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080760A1 - 이차전지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이차전지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차전지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이차전지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080760A1
WO2023080760A1 PCT/KR2022/017461 KR2022017461W WO2023080760A1 WO 2023080760 A1 WO2023080760 A1 WO 2023080760A1 KR 2022017461 W KR2022017461 W KR 2022017461W WO 2023080760 A1 WO2023080760 A1 WO 202308076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laminate
pressing
secondary battery
unit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1746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민하
박기범
송의섭
이정화
이효준
송은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EP22890491.8A priority Critical patent/EP4333143A1/en
Priority to CN202280040975.XA priority patent/CN117501489A/zh
Priority to JP2023568472A priority patent/JP2024516732A/ja
Publication of WO202308076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08076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81Compression means other than compression means for stacks of electrodes and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04Machines for assembl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13Large-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motive or stationary systems with plate-lik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6Small-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portable equip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68Compression means for stacks of electrodes and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5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flat construction elements, i.e. flat positive electrodes, flat negative electrodes and flat sepa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condary battery manufacturing apparatus and a secondary battery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condary battery manufacturing apparatus including a pressurizing unit for pressing a laminate in which electrodes and separators are stacked, and a secondary battery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same. .
  • a cell or battery which generates electrical energy through physical or chemical reactions of materials and supplies power to the outside, may not be able to obtain AC power supplied to buildings depending on the living environment surrounded by various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s. It is used in cases where direct current power is required.
  • primary batteries and secondary batteries which are chemical batteries using chemical reactions, are generally used.
  • Primary batteries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dry batteries and are consumable batteries.
  • a secondary battery is a rechargeable battery manufactured using a material in which an oxidation-reduction process between an electric current and a material can be repeated many times. When a reduction reaction for the material is performed by an electric current, power is charged and an oxidation reaction for the material is performed. When the power is discharged, electricity is generated as such charge-discharge is repeatedly performed.
  • an electrode is manufactured by coating an electrode slurry in which an active material, a conductive material, and a binder are mixed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on a positive electrode conductive foil and a negative electrode conductive foil, respectively, and between the two conductive foils
  • An electrode unit may be manufactured by interposing a separator therebetween.
  • secondary batteries may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structures.
  • an electrode assembly is manufactured by winding a long sheet-shaped electrode unit in the form of a large amount of jelly roll multiple times with a separator sheet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manufactured electrode assembly is stored in a cylindrical can, etc.
  • a pouch type manufactured by manufacturing an electrode assembly by stacking a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manufactured by sealing the secondary battery and electrode unit units of a predetermined size with a separator sheet interposed therebetween, storing the manufactured electrode assembly in a pouch and sealing it. It can be classified as a secondary battery and the like.
  • the electrode slurry is non-uniformly applied to the conductive foil due to the viscosity of the electrode slurry, resulting in a difference in coating thickness of the electrode slurry.
  • the difference in coating thickness of the electrode slurry formed an unbonded area between the electrode and the separator inside the electrode unit manufactured including the electrode.
  • the pouch-type secondary battery is manufactured by stacking electrode units on a separator sheet, an unbonded region is formed inside the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the electrode units.
  • the unbonded area as described above causes precipitation of lithium due to interfacial resistance of the cathode, thereby increasing the resistance of the electrode.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non-adhesive area of the electrode and the separator inside the electrode unit and the non-adhesive area of the electrode unit and the separator sheet inside the electrode assembly. It is to provide a battery manufacturing device and a secondary battery manufacturing method.
  • the pressing unit in a secondary battery manufacturing apparatus including a pressing unit for pressurizing a laminate in which electrodes and separators are stacked, the pressing unit includes: a main pressurizing unit for pressing the front surface of the laminate; and a sub-pressing unit for pressing a portion of the laminated body;
  • the partial surface is formed at an end portion of the lamin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cludes a surface formed with a relatively low height among the front surfaces, and the sub-pressing part mov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aminate and presses the partial surface.
  • the secondary battery manufacturing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conveying unit for conveying the laminate in one direction;
  • the sub-pressing unit may press the partial surface while mov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ne direction.
  • the sub-pressing unit may include a drum unit that rotates and pressurizes the partial surface of the laminate; And a rotating shaft coupled to the drum portion to rotate the drum portion; can include
  • the laminate includes electrode tabs connected to the electrodes;
  • the partial surface may be positioned to correspond to an end of the laminat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where the electrode tab is positioned.
  • the secondary battery manufactur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heating unit for applying heat to the laminate in which the electrode and the separator are laminated.
  • the sub pressing part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main pressing part.
  • the sub-pressing part may pressurize a portion of the surface of the laminate while moving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laminate.
  • the sub pressing part may be disposed behind the main pressing part.
  • the sub-pressing part may pressurize a portion of the surface of the laminate while moving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of the laminate.
  • the laminate is an electrode unit in which electrodes and separators are stacked, and may be any one of bi-cell, mono-cell, and full-cell.
  • the stack may be an electrode assembly in which a plurality of electrode units in which electrodes and separators are stacked and separator sheets are stacked.
  • the pressing of the laminate includes: a front pressing step of pressing the front surface of the laminate; and a partial surface pressing step of pressing a partial surface of the laminate;
  • the partial surface is formed at an end of the lamin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cludes a surface formed with a relatively low height among the front surfaces, and in the pressing of the partial surface, a sub-pressing unit for pressing the partial surface is the laminate. It provide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the partial surface is pressed while mov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 the secondary battery manufacturing apparatus and the secondary battery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advantage of improving the unbonded area inside the laminate by pressing the surface formed with a relatively low height among the front surfaces of the laminate using a sub-pressing unit.
  • the secondary battery manufacturing apparatus has the advantage of responding to various sizes and shapes of the surface formed with a relatively low height among the front surfaces of the laminate without replacing the sub-pressing part by press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aminate.
  • 1A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laminate is viewed from above.
  • FIG. 1B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aminate of FIG. 1A is viewed from the side.
  • FIG. 2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ary battery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oked down from above.
  • 3A is a side view showing a side of the sub-pressing unit of FIG. 2 in more detail.
  • FIG. 3B is an enlarged view of portion A of FIG. 3A , showing in more detail how the sub-pressing unit presses the laminate.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sub-pressing unit in the secondary battery manufacturing apparatus of FIG. 2 in more detail.
  • 5A to 5B are images showing the formation of unbonded regions of bi-cells manufactured by a conventional secondary battery manufacturing apparatus and a secondary battery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secondary battery manufacturing apparatus including a pressing unit 100 for pressing the laminate 10 in which electrodes and separators are stacked.
  • the laminate 10 is a structure in which electrodes and separators are stacked, and various configurations are possible.
  • the laminate 10 is an electrode unit in which electrodes and separators are stacked, that is, a unit cell, and may mean any one of bi-cell, mono-cell, and full-cell, and electrodes and separators are stacked. It may mean an electrode assembly in which a plurality of electrode units (unit cells) and separator sheets are stacked.
  • the electrode assembly may have any structure as long as it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the electrode units and a separator sheet are stacked.
  • the electrode assembly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electrode units are arranged or arranged on a separator sheet.
  • the electrode assembly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electrode units are arranged or lined up on a separator sheet, and then the electrode units and the separator sheet are alternately stacked and folded.
  • the laminate 10 may be pressed by a pressing unit 100 to be described later in order to bond the electrode and the separator, and the electrode unit and the separator sheet to each other.
  • the entire surface of the stack 10 facing the pressing unit 100 to be pressed may be defined as the front surface 11 .
  • the front surface 11 may have a height difference.
  • the electrode-separator or electrode unit-separator sheet remains as an unbonded area, which is the cause of lithium precipitation on the negative electrode interface. It can be.
  • the front surface 11 includes a part surface 12 including a surface formed with a relatively low height among the front surface 11 of the laminate 10, and an electrode slurry is uniformly applied on th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nd may include a remaining surface 13 having a constant height.
  • the dotted line shown in the laminate 10 is to distinguish a part of the surface 12 and the remaining surface 13, and does not mean that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laminate 10 is separated.
  • the partial surface 12 is a surface including a surface formed with a relatively low height among the front surfaces 11 of the laminate 10 because less electrode slurry is applied on th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nd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
  • the partial surface 12 is a surface on which a height difference is formed, and as shown in FIG. 1B, a first partial surface 12a having a relatively low height among the front surface 11 and the first partial surface 12a. It may include a second partial surface 12b formed higher than the height of (12a).
  • the first partial surface 12a is a surface formed with a relatively low height among the front surfaces, and may be a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unbonded area inside the laminate 10, FIG. 1B As shown in, the first height (H One ) It can be located.
  • the first height (H 1 ) is based on one surface of the laminate 10 located in the stacking direction of the electrode and the separator, the height to the other surface facing the one surface is the remaining surface of the front surface 11 ( 13) may be defined as a height formed relatively lower than the height (H 3 ).
  • the height (H 3 ) of the remaining surface 13 is located in the stacking direction of the electrode and the separator in the region where the electrode slurry is uniformly applied on th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Based on one surface of the laminate 10 , It can be understood as the height to the other side facing the one side.
  • the second partial surface 12b is a surface formed higher than the first partial surface 12a, and the size of the stack 10 for each model and the degree of non-uniform application of the electrode slurry in the stack 10 According to this, it may be formed in various directions from the first partial surface 12a based on the first partial surface 12a.
  • the second partial surface 12b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partial surface 12a and the remaining surface 13 .
  • the formation of the second partial surface 12b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such as surrounded by the first partial surface 12a or formed while surrounding the first partial surface 12a. Of course you can.
  • the second partial surface 12b is a surface located at a second height (H 2 ), where the second height (H 2 ) is of the laminate 10 located in the stacking direction of the electrode and the separator. Based on one surface, the height to the other surface facing the one surface may be defined as a height formed higher than the first height (H 1 ). In this case, the second height H 2 may be the same height as the height H 3 of the remaining surface 13 .
  • the partial surface 12 may be composed of only the first partial surface 12a having a relatively low height among the front surfaces 11 .
  • the partial surface 12 may be located anywhere on the laminate 10 .
  • the partial surface 12 may be positioned to correspond to an end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med based 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aminate 10 .
  •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aminate 10 is a direction formed parallel to the long side of the one surface of the laminate 10 located in the stacking direction of the electrode and the separator (refer to FIG. 2). y direction).
  • the partial surface 12 may be positioned to correspond to an end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ultilayer body 10 where the electrode tab 14 is located among the longitudinal ends of the multilayer body 10 .
  •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aminate 10 originally corresponding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It is expected that the electrode slurry is sufficiently applied to the end of the electrode, but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electrode slurry is relatively less easily reached to the end of th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re the electrode tab 14 is located.
  • the electrode tab 14 may be connected to the electrode by being formed on th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through a notching process before the electrode slurry is coated or attached to any part of th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fter the electrode slurry is coated. .
  • the above-described laminate 10 may be pressed by a pressing unit 100 to be described later for adhesion of electrodes and separators.
  • the plurality of laminates 10 may be transported in one direction by the transfer unit 200 so that they can be pressed more quickly.
  • the sending unit 200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ressing unit 100 facing the pressing direction, and may include a conveyor belt or the like.
  • the pressing unit 100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transfer unit 200 to press the laminates 10 transferred from the transfer unit 200 .
  • the pressing unit 100 as shown in Figure 2, the main pressing unit 110 for pressing the front surface 11 of the laminate 10; and a sub-pressing unit 120 that presses the partial surface 12 of the laminate 10 .
  • the main pressing unit 110 is configured to press the front surface 11 of the laminate 10, and various configurations are possible.
  • the main pressing unit 110 may be composed of a roller for pressing while rotating the laminate 10 or a press for pressing while moving the laminate 10 in a vertical direction.
  • the main pressing part 110 when the laminate 10 is an electrode unit, the main pressing part 110 may be provided as a roller, and when the laminate 10 is an electrode assembly, the main pressing part 110 ) may be provided with a press.
  • the sub-pressing unit 120 is configured to press a portion of the surface 12 of the laminate 10, and various configurations are possible.
  • the sub-pressing part 120 additionally pressurizes the partial surface 12 including the surface formed with a relatively low height among the front surfaces 11 separately from being pressed by the main pressing part 110, thereby forming a laminated body.
  • the unbonded area of (10) can be improved.
  • the sub-pressing unit 120 is provided to be movable, so that it can respond to various changes in the relatively low-height surface of the front surface 11 of the individual laminate 10 .
  • the sub-pressing unit 120 considers that the laminate 10 is formed in various lengths and widths for each model, and that the region where the electrode slurry cannot reach is irregularly formed for each laminate 10 By doing so, the sub pressing unit 120 can be movably provided.
  • the sub-pressing part 120 is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aminate 10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partial surface 12 is formed at the end of the laminate 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may be provided.
  • the sub-pressing unit 120 may press the partial surface 12 while mov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aminate 10 .
  • the stack 10 is on the transport unit 2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ack 10 (y direction based on FIG. 2)
  • the partial surface while moving in a direction (y direction in FIG. 2) perpendicular to the transport direction (x direction in FIG. 2) of the laminate 10 (12) can be pressurized.
  • the sub-pressing unit 120 may sequentially press the laminate 1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aminate 10, as shown in FIG. 3B. , Regardless of the formation position of the first partial surface 12a formed with a relatively low height among the partial surfaces 12 formed at the end of the laminate 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entire surface of the first partial surface 12a area can be pressed.
  • sub-pressing part 120 may move from the inside of the laminate 10 toward the outs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aminate 10, or may move from the outside of the laminate 10 toward the inside. is of course
  • the sub-pressing part 120 may have various structures.
  • the sub-pressing unit 120 includes a drum unit 121 that rotates and presses the partial surface 12 of the laminate 10; It may include a rotating shaft 122 coupled to the drum unit 121 to rotate the drum unit.
  • the drum unit 121 is configured to rotate and press the partial surface 12 of the laminate 10, and various configurations are possible.
  • the drum unit 121 may rotate by receiving rotational force from the rotating shaft 122 and may have various shapes.
  • the drum unit 121 may have a cylindrical cylinder shape, a wheel shape having a plurality of spokes, and the like.
  • the drum unit 121 may have various sizes. However, when the sub-pressing unit 120 mov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ack 10, the width of the drum unit 121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stack 10. It is desirable to form large. At this time, the width of the drum unit 121 and the width of the multilayer body 10 may be understood as a width in which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multilayer body 10 transported on the transfer unit 200 is the longitudinal direction.
  • the rotating shaft 122 is configured to rotate the drum unit by being coupled with the drum unit 121, and various configurations are possible.
  • one end of the rotating shaft 122 may be connected to a driving motor to receive rotational force, and transmit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motor 122 to the drum unit 121 .
  • the rotating shaft 122 may include a bearing (not shown) provided between the rotating shaft 122 and the drum unit 121 while surroundi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shaft 122 .
  • the rotary shaft 122 may be coupled with a support part 122 ′ that can be connected to a moving unit (not shown) that moves the sub-pressing part 120 .
  • the support part 122 ′ may rotatably support and couple the rotating shaft 122 , and for example, may be combined with the rotating shaft 122 by a bearing.
  • the above-described moving unit may have any configuration as long as it moves the sub-pressing unit 120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or a vertical direction.
  • the moving unit drives a coupling unit (not shown) coupled with the sub pressing unit 120 to move the sub pressing unit 120 and the coupling unit (not shown).
  • a driving unit may be included.
  • the coupling unit may be coupled to the above-described support unit 122' through bolt coupling, etc., and the driving unit may include an actuator or the like.
  • the above-described sub-pressing part 120 is disposed at least one of the front and rear of the main pressing part 110, before and / or before pressing the front surface 11 of the laminate 10 ( After pressing 11), some surfaces 12 of the laminate 10 may be pressed.
  • a direction toward the moving direction on the transfer unit 200 of the laminate 10 may be referred to as a front, and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ront may be referred to as a rear.
  • the sub pressing part 120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main pressing part 110 .
  • the laminate 10 since the laminate 10 is in a state of being pressed by the main pressurizing part 110, when the sub-pressing part 120 moves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of the laminate 10, the electrode and the separator are milled Air bubbles can be generated inside the laminate 10 while doing so. Accordingly, when the sub-pressing part 12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main pressing part 110, the sub-pressing part 120 moves from the inside of the laminate 10 toward the outside of the laminate 10. It may be desirable to pressurize some faces 12 .
  • the sub pressing part 120 may be disposed behind the main pressing part 110 .
  • the sub-pressing part 120 may press the partial surface 12 of the laminate 10 while moving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of the laminate 10. can However, it goes without saying that even at this time, the sub-pressing part 120 may press the partial surface 12 of the laminate 10 while moving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laminate 10 .
  • the secondary battery manufactur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heating unit 300 for applying heat to the laminate 10 .
  • the heating unit 300 applies heat to the laminate 10 in which the electrode and the separator are stacked, and various configurations are possible.
  • the heating unit 300 may be disposed at the rear of the pressing unit 100, and as described above, the rear may mea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laminate 10 travels on the conveyor belt.
  • the heating unit 300 is disposed behind the pressing unit 100 to apply heat to the stack 10 before the press unit 100 presses the stack 10 there is. That is, as the temperature of the laminate 10 increases, the adhesion between the electrode and the separator is improved, and wrinkles formed on the electrode, the separator, and the separator sheet inside the laminate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improved.
  • the laminate 10 may be heated to a temperature higher than room temperature.
  • the meaning of the room temperature refers to a temperature range referred to as 'room temperature' or room temperature in the art. In other words, it refers to the temperature of a laboratory, laboratory, etc., especially when an experiment is conducted without specifying or adjusting the temperature, or when samples and substances are left indoors.
  • As an expression of temperature conditions it refers to the indoor air temperature. . Generally, it is a temperature at which humans can comfortably live, and is usually around 15°C to 20°C.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condary battery manufacturing method including a laminate press step of pressurizing the laminate 10 in which the electrode and the separator are laminated.
  • the laminate 10 is a configuration in which electrodes and separators are stacked, and various configurations are possible.
  • the laminate 10 is an electrode unit in which electrodes and separators are stacked, that is, a unit cell, and may mean any one of bi-cell, mono-cell, and full-cell, and electrodes and separators are stacked. It may mean an electrode assembly in which a plurality of electrode units (unit cells) and separator sheets are stacked.
  • the pressing of the laminate may include: a front pressing step of pressing the front surface 11 of the laminate 10; and a partial surface pressing step of pressing the partial surface 12 of the laminate 10 .
  • the front pressing step is a step of pressing the front surface 11 of the laminate 10, and may be performed by various methods.
  • the front surface 11 may be performed by pressing the front surface 11 of the laminate 10 through the main pressing unit 110 described above.
  • the electrode slurry is non-uniformly coated on th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 height difference occurs on the front surface of the laminate 10, and unbonded areas may occur on some surfaces 12 including surfaces with a relatively low height among the front surfaces.
  • the partial surface pressing step is a step of pressurizing the partial surface 12 of the laminate 10, and may be performed by various methods.
  • the partial surface pressing step may be performed by pressing the partial surface 12 of the laminate 10 through the sub-pressing unit 120 in consideration of the conveying speed and the conveying position of the laminate 10.
  • the detailed configuration and effects of the sub-pressing unit 120 may be substituted for the above description.
  • the partial surface pressing step is a step of additionally pressing the partial surface 12 of the laminate 10 in order to improve the unbonded area of the partial surface 12, wherein the partial surface pressing step, Of course, it can be performed not only after the front pressing step is performed, but also before the front pressing step is performed.
  • the partial surface pressing step may include a lowering step of lowering the sub-pressing part 120 toward the laminate 10 at one position; a pressing and moving step of moving the multilayer body 10 while pressing i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the sub-pressing unit 120; and a return step of returning the sub-pressing part 120 to the one position.
  • the lowering step is a step of lowering the sub-pressing part 120 toward the laminate 10 from one position, and may be performed in various ways.
  • the lowering step may be performed by lowering the sub-pressing unit 120 to contact and/or press the laminate 10 using the aforementioned moving unit (not shown). .
  • the pressing and moving step is a step of moving the laminate 10 while pressing i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the sub-pressing unit 120, and may be performed in various ways.
  • the pressing and moving step may be performed by horizontally moving the sub-pressing unit 12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aminate 10 using the aforementioned moving unit (not shown).
  • the returning step is a step of returning the sub-pressing part 120 to the one position, and may be performed in various ways.
  • the sub-pressing unit 120 finishes pressurizing the laminate 10
  • the sub-pressing unit 120 is raised and horizontally moved using the aforementioned moving unit (not shown). It can be performed by returning to the one position.
  • the laminate is a bi-cell
  • a front image of the bi-cell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prior ar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omparative example'
  • a front image of a bi-cell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black electrode-separator non-adhesive area on the upper part of the bi-cell that is, the edge portion B corresponding to the electrode tab It can be seen that this is formed.
  • the black electrode-separator non-adhesive area on the upper part of the bi-cell that is, the edge portion B corresponding to the electrode tab It can be seen that this is form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차전지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이차전지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극 및 분리막이 적층된 적층체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이차전지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극 및 분리막이 적층된 적층체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적층체의 전면을 가압하는 메인 가압부; 및 상기 적층체의 일부 면을 가압하는 서브 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일부 면은, 상기 적층체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전면 중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된 면을 포함하고, 상기 서브 가압부는, 상기 적층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일부 면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차전지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이차전지 제조방법
관련 출원과의 상호인용
본 출원은 2021년 11월 08일자 한국특허출원 제10-2021-0152608호에 기초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해당 한국특허출원의 문헌에 개시된 모든 내용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포함된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이차전지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이차전지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극 및 분리막이 적층된 적층체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이차전지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물질의 물리적 반응이나 화학적 반응을 통해 전기에너지를 생성시켜 외부로 전원을 공급하게 되는 전지(cell, battery)는 각종 전기전자 기기로 둘러싸여 있는 생활환경에 따라, 건물로 공급되는 교류 전원을 획득하지 못할 경우나 직류전원이 필요할 경우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전지 중에서 화학적 반응을 이용하는 화학전지인 일차전지와 이차전지가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일차전지는 건전지로 통칭되는 것으로 소모성 전지이다. 또한 이차전지는 전류와 물질 사이의 산화환원과정이 다수 반복 가능한 소재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재충전식 전지로서, 전류에 의해 소재에 대한 환원반응이 수행되면 전원이 충전되고, 소재에 대한 산화반응이 수행되면 전원이 방전되는데, 이와 같은 충전-방전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면서 전기가 생성되게 된다.
이때, 이차 전지 중 리튬 이온 전지는, 양극 도전 포일과 음극 도전 포일에 각각 활물질, 도전재 및 바인더가 혼합되어 있는 전극 슬러리(slurry)를 일정한 두께로 코팅함으로써 전극을 제조하고, 양 도전 포일 사이에는 분리막이 개재되도록 하여 전극 단위체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이차전지는 구조에 따라 분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차전지는 긴 시트형의 전극 단위체를 분리막 시트가 개재된 상태에서 대량 젤리 롤(jelly roll) 형태로 다수회 권취하여 전극조립체를 제조하고, 제조된 전극조립체를 원통형 캔 등에 수납하고 이를 밀봉처리하여 제작되는 원통형 이차전지와, 소정 크기 단위의 전극 단위체들을 분리막 시트를 개재한 상태로 적층하여 전극조립체를 제조하고, 제조된 전극조립체를 파우치에 수납하여 이를 밀봉처리하여 제작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한편, 전극 제조 시, 전극 슬러리의 점성으로 인하여 전극 슬러리가 도전 포일에 불균일하게 도포되어 전극 슬러리의 코팅 두께 차이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전극 슬러리의 코팅 두께 차이는, 상기 전극을 포함하여 제조되는 전극 단위체 내부의 전극 및 분리막의 미접착 영역을 형성하였다. 또한, 파우치형 이차전지는 전극 단위체가 분리막 시트에 적층되어 제조되므로, 상기 전극 단위체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내부의 미접착 영역을 형성하게 되었다. 상기와 같은 미접착 영역은 음극 계면저항에 의한 리튬 석출의 원인이 되어 전극의 저항을 증가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과제는 전극 단위체 내부의 전극 및 분리막의 미접착 영역 및 전극조립체 내부의 전극 단위체 및 분리막 시트의 미접착 영역을 개선할 수 있는 이차전지 제조장치 및 이차전지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극 및 분리막이 적층된 적층체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적층체의 전면을 가압하는 메인 가압부; 및 상기 적층체의 일부 면을 가압하는 서브 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일부 면은, 상기 적층체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전면 중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된 면을 포함하고, 상기 서브 가압부는, 상기 적층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일부 면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제조장치는, 상기 적층체를 일 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서브 가압부는, 상기 일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일부 면을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서브 가압부는, 상기 적층체의 상기 일부 면을 회전하면서 가압하는 드럼부; 및 상기 드럼부와 결합하여 상기 드럼부를 회전시키는 회전축;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층체는, 상기 전극에 연결되는 전극 탭을 포함하며; 상기 일부 면은, 상기 적층체의 상기 전극 탭이 위치하는 길이 방향의 단부에 대응되어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제조장치는, 상기 전극 및 상기 분리막이 적층된 상기 적층체에 열을 가하는 가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 가압부는, 상기 메인 가압부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서브 가압부는, 상기 적층체의 내부로부터 외부를 향하여 이동하면서 상기 적층체의 일부 면을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서브 가압부는, 상기 메인 가압부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서브 가압부는, 상기 적층체의 외부로부터 내부를 향하여 이동하면서 상기 적층체의 일부 면을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적층체는, 전극 및 분리막이 적층된 전극 단위체로서, bi-cell, mono-cell 및 full-cell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적층체는, 전극 및 분리막이 적층된 다수의 전극 단위체와 분리막 시트가 적층된 전극조립체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전극 및 분리막이 적층된 적층체를 가압하는 적층체 가압단계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 가압단계는, 상기 적층체의 전면을 가압하는 전면 가압단계; 및 상기 적층체의 일부 면을 가압하는 일부 면 가압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일부 면은, 상기 적층체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전면 중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된 면을 포함하고, 상기 일부 면 가압단계는, 상기 일부 면을 가압하는 서브 가압부가 상기 적층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일부 면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이차전지 제조방법은, 서브 가압부를 이용하여 적층체의 전면 중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게 형성된 면을 가압함으로써 적층체 내부의 미접착 영역을 개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제조장치는, 적층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가압함으로써, 서브 가압부를 교체하지 않고도 적층체의 전면 중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게 형성된 면의 다양한 크기 및 형상에 대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a은, 적층체를 위에서 아래로 내려다본 모습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적층체를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이차전지 제조장치를 위에서 아래로 내려다본 모습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a은, 도 2의 서브 가압부의 측면을 보다 상세하게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A부분의 확대도로서, 서브 가압부가 적층체를 가압하는 모습을 보다 상세하게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2의 이차전지 제조장치에서 서브 가압부의 모습을 보다 상세하게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b는, 종래의 이차전지 제조장치 및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bi-cell의 미접착 영역의 형성을 비교하여 보여주는 이미지이다.
이하에서는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 또는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으며,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는,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전극 및 분리막이 적층된 적층체(10)를 가압하는 가압부(100)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제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먼저, 적층체(10)는, 전극 및 분리막이 적층된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적층체(10)는, 전극 및 분리막이 적층된 전극 단위체, 즉 단위 셀로서, bi-cell, mono-cell 및 full-cell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할 수 있으며, 전극 및 분리막이 적층된 다수의 전극 단위체(단위 셀)와 분리막 시트가 적층된 전극조립체를 의미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전극조립체는 다수의 상기 전극 단위체와 분리막 시트가 적층된 구조라면 어떠한 구조나 가능하다. 일례로서, 상기 전극조립체는 분리막 시트 상에 다수의 전극 단위체가 배열 또는 나열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전극조립체는 다수의 상기 전극 단위체가 분리막 시트 상에서 배열 또는 나열된 후, 상기 전극 단위체와 상기 분리막 시트가 교대로 적층되어 폴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층체(10)는, 전극과 분리막, 전극 단위체와 분리막 시트를 서로 접착시키기 위하여 후술하는 가압부(100)에 의하여 가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적층체(10)에서 가압부(100)에 마주보게 구비되어 가압되는 면의 전체는, 전면(11)으로 정의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전면(11)은, 전극 슬러리가 전극 집전체(ex. 도전 포일)상에 불균일하게 도포되므로 높이 차이가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전면(11) 중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게 형성된 면은 가압 공정 수행 시 가압이 어려우므로 전극-분리막 또는 전극 단위체-분리막 시트가 미접착된 미접착 영역으로 남게 되며, 이는 음극 계면 상의 리튬 석출 원인이 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전면(11)은, 도 1a 내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체(10)의 전면(11) 중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된 면을 포함하는 일부 면(12)과, 전극 슬러리가 전극 집전체 상에 균일하게 도포되어 높이가 일정하게 형성된 나머지 면(13)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면 상에서, 적층체(10)에 도시된 점선은, 일부 면(12)과 나머지 면(13)을 구분하기 위함이며, 상기 적층체(10) 내부 구조가 분리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일부 면(12)은, 전극 슬러리가 전극 집전체 상에 덜 도포되어 적층체(10)의 전면(11) 중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된 면을 포함하는 면으로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일부 면(12)은, 높이 차가 형성되는 면으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11) 중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된 제1 일부 면(12a)과 상기 제1 일부 면(12a)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제2 일부 면(12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일부 면(12a)은, 상기 제1 일부 면(12a)은, 전면 중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게 형성된 면으로서, 적층체(10) 내부의 미접착 영역에 대응되는 면일 수 있으며,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높이(H1)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높이(H1)는, 상기 전극 및 분리막의 적층 방향에 위치한 상기 적층체(10)의 일면을 기준으로, 상기 일면과 마주보는 타면까지의 높이가 전면(11)의 나머지 면(13)의 높이(H3)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된 높이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나머지 면(13)의 높이(H3)는, 전극 슬러리가 전극 집전체 상에 균일하게 도포된 영역의 상기 전극 및 분리막의 적층 방향에 위치한 상기 적층체(10)의 일면을 기준으로, 상기 일면과 마주보는 타면까지의 높이로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일부 면(12b)은, 제1 일부 면(12a)보다 높게 형성된 면으로서, 상기 적층체(10)의 모델 별 크기 및 상기 적층체(10)내의 전극 슬러리가 불균일하게 도포된 정도에 따라 상기 제1 일부 면(12a)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일부 면(12a)으로부터 다양한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일부 면(12b)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일부 면(12a)과, 나머지 면(13)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2 일부 면(12b)의 형성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 일부 면(12a)에 의해 둘러싸이거나, 상기 제1 일부 면(12a)을 둘러싸면서 형성되는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제2 일부 면(12b)은, 제2 높이(H2)에 위치된 면으로서, 여기서 제2 높이(H2)는, 상기 전극 및 분리막의 적층 방향에 위치한 상기 적층체(10)의 일면을 기준으로, 상기 일면과 마주보는 타면까지의 높이가 제1 높이(H1)보다 높게 형성된 높이로 정의될 수 있다. 이때, 제2 높이(H2)는, 나머지 면(13)의 높이(H3)와 동일한 높이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일부 면(12)은, 전면(11) 중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된 제1 일부 면(12a)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일부 면(12)은, 상기 적층체(10)의 어느 부위에나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층체(10)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전극 슬러리 도포 시 적층체(10)의 가장자리, 즉 적층체(1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형성되는 길이 방향의 단부에 전극 슬러리가 덜 도달하기 쉬우므로 상기 일부 면(12)은, 상기 적층체(1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형성되는 길이 방향의 단부에 대응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때, 본 명세서에서 적층체(10)의 길이 방향은, 전극 및 분리막의 적층 방향에 위치한 상기 적층체(10)의 일면을 기준으로, 상기 일면의 긴 변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방향(도 2기준 y방향)으로 이해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일부 면(12)은 적층체(10)의 길이 방향의 단부 중 전극 탭(14)이 위치하는 적층체(10)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대응되어 위치될 수 있다. 이는 전극 제조 시, 하나의 전극 집전체의 중앙부에 전극 슬러리를 도포 및 건조한 후, 중앙부를 자름으로써 2개의 전극을 제조하는 경우, 본래 전극 집전체의 중앙부에 해당했던 적층체(10)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는 전극 슬러리가 충분히 도포되어 있을 것으로 예상되나, 전극 탭(14)이 위치되는 전극 집전체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는 전극 슬러리가 상대적으로 덜 도달하기 쉽기 때문으로 이해될 수 있다.
여기서 전극 탭(14)은 전극 슬러리가 코팅되기 이전에 전극 집전체 상에 노칭(notching)공정을 통해 형성되거나, 전극 슬러리 코팅 이후에 상기 전극 집전체의 어느 한 부위에 부착됨으로써 전극과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적층체(10)는, 전극 및 분리막의 접착을 위하여 후술하는 가압부(100)에 의하여 가압 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적층체(10)는 보다 신속하게 가압 될 수 있도록 이송부(200)에 의하여 일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여기서, 송부(200)는, 상기 가압부(100)의 가압 방향을 향하는 일 측에 마련될 수 있으며, 컨베이어 벨트(Conveyor belt)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가압부(100)는, 상기 이송부(200)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부(200)로부터 이송되는 적층체(10)들을 가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가압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층체(10)의 전면(11)을 가압하는 메인 가압부(110); 및 상기 적층체(10)의 일부 면(12)을 가압하는 서브 가압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메인 가압부(110)는, 상기 적층체(10)의 전면(11)을 가압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메인 가압부(110)는, 상기 적층체(10)를 회전하면서 가압하는 롤러(roller) 또는 상기 적층체(1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가압하는 프레스(press)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적층체(10)가 전극 단위체인 경우, 상기 메인 가압부(110)는 롤러(roller)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적층체(10)가 전극조립체인 경우, 상기 메인 가압부(110)는 프레스(press)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서브 가압부(120)는, 상기 적층체(10)의 일부 면(12)을 가압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브 가압부(120)는, 전면(11) 중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된 면을 포함하는 일부 면(12)을 메인 가압부(110)에 의하여 가압되는 것과 별도로 추가 가압함으로써 적층체(10)의 미접착 영역을 개선할 수 있다.
이때, 서브 가압부(120)는, 이동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개별 적층체(10)의 전면(11) 중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된 면의 다양한 변화에 대응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서브 가압부(120)는, 적층체(10)가 모델 별로 다양한 길이 및 폭으로 형성되며, 전극 슬러리가 도달하지 못하는 영역이 각 적층체(10)마다 불규칙하게 형성되는 점을 고려하여 서브 가압부(120)를 이동 가능하게 구비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서브 가압부(1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일부 면(12)이 적층체(10)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형성됨을 고려하여 상기 적층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브 가압부(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층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일부 면(12)을 가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브 가압부(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층체(10)가 이송부(200) 상에서 상기 적층체(10)의 길이 방향(도 2 기준 y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일 방향(도 2 기준 x방향)으로 이송되는 경우, 상기 적층체(10)의 이송 방향(도 2 기준 x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도 2 기준 y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일부 면(12)을 가압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브 가압부(12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층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적층체(10)를 순차적으로 가압할 수 있으므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체(10)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형성되는 일부 면(12) 중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된 제1 일부 면(12a)의 형성 위치에 관계 없이, 상기 제1 일부 면(12a)의 전 영역을 가압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메인 가압부(110) 및 서브 가압부(120)가 모두 롤러(roller)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메인 가압부(110) 및 서브 가압부(120)의 롤링방향은 서로 직교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서브 가압부(120)는, 적층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층체(10)의 내부로부터 외부를 향하도록 이동할 수도 있으며, 적층체(10)의 외부로부터 내부를 향해 이동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이러한 상기 서브 가압부(120)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브 가압부(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층체(10)의 상기 일부 면(12)을 회전하면서 가압하는 드럼부(121); 상기 드럼부(121)와 결합하여 상기 드럼부를 회전시키는 회전축(12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드럼부(121)는, 상기 적층체(10)의 상기 일부 면(12)을 회전하면서 가압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드럼부(121)는 회전축(122)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으며,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드럼부(121)는 원통형의 실린더 형상, 복수개의 바퀴살이 형성된 휠(wheel)의 형상 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럼부(121)는 다양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상기 서브 가압부(120)가 상기 적층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 드럼부(121)의 폭은 적층체(10)의 폭과 동일하거나 적층체(10)의 폭보다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드럼부(121)의 폭 및 적층체(10)의 폭은 이송부(200)상에서 이송되는 적층체(10)의 이송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폭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122)는, 상기 드럼부(121)와 결합하여 상기 드럼부를 회전시키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회전축(122)은 일단이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으며, 상기 구동모터(122)의 회전력을 드럼부(121)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122)은, 상기 회전축(122) 및 상기 드럼부(121) 사이에서 상기 회전축(122)의 외주면을 둘러싸면서 구비되는 베어링(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122)은, 상기 서브 가압부(120)를 이동시키는 이동유닛(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는 지지부(122')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부(122')는 회전축(12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결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회전축(122)과 베어링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이동 유닛(미도시)은, 상기 서브 가압부(120)를 수평방향 및/또는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구성이나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 유닛(미도시)은 상기 서브 가압부(120)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서브 가압부(120)와 결합하는 결합유닛(미도시) 및 상기 결합유닛(미도시)을 구동시키는 구동유닛(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결합유닛(미도시)은 전술한 지지부(122')와 볼트결합 등으로 결합할 수 있으며, 상기 구동유닛은 액추에이터(actuat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상기 서브 가압부(120)는, 상기 메인 가압부(110)의 전방 및 후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되어, 상기 적층체(10) 전면(11)의 가압 이전 및/또는 전면(11)의 가압 이후에 상기 적층체(10)의 일부 면(12)을 가압할 수 있다. 여기서 적층체(10)의 이송부(200)상 진행방향을 향하는 방향을 전방이라 하고, 전방의 반대 방향을 후방이라 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서브 가압부(120)는, 상기 메인 가압부(11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적층체(10)는 메인 가압부(110)에 의하여 가압된 상태이므로, 서브 가압부(120)가 적층체(10)의 외부로부터 내부를 향하면서 이동하는 경우, 전극 및 분리막이 밀리면서 적층체(10) 내부의 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서브 가압부(120)가 메인 가압부(110)의 전방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서브 가압부(120)는, 적층체(10)의 내부로부터 외부를 향하여 이동하면서 상기 적층체(10)의 일부 면(12)을 가압함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서브 가압부(120)는 상기 메인 가압부(11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적층체(10)는 가압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상기 서브 가압부(120)가 적층체(10)의 외부로부터 내부를 향하여 이동하면서 적층체(10)의 일부 면(12)을 가압할 수 있다. 다만 이때에도 상기 서브 가압부(120)가 적층체(10)의 내부로부터 외부를 향하여 이동하면서 상기 적층체(10)의 일부 면(12)을 가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제조장치는, 상기 적층체(10)에 열을 가하는 가열부(30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열부(300)는, 상기 전극 및 상기 분리막이 적층된 상기 적층체(10)에 열을 가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가열부(300)는, 가압부(10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후방은, 적층체(10)의 컨베이어 벨트 상 진행방향을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가열부(300)는, 상기 가압부(100)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가압부(100)가 적층체(10)를 가압하기 이전에 적층체(10)에 열을 가할 수 있다. 즉, 상기 적층체(10)는 온도가 상승되면서 전극 및 분리막 간의 접착력이 향상되며, 제조과정에서 적층체 내부의 전극, 분리막 및 분리막 시트 등에 형성된 주름이 개선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적층체(10)는, 실온 초과의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온의 의미는, 당업계에 'room temperature' 또는 상온이라 칭하여지는 온도 범위를 말한다. 즉, 실험실, 연구실 등의 온도를 뜻하며, 특히 온도를 지정하거나 조절을 하지 않고 실험을 진행한 경우라든가 시료와 물질을 실내에 방치한 경우에 사용되는 온도 조건의 표현으로서, 실내의 대기 온도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인간이 쾌적하게 지낼 수 있는 온도로서, 보통 15℃ 내지 20℃ 전후이다.
한편, 본 발명은 전극 및 분리막이 적층된 적층체(10)를 가압하는 적층체 가압단계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적층체(10)는, 전극 및 분리막이 적층된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적층체(10)는, 전극 및 분리막이 적층된 전극 단위체, 즉 단위 셀로서, bi-cell, mono-cell 및 full-cell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할 수 있으며, 전극 및 분리막이 적층된 다수의 전극 단위체(단위 셀)와 분리막 시트가 적층된 전극조립체를 의미할 수도 있다.
상기 적층체 가압단계는, 상기 적층체(10)의 전면(11)을 가압하는 전면 가압단계; 및 상기 적층체(10)의 일부 면(12)을 가압하는 일부 면 가압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전면 가압단계는, 상기 적층체(10)의 전면(11)을 가압하는 단계로서,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전면(11)은, 상술한 메인 가압부(110)를 통해서 적층체(10)의 전면(11)을 가압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다만, 전극 슬러리가 전극 집전체 상에 불균일하게 코팅되어 적층체(10)의 전면에 높이 차가 발생하는 바, 전면 중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은 면을 포함하는 일부 면(12)에는 미접착 영역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일부 면 가압단계는, 상기 적층체(10)의 일부 면(12)을 가압하는 단계로서,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일부 면 가압단계는, 상기 적층체(10)의 이송 속도 및 이송 위치를 고려하여 서브 가압부(120)를 통해서 적층체(10)의 일부 면(12)을 가압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브 가압부(120)의 자세한 구성 및 효과는 전술한 내용에 갈음할 수 있다.
즉, 상기 일부 면 가압단계는, 상기 일부 면(12)의 미접착 영역을 개선하기 위하여 적층체(10)의 일부 면(12)을 추가로 가압하는 단계로서, 이때 상기 일부 면 가압단계는, 전면 가압단계의 수행 이후뿐만 아니라, 전면 가압단계의 수행 이전에도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일부 면 가압단계는, 상기 서브 가압부(120)를 일 위치에서 적층체(10)를 향하여 하강시키는 하강단계; 상기 서브 가압부(120)로 상기 적층체(10)를 길이 방향을 따라 가압하면서 이동시키는 가압이동단계; 및 상기 서브 가압부(120)를 상기 일 위치로 회귀시키는 회귀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하강단계는, 상기 서브 가압부(120)를 일 위치에서 적층체(10)를 향하여 하강시키는 단계로서,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강단계는, 전술한 이동유닛(미도시)를 이용하여 상기 서브 가압부(120)를 적층체(10)와 접촉 및/또는 적층체(10)를 가압하도록 하강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이동단계는, 상기 서브 가압부(120)로 상기 적층체(10)를 길이 방향을 따라 가압하면서 이동시키는 단계로서,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압이동단계는, 전술한 이동유닛(미도시)를 이용하여 상기 서브 가압부(120)를 상기 적층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귀단계는, 상기 서브 가압부(120)를 상기 일 위치로 회귀시키는 단계로서,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회귀단계는, 상기 서브 가압부(120)가 적층체(10)를 가압을 마친 이후, 전술한 이동유닛(미도시)를 이용하여 상기 서브 가압부(120)를 상승 및 수평이동시켜 상기 일 위치로 회귀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을 참조하여, 본 발명 적용 여부에 따른 적층체의 미접착 영역의 크기를 살펴본다. 여기서 적층체는 bi-cell이며, 도 5의 (a)에는 종래 기술에 따라 제조된 bi-cell의 전면 이미지(이하 ‘비교예’라 한다)가 개시되어 있으며, 도 6의 (b)에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bi-cell의 전면 이미지(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라 한다)가 개시되어 있다.
먼저, 도 5(a)의 비교예에 의해 형성된 bi-cell의 전면 이미지를 살펴보면, bi-cell의 상부, 즉, 전극 탭에 대응하는 가장자리부(B)에 검은 색의 전극-분리막 미접착 영역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단위 셀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의 경우, 단위 셀-분리막 시트 간의 미접착 영역이 발생할 것이 예상되므로 음극 상에 리튬이 석출되어 전극의 저항이 증가할 수 있다. 이에 이차전지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반면에 도 5(b)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bi-cell의 전면 이미지를 살펴보면, bi-cell의 상부, 즉, 전극 탭에 대응하는 가장자리부(B)에 미접착 영역이 거의 형성되어 있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형성되는 전극 단위체는, 전극 단위체 내부의 전극-분리막의 미접착 영역뿐만 아니라, 전극조립체 상에서 단위셀 및 분리막 시트 간의 미접착 영역 또한 거의 형성하지 않을 것이 예상 되므로 음극 상에 계면 저항에 의한 리튬 석출을 최소화하여 이차전지의 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
[부호의 설명]
10 : 적층체
11 : 전면
12 : 일부 면
12a: 제1 일부 면
12b: 제2 일부 면
13 : 나머지 면
14 : 전극 탭
100 : 가압부
110 : 메인 가압부
120 : 서브 가압부
121 : 드럼부
122 : 회전축
122': 지지부
200: 이송부
300: 가열부
H1 : 제1 높이
H2 : 제2 높이
H3 : 제3 높이

Claims (12)

  1. 전극 및 분리막이 적층된 적층체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적층체의 전면을 가압하는 메인 가압부; 및
    상기 적층체의 일부 면을 가압하는 서브 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일부 면은,
    상기 적층체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전면 중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된 면을 포함하고,
    상기 서브 가압부는,
    상기 적층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일부 면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제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를 일 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서브 가압부는,
    상기 일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일부 면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제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브 가압부는,
    상기 적층체의 상기 일부 면을 회전하면서 가압하는 드럼부; 및
    상기 드럼부와 결합하여 상기 드럼부를 회전시키는 회전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제조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는, 상기 전극에 연결되는 전극 탭을 포함하며;
    상기 일부 면은, 상기 적층체의 상기 전극 탭이 위치하는 길이 방향의 단부에 대응되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제조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극 및 상기 분리막이 적층된 상기 적층체에 열을 가하는 가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제조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브 가압부는, 상기 메인 가압부의 전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제조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서브 가압부는,
    상기 적층체의 내부로부터 외부를 향하여 이동하면서 상기 적층체의 일부 면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제조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브 가압부는, 상기 메인 가압부의 후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제조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서브 가압부는,
    상기 적층체의 외부로부터 내부를 향하여 이동하면서 상기 적층체의 일부 면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제조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는, 전극 및 분리막이 적층된 전극 단위체로서, bi-cell, mono-cell 및 full-cell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제조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는, 전극 및 분리막이 적층된 다수의 전극 단위체와 분리막 시트가 적층된 전극조립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제조장치.
  12. 전극 및 분리막이 적층된 적층체를 가압하는 적층체 가압단계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 가압단계는,
    상기 적층체의 전면을 가압하는 전면 가압단계; 및
    상기 적층체의 일부 면을 가압하는 일부 면 가압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일부 면은,
    상기 적층체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전면 중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된 면을 포함하고,
    상기 일부 면 가압단계는,
    상기 일부 면을 가압하는 서브 가압부가 상기 적층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일부 면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제조방법.
PCT/KR2022/017461 2021-11-08 2022-11-08 이차전지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이차전지 제조방법 WO2023080760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2890491.8A EP4333143A1 (en) 2021-11-08 2022-11-08 Secondary battery manufacturing apparatus and secondary battery manufacturing method using same
CN202280040975.XA CN117501489A (zh) 2021-11-08 2022-11-08 二次电池制造设备和使用其的二次电池制造方法
JP2023568472A JP2024516732A (ja) 2021-11-08 2022-11-08 二次電池製造装置及びそれを用いる二次電池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2608 2021-11-08
KR1020210152608A KR20230066997A (ko) 2021-11-08 2021-11-08 이차전지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이차전지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80760A1 true WO2023080760A1 (ko) 2023-05-11

Family

ID=86241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17461 WO2023080760A1 (ko) 2021-11-08 2022-11-08 이차전지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이차전지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4333143A1 (ko)
JP (1) JP2024516732A (ko)
KR (1) KR20230066997A (ko)
CN (1) CN117501489A (ko)
WO (1) WO2023080760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65036A (ja) * 2012-02-13 2013-08-22 Nissan Motor Co Ltd 電池押圧装置および電池押圧方法
KR20150107115A (ko) * 2014-03-13 2015-09-23 주식회사 엘지화학 활성화된 전지셀의 가스 제거 장치 및 전지셀 제조방법
KR20180042000A (ko) * 2016-10-17 2018-04-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 내부에 발생된 기포제거 방법
KR20180065231A (ko) * 2016-12-07 2018-06-18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조립체 제조를 위한 폴딩 장치 및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의 제조방법
KR20210069377A (ko) * 2019-12-03 2021-06-1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가압 롤러를 포함하는 전지 불량 검사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65036A (ja) * 2012-02-13 2013-08-22 Nissan Motor Co Ltd 電池押圧装置および電池押圧方法
KR20150107115A (ko) * 2014-03-13 2015-09-23 주식회사 엘지화학 활성화된 전지셀의 가스 제거 장치 및 전지셀 제조방법
KR20180042000A (ko) * 2016-10-17 2018-04-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 내부에 발생된 기포제거 방법
KR20180065231A (ko) * 2016-12-07 2018-06-18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조립체 제조를 위한 폴딩 장치 및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의 제조방법
KR20210069377A (ko) * 2019-12-03 2021-06-1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가압 롤러를 포함하는 전지 불량 검사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4516732A (ja) 2024-04-16
KR20230066997A (ko) 2023-05-16
CN117501489A (zh) 2024-02-02
EP4333143A1 (en) 2024-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194284A1 (ko) 단위 셀 제조 장치 및 방법
WO2018097606A1 (ko) 전극조립체 제조 장치 및 그 전극조립체 제조 장치에 의한 전극조립체 제조 방법
WO2021194285A1 (ko) 셀 제조 장치 및 방법
WO2015046690A1 (ko) 전극 가이드를 포함하는 라미네이션 장치
WO2015046703A1 (ko) 테이프를 이용한 전극조립체의 고정방법
WO2021080210A1 (ko) 가열과 가압을 동시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제조방법
WO2019231077A1 (ko) 배터리 셀 장착 장치 및 그 방법
WO2022019599A1 (ko) 단위 셀 제조 장치 및 방법
WO2017086592A1 (ko) 전극 건조장치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전극을 포함하는 배터리 셀
WO2022169237A1 (ko) 가압력 조절이 가능한 가압롤을 포함하는 라미네이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전극조립체
WO2015060698A1 (ko) 분리막에 점착성 바인더를 도포하는 방법
WO2015030333A1 (ko) 폴리머 2차전지 셀용 전극조립체
WO2020231149A1 (ko) 전극 조립체 제조장치와, 이를 통해 제조된 전극 조립체 및 이차전지
WO2023080760A1 (ko) 이차전지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이차전지 제조방법
WO2021118197A1 (ko) 전극 조립체 제조장치와, 이를 통해 제조된 전극 조립체 및 이차전지
WO2021080101A1 (ko) 각형 이차전지 셀 제조 장비에서 분리막의 접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18207999A1 (ko) 이차전지, 그의 제조장치 및 방법
WO2018030810A1 (ko) 전극과 분리막이 부분 결착된 전극조립체
WO2021112551A1 (ko) 전극 조립체 제조장치와, 이를 통해 제조된 전극 조립체 및 이차전지
WO2024049096A1 (ko) 전극 조립체 제조 방법 및 전극 조립체
WO2023106755A1 (ko) 전극의 레이저 노칭에 사용되는 전극 제조 장치
WO2020085685A1 (ko) 단차 보정 부재를 포함하는 롤 압연 장치 및 이를 사용한 압연 방법
WO2021080239A1 (ko) 전극 조립체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전극 조립체
WO2023033531A1 (ko) 전극 주행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노칭 장치
WO2023043196A1 (ko) 전극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이를 제조하는 이차전지 제조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이차전지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89049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3568472

Country of ref document: JP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890491

Country of ref document: EP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80040975.X

Country of ref document: C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8568908

Country of ref document: US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890491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31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