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068851A1 - 학습 문제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학습 문제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068851A1
WO2023068851A1 PCT/KR2022/016063 KR2022016063W WO2023068851A1 WO 2023068851 A1 WO2023068851 A1 WO 2023068851A1 KR 2022016063 W KR2022016063 W KR 2022016063W WO 2023068851 A1 WO2023068851 A1 WO 202306885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learning problem
changeable
data
change range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1606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오태형
정두섭
안명훈
이상훈
Original Assignee
비트루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트루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비트루브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2306885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06885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7Career enhancement or continuing education ser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06F16/9035Filtering based on additional data, e.g. user or group profi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Definitions

  • a method of inclusion is provided.
  • the communication network 100 is a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radio frequency (RF) communication, WiFi communication, cellular (LTE, etc.) communication, Bluetooth communication (more specifically, Bluetooth Low Energy (BLE; It may be to implement a conventional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Bluetooth Low Energy)), infrared communication, ultrasonic communication, etc., at least in part.
  • RF radio frequency
  • WiFi WiFi communication
  • Bluetooth communication more specifically, Bluetooth Low Energy (BLE; It may be to implement a conventional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Bluetooth Low Energy)
  • infrared communication ultrasonic communication, etc., at least in part.
  • a data change range in a changeable region of a reference learning problem may be determined based on context information on a reference learning problem or a new learning problem.
  • contextual information about a new learning problem may include conditions for establishing the reference learning problem, concepts associated with the reference learning problem, difficulty of the reference learning problem, difficulty of the new learning problem, academic achievement of learners or users who will be provided with the new learning problem. and at least one of a learner's or user's level of understanding of a concept to be provided with a new learning problem.
  • FIGS. 3 and 4 are diagrams exemplarily illustrating generation of a new learning probl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vely illustrating the creation of a new learning probl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new learning problem can be created by changing the data 310, 320, 330 of the text area of the reference learning problem.
  • the changeable area of the reference learning problem may include a text area, a formula area, a figure area, a graph area, an image area, etc. It is shown as an example that a new learning problem is created by being changed. More specifically, in order to maintain the difficulty of a newly created learning problem, the data change range may be set to a range that does not affect the solution method of the reference learning problem.
  • the data of the text area may be changed (340, 350, 360, 370, 380, 390)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cause an error in the problem and correct answer of the new learning probl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학습 문제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참조 학습 문제에 관한 설정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참조 학습 문제에서 변경 가능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변경 가능 영역에서의 데이터 변경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되는 변경 가능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변경 가능 영역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경 가능 영역에서의 데이터 변경 범위 내에서 변경하는 단계, 상기 변경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참조 학습 문제로부터 신규 학습 문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학습 문제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본 발명은 학습 문제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교육열 및 치열한 입시 경쟁으로 인해 학습 콘텐츠 시장은 점차 커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함께, 학습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학습 콘텐츠를 개발하기 위하여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반복 학습, 치료 학습 또는 테스트를 위하여 많은 수의 학습 문제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종래 기술의 일 예로서,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21828호에는 무작위 대수 방정식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시스템에 관한 기술을 예로 들 수 있다. 하지만, 숫자나 문자를 무작위로 결정하여 학습 문제를 생성하는 종래 기술에 따르면, 학습 문제를 생성함에 있어서 학습 상황이나 학습자에 관한 문맥이 반영되기 어렵기 때문에, 특정 상황이나 특정 학습자에게 적합한 학습 문제(예를 들면, 난이도가 소정 수준으로 조절된 다수의 학습 문제 등)를 생성하기는 어렵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또한,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르면, 학습 문제에 포함된 수식이나 텍스트만 제한적으로 변경하는 방식으로 새로운 학습 문제를 생성하기 때문에, 다양한 학습 문제를 생성하기 어렵다는 한계도 존재한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21828호 (2016. 5. 17)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참조 학습 문제에 관한 설정 정보를 참조하여, 참조 학습 문제에서 변경 가능 영역을 결정하고, 해당 변경 가능 영역에서의 데이터 변경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 설정되는 변경 가능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변경 가능 영역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변경 가능 영역에서의 데이터 변경 범위 내에서 변경하는 단계, 해당 변경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참조 학습 문제로부터 신규 학습 문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참조 학습 문제에 관한 설정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참조 학습 문제에서 변경 가능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변경 가능 영역에서의 데이터 변경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되는 변경 가능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변경 가능 영역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경 가능 영역에서의 데이터 변경 범위 내에서 변경하는 단계, 상기 변경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참조 학습 문제로부터 신규 학습 문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참조 학습 문제에 관한 설정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참조 학습 문제에서 변경 가능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변경 가능 영역에서의 데이터 변경 범위를 결정하는 변경 범위 결정부, 상기 설정되는 변경 가능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변경 가능 영역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경 가능 영역에서의 데이터 변경 범위 내에서 변경하는 데이터 변경부, 상기 변경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참조 학습 문제로부터 학습 문제를 생성하는 신규 학습 문제 생성부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참조 학습 문제에 대하여 설정된 변경 가능 영역에 포함된 데이터를 변경 가능 범위 내에서 변경하여 학습 문제를 생성함으로써, 특정 상황이나 특정 학습자에게 적합한 대량의 학습 문제를 효율적으로 생성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의하면, 학습 문자에 포함되는 수식이나 텍스트만이 아니라 도형 등 시각적인 요소까지 적응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보다 더 다양한 학습 문제를 생성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문제를 생성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문제 생성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문제 생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00: 통신망
200: 학습 문제 생성 시스템
210: 변경 범위 결정부
220: 데이터 변경부
230: 신규 학습 문제 생성부
240: 통신부
250: 제어부
300: 디바이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러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전체 시스템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문제를 생성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은 통신망(100), 학습 문제 생성 시스템(200) 및 디바이스(3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00)은 유선 통신이나 무선 통신과 같은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통신망(100)은 공지의 인터넷 또는 월드 와이드 웹(WWW; World Wide Web)일 수 있다. 그러나, 통신망(100)은, 굳이 이에 국한될 필요 없이, 공지의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공지의 전화망 또는 공지의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을 그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통신망(100)은 무선 데이터 통신망으로서, 무선주파수(RF; Radio Frequency) 통신, 와이파이(WiFi) 통신, 셀룰러(LTE 등) 통신, 블루투스 통신(더 구체적으로는, 저전력 블루투스(BLE; Bluetooth Low Energy)), 적외선 통신, 초음파 통신 등과 같은 종래의 통신 방법을 적어도 그 일부분에 있어서 구현하는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문제 생성 시스템(200)은, 참조 학습 문제에 관한 설정 정보를 참조하여, 참조 학습 문제에서 변경 가능 영역을 결정하고, 변경 가능 영역에서의 데이터 변경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 설정되는 변경 가능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변경 가능 영역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변경 가능 영역에서의 데이터 변경 범위 내에서 변경하는 단계, 변경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참조 학습 문제로부터 신규 학습 문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구성되며, 반복 학습, 치료 학습 또는 테스트를 위하여 많은 수의 신규 학습 문제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문제 생성 시스템(200)의 구성과 기능에 관하여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자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300)는 학습 문제 생성 시스템(200)에 접속한 후 통신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는 디지털 기기로서, 스마트폰, 태블릿, 스마트 워치, 스마트 밴드, 스마트 글래스,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PDA, 웹 패드, 이동 전화기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라면 얼마든지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300)로서 채택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300)는, 학습 문제 생성 시스템(200)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애플리케이션(미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애플리케이션은 학습 문제 생성 시스템(200) 또는 외부의 애플리케이션 배포 서버(미도시됨)로부터 다운로드된 것일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의 성격은 후술할 바와 같은 학습 문제 생성 시스템(200)의 변경 범위 결정부(210), 데이터 변경부(220), 신규 학습 문제 생성부(230), 통신부(240) 및 제어부(250)와 전반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은 그 적어도 일부가 필요에 따라 그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균등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 장치나 펌웨어 장치로 치환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300)는 통신망(100)을 통해 학습 문제 생성 시스템(200)에 접속한 후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디지털 기기로서,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휴대 가능한 디지털 기기라면 얼마든지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300)로서 채택될 수 있다.
학습 문제 생성 시스템의 구성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하여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학습 문제 생성 시스템(200)의 내부 구성과 각 구성요소의 기능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문제 생성 시스템(200)의 내부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문제 생성 시스템(200)은, 변경 범위 결정부(210), 데이터 변경부(220), 신규 학습 문제 생성부(230), 통신부(240) 및 제어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학습 문제 생성 시스템(200)의 변경 범위 결정부(210), 데이터 변경부(220), 신규 학습 문제 생성부(230), 통신부(240) 및 제어부(250)는 그 중 적어도 일부가 외부의 시스템(미도시됨)과 통신하는 프로그램 모듈일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은 운영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학습 문제 생성 시스템(200)에 포함될 수 있고, 물리적으로는 여러 가지 공지의 기억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은 학습 문제 생성 시스템(200)과 통신 가능한 원격 기억 장치에 저장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은 본 발명에 따라 후술할 특정 업무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실행하는 루틴, 서브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괄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한편, 학습 문제 생성 시스템(200)에 관하여 위와 같이 설명되었으나, 이러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이고, 학습 문제 생성 시스템(200)의 구성요소 또는 기능 중 적어도 일부가 필요에 따라 디바이스(300) 또는 서버(미도시됨) 내에서 실현되거나 외부 시스템(미도시됨) 내에 포함될 수도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경 범위 결정부(210)는, 참조 학습 문제에 관한 설정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참조 학습 문제에서 변경 가능 영역을 결정하고, 변경 가능 영역에서의 데이터 변경 범위를 결정함으로써, 신규 학습 문제 생성을 위한 데이터의 변경 범위를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참조 학습 문제에 관한 설정 정보는 관리자에 의하여 기설정되거나 참조 학습 문제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참조 학습 문제에서 추출된 설정 정보를 참조하여 변경 범위 결정부(210)에서 데이터의 변경 가능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경 범위 결정부(210)에 의하여 결정되는 변경 가능 영역에는 텍스트 영역, 수식 영역, 도형 영역, 그래프 영역 및 이미지 영역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다양한 유형의 영역들이 학습 문제의 변경 가능 영역으로서 결정될 수 있다. 다만, 변경 가능 영역으로 결정되는 다양한 유형의 영역은 반드시 위의 열거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유형의 영역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참조 학습 문제의 변경 가능 영역에서의 데이터 변경 범위는 참조 학습 문제 또는 신규 학습 문제에 관한 문맥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규 학습 문제에 관한 문맥 정보에는 참조 학습 문제의 성립 조건, 참조 학습 문제와 연관된 개념, 참조 학습 문제의 난이도, 신규 학습 문제의 난이도, 신규 학습 문제를 제공받을 학습자 또는 사용자의 학업 성취도 및 신규 학습 문제를 제공받을 학습자 또는 사용자의 개념 이해도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변경 범위를 결정할 때, 참조 학습 문제의 난이도 및 신규 학습 문제의 난이도 등의 학습 문제의 문맥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하여, 사용자 또는 학습자의 학습 난이도를 조절할 수 있다. 신규 학습 문제의 난이도와 같은 학습 문제의 문맥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 변경 범위가 결정될 수 있다. 나아가, 학습 문제의 난이도는 문제에 포함된 학습 개념, 공식, 이미지 등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습 문제의 숫자가 크게 변경됨에 따라 신규 학습 문제의 난이도가 참조 학습 문제의 난이도와 크게 달라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참조 학습 문제의 텍스트 영역 또는 수식 영역에 포함되는 데이터의 변경 범위가 소정 수치 범위로 제한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학습 문제의 풀이에 필요한 이미지가 크게 변경됨에 따라 신규 학습 문제의 난이도가 참조 학습 문제의 난이도와 크게 달라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참조 학습 문제의 이미지 영역에 포함되는 데이터의 변경 범위가 소정 범위로 제한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학습 문제의 문제 길이가 크게 길어짐에 따라 신규 학습 문제의 난이도가 참조 학습 문제의 난이도에 비하여 크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참조 학습 문제의 문제 길이 텍스트 영역에 포함되는 데이터의 변경 범위가 소정 수치 범위로 제한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변경 범위가 결정될 때, 반복 학습, 치료 학습 또는 테스트 등의 학습 문제의 문맥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또는 학습자의 반복 학습을 위하여 학습 문제에 포함된 특정 숫자 또는 이미지를 변경할 수 있다. 학습 문제에 포함된 숫자 또는 이미지를 변경하여 반복적으로 학습 문제를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 또는 학습자의 치료 학습 목적으로 데이터가 변경될 수 있는데, 해당 데이터의 변경은 사용자 또는 학습자의 학습 장애에 대한 치료를 목적으로 하여 행하여질 수 있고, 해당 학습 장애에는 난독증, 학습 결손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사용자 또는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학업 테스트가 수행될 필요가 있고, 사용자 또는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 평가 테스트를 위하여 학습 문제의 데이터가 소정의 변경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변경 범위 결정부(210)의 변경 범위 결정 대상이 되는 참조 학습 문제에서 변경 가능 영역을 결정하는 방식과, 변경 가능 영역에서의 데이터 변경 범위를 결정하는 방식은 반드시 위의 열거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변경부(220)는, 적어도 하나의 변경 가능 영역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해당 변경 가능 영역에서의 데이터 변경 범위 내에서 변경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변경부(220)에서, 제1 변경 가능 영역에서의 데이터 변경 범위 및 제2 변경 가능 영역에서의 데이터 변경 범위가 서로 연동될 수 있다. 제1 변경 가능 영역에는 텍스트 영역, 수식 영역, 도형 영역, 그래프 영역 및 이미지 영역 등의 다양한 유형의 영역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2 변경 가능 영역에는 텍스트 영역, 수식 영역, 도형 영역, 그래프 영역 및 이미지 영역 등의 다양한 유형의 영역이 포함될 수 있고, 제1 변경 가능 영역과 제2 변경 가능 영역에서의 데이터 변경 범위가 서로 연동될 수 있다. 한편, 데이터 변경부(220)의 제1 변경 가능 영역 및 제2 변경 가능 영역의 대상이 되는 다양한 유형의 영역은 반드시 위의 열거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영역이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규 학습 문제 생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규 학습 문제 생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참조 학습 문제의 텍스트 영역의 데이터(310, 320, 330)가 변경되어 신규 학습 문제가 생성될 수 있음을 예시적으로 보여준다. 구체적으로, 참조 학습 문제의 변경 가능 영역에는 텍스트 영역, 수식 영역, 도형 영역, 그래프 영역 및 이미지 영역 등이 포함될 수 있는데, 도 3은 참조 학습 문제의 텍스트 영역의 데이터(310, 320, 330)가 변경되어 신규 학습 문제가 생성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새롭게 생성되는 신규 학습 문제의 난이도 유지를 위하여, 데이터 변경 범위는 참조 학습 문제의 풀이 방식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나아가, 신규 학습 문제의 문제와 정답에 오류를 발생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텍스트 영역의 데이터의 변경(340, 350, 360, 370, 380, 390)이 행하여질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규 학습 문제 생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참조 학습 문제의 텍스트 영역의 데이터(410, 420) 및 이미지 영역이 적응적으로 변경되어 신규 학습 문제가 생성될 수 있음을 예시적으로 보여준다. 구체적으로, 참조 학습 문제의 변경 가능 영역에는 텍스트 영역, 수식 영역, 도형 영역, 그래프 영역 및 이미지 영역 등이 포함될 수 있는데, 도 4는 참조 학습 문제의 텍스트 영역의 데이터(410, 420)가 변경되고, 해당 변경에 따라 이미지 영역이 적응적으로 변경되어 신규 학습 문제가 생성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또한, 새롭게 생성되는 신규 학습 문제의 난이도 유지를 위하여, 데이터 변경 범위는 참조 학습 문제의 풀이 방식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나아가, 신규 학습 문제의 문제와 정답에 오류를 발생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텍스트 영역의 변경(430, 440, 450, 460)이 행하여질 수 있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도 4는 참조 학습 문제에 포함되어 있는 텍스트 영역의 데이터(410, 420)가 변경됨에 따라, 시각적으로 보여지는 이미지 영역이 적응적으로 변경될 수 있음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적응적으로 변경되는 이미지 영역에는 학습 문제의 원 도형, 부채꼴 도형, 삼각형 도형, 정육면체, 도형의 입체도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다만, 텍스트 영역의 데이터의 변경(430, 440, 450, 460)에 따라 적응적으로 변경되는 이미지 영역은 반드시 위의 열거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유형의 영역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규 학습 문제 생성부(230)는, 변경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참조 학습 문제로부터 신규 학습 문제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변경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참조 학습 문제로부터 신규 학습 문제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참조 학습 문제에 포함된 시각적인 요소를 적응적으로 변경함으로써 신규 학습 문제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 또는 학습자는 상이하지 않은 유형의 학습 문제를 계속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고, 제1 변경 가능 영역과 제2 변경 가능 영역에서의 데이터 변경 범위가 서로 연동되는 바, 상이하지 않은 난이도의 학습 문제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반복 학습, 치료 학습 또는 테스트를 위하여 많은 수의 학습 문제가 자동으로 생성되고, 이러한 학습 문제를 사용자 또는 학습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240)는 변경 범위 결정부(210), 데이터 변경부(220) 및 신규 학습 문제 생성부(230)로부터의/로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50)는 변경 범위 결정부(210), 데이터 변경부(220), 신규 학습 문제 생성부(230) 및 통신부(240) 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50)는 학습 문제 생성 시스템(200)의 외부로부터의/로의 데이터 흐름 또는 학습 문제 생성 시스템(200)의 각 구성요소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변경 범위 결정부(210), 데이터 변경부(220), 신규 학습 문제 생성부(230) 및 통신부(240)에서 각각 고유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5)

  1. 학습 문제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참조 학습 문제에 관한 설정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참조 학습 문제에서 변경 가능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변경 가능 영역에서의 데이터 변경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되는 변경 가능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변경 가능 영역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경 가능 영역에서의 데이터 변경 범위 내에서 변경하는 단계,
    상기 변경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참조 학습 문제로부터 신규 학습 문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관리자에 의하여 기설정되거나 상기 참조 학습 문제로부터 추출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 가능 영역에는, 텍스트, 수식, 도형, 그래프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경 가능 영역에서의 데이터 변경 범위는 상기 참조 학습 문제 또는 상기 신규 학습 문제에 관한 문맥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문맥 정보에는, 상기 참조 학습 문제의 문제 성립 조건, 상기 참조 학습 문제와 연관된 개념, 상기 참조 학습 문제의 난이도, 상기 신규 학습 문제의 난이도, 상기 신규 학습 문제를 제공받을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 및 상기 신규 학습 문제를 제공받을 학습자의 개념 이해도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제1 변경 가능 영역에서의 데이터 변경 범위 및 제2 변경 가능 영역에서의 데이터 변경 범위가 서로 연동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단계에서, 상기 변경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참조 학습 문제에 포함된 시각적인 요소를 적응적으로 변경함으로써 상기 신규 학습 문제를 생성하는
    방법.
  8. 제1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9. 학습 문제를 생성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참조 학습 문제에 관한 설정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참조 학습 문제에서 변경 가능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변경 가능 영역에서의 데이터 변경 범위를 결정하는 변경 범위 결정부,
    상기 설정되는 변경 가능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변경 가능 영역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경 가능 영역에서의 데이터 변경 범위 내에서 변경하는 데이터 변경부,
    상기 변경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참조 학습 문제로부터 신규 학습 문제를 생성하는 신규 학습 문제 생성부를 포함하는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관리자에 의하여 기설정되거나 상기 참조 학습 문제로부터 추출되는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 가능 영역에는, 텍스트, 수식, 도형, 그래프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시스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경 가능 영역에서의 데이터 변경 범위는 상기 참조 학습 문제 또는 상기 신규 학습 문제에 관한 문맥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문맥 정보에는, 상기 참조 학습 문제의 문제 성립 조건, 상기 참조 학습 문제와 연관된 개념, 상기 참조 학습 문제의 난이도, 상기 신규 학습 문제의 난이도, 상기 신규 학습 문제를 제공받을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 및 상기 신규 학습 문제를 제공받을 학습자의 개념 이해도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시스템.
  14. 제9항에 있어서,
    제1 변경 가능 영역에서의 데이터 변경 범위 및 제2 변경 가능 영역에서의 데이터 변경 범위가 서로 연동되는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단계에서, 상기 변경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참조 학습 문제에 포함된 시각적인 요소를 적응적으로 변경함으로써 상기 신규 학습 문제를 생성하는
    시스템.
PCT/KR2022/016063 2021-10-20 2022-10-20 학습 문제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WO2023068851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0178A KR20230056304A (ko) 2021-10-20 2021-10-20 학습 문제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21-0140178 2021-10-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68851A1 true WO2023068851A1 (ko) 2023-04-27

Family

ID=86059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16063 WO2023068851A1 (ko) 2021-10-20 2022-10-20 학습 문제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56304A (ko)
WO (1) WO2023068851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2735A (ko) * 2007-12-13 2009-06-17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수학 교수 학습 과정의 자기 주도형 학습을 위한 문제임의생성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교육서비스 제공방법
US20150199400A1 (en) * 2014-01-15 2015-07-16 Konica Minolta Laboratory U.S.A., Inc. Automatic generation of verification questions to verify whether a user has read a document
KR101620818B1 (ko) * 2015-07-14 2016-05-12 우병현 수학문제 자동생성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00011795A (ko) * 2018-07-25 2020-02-04 주식회사 아이포트폴리오 언어 학습을 위한 문제 생성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32080A (ko) * 2019-05-15 2020-11-25 신종우 문제생성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1828B1 (ko) 2014-04-25 2016-05-17 주식회사 셈웨어 무작위 대수 방정식의 자동 생성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2735A (ko) * 2007-12-13 2009-06-17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수학 교수 학습 과정의 자기 주도형 학습을 위한 문제임의생성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교육서비스 제공방법
US20150199400A1 (en) * 2014-01-15 2015-07-16 Konica Minolta Laboratory U.S.A., Inc. Automatic generation of verification questions to verify whether a user has read a document
KR101620818B1 (ko) * 2015-07-14 2016-05-12 우병현 수학문제 자동생성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00011795A (ko) * 2018-07-25 2020-02-04 주식회사 아이포트폴리오 언어 학습을 위한 문제 생성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32080A (ko) * 2019-05-15 2020-11-25 신종우 문제생성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6304A (ko) 2023-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159497A1 (ko) 학습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WO2020218758A1 (ko) 학습자 맞춤형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20210193136A1 (en) Removal of identifying traits of a user in a virtual environment
WO2013115488A1 (ko)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n 스크린 스마트 교육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302214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password using game
WO2018155931A1 (ko) 지식 맵 기반의 멀티 유저 게임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WO2023106855A1 (ko) 작문 평가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Jin et al. Potential use of mobile devices in selected public senior high schools in the city of Manila Philippines
Landry et al. Global health experiences (GHEs) in physical therapist education: balancing moral imperative with inherent moral hazard
WO2019203485A1 (ko) 체계적인 독서 습관을 배양하기 위한 독서교육 서비스 제공 방법
Byrne-Davis et al. Just-in-time research: a call to arms for research into mobile technologies in higher education
KR20120045382A (ko) 학습능력 관리 장치 및 그 장치의 힌트 제시 방법, 학습능력 관리 서버 및 그 서버의 구동 방법
JP6795301B2 (ja) 学習支援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5064839A1 (ko) 학습 관리 서버 및 학습 관리 방법
WO2023068851A1 (ko) 학습 문제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WO2017010607A1 (ko) 위치 연관 문서에 기초하여 감정을 분석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N111815134B (zh) 一种综合评分方法、装置、介质和电子设备
CN108877333A (zh) 一种大学数学教学交互系统及其使用方法
JP2019128365A (ja) 学習支援システム
WO2023136511A1 (ko) 온라인 교육 참여율 향상을 위한 솔루션 제공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솔루션 제공 시스템
WO2023048496A1 (ko) 광고 캠페인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WO2020060569A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orting a software application into a virtual reality setting
US9898311B1 (en) Software installation through bootloader management
Piovesan et al. U-SEA: a learning environment ubiquitous using cloud computing
WO2017043798A1 (ko) 언어 학습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88407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