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136511A1 - 온라인 교육 참여율 향상을 위한 솔루션 제공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솔루션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온라인 교육 참여율 향상을 위한 솔루션 제공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솔루션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136511A1
WO2023136511A1 PCT/KR2022/021500 KR2022021500W WO2023136511A1 WO 2023136511 A1 WO2023136511 A1 WO 2023136511A1 KR 2022021500 W KR2022021500 W KR 2022021500W WO 2023136511 A1 WO2023136511 A1 WO 202313651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de
online education
area
displayed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2150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박지영
조동인
이승훈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뮤레파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뮤레파코리아 filed Critical 유한회사 뮤레파코리아
Publication of WO202313651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13651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교육 참여율 향상을 위한 솔루션 제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솔루션 제공 장치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수강 단말의 화면의 제1영역에 온라인 교육 콘텐츠를 표시하고, 온라인 교육 인증을 위한 제1QR(Quick Response) 코드 및 자동 교육 인증을 방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2QR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1영역에 상기 온라인 교육 콘텐츠를 표시하는 동안 상기 화면의 제2영역에 상기 제1QR 코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QR 코드가 표시되는 위치, 시간 및 횟수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위치, 시간 및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제2영역에 상기 제1QR 코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QR 코드를 표시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온라인 교육 참여율 향상을 위한 솔루션 제공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솔루션 제공 시스템
본 발명은 온라인 교육 참여율 향상을 위한 솔루션 제공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솔루션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신 기술의 발전 및 비대면 교육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온라인 교육의 도입이 증가하고 있다. 온라인 교육을 수행하는 경우, 사용자들이 시공간 제약 없이 교육을 수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한편 강의를 수강하는 사용자들의 참여 어떻게 관리할 것인지가 하나의 과제이다.
사용자들의 참여율을 대표적으로 나타내는 출석 관리의 경우, 오프라인 교육과 마찬가지로 사용자들과 양방향 화상 통신을 통해 사용자들의 출석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사용자들은 화상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별도의 장비를 갖추어야 하고, 강사나 관리자의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단순히 접속한 시간이나 온라인 상으로 기록된 수강 시간 등을 통해 출석을 확인하는 경우, 출석 관리의 신뢰성이 떨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신뢰성 있고, 효율적으로 온라인 교육 참여율을 관리하는 솔루션 제공 장치 및 솔루션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들의 온라인 교육 참여율을 향상시키는 솔루션 제공 장치 및 솔루션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교육 참여율 향상을 위한 솔루션 제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솔루션 제공 장치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수강 단말의 화면의 제1영역에 온라인 교육 콘텐츠를 표시하고, 온라인 교육 인증을 위한 제1QR(Quick Response) 코드 및 자동 교육 인증을 방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2QR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1영역에 상기 온라인 교육 콘텐츠를 표시하는 동안 상기 화면의 제2영역에 상기 제1QR 코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QR 코드가 표시되는 위치, 시간 및 횟수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위치, 시간 및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제2영역에 상기 제1QR 코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QR 코드를 표시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2영역에 표시된 상기 제1QR 코드를 인식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온라인 교육 인증이 수행된 것으로 식별하고, 상기 온라인 교육 인증이 수행된 횟수가 기 정의된 횟수를 초과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온라인 교육에 출석한 것으로 식별하고, 출석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출석을 관리하는 관리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2영역에 표시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QR 코드 중 어느 하나를 인식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온라인 교육 인증이 수행되지 않은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솔루션 제공 장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수신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1QR 코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QR 코드가 표시되는 위치, 시간 및 횟수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강 단말의 화면에 상기 제1QR 코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QR 코드가 서로 구별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영역을 식별하고, 상기 제1영역이 변경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화면에서 상기 제1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제2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영역에 표기되는 상기 온라인 교육 콘텐츠가 종료되는 경우, 상기 수강 단말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온라인 교육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교육 참여율 향상을 위한 솔루션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수강 단말의 화면의 제1영역에 온라인 교육 콘텐츠를 표시하고, 온라인 교육 인증을 위한 제1QR 코드 및 자동 교육 인증을 방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2QR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1영역에 상기 온라인 교육 콘텐츠를 표시하는 동안 상기 화면의 제2영역에 상기 제1QR 코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QR 코드가 표시되는 위치, 시간 및 횟수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위치, 시간 및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제2영역에 상기 제1QR 코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QR 코드를 표시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솔루션 제공 장치; 상기 솔루션 제공 장치와 네트워크로 연결되고, 온라인 교육을 위한 화면을 표시하는 수강 단말; 및 상기 수강 단말에 표시된 상기 제1QR 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온라인 교육 인증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2영역에 표시된 상기 제1QR 코드를 인식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온라인 교육 인증이 수행된 것으로 식별하고, 상기 온라인 교육 인증이 수행된 횟수가 기 정의된 횟수를 초과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온라인 교육에 출석한 것으로 식별하고, 출석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출석을 관리하는 관리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2영역에 표시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QR 코드 중 어느 하나를 인식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온라인 교육 인증이 수행되지 않은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다 효율적으로 온라인 교육 참여율을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온라인 교육 참여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 영상에 QR 코드를 표시하는 바, 기존 강의의 활용이 가능하여 별도의 교육 인증을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의 출석부로의 대체 및 진도율의 확인을 대체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교육 참여율 향상을 위한 솔루션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솔루션 제공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솔루션 제공 장치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솔루션 제공 시스템의 동작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솔루션 제공 시스템의 동작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할 수 있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교육 참여율 향상을 위한 솔루션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솔루션 제공 시스템은 솔루션 제공 장치(100), 수강 단말(200), 사용자 단말(300)을 포함할 수 있다.
솔루션 제공 장치(100)는 컴퓨터, 서버 등으로 구현되며, 수강 단말(200), 사용자 단말(300)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솔루션 제공 장치(100)는 수강 단말(200)에 온라인 교육 콘텐츠 및 온라인 교육 인증을 위한 QR(Quick Response) 코드를 제공하고, 출석과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 단말(300)에 전송하는 등 온라인 교육 인증을 위한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수강 단말(200)은 솔루션 제공 장치(100)로부터 제공받은 온라인 교육 콘텐츠 및 QR 코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장치로써, 예를 들어, 컴퓨터, 노트북,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 다양한 전자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QR 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전자장치로써, 예를 들어, 스마트 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솔루션 제공 장치(100)와 연동되어 온라인 교육 인증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QR 코드를 인식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온라인 교육 참여율 향상을 위해 솔루션 제공 장치(100)는 온라인 교육 인증이 가능한 유효한 QR 코드(이하, 제1QR 코드라 한다.)와 자동 교육 인증을 방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QR 코드(이하, 제2QR 코드라 한다.)를 표시한다. 제2QR 코드는 더미(dummy) QR 코드로써 QR 코드를 인식하여도 온라인 교육 인증이 되지 않는 무효한 QR 코드이다.
솔루션 제공 장치(100)는 온라인 교육 콘텐츠와 함께 제1QR 코드와 적어도 하나의 제2QR 코드를 제공함에 있어서, QR 코드를 표시하는 시간이나 위치 등에 대해서 사용자에게 알리지 않고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솔루션 제공 장치(100)는 수강 단말(200)의 화면에 제1QR 코드 및 적어도 하나의 제2QR 코드가 서로 구별되도록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온라인 교육을 수강하는 도중 무작위로 표시되는 복수의 QR 코드 중 유효한 제1QR 코드를 육안으로 구별하고, 사용자 단말(300)을 이용하여 유효한 제1QR 코드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솔루션 제공 장치(100)는 실제 사용자가 온라인 교육을 제대로 수강하고 있는 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솔루션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들의 출석 등 참여율을 관리하는 관리자 단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솔루션 제공 장치(100)는 출석과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 단말(300)뿐 아니라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여, 온라인 교육을 주관하는 관리자나 강사 등은 관리자 단말에서 사용자들의 참여율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노출되는 QR 코드가 랜덤한 시간과 위치에 나타나는 바, 온라인 교육에 보다 집중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면에서는 솔루션 제공 시스템이 동작하는 과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솔루션 제공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솔루션 제공 장치(100)는 입력부(110), 통신부(120), 표시부(130), 메모리(140) 및 프로세서(150)를 포함한다.
입력부(110)는 솔루션 제공 장치(100)의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입력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은 QR 코드가 표시되는 위치, 시간 및 횟수에 관한 사용자 입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수단을 포함한다. 입력부(110)는 키보드(key board), 키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패널(touch panel), 터치 키(touch key), 마우스(mouse), 메뉴 버튼(menu butt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온라인 교육 콘텐츠, QR 코드, 온라인 교육 인증에 관한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해 수강 단말, 사용자 단말, 서버 등 외부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통신부(120)는 5G(5th generation communica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LTE(long term evolution), Wi-Fi(wireless fidelity) 등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표시부(130)는 솔루션 제공 장치(100)의 동작에 따른 표시 데이터를 표시한다. 표시부(130)는 온라인 교육, 온라인 교육 인증을 위해 필요한 표시 데이터, 예를 들면, QR 코드가 표시되는 위치, 시간 및 횟수를 설정하는 화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13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디스플레이,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EMS;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디스플레이 및 전자 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표시부(130)는 입력부(110)와 결합되어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40)는 솔루션 제공 장치(100)의 동작 프로그램들을 저장한다. 메모리(140)는 전원의 제공 유무와 무관하게 데이터(정보)를 보존할 수 있는 비휘발성 속성의 스토리지(storage)와, 프로세서(150)에 의해 처리되기 위한 데이터가 로딩되며 전원이 제공되지 않으면 데이터를 보존할 수 없는 휘발성 속성의 메모리(memory)를 포함한다. 스토리지에는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HDD(hard-disc drive), SSD(solid-state drive) ROM(Read Only Memory) 등이 있으며, 메모리에는 버퍼(buffer),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등이 있다.
메모리(140)는 외부장치로부터 수신한 온라인 교육 콘텐츠를 저장하거나, QR 코드가 표시되는 위치, 시간 및 횟수를 설정하기 위한 난수표, 설정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프로그램 등 소프트웨어를 실행하여 솔루션 제공 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50)는 솔루션 제공 장치(100)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수강 단말(200)의 화면의 제1영역에 온라인 교육 콘텐츠를 표시하고, 온라인 교육 인증을 위한 제1QR 코드 및 자동 교육 인증을 방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2QR 코드를 생성하고, 제1영역에 온라인 교육 콘텐츠를 표시하는 동안 화면의 제2영역에 제1QR 코드 및 적어도 하나의 제2QR 코드가 표시되는 위치, 시간 및 횟수를 설정하고, 설정된 위치, 시간 및 횟수에 기초하여 제2영역에 제1QR 코드 및 적어도 하나의 제2QR 코드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50)는 상기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 분석, 처리, 및 결과 정보 생성 중 적어도 일부를 규칙 기반 또는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알고리즘으로서 기계학습, 신경망 네트워크(neural network), 또는 딥러닝 알고리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신경망 네트워크의 예로는, CN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DNN (Deep Neural Network), RNN (Recurrent Neural Network)과 같은 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솔루션 제공 장치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수강 단말(200)의 화면의 제1영역에 온라인 교육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S310).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수강 단말(200)은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장치로써, 제1영역은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 영역을 의미한다. 프로세서(150)는 수강 단말(200)과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웹,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온라인 교육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온라인 교육 콘텐츠는 기 녹화된 콘텐츠이거나, 실시간으로 스트리밍되는 콘텐츠일 수 있으며 어느 하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온라인 교육 인증을 위한 제1QR 코드 및 자동 교육 인증을 방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2QR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S320).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제1QR 코드는 온라인 교육 인증을 위한 유효한 QR 코드이고, 제2QR 코드는 자동으로 교육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더미 QR 코드이다. 자동 교육 인증이란, 사용자가 온라인 교육을 참여하지 않음에도 교육 인증을 수행하는 것으로, 화면상 나타나는 QR 코드를 자동으로 인식하는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등 부정한 방법을 이용하여 교육 인증을 수행하는 모든 행위를 포함한다. 이때, 제1QR 코드 및 제2QR 코드는 하나 이상 생성될 수 있으며 그 개수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제1영역에 온라인 교육 콘텐츠를 표시하는 동안 화면의 제2영역에 제1QR 코드 및 적어도 하나의 제2QR 코드가 표시되는 위치, 시간 및 횟수를 설정할 수 있다(S33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강 단말(200)의 화면의 제2영역은 화면에서 제1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입력부(110)를 통해 수신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1QR 코드 및 적어도 하나의 제2QR 코드가 표시되는 위치, 시간 및 횟수를 설정할 수 있다. 혹은 프로세서(150)는 제1QR 코드 및 적어도 하나의 제2QR 코드가 표시되는 위치, 시간 및 횟수를 무작위로 설정하도록 난수표를 이용할 수 있다. 혹은 프로세서(150)는 사용자 입력 및 난수표를 모두 활용하여 위치, 시간 및 횟수를 무작위로 설정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위치는 난수표 등을 이용하여 무작위로 설정하되, 시간이나 횟수 등은 온라인 교육을 주관하는 관리자나 강사 등에 의해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설정된 위치, 시간 및 횟수에 기초하여 제2영역에 제1QR 코드 및 적어도 하나의 제2QR 코드를 표시할 수 있다(S34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수강 단말(200)의 화면에 제1QR 코드 및 적어도 하나의 제2QR 코드가 서로 구별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QR 코드가 유효한 QR 코드임을 알리는 안내 문구를 표시하거나, 제1QR 코드는 파란색 테두리로 별도로 표시될 수 있다. 또는, 제1QR 코드가 표시되는 초반에 깜빡이도록 하여 유효한 QR 코드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제1QR 코드와 제2QR 코드를 구별할 수 있는 방안이면 모두 적용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사용자 단말(300)이 제2영역에 표시된 제1QR 코드를 인식한 것에 기초하여 온라인 교육 인증이 수행된 것으로 식별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300)을 이용하여 제1QR 코드를 인식하는 방법을 수행하면, 온라인 교육 인증을 1회 수행한 것으로 판단한다.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제1QR 코드가 복수 개 존재하는 경우 프로세서(150)는 수강 단말(200)에 제1QR 코드를 인식하는 방법을 함께 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효한 제1QR 코드는 파란색 테두리로 표시되는 경우, 프로세서(150)는 "파란색 테두리로 표시된 모든 QR 코드를 인식해주세요" 등의 안내문구와 함께 수강 단말(200)에 표시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솔루션 제공 장치(100)는 수강 단말(200)에 다양한 인식 방법을 제시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온라인 교육 인증이 수행된 횟수가 기 정의된 횟수를 초과하는 것에 기초하여 온라인 교육에 출석한 것으로 식별한다. 이때, 기 정의된 횟수는 입력부(110)를 통해 수신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되거나, 기 정의된 횟수를 정한 정보를 수신하는 등 이를 정함에 있어 제한은 없다. 프로세서(150)는 사용자가 온라인 교육에 출석한 것으로 식별하면, 출석과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 단말(300) 및 출석을 관리하는 관리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출석과 관련된 정보는 사용자가 온라인 교육 인증을 수행한 횟수에 관한 정보, 총 QR 코드가 표시된 횟수 대비 온라인 교육 인증을 수행한 횟수에 관한 정보로써, 온라인 교육의 참여율을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사용자 단말(300)이 제2영역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제2QR 코드 중 어느 하나를 인식한 것에 기초하여 온라인 교육 인증이 수행되지 않은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별도의 화상 통신을 위한 장비를 구비하지 않고, 사용자의 온라인 교육 참여율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동 교육 인증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의 온라인 교육 참여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솔루션 제공 시스템의 동작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도면은 앞서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솔루션 제공 시스템의 동작에 따른 동작 모습 중 일 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솔루션 제공 장치(100)는 수강 단말(200)의 화면의 제1영역(210) 및 제1영역(210)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인 제2영역(220)을 식별한다. 솔루션 제공 장치(100)는 제1영역(210)에 온라인 교육 콘텐츠를 표시하고, 제2영역(220)에 복수의 QR 코드를 표시한다. 본 도면에서, 복수의 QR 코드는, 하나의 유효한 제1QR 코드(10) 및 세 개의 무효한 제2QR 코드(20)를 포함한다.
솔루션 제공 장치(100)는 제1QR 코드(10) 및 세 개의 제2QR 코드(20)를 구별하기 위해, 제1QR 코드(10)의 옆에 "이 QR 코드를 인식해주세요." 라고 기재된 안내문구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QR 코드를 구별하는 방법은 안내문구뿐 아니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안내문구의 내용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는 제2영역(220)에 표시된 유효한 제1QR 코드(10)를 사용자 단말(300)을 이용하여 인식함으로써 온라인 교육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300)은 솔루션 제공 장치(100)와 연동되어 온라인 교육 인증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QR 코드를 인식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QR 코드 중 유효한 QR 코드를 구별하도록 표시함으로써, 온라인 교육 인증을 수행하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 영상에 QR 코드를 표시하는 방식으로 기존 강의의 활용이 가능하여 별도의 교육 인증을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솔루션 제공 시스템의 동작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강 단말(200)의 화면의 제1영역(230)은 강의 자료를 표시하기 위한 영역(231)과 강사의 모습을 표시하기 위한 영역(232)으로 구별될 수 있다. 따라서, 솔루션 제공 장치(100)는 수강 단말(200)에서 강의 자료를 표시하기 위한 영역(231)과 강사의 모습을 표시하기 위한 영역(232)을 식별하고, 각 영역에 대응되는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제1영역을 식별하고, 제1영역이 변경되는 것에 기초하여 수강 단말(200)의 화면에서 제1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제2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 4와 도 5를 비교한다. 프로세서(150)는 제1영역을 식별하고, 식별된 제1영역에 온라인 교육 콘텐츠를 할당할 수 있다. 이때, 온라인 교육이 진행되는 도중 제1영역이 변경되는 경우가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육 초반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의 자료를 표시하기 위한 영역(231)과 강사의 모습을 표시하기 위한 영역(232)이 함께 표시되었으나, 교육이 진행되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의 자료를 표시하기 위한 영역(231)만 표시되는 경우가 존재할 수 있다. 이때, 도 5의 제1영역(230)이 도 4의 제1영역(210)으로 변경됨에 따라 온라인 교육 콘텐츠가 표시되는 영역에 QR 코드가 표시되어 온라인 교육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프로세서(150)는 제1영역을 식별하고, 제1영역이 변경되는 것에 기초하여 제2영역을 새로 식별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프로세서(150)는 제1영역(230)에 표기되는 온라인 교육 콘텐츠가 종료되는 경우, 수강 단말(200) 또는 사용자 단말(300)로 온라인 교육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온라인 교육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란 수강한 온라인 교육에 관련된 퀴즈, 교육을 듣고 이해한 정보, 온라인 교육 내용의 요약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수강 단말(200) 또는 사용자 단말(300)은 온라인 교육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에 대한 피드백을 솔루션 제공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특히 수강한 온라인 교육에 관련된 퀴즈를 제공하고, 그에 대한 답을 회신함으로써, 사용자의 온라인 교육에 대한 이해도나 온라인 교육 참여율 등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10)

  1. 온라인 교육 참여율 향상을 위한 솔루션 제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솔루션 제공 장치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수강 단말의 화면의 제1영역에 온라인 교육 콘텐츠를 표시하고,
    온라인 교육 인증을 위한 제1QR(Quick Response) 코드 및 자동 교육 인증을 방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2QR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1영역에 상기 온라인 교육 콘텐츠를 표시하는 동안 상기 화면의 제2영역에 상기 제1QR 코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QR 코드가 표시되는 위치, 시간 및 횟수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위치, 시간 및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제2영역에 상기 제1QR 코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QR 코드를 표시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솔루션 제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2영역에 표시된 상기 제1QR 코드를 인식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온라인 교육 인증이 수행된 것으로 식별하고,
    상기 온라인 교육 인증이 수행된 횟수가 기 정의된 횟수를 초과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온라인 교육에 출석한 것으로 식별하고,
    출석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출석을 관리하는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솔루션 제공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2영역에 표시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QR 코드 중 어느 하나를 인식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온라인 교육 인증이 수행되지 않은 것으로 식별하는 솔루션 제공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수신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1QR 코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QR 코드가 표시되는 위치, 시간 및 횟수를 설정하는 솔루션 제공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강 단말의 화면에 상기 제1QR 코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QR 코드가 서로 구별되도록 표시하는 솔루션 제공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영역을 식별하고,
    상기 제1영역이 변경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화면에서 상기 제1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제2영역을 식별하는 솔루션 제공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영역에 표기되는 상기 온라인 교육 콘텐츠가 종료되는 경우, 상기 수강 단말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온라인 교육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솔루션 제공 장치.
  8. 온라인 교육 참여율 향상을 위한 솔루션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수강 단말의 화면의 제1영역에 온라인 교육 콘텐츠를 표시하고, 온라인 교육 인증을 위한 제1QR 코드 및 자동 교육 인증을 방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2QR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1영역에 상기 온라인 교육 콘텐츠를 표시하는 동안 상기 화면의 제2영역에 상기 제1QR 코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QR 코드가 표시되는 위치, 시간 및 횟수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위치, 시간 및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제2영역에 상기 제1QR 코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QR 코드를 표시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솔루션 제공 장치;
    상기 솔루션 제공 장치와 네트워크로 연결되고, 온라인 교육을 위한 화면을 표시하는 수강 단말; 및
    상기 수강 단말에 표시된 상기 제1QR 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온라인 교육 인증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솔루션 제공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2영역에 표시된 상기 제1QR 코드를 인식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온라인 교육 인증이 수행된 것으로 식별하고, 상기 온라인 교육 인증이 수행된 횟수가 기 정의된 횟수를 초과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온라인 교육에 출석한 것으로 식별하고, 출석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출석을 관리하는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솔루션 제공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2영역에 표시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QR 코드 중 어느 하나를 인식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온라인 교육 인증이 수행되지 않은 것으로 식별하는 솔루션 제공 시스템.
PCT/KR2022/021500 2022-01-12 2022-12-28 온라인 교육 참여율 향상을 위한 솔루션 제공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솔루션 제공 시스템 WO2023136511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4433 2022-01-12
KR1020220004433A KR102480599B1 (ko) 2022-01-12 2022-01-12 온라인 교육 참여율 향상을 위한 솔루션 제공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솔루션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36511A1 true WO2023136511A1 (ko) 2023-07-20

Family

ID=84536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21500 WO2023136511A1 (ko) 2022-01-12 2022-12-28 온라인 교육 참여율 향상을 위한 솔루션 제공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솔루션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80599B1 (ko)
WO (1) WO20231365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0599B1 (ko) * 2022-01-12 2022-12-23 유한회사 뮤레파코리아 온라인 교육 참여율 향상을 위한 솔루션 제공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솔루션 제공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8158B1 (ko) * 2012-11-01 2013-05-27 (주)액시스소프트 학습동영상 집중 시청 유도용 시스템
JP2014160397A (ja) * 2013-02-20 2014-09-04 Denso Wave Inc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表示装置
KR101470382B1 (ko) * 2014-04-24 2014-12-08 (주) 보우테크 출결 관리 방법, 이를 실행하는 서버,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및 이를 저장한 기록 매체
KR20180066709A (ko) * 2016-12-09 2018-06-19 김은솔 동영상 강의를 재생하는 이동 단말 및 연관 동영상 재생 방법
KR20200056837A (ko) * 2018-11-15 2020-05-25 주식회사 아이티에듀고 출석 인증 방법
KR102480599B1 (ko) * 2022-01-12 2022-12-23 유한회사 뮤레파코리아 온라인 교육 참여율 향상을 위한 솔루션 제공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솔루션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8158B1 (ko) * 2012-11-01 2013-05-27 (주)액시스소프트 학습동영상 집중 시청 유도용 시스템
JP2014160397A (ja) * 2013-02-20 2014-09-04 Denso Wave Inc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表示装置
KR101470382B1 (ko) * 2014-04-24 2014-12-08 (주) 보우테크 출결 관리 방법, 이를 실행하는 서버,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및 이를 저장한 기록 매체
KR20180066709A (ko) * 2016-12-09 2018-06-19 김은솔 동영상 강의를 재생하는 이동 단말 및 연관 동영상 재생 방법
KR20200056837A (ko) * 2018-11-15 2020-05-25 주식회사 아이티에듀고 출석 인증 방법
KR102480599B1 (ko) * 2022-01-12 2022-12-23 유한회사 뮤레파코리아 온라인 교육 참여율 향상을 위한 솔루션 제공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솔루션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0599B1 (ko) 2022-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178645A1 (en) Participant response system with question authoring/editing facility
WO2018169115A1 (ko) 학습을 지원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WO2023136511A1 (ko) 온라인 교육 참여율 향상을 위한 솔루션 제공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솔루션 제공 시스템
US20140210734A1 (en) Method for conducting a collaborative event and system employing same
US20210287561A1 (en) Lecture support system, judgement apparatus, lecture support method, and program
WO2019190076A1 (ko) 시선 추적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단말
JP6795301B2 (ja) 学習支援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5064839A1 (ko) 학습 관리 서버 및 학습 관리 방법
WO201312591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information of image including a face
WO2015093754A1 (ko) 전자 장치에서 연결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 및 장치
CN113038076A (zh) 基于学习桌的远程自习系统、方法、设备及存储介质
WO2020101121A1 (ko) 딥러닝 기반의 영상분석 방법, 시스템 및 휴대 단말
CN207833452U (zh) 用于vr教育的vr系统
WO2022270840A1 (ko) 외국어 학습자의 어휘 실력 예측과 향상을 위한 딥러닝 기반의 단어 추천 시스템
WO2021251761A1 (ko) 아바타 로봇을 이용한 비대면 범용원격플랫폼 제공 시스템
WO2021066525A1 (ko) 코딩 교육 시스템
KR20220067402A (ko) 쌍방향 인터넷 실시간 강의 시스템 및 강의 방법
WO2021049700A1 (ko) 서비스 인력 관리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및 서버
WO2014027782A1 (ko) 드로잉 방식 이미지 기반 캡차 제공 시스템 및 캡차 제공 방법
CN113810399B (zh) 一种远程教学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WO2009154380A2 (ko) 페이지 인덱스를 이용한 반복 학습 단말기, 시스템 및 방법
WO2024101558A1 (ko) 메타버스 기반의 대학 교육 플랫폼
WO2023106474A1 (ko) 터치 감응식 전자장치 기반 시험문제 풀이의 분석을 통한 사용자 맞춤형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WO2017090856A1 (ko) 스마트 펜을 이용한 오답 노트 제공 방법 및 이를 처리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WO2019066408A1 (ko) 터치 입력에 기초한 텍스트 메시지 제공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92083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