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075216A1 - 절단방지 죔줄 구조 - Google Patents

절단방지 죔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075216A1
WO2023075216A1 PCT/KR2022/015389 KR2022015389W WO2023075216A1 WO 2023075216 A1 WO2023075216 A1 WO 2023075216A1 KR 2022015389 W KR2022015389 W KR 2022015389W WO 2023075216 A1 WO2023075216 A1 WO 202307521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metal wire
lanyard
fabric band
fabric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1538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정수
안형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148273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72790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탑
Publication of WO202307521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07521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A62B35/0075Details of ropes or similar equipment, e.g. between the secured person and the lifeline or anchor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6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warp or weft elements other than yarns or threads
    • D03D15/67Metal wir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t-resistant lanyard structure that safely protects a worker from a fall accident during work at height.
  • one fabric bar is folded and joined by a sewing part to form a loop on one side, and fixing the loop to the worker's waist belt
  • the connection portion for; and, the first and second lanyards divided from the sewing part to form a pair, and the first lanyard and the second lanyard, the lanyard is composed of a hook connected to one end of each of the lanyards, the outside of the lanyard
  • a fabric tube formed to buffer and absorb the impact weighted by the worker's load in case of a fall
  • the inside of the fabric tube is composed of a tensile load center member formed to support the worker's load, and the The wrinkles formed on the fabric tube can be spread out or concentrated on one side according to the convenience of the operator, and the tensile load center material is woven with chemical fiber yarns having tensile strength, but the elastic yarn is twisted with the chemical
  • KR Publication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136555 (2015.12.07.)
  • a fixing part fixed to a safety member in a safety belt lanyard, a fixing part fixed to a safety member; A detachable band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fixing part and the other side divided into multiple pieces; A technique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rings each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band and fixed to a fixing member has been previously disclosed.
  •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cut-resistant lanyard structure, but the metal wire 20 is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abric band 10 constituting the work table lanyard 100, and the The area of the fabric band 10 corresponding to the metal wire 20 has an expanded thickness compared to other areas, so that when the lanyard 100 rubs against the structure 1, the grounding strap 12 grounded to the structure 1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rea excluding the ground strap portion 12 is provided to form a non-grounding strip portion 14 that is not grounded to the structure 1 when the lanyard 100 rubs against the structure 1.
  • the metal wire 20 is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fabric bands 10 and forms a sewing line 30 mutually binding the pair of fabric bands 10, but the sewing line 3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ilver metal wire 20 is formed side by side on both sides of the metal wire 20 so as to position it in the center of the fabric band 10 and restrain it.
  • the metal wire 20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fabric band 10 in a folded state by folding it in half, and a sewing line 30 is formed so that the overlapped fabric band 10 is bound, but the sewing line 30 )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etal wire 20 is formed side by side on both sides of the metal wire 20 so as to position and constra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fabric band 10.
  • the metal wire 20 is disposed in an oblique direction, so that the textile band 10 and the metal wire 20 are formed as an integral structure.
  • the fabric band 10 is tensioned to maintain the same tension as the metal wire 20, and both ends are finished to form a lanyard 100, and when a tensile load is applied to the lanyard 100, the fabric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ad is provided to be uniformly distributed to the band 10 and the metal wire 20 side.
  • the present invention arranges the metal wire in the fabric band constituting the lanyard, so that the frictional resistance with the structure is concentrated in the metal wire area, and the frictional resistance applied to the other fabric band area
  • the structure is improved to significantly reduce the damage and breakage of the textile band due to wear and tear.
  • FIG. 1 is a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a cut-resistant lanyard structure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ethod of combining a fabric band and a metal wire structure of a cut-resistant lanyard structure.
  • FIG.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abric band and the metal wire are set to the same tension in the cut-resistant lanyard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 One end of the lanyard is provided with a loop to fasten the loop to the surrounding structure when working at heights,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safety belt worn by the worker to prevent workers from falling due to carelessness or other factors during work.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t-resistant lanyard structure, in which a metal wire is placed in a fabric band constituting the lanyard, so that the frictional resistance with the structure is concentrated in the metal wire area and the frictional resistance applied to other fabric band areas is reduced.
  • the structural improvement is significantly reduced to prevent the above-mentioned secondary fall, and consists of a major component including a textile band 10 and a metal wire 20.
  • FIG. 1 is a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ut-resistant lanyard structure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the cut-resistant lanyard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a trapeze-type or belt-type safety harness, constituting the lanyard 10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etal wire 20 is installed inside the fabric band 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the fabric band 10 is formed of weft yarn and warp structure, has a ring installed at one end so that the ring is fastened to a surrounding structure when working at height, and the other end has a fastening means such as a carabiner to connect to a safety harness worn by a worker.
  • a fastening means such as a carabiner to connect to a safety harness worn by a worker.
  • the threa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vertical direction) with reference to FIG. 1 is called a warp.
  • the metal wire 20 provided inside the fabric band 10 is formed of a mono steel wire or a composite wire formed by twisting multiple strands of steel wire. At this time, the metal wire 20 is the width and effective In consideration of strength, one metal wire 20 may be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textile band 10, or a pair of metal wires 2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both ends of the textile band 10.
  • the area of the fabric band 10 in contact with the metal wire 20 has an expanded thickness compared to other areas, so that when the lanyard 100 rubs against the structure 1, the grounding strap portion 12 grounded to the structure 1 When the lanyard 100 rubs against the structure 1, the area excluding the ground strap portion 12 is provided to form a non-ground portion 14 that is not grounded to the structure 1.
  • 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method of coupling a fabric band and a metal wire having a cut-resistant lanyard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fabric band 10 and the metal wire 20 is shown. 2 (a) to 2 (c).
  • the metal wire 20 is disposed between a pair of fabric bands 10, and a bar line 30 is formed so that the pair of fabric bands 10 are bound to form a metal wire ( 20) to the center.
  • the fabric band 10 is folded in half and a metal wire 20 is inserted therein, and a sewing line 30 is formed so that the overlapped fabric bands 10 are bound to each other. It is provided to restrain the metal wire 20.
  • the bar line 30 is formed parallel to both sides of the metal wire 20 so as to position and restrain the metal wire 20 in the center of the fabric band 10.
  • the metal wire 20 has a sewing line 30 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fabric band 10 is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region where the fabric band 10 is folded in half, or the primary sewing line 30 by folding the fabric band 10 in half After binding,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secondary sewing line 30 with the metal wire 20 inserted between the pair of fabric bands 10 to restrain the metal wire 20.
  • FIG. 2 (c) shows that when the fabric band 10 is woven, the metal wire 20 is disposed in an oblique direction toward both edges of the fabric band 10, so that the fabric band 10 and the metal wire 20 are integrated. In this case, integrity between the fabric band 10 and the metal wire 20 is firmly maintained as the metal wire 20 is inserted in an oblique direction within the fabric of the fabric band 10.
  • FIGS. 2 (a) and 2 (b) When a single metal wire 20 is inserted as shown in FIGS. 2 (a) and 2 (b), a wire having a diameter of 3t or more is used to maintain stable strength, and as shown in FIG. 2 (c), two When two metal wires 20 are inserted, a wire having a diameter of 2t or more is used.
  • FIG.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abric band and the metal wire are set to have the same tension in the cut-resistant lanyard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abric band 10 is tensioned to maintain the same tension as the metal wire 20 It is provided to form the lanyard 100 by finishing the both ends of the fabric band 10 in the state of being made.
  • both ends of the fabric band 10 and the metal wire 20 are fastened by a joint J to maintain integrity.
  • the lanyard manufactured under the same tension acts evenly on the side of the fabric band 10 and the metal wire 20, so that the load is complementary to each other.
  • this distributed support increases the maximum permissible load of the lanyard 100, safety against instantaneous impact loads applied when a worker falls is secured.
  • the lanyard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very high industrial applicability because the frictional resistance with the structure is concentrated in the metal wire area by disposing the metal wire in the fabric band, so that the damage to the fabric band is small and the cutting phenomenon can be preven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소작업 시 추락사고로부터 작업자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절단방지 죔줄 구조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작업대 죔줄(100)을 구성하는 직물밴드(10) 길이 방향으로 금속와이어(20)가 내입 설치되고, 상기 금속와이어(20)와 대응하는 직물밴드(10) 영역은 그 외 영역 대비 두께가 확장되어, 죔줄(100)이 구조물(1)에 마찰시, 구조물(1)에 접지되는 접지띠부(12)를 형성하며, 상기 접지띠부(12)를 제외한 영역은 죔줄(100)이 구조물(1)에 마찰시, 구조물(1)에 비접지되는 비접지띠부(14)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단방지 죔줄 구조를 이용하면, 죔줄을 구성하는 직물밴드 내에 금속와이어를 배치하여, 구조물과의 마찰저항이 금속와이어 영역으로 집중되도록 하여 죔줄의 절단사고로 인한 인명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절단방지 죔줄 구조
본 발명은 고소작업 시 추락사고로부터 작업자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절단방지 죔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현장과 같은 산업현장에서는 지상으로부터 높은 위치에 설치된 각종 디딤틀이나 구조물 위에서 작업자가 작업을 실시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와 같은 고소작업중에 추락에 의한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므로, 작업자를 추락사고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하고 안전성을 높이기 위하여 안전대 죔줄과 같은 안전보호장구를 필수적으로 착용하도록 하고 있다.
종래에 개시된 죔줄을 살펴보면, KR 등록특허 10-1882742호(2018.07.23.)에서, 일개의 직물바를 접어서 봉제부에 의해 접합되어 일측에 고리가 형성되고, 상기 고리에 작업자의허리벨트에 고정시키기 위한 연결부;와, 상기 봉제부에서 나뉘어 한 쌍의 형태를 이루는 제1죔줄 및 제2죔줄과, 상기 제1죔줄 및 제2죔줄 각각의 일단에 연결되는 후크로 죔줄이 구성되되, 상기 죔줄의 외부에는 주름진 형태를 이루며, 추락 시 작업자의 하중에 의해 가중된 충격을 완충 및 흡수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직물튜브;와 상기 직물튜브의 내부에는 작업자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인장하중심재로 구성되고 상기 직물튜브에 형성된 주름은 작업자의 편의에 따라 펼치거나 일측으로 집중시킬 수 있으며, 상기 인장하중심재는 인장력을 갖는 화섬사로 직조하되, 상기 인장하중심재의 길이방향으로 탄성사를 화섬사와 꼬임 형태로 결속되어 구성되는 기술이 선 제시된바 있다.
또한, 다른 종래기술인 KR 공개특허 10-2015-0136555호(2015.12.07.)에서, 안전대 죔줄에 있어서, 안전부재에 고정되는 고정부; 일측은 하나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부와 연결 되고 타측은 다수개로 나누어지는 분리형 밴드; 상기 밴드의 타측에 각각이 연결되며 고정부재에 고정되는 다수개의 고리;로 이루어지는 기술이 선 공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추락사고 발생 시 작업자의 하중에 의한 충격 흡수 및 추락을 제동하기 위한 것이나, 죔줄이 주변 구조물 모서리에 반복적으로 마찰되는 경우 손상부위가 끊어지면서 작업자의 추락사고로 이어져 인명피해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따랐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코자 새로운 기술을 창안한 것으로서, 죔줄을 구성하는 직물밴드 내에 금속와이어를 배치함으로써 구조물과의 마찰저항이 금속와이어 영역으로 집중됨과 더불어 그 외 직물밴드 영역으로 가해지는 마찰저항이 현저히 감소되도록 구조 개선되어 마모로 인한 직물밴드의 손상 및 끊어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절단방지 죔줄 구조를 제공함을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한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절단방지 죔줄 구조를 개시하되, 작업대 죔줄(100)을 구성하는 직물밴드(10) 길이 방향으로 금속와이어(20)가 내입 설치되고, 상기 금속와이어(20)와 대응하는 직물밴드(10) 영역은 그 외 영역 대비 두께가 확장되어, 죔줄(100)이 구조물(1)에 마찰시, 구조물(1)에 접지되는 접지띠부(12)를 형성하며, 상기 접지띠부(12)를 제외한 영역은 죔줄(100)이 구조물(1)에 마찰시, 구조물(1)에 비접지되는 비접지띠부(14)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금속와이어(20)는 한 쌍의 직물밴드(1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직물밴드(10)를 상호 결속하는 봉재라인(30)을 형성하되, 상기 봉재라인(30)은 금속와이어(20)를 직물밴드(10)의 중심부에 위치시켜 구속하도록 금속와이어(20)의 양측에 나란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직물밴드(10)를 반으로 접어 포갠 상태로 내부에 금속와이어(20)가 삽입되고, 포개진 직물밴드(10)가 결속되도록 봉재라인(30)을 형성하되, 상기 봉재라인(30)은 금속와이어(20)를 직물밴드(10)의 중심부에 위치시켜 구속하도록 금속와이어(20)의 양측에 나란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직물밴드(10)를 직조시, 경사방향으로 금속와이어(20)를 배치하여, 직물밴드(10)와 금속와이어(20)가 일체형 조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직물밴드(10)가 금속와이어(20)와 동일한 장력으로 유지되도록 인장시킨 상태로 양단부를 마감 처리하여 죔줄(100)을 형성하며, 상기 죔줄(100)에 인장 하중이 작용시, 직물밴드(10)와 금속와이어(20) 측으로 하중이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은 죔줄을 구성하는 직물밴드 내에 금속와이어를 배치하여, 구조물과의 마찰저항이 금속와이어 영역으로 집중됨과 더불어 그 외 직물밴드 영역으로 가해지는 마찰저항이 현저히 감소되도록 구조 개선되어 마모로 인한 직물밴드의 손상 및 끊어짐을 원천 봉쇄할 수 있다.
그리고 1차 추락 이후 밴드가 구조물이나 장애물의 날카로운 모서리나 거친 표면 등에 의해 마모나 손상이 발생하더라도 2차 추락사고로 이어지지 않으므로 고소 작업자의 안전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절단방지 죔줄 구조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절단방지 죔줄 구조의 직물밴드와 금속와이어 결합방식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절단방지 죔줄 구조에 있어서 직물밴드와 금속와이어를 동일한 장력으로 세팅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된 "상, 하, 전, 후“ 등의 방향을 타나내는 표현들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죔줄의 일단에는 고리가 구비되어 고소 작업 시 주변 구조물에 고리를 체결하고, 타단은 작업자가 착용하는 안전대에 연결되어 작업 중에 작업자의 부주의나 기타 요인으로 인하여 추락하는 경우 작업자의 낙상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사용된다.
하지만, 추락 발생 시 죔줄의 양단 사이에 구조물이나 장애물이 위치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 구조물이나 장애물의 날카로운 모서리나 거친 표면 등에 작업자의 하중을 지탱하는 밴드가 긁히고 쓸려서 마모가 발생하고 심한 경우 밴드가 절단되면 2차 추락사고로 인명피해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절단방지 죔줄 구조에 관련되는 것으로, 이는 죔줄을 구성하는 직물밴드 내에 금속와이어를 배치하여, 구조물과의 마찰저항이 금속와이어 영역으로 집중됨과 더불어 그 외 직물밴드 영역으로 가해지는 마찰저항이 현저히 감소되도록 구조 개선되어 전술한 2차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크게 직물밴드(10)와 금속와이어(20)를 포함하는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절단방지 죔줄 구조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그네식 또는 밸트식 안전대에 일단이 연결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절단방지 죔줄 구조는, 죔줄(100)을 구성하는 직물밴드(10) 길이 방향으로 금속와이어(20)가 내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직물밴드(10)는 위사와 경사 조직으로 형성되고, 일단에 고리가 설치되어 고소 작업 시 주변 구조물에 고리가 체결되도록 구비되며, 타단은 작업자가 착용하는 안전대에 연결하기 위해 카라비너 등의 체결수단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는 도 1을 기준으로 길이방향(세로방향)의 실을 경사라고 명한다.
직물밴드(10) 내부에 구비되는 상기 금속와이어(20)는 모노 강선 또는 복수 가닥의 강선을 꼬아서 형성되는 복합 와이어로 형성되고, 이때 금속와이어(20)는 직물밴드(10)의 폭, 유효강도를 고려하여, 직물밴드(10) 중앙에 금속와이어(20) 1가닥을 배치하거나, 직물밴드(10) 양측 단부에 한 쌍의 금속와이어(20)를 이격 배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금속와이어(20)와 접하는 직물밴드(10) 영역은 그 외 영역 대비 두께가 확장되어, 죔줄(100)이 구조물(1)에 마찰 시 구조물(1)에 접지되는 접지띠부(12)를 형성하며, 상기 접지띠부(12)를 제외한 영역은 죔줄(100)이 구조물(1)에 마찰시, 구조물(1)에 비접지되는 비접지띠부(14)를 형성하도록 구비된다.
이처럼 상기 금속와이어(20)에 의해 접지띠부(12) 대비 비접지띠부(14) 두께가 얇게 형성됨에 따라 죔줄(100)이 구조물(1) 모서리 등에 마찰 시, 금속와이어(20)와 함께 접지띠부(12) 영역이 구조물(1)에 국부적으로 접지된 상태로 마찰되고, 이로 인해 금속와이어(20) 영역을 제외한 직물밴드(10) 영역과 구조물(1) 간에 마찰저항이 감소되어 마모로 인한 직물밴드(10)의 끊어짐이 효과적으로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단방지 죔줄 구조의 직물밴드와 금속와이어 결합방식을 나타내는 구성도로, 상기 직물밴드(10)와 금속와이어(20)의 결합구조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는 도 2 (a) 내지 도 2 (c)를 참조한다.
도 2 (a)에서, 상기 금속와이어(20)는 한 쌍의 직물밴드(1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직물밴드(10)가 결속되도록 봉재라인(30)을 형성하여 금속와이어(20)를 중심부에 구속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한 쌍의 직물밴드(10) 사이 중심부에 금속와이어(20)를 삽입한 상태에서 직물밴드(10) 양 측에 두 줄의 봉재라인(30)을 형성함으로써 직물밴드(10)를 상호 결속시킴과 동시에 금속와이어(20)를 구속하는 구성이다.
도 2 (b)에서, 상기 직물밴드(10)를 반으로 접어 포갠 상태로 내부에 금속와이어(20)가 삽입되고, 포개진 직물밴드(10)가 서로 결속되도록 봉재라인(30)을 형성하여 금속와이어(20)를 구속하도록 구비된다.
이 때, 봉재라인(30)은 금속와이어(20)를 직물밴드(10)의 중심부에 위치시켜 구속하도록 금속와이어(20)의 양측에 나란하게 형성한다.
상기 금속와이어(20)는 직물밴드(10)가 반으로 접힌 일측 사이드 영역에 밀착된 상태로 봉재라인(30)이 형성되거나, 상기 직물밴드(10)를 반으로 접어 1차 봉재라인(30)으로 결속한 후, 한 쌍의 직물밴드(10) 사이로 금속와이어(20)를 삽입한 상태로 2차 봉재라인(30)을 형성하여 금속와이어(20)를 구속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도 2 (c)는 상기 직물밴드(10)를 직조 시, 직물밴드(10)의 양 가장자리 쪽 경사방향으로 금속와이어(20)를 배치하여, 직물밴드(10)와 금속와이어(20)가 일체형 조직으로 형성된 예시이며, 이 경우 상기 금속와이어(20)가 직물밴드(10) 조직 내에서 경사방향으로 삽입됨에 따라 직물밴드(10)와 금속와이어(20) 간에 일체성이 견고하게 유지된다.
도 2 (a)와 도 2 (b)에서와 같이 단일의 금속와이어(20)가 내입되는 경우에는 안정적인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3t 이상의 직경을 갖는 와이어를 사용하며, 도 2 (c)와 같이 두 개의 금속와이어(20)가 내입되는 경우는 2t 이상의 직경을 갖는 와이어를 사용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절단방지 죔줄 구조에 있어서 직물밴드와 금속와이어를 동일한 장력이 작용하도록 세팅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로, 상기 직물밴드(10)가 금속와이어(20)와 동일한 장력으로 유지되도록 인장시킨 상태로 직물밴드(10) 양단부를 마감 처리하여 죔줄(100)을 형성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직물밴드(10)와 금속와이어(20) 양단부는 조인트(J)에 의해 체결되어 일체성이 유지된다.
이와 같이 동일한 장력으로 유지된 상태에서 제작된 죔줄은 추락에 의해 죔줄(100)에 인장 하중이 작용할 때 직물밴드(10)와 금속와이어(20) 측으로 하중이 균일하게 작용하여, 상호 보완적으로 하중이 분산 지지됨에 따라 죔줄(100)의 최대 허용하중이 증가됨과 더불어 작업자 추락 시 가해지는 순간적인 충격 하중에 대한 안전성이 확보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다양한 변형실시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들과 이들 기술로부터 균등한 기술수단들에까지 보호범위가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죔줄은 직물밴드 내에 금속와이어를 배치함으로써 구조물과의 마찰저항이 금속와이어 영역으로 집중되므로 직물밴드의 손상이 적고 절단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매우 높다.

Claims (5)

  1. 죔줄(100)을 구성하는 직물밴드(10) 길이 방향으로 금속와이어(20)가 내입 설치되고,
    상기 금속와이어(20)와 접하는 직물밴드(10) 영역은 그 외 영역 대비 두께가 확장되어 죔줄(100)이 구조물(1)에 마찰 시, 구조물(1)에 접지되는 접지띠부(12)를 형성하며,
    상기 접지띠부(12)를 제외한 영역은 죔줄(100)이 구조물(1)에 마찰 시, 구조물(1)에 비접지되는 비접지띠부(14)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방지 죔줄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와이어(20)는 한 쌍의 직물밴드(1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직물밴드(10)를 상호 결속하는 봉재라인(30)을 형성하되,
    상기 봉재라인(30)은 금속와이어(20)를 직물밴드(10)의 중심부에 위치시켜 구속하도록 금속와이어(20)의 양측에 나란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방지 죔줄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밴드(10)를 반으로 접어 포갠 상태로 내부에 금속와이어(20)가 삽입되고, 포개진 직물밴드(10)가 결속되도록 봉재라인(30)을 형성하되,
    상기 봉재라인(30)은 금속와이어(20)를 직물밴드(10)의 중심부에 위치시켜 구속하도록 금속와이어(20)의 양측에 나란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방지 죔줄 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밴드(10)를 직조 시, 경사방향으로 금속와이어(20)를 배치하여, 직물밴드(10)와 금속와이어(20)가 일체형 조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방지 죔줄 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밴드(10)와 금속와이어(20)가 동일한 장력이 작용하도록 인장시킨 상태로 양단부를 마감 처리하여 죔줄(100)을 형성하고, 상기 죔줄(100)에 인장 하중이 작용 시, 직물밴드(10)와 금속와이어(20) 측으로 하중이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방지 죔줄 구조.
PCT/KR2022/015389 2021-11-01 2022-10-12 절단방지 죔줄 구조 WO2023075216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8273 2021-11-01
KR1020210148273A KR102672790B1 (ko) 2021-11-01 절단방지 죔줄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75216A1 true WO2023075216A1 (ko) 2023-05-04

Family

ID=86158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15389 WO2023075216A1 (ko) 2021-11-01 2022-10-12 절단방지 죔줄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3075216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3934A (ja) * 1994-08-26 1996-05-07 Maeda Kousen Kk 水中用構設シート
JPH1037052A (ja) * 1996-07-23 1998-02-10 Tadashi Hayashi 衣料用帯状テープおよびその製法
JP2003129778A (ja) * 2001-10-22 2003-05-08 Misao Tani 吊り梯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882742B1 (ko) * 2017-01-24 2018-07-27 김주성 안전대 죔줄
KR20190028410A (ko) * 2019-03-11 2019-03-18 주식회사 주영산업 금속와이어를 전,후면 양측에 구비한 고하중 화물운반용 벨트슬링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3934A (ja) * 1994-08-26 1996-05-07 Maeda Kousen Kk 水中用構設シート
JPH1037052A (ja) * 1996-07-23 1998-02-10 Tadashi Hayashi 衣料用帯状テープおよびその製法
JP2003129778A (ja) * 2001-10-22 2003-05-08 Misao Tani 吊り梯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882742B1 (ko) * 2017-01-24 2018-07-27 김주성 안전대 죔줄
KR20190028410A (ko) * 2019-03-11 2019-03-18 주식회사 주영산업 금속와이어를 전,후면 양측에 구비한 고하중 화물운반용 벨트슬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3236A (ko) 202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17182B1 (en) Energy absorber
CN111225719B (zh) 带有枢转髋部连接的保护带
JP4464467B2 (ja) 安全ハーネス
US8997317B2 (en) Connector for fall protection
US6006860A (en) Safety harness or belt with fiber means to indicate shock loading
KR100626420B1 (ko) 고소작업용 충격흡수 안전벨트
US20080179136A1 (en) Multiple tear-away member energy absorber for personal fall arrestor
US20130105246A1 (en) Energy absorber
KR102233281B1 (ko) 산업안전그네용 충격흡수죔줄
KR101883269B1 (ko) 슬라이딩 하우스 내 안전벨트 시스템
WO2023075216A1 (ko) 절단방지 죔줄 구조
KR102672790B1 (ko) 절단방지 죔줄 구조
EP4317555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hock absorption lanyard including partially-oriented yarn having easily adjustable length
WO1995001815A2 (en) Energy absorbing fall arrest device
KR101882742B1 (ko) 안전대 죔줄
JP6223689B2 (ja) 衝撃荷重緩和ロープ及びランヤード
JP2018011817A (ja) 工具吊り具
KR20180047799A (ko)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KR102537382B1 (ko) 포이엘라 튜브밴드를 구비한 충격흡수죔줄
KR200439915Y1 (ko) 안전대용 충격흡수대가 구비된 작업복
KR200457043Y1 (ko) 산업용 안전벨트 유닛
GB2292782A (en) Shock absorber
KR20150003686U (ko)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JP3230936U (ja) ランヤード
JP3241901B2 (ja) 安全ベルトスリン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88741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