 상기 그립퍼(100)가 상하방향 및 수평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그립퍼(100)와 연동하는 LM(Linear motion) 가이드 등의 구동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그립퍼(100)는, 상기 이차전지(10)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그립퍼(100)는, 상기 전극 리드(13)를 가압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극 리드 고정부(110); 및 상기 가스 포켓부를 가압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스포켓부 고정부(12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여기서 전극 리드 고정부(110) 및 상기 가스포켓부 고정부(120)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전술한 내용으로 갈음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
[부호의 설명]
10: 이차전지
11: 전극조립체
12: 파우치
12a: 수납부
12b: 가스포켓부
13: 전극 리드
20: 지지부
21: 수평 지지부
22: 수직 지지부
100: 그립퍼
110: 전극 리드 고정부
120: 가스포켓부 고정부
121: 연결부
122: 돌출부
122a: 가압부
122b: 경사부
123: 패드부
130: 바디부
200: 본체부

Claims (11)

  1. 전극조립체를 수납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로부터 연장형성되는 가스포켓부를 포함하는 파우치 및 상기 파우치로부터 돌출되는 전극 리드를 포함하는 이차전지를 가압 및 고정하는 그립퍼(gripper)에 있어서,
    상기 전극 리드를 가압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극 리드 고정부; 및
    상기 가스 포켓부를 가압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스포켓부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극 리드 고정부는, 한 쌍으로 구비되며, 상호 간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도록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스포켓부 고정부는, 한 쌍으로 구비되며, 상호 간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도록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스포켓부 고정부는,
    상기 전극 리드 고정부와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가스포켓부의 일 면과 마주보도록 상기 연결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퍼.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연결부로부터 수직하게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퍼.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가스포켓부와 마주보게 구비되어 상기 가스포켓부를 가압하는 가압부; 및
    상기 가압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경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경사부는,
    상기 가압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가스 포켓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퍼.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상기 가압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가스포켓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퍼.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스포켓부 고정부는,
    상기 가스포켓부를 마주보는 영역에 구비되어 상기 가스포켓부와의 밀착력을 향상시키는 패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퍼.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의 재질은 실리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퍼.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스포켓부 고정부는,
    상기 가압부와 상기 가스포켓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가스포켓부와의 밀착력을 향상시키는 패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퍼.
  11. 전극조립체를 수납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로부터 연장형성되는 가스포켓부를 포함하는 파우치 및 상기 파우치로부터 돌출되는 전극 리드를 포함하는 이차전지를 이송하는 이차전지 이송장치에 있어서,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로부터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이차전지를 가압 및 고정하는 한 쌍의 그립퍼(gripper)를 포함하며;
    상기 그립퍼는,
    상기 전극 리드를 가압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극 리드 고정부; 및
    상기 가스 포켓부를 가압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스포켓부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이송장치.
PCT/KR2022/014477 2021-11-18 2022-09-27 그립퍼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이송장치 WO2023090624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280030406.7A CN117203807A (zh) 2021-11-18 2022-09-27 夹持器和包括该夹持器的二次电池传送装置
JP2023560299A JP2024511646A (ja) 2021-11-18 2022-09-27 グリッパ及びそれを含む二次電池移送装置
EP22895833.6A EP4318696A1 (en) 2021-11-18 2022-09-27 Gripper and secondary battery transfer device compri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9688 2021-11-18
KR1020210159688A KR20230072959A (ko) 2021-11-18 2021-11-18 그립퍼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90624A1 true WO2023090624A1 (ko) 2023-05-25

Family

ID=86397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14477 WO2023090624A1 (ko) 2021-11-18 2022-09-27 그립퍼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이송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4318696A1 (ko)
JP (1) JP2024511646A (ko)
KR (1) KR20230072959A (ko)
CN (1) CN117203807A (ko)
WO (1) WO2023090624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6232B1 (ko) * 2013-05-10 2015-01-26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셀 이송 장치
KR20170103332A (ko) * 2016-03-03 2017-09-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 리드 감지용 센서를 포함하는 전지셀 이송 장치
KR101830350B1 (ko) * 2017-03-14 2018-02-20 주식회사 테크네트 리튬전지 포메이션 챔버용 그립핑시스템
KR102254203B1 (ko) * 2020-09-23 2021-05-20 김덕군 이차 전지용 파우치의 주름 방지장치
KR20210097301A (ko) * 2020-01-30 2021-08-09 (주) 에이프로 가압 활성화 장치용 전극 리드 그립퍼 및 이를 구비한 가압 지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6232B1 (ko) * 2013-05-10 2015-01-26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셀 이송 장치
KR20170103332A (ko) * 2016-03-03 2017-09-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 리드 감지용 센서를 포함하는 전지셀 이송 장치
KR101830350B1 (ko) * 2017-03-14 2018-02-20 주식회사 테크네트 리튬전지 포메이션 챔버용 그립핑시스템
KR20210097301A (ko) * 2020-01-30 2021-08-09 (주) 에이프로 가압 활성화 장치용 전극 리드 그립퍼 및 이를 구비한 가압 지그
KR102254203B1 (ko) * 2020-09-23 2021-05-20 김덕군 이차 전지용 파우치의 주름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203807A (zh) 2023-12-08
KR20230072959A (ko) 2023-05-25
JP2024511646A (ja) 2024-03-14
EP4318696A1 (en) 2024-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209388A1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자동차
WO2019172567A1 (ko) 단위셀 정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극조립체 제조 방법
WO2020159081A1 (ko) 자석을 포함하는 가압 지그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WO2019245214A1 (ko) 이차 전지 및 버스바를 포함한 배터리 모듈
WO2021096062A1 (ko) 배터리 셀 연성인쇄회로기판 벤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벤딩방법
WO2023090624A1 (ko) 그립퍼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이송장치
WO2021075733A1 (ko) 배터리 셀, 이러한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및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WO2019164299A1 (ko) 전해질주입장치
WO2022149897A1 (ko) 전지 모듈,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2149967A1 (ko)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WO2022173281A1 (ko) 배터리 모듈, 배터리 팩, 자동차, 및 배터리 모듈을 제조하는 방법
WO2022065841A1 (ko)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21112551A1 (ko) 전극 조립체 제조장치와, 이를 통해 제조된 전극 조립체 및 이차전지
WO2021261698A1 (ko) 파우치와 상기 파우치의 성형장치 및 상기 파우치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WO2023059046A1 (ko) 이차전지 트레이
WO2024019537A1 (ko) 이차전지용 이송 장치
WO2024053977A1 (ko) 전극 조립체 제조 장치 및 이를 사용한 제조 방법
WO2024053930A1 (ko) 전극 조립체 제조 장치 및 이를 사용한 제조 방법
WO2018021856A1 (ko) 이차 전지
WO2023163523A1 (ko) 이차전지용 파우치 폴딩장치 및 이차전지
WO2024058577A1 (ko) 배터리 팩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WO2022260247A1 (ko)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과 자동차 및, 이러한 배터리 모듈의 제조 방법
WO2023136487A1 (ko) 충격 흡수 기능을 구비한 전지 팩 어셈블리, 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WO2022124650A1 (ko) 배터리 팩, 전원 시스템, 및 자동차
WO2022086113A1 (ko) 이차전지 파우치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89583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3560299

Country of ref document: JP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895833

Country of ref document: EP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8289489

Country of ref document: US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895833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310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