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3236A - 절단방지 죔줄 구조 - Google Patents

절단방지 죔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3236A
KR20230063236A KR1020210148273A KR20210148273A KR20230063236A KR 20230063236 A KR20230063236 A KR 20230063236A KR 1020210148273 A KR1020210148273 A KR 1020210148273A KR 20210148273 A KR20210148273 A KR 20210148273A KR 20230063236 A KR20230063236 A KR 202300632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yard
metal wire
band
fabric
fabric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8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72790B1 (ko
Inventor
이정수
안형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탑
Priority to KR1020210148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2790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148273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72790B1/ko
Priority to PCT/KR2022/015389 priority patent/WO2023075216A1/ko
Publication of KR20230063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32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2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27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A62B35/0075Details of ropes or similar equipment, e.g. between the secured person and the lifeline or anchor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6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warp or weft elements other than yarns or threads
    • D03D15/67Metal wi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소작업 시 추락사고로부터 작업자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절단방지 죔줄 구조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작업대 죔줄(100)을 구성하는 직물밴드(10) 길이 방향으로 금속와이어(20)가 내입 설치되고, 상기 금속와이어(20)와 대응하는 직물밴드(10) 영역은 그 외 영역 대비 두께가 확장되어, 죔줄(100)이 구조물(1)에 마찰시, 구조물(1)에 접지되는 접지띠부(12)를 형성하며, 상기 접지띠부(12)를 제외한 영역은 죔줄(100)이 구조물(1)에 마찰시, 구조물(1)에 비접지되는 비접지띠부(14)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단방지 죔줄 구조를 이용하면, 죔줄을 구성하는 직물밴드 내에 금속와이어를 배치하여, 구조물과의 마찰저항이 금속와이어 영역으로 집중됨과 더불어 그 외 직물밴드 영역으로 가해지는 마찰저항이 현저히 감소되도록 구조 개선되어 마모로 인한 직물밴드의 손상 및 끊어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절단방지 죔줄 구조{Cut-resistant lanyard structure}
본 발명은 절단방지 죔줄 구조에 관련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고소작업 시 추락사고로부터 작업자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절단방지 죔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현장과 같은 산업현장에서는 지상으로부터 높은 위치에 설치된 각종 디딤틀이나 구조물 위에서 작업자가 작업을 실시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와 같은 고소작업중에 추락에 의한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므로, 작업자를 추락사고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하고 안전성을 높이기 위하여 안전대 죔줄과 같은 안전보호장구를 필수적으로 착용하도록 하고 있다.
종래에 개시된 죔줄을 살펴보면, 등록특허 10-1882742호에서, 일개의 직물바를 접어서 봉제부에 의해 접합되어 일측에 고리가 형성되고, 상기 고리에 작업자의허리벨트에 고정시키기 위한 연결부;와, 상기 봉제부에서 나뉘어 한 쌍의 형태를 이루는 제1죔줄 및 제2죔줄과, 상기 제1죔줄 및 제2죔줄 각각의 일단에 연결되는 후크로 죔줄이 구성되되, 상기 죔줄의 외부에는 주름진 형태를 이루며, 추락 시 작업자의 하중에 의해 가중된 충격을 완충 및 흡수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직물튜브;와 상기 직물튜브의 내부에는 작업자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인장하중심재로 구성되고 상기 직물튜브에 형성된 주름은 작업자의 편의에 따라 펼치거나 일측으로 집중시킬 수 있으며, 상기 인장하중심재는 인장력을 갖는 화섬사로 직조하되, 상기 인장하중심재의 길이방향으로 탄성사를 화섬사와 꼬임 형태로 결속되어 구성되는 기술이 선 제시된바 있다.
또한, 다른 종래기술인 공개특허 10-2015-0136555호에서, 안전대 죔줄에 있어서, 안전부재에 고정되는 고정부; 일측은 하나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부와 연결 되고 타측은 다수개로 나누어지는 분리형 밴드; 상기 밴드의 타측에 각각이 연결되며 고정부재에 고정되는 다수개의 고리;로 이루어지는 기술이 선 공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추락사고 발생 시 작업자의 하중에 의한 충격 흡수 및 추락을 제동하기 위한 것이나, 죔줄이 주변 구조물 모서리에 반복적으로 마찰되는 경우 손상부위가 끊어지면서 작업자의 추락사고로 이어져 인명피해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따랐다.
KR 10-1882742 B1 (2018.07.23.) KR 10-2015-0136555 A (2015.12.07.)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코자 새로운 기술을 창안한 것으로서, 죔줄을 구성하는 직물밴드 내에 금속와이어를 배치함으로써 구조물과의 마찰저항이 금속와이어 영역으로 집중됨과 더불어 그 외 직물밴드 영역으로 가해지는 마찰저항이 현저히 감소되도록 구조 개선되어 마모로 인한 직물밴드의 손상 및 끊어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절단방지 죔줄 구조를 제공함을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이와 함께 별도로 기술하지는 않았으나 하기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과 청구범위를 감안하여 유추할 수 있는 범위 내의 또 다른 목적들도 본 발명의 전체 과제에 포함되도록 한다.
상기한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절단방지 죔줄 구조를 개시하되, 작업대 죔줄(100)을 구성하는 직물밴드(10) 길이 방향으로 금속와이어(20)가 내입 설치되고, 상기 금속와이어(20)와 대응하는 직물밴드(10) 영역은 그 외 영역 대비 두께가 확장되어, 죔줄(100)이 구조물(1)에 마찰시, 구조물(1)에 접지되는 접지띠부(12)를 형성하며, 상기 접지띠부(12)를 제외한 영역은 죔줄(100)이 구조물(1)에 마찰시, 구조물(1)에 비접지되는 비접지띠부(14)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금속와이어(20)는 한 쌍의 직물밴드(1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직물밴드(10)가 결속되도록 봉재라인(30)을 형성하여 금속와이어(20)를 구속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직물밴드(10)를 반으로 접어 포갠 상태로 내부에 금속와이어(20)가 삽입되고, 포개진 직물밴드(10)가 결속되도록 봉재라인(30)을 형성하여 금속와이어(20)를 구속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직물밴드(10)를 직조시, 경사방향으로 금속와이어(20)를 배치하여, 직물밴드(10)와 금속와이어(20)가 일체형 조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직물밴드(10)가 금속와이어(20)와 동일한 장력으로 유지되도록 인장시킨 상태로 양단부를 마감 처리하여 죔줄(100)을 형성하며, 상기 죔줄(100)에 인장 하중이 작용시, 직물밴드(10)와 금속와이어(20) 측으로 하중이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은 죔줄을 구성하는 직물밴드 내에 금속와이어를 배치하여, 구조물과의 마찰저항이 금속와이어 영역으로 집중됨과 더불어 그 외 직물밴드 영역으로 가해지는 마찰저항이 현저히 감소되도록 구조 개선되어 마모로 인한 직물밴드의 손상 및 끊어짐을 원천 봉쇄할 수 있고, 따라서 고소 작업하는 작업자의 안전성이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절단방지 죔줄 구조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단방지 죔줄 구조의 직물밴드와 금속와이어 결합방식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절단방지 죔줄 구조에 있어서 직물밴드와 금속와이어를 동일한 장력으로 세팅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상, 하, 전, 후" 등의 방향을 타나내는 표현들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죔줄은 일단에 고리가 설치되어 고소 작업 시 주변 구조물에 고리를 체결하고, 타단은 작업자가 착용하는 안전대에 연결되어 작업 중에 작업자의 부주의나 기타 요인으로 인하여 추락하는 경우 작업자의 낙상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사용된다.
하지만, 추락 발생 시 죔줄의 양단 사이에 구조물이 위치하는 경우가 흔하고, 이 때 구조물의 날카로운 모서리나 거친 표면 등에 작업자의 하중을 지탱하는 밴드가 긁히거나 마모가 발생하여 절단되면 2차 추락사고로 인명피해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절단방지 죔줄 구조에 관련되는 것으로, 이는 죔줄을 구성하는 직물밴드 내에 금속와이어를 배치하여, 구조물과의 마찰저항이 금속와이어 영역으로 집중됨과 더불어 그 외 직물밴드 영역으로 가해지는 마찰저항이 현저히 감소되도록 구조 개선되어 전술한 2차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크게 직물밴드(10)와 금속와이어(20)를 포함하는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절단방지 죔줄 구조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그네식 또는 밸트식 안전대에 일단이 연결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절단방지 죔줄 구조는, 죔줄(100)을 구성하는 직물밴드(10) 길이 방향으로 금속와이어(20)가 내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직물밴드(10)는 위사와 경사 조직으로 형성되고, 일단에 고리가 설치되어 고소 작업 시 주변 구조물에 고리가 체결되도록 구비되며, 타단은 작업자가 착용하는 안전대에 연결하기 위해 카라비너 등의 체결수단이 구비된다.
직물밴드(10) 내부에 구비되는 상기 금속와이어(20)는 모노 강선 또는 복수 가닥의 강선을 꼬아서 형성되는 복합 와이어로 형성되고, 이때 금속와이어(20)는 직물밴드(10)의 폭, 유효강도를 고려하여, 직물밴드(10) 중앙에 금속와이어(20) 1가닥을 배치하거나, 직물밴드(10) 양측 단부에 한 쌍의 금속와이어(20)를 이격 배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금속와이어(20)와 접하는 직물밴드(10) 영역은 그 외 영역 대비 두께가 확장되어, 죔줄(100)이 구조물(1)에 마찰 시 구조물(1)에 접지되는 접지띠부(12)를 형성하며, 상기 접지띠부(12)를 제외한 영역은 죔줄(100)이 구조물(1)에 마찰시, 구조물(1)에 비접지되는 비접지띠부(14)를 형성하도록 구비된다.
이처럼 상기 금속와이어(20)에 의해 접지띠부(12) 대비 비접지띠부(14) 두께가 얇게 형성됨에 따라 죔줄(100)이 구조물(1) 모서리 등에 마찰 시, 금속와이어(20)와 함께 접지띠부(12) 영역이 구조물(1)에 국부적으로 접지된 상태로 마찰되고, 이로 인해 금속와이어(20) 영역을 제외한 직물밴드(10) 영역과 구조물(1) 간에 마찰저항이 감소되어 마모로 인한 직물밴드(10)의 끊어짐이 효과적으로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단방지 죔줄 구조의 직물밴드와 금속와이어 결합방식을 나타내는 구성도로, 상기 직물밴드(10)와 금속와이어(20)의 결합구조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는 도 2 (a) 내지 도 2 (c)를 참조한다.
도 2 (a)에서, 상기 금속와이어(20)는 한 쌍의 직물밴드(1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직물밴드(10)가 결속되도록 봉재라인(30)을 형성하여 금속와이어(20)를 중심부에 구속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한 쌍의 직물밴드(10) 사이 중심부에 금속와이어(20)를 삽입한 상태에서 직물밴드(10) 양 측에 두 줄의 봉재라인(30)을 형성함으로써 직물밴드(10)를 상호 결속시킴과 동시에 금속와이어(20)를 구속하는 구성이다.
도 2 (b)에서, 상기 직물밴드(10)를 반으로 접어 포갠 상태로 내부에 금속와이어(20)가 삽입되고, 포개진 직물밴드(10)가 서로 결속되도록 봉재라인(30)을 형성하여 금속와이어(20)를 구속하도록 구비된다.
이 때, 상기 금속와이어(20)는 직물밴드(10)가 반으로 접힌 일측 사이드 영역에 밀착된 상태로 봉재라인(30)이 형성되거나, 상기 직물밴드(10)를 반으로 접어 1차 봉재라인(30)으로 결속한 후, 한 쌍의 직물밴드(10) 사이로 금속와이어(20)를 삽입한 상태로 2차 봉재라인(30)을 형성하여 금속와이어(20)를 구속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도 2 (c)는 상기 직물밴드(10)를 직조 시, 직물밴드(10)의 양 가장자리 쪽 경사방향으로 금속와이어(20)를 배치하여, 직물밴드(10)와 금속와이어(20)가 일체형 조직으로 형성된 예시이며, 이 경우 상기 금속와이어(20)가 직물밴드(10) 조직 내에서 경사방향으로 삽입됨에 따라 직물밴드(10)와 금속와이어(20) 간에 일체성이 견고하게 유지된다.
도 2 (a)와 도 2 (b)에서와 같이 단일의 금속와이어(20)가 내입되는 경우에는 안정적인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3t 이상의 직경을 갖는 와이어를 사용하며, 도 2 (c)와 같이 두 개의 금속와이어(20)가 내입되는 경우는 2t 이상의 직경을 갖는 와이어를 사용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절단방지 죔줄 구조에 있어서 직물밴드와 금속와이어를 동일한 장력으로 세팅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로, 상기 직물밴드(10)가 금속와이어(20)와 동일한 장력으로 유지되도록 인장시킨 상태로 직물밴드(10) 양단부를 마감 처리하여 죔줄(100)을 형성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직물밴드(10)와 금속와이어(20) 양단부는 조인트(J)에 의해 체결되어 일체성이 유지된다.
이와 같이 동일한 장력으로 유지된 상태에서 제작된 죔줄은 추락에 의해 죔줄(100)에 인장 하중이 작용할 때 직물밴드(10)와 금속와이어(20) 측으로 하중이 균일하게 작용하여, 상호 보완적으로 하중이 분산 지지됨에 따라 죔줄(100)의 최대 허용하중이 증가됨과 더불어 작업자 추락 시 가해지는 순간적인 충격 하중에 대한 안전성이 확보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다양한 변형실시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들과 이들 기술로부터 균등한 기술수단들에까지 보호범위가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1: 구조물
10: 직물밴드
12: 접지띠부 14: 비접지띠부
20: 금속와이어
30: 봉재라인
100: 죔줄

Claims (5)

  1. 죔줄(100)을 구성하는 직물밴드(10) 길이 방향으로 금속와이어(20)가 내입 설치되고,
    상기 금속와이어(20)와 접하는 직물밴드(10) 영역은 그 외 영역 대비 두께가 확장되어 죔줄(100)이 구조물(1)에 마찰 시, 구조물(1)에 접지되는 접지띠부(12)를 형성하며,
    상기 접지띠부(12)를 제외한 영역은 죔줄(100)이 구조물(1)에 마찰 시, 구조물(1)에 비접지되는 비접지띠부(14)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방지 죔줄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와이어(20)는 한 쌍의 직물밴드(1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직물밴드(10)가 결속되도록 봉재라인(30)을 형성하여 금속와이어(20)를 중심부에 구속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방지 죔줄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밴드(10)를 반으로 접어 포갠 상태로 내부에 금속와이어(20)가 삽입되고, 포개진 직물밴드(10)가 결속되도록 봉재라인(30)을 형성하여 금속와이어(20)를 구속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방지 죔줄 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밴드(10)를 직조시, 경사방향으로 금속와이어(20)를 배치하여, 직물밴드(10)와 금속와이어(20)가 일체형 조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방지 죔줄 구조.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밴드(10)가 금속와이어(20)와 동일한 장력으로 유지되도록 인장시킨 상태로 양단부를 마감 처리하여 죔줄(100)을 형성하고, 상기 죔줄(100)에 인장 하중이 작용 시, 직물밴드(10)와 금속와이어(20) 측으로 하중이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방지 죔줄 구조.
KR1020210148273A 2021-11-01 2021-11-01 절단방지 죔줄 구조 KR1026727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8273A KR102672790B1 (ko) 2021-11-01 절단방지 죔줄 구조
PCT/KR2022/015389 WO2023075216A1 (ko) 2021-11-01 2022-10-12 절단방지 죔줄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8273A KR102672790B1 (ko) 2021-11-01 절단방지 죔줄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3236A true KR20230063236A (ko) 2023-05-09
KR102672790B1 KR102672790B1 (ko) 2024-06-07

Family

I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6555A (ko) 2014-05-27 2015-12-07 주식회사 성안세이브 안전대 죔줄
KR101882742B1 (ko) 2017-01-24 2018-07-27 김주성 안전대 죔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6555A (ko) 2014-05-27 2015-12-07 주식회사 성안세이브 안전대 죔줄
KR101882742B1 (ko) 2017-01-24 2018-07-27 김주성 안전대 죔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75216A1 (ko) 2023-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3256797B2 (en) Energy absorber
JP4464467B2 (ja) 安全ハーネス
CN111225719B (zh) 带有枢转髋部连接的保护带
KR100626420B1 (ko) 고소작업용 충격흡수 안전벨트
US20110072621A1 (en) Connector for fall protection
US20130105246A1 (en) Energy absorber
KR102233281B1 (ko) 산업안전그네용 충격흡수죔줄
KR102672790B1 (ko) 절단방지 죔줄 구조
JP6923197B2 (ja) ハーネス型安全帯の胸ベルト取付構造
KR20230063236A (ko) 절단방지 죔줄 구조
EP4317555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hock absorption lanyard including partially-oriented yarn having easily adjustable length
WO1995001815A2 (en) Energy absorbing fall arrest device
KR101893009B1 (ko) 탄력성을 갖는 벨트 끈
JP2020195518A (ja) ランヤード
KR101882742B1 (ko) 안전대 죔줄
KR101899480B1 (ko) 고소 작업용 충격흡수장치
JP6223689B2 (ja) 衝撃荷重緩和ロープ及びランヤード
KR200438945Y1 (ko) 산업안전그네용 일체형 충격흡수죔줄
CN211158258U (zh) 一种复合加强型安全带
KR102537382B1 (ko) 포이엘라 튜브밴드를 구비한 충격흡수죔줄
KR20200114257A (ko) 안전조끼
KR20180000411U (ko)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KR20150003686U (ko)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JP3241901B2 (ja) 安全ベルトスリング
JP7049964B2 (ja) ハーネス型安全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