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251761A1 - 아바타 로봇을 이용한 비대면 범용원격플랫폼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아바타 로봇을 이용한 비대면 범용원격플랫폼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251761A1
WO2021251761A1 PCT/KR2021/007234 KR2021007234W WO2021251761A1 WO 2021251761 A1 WO2021251761 A1 WO 2021251761A1 KR 2021007234 W KR2021007234 W KR 2021007234W WO 2021251761 A1 WO2021251761 A1 WO 202125176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universal remote
remote platform
face
user
avatar rob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0723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만근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한국도시농업(주)
김만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한국도시농업(주), 김만근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한국도시농업(주)
Publication of WO202125176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25176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5Conference system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providing a non-face-to-face universal remote platform using an avatar robot. More specifically, a simple avatar robot is developed and placed at the bottom of society so that it can exist in reality, and it is possible to make remote contact with a service provider A non-face-to-face universal remote platform providing system using an avatar robot to provide a 'universal remote platform' that can extend the user's expression, which was lacking in the existing remote service, to the actual behavior of the user through the avatar robot will be.
  • Corona 19 not only took the most lives since World War II, but it will bring many changes to our daily life, economy, and industry in that it 'has never brought many restrictions on human behavior' like this in human history. It is expected that changes in life due to social distancing (I. Untact society) will further deepen the expansion of our online life.
  • the existing remote access technology for non-face-to-face communication has been one-on-one or multi-party video conferencing through real-time images in a communication system composed of computers and smart phones, and at-home using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VR or AR technology.
  • Education and service provision are provided.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developing a simple avatar robot, placing it on the social base so that it can be real in reality, and enabling remote contact with a service provider.
  • This is to provide a non-face-to-face universal remote platform providing system using an avatar robot to provide a 'universal remote platform' that allows expressions to be extended to actual actions of the user through the avatar robot.
  • the user can view and experience the real service environment through the camera mounted on the avatar robot while moving.
  • the user's image can be disclosed to the other party to have a conversation, so the user's expressive power by selecting a simple robot waiting in each field and sector as his avatar as his avatar and making contact with the service provider It is to provide a non-face-to-face universal remote platform providing system using an avatar robot to further expand the
  • a plurality of users can access for multi-party video conferences or seminars and school classes, which are special cases, and even when an individual user is announced among a plurality of users, the user is an avatar robot waiting for a presentation tool such as a beam project
  • a presentation tool such as a beam project
  • a system for providing a non-face-to-face universal remote platform using an avatar robot includes a user terminal unit group 100g comprising a plurality of user terminal units 100, a network 200, A rain using an avatar robot including an avatar robot group 400g consisting of a universal remote platform server 300, a plurality of provider terminals 400u, and at least one avatar robot 400 managed by each provider terminal 400u
  • the user terminal unit 100 registers a user account in the universal remote platform server 300 to receive the 'universal remote platform' service through the network 200, and the universal remote platform server Access to a dedicated IP address to be serviced by each avatar robot 400 constituting the avatar robot group 400g registered in advance on the 300 , and receive approval from the service provider provided by the provider terminal 400u Go through the procedure to access the 'Universal Remote Platform', and match the supplier ID set with the supplier terminal (400u) registered in the universal remote platform DB of the universal remote platform server 300
  • the universal remote platform server 300 registers various data in the universal remote platform DB in response to a request through the network 200 of the provider terminal 400u, which is a service provider, to the user input unit 110 and the user output device.
  • the avatar robot 400 receives separate data through the mounted HDMI / DVI terminal, and then receives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unit 100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universal remote platform server 300 through the network 200 .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to the output device 120 .
  • the user terminal unit 100 connected to the provider terminal 400u operated by the service provider through the universal remote platform server 300 is a user who is a connection tool (at least one of a smartphone, a computer, a haptic, and a joystick).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data provided by the service provider is downloaded through the network 200 through the input device 110 and the user output device 120 .
  • the user terminal unit 100 connected to the provider terminal 400u operated by the service provider through the universal remote platform server 300 is the user's registered account on the universal remote platform DB of the universal remote platform server 300 It may be characterized by performing a transmission request for the data provided by the provider terminal (400u).
  • the system for providing a non-face-to-face universal remote platform using an avatar robot develops a simple avatar robot and places it in the social base so that it can exist in reality, and enables remote contact with a service provider. It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universal remote platform' that can expand the user's expression, which was lacking in the remote service of the avatar robot, into the actual behavior of the user through the avatar robot.
  • the adjustment of the avatar robot installed in the remote real space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user's will,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camera mounted on the avatar robot. You can see and experience the real service environment while moving, and you can have a conversation by revealing the user's image to the other party through the video camera and monitor mounted on the avatar robot.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effect of further expanding the expressive power of the user by selecting the robot type as his avatar and contacting the service provider.
  • non-face-to-face universal remote platform providing system using an avatar robot can be accessed by multiple users for multi-party video conferences or seminars and school classes, which are special cases, and Even when an individual user is announced among users, the user not only announces using a presentation tool such as a beam project with the waiting avatar robot, but also outputs a hologram using fusion reality (MR) to provide an image of himself/herself. do.
  • a presentation tool such as a beam project with the waiting avatar robot
  • MR fusion reality
  • FIG. 1 is a diagram showing a non-face-to-face universal remote platform providing system 1 using an avatar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2 and 3 are diagrams illustrating a service concept of providing a non-face-to-face universal remote platform in the non-face-to-face universal remote platform providing system 1 using an avatar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4 and 5 are diagrams illustrating services of a universal remote platform provided by the non-face-to-face universal remote platform providing system 1 using an avatar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non-face-to-face universal remote platform providing system 1 using an avatar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unit of the avatar robot 400 in the non-face-to-face universal remote platform providing system 1 using the avatar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mponent when any one component 'transmits' data or signal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directly transmit the data or signal to another component, and through at least one other component This means that data or signals can be transmitted to other components.
  • FIG. 1 is a diagram showing a non-face-to-face universal remote platform providing system 1 using an avatar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 and 3 are diagrams illustrating a service concept of providing a non-face-to-face universal remote platform in the non-face-to-face universal remote platform providing system 1 using an avatar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4 and 5 are diagrams illustrating services of a universal remote platform provided by the non-face-to-face universal remote platform providing system 1 using an avatar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non-face-to-face universal remote platform providing system 1 using an avatar robot includes a user terminal unit 100 comprising a user input unit 110 and a user output unit 120 .
  • a plurality of user terminal unit groups 100g, network 200, universal remote platform server 300, a plurality of provider terminals 400u, and at least one avatar robot 400 managed by each provider terminal 400u may include an avatar robot group 400g consisting of
  • the provider terminal 400u may be a wired/wireless terminal or an AP (Access Point) device for accessing the network 200 to the apata robot 400 operated by each service provider.
  • AP Access Point
  • the network 200 is a high-speed backbone network of a large-scale communication network capable of high-capacity, long-distance voice and data services, and may be a next-generation wired or wireless network for providing the Internet or high-speed multimedia services.
  • the network 200 may be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t may be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re may be 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type communication network.
  • 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 the mobile network 200 may include a Radio Network Controller (RNC).
  • RNC Radio Network Controller
  • the WCDMA network is taken as an example, it may be a 3G LTE network, a 4G network, other next-generation communication networks such as 5G, and other IP-based IP networks.
  • the network 200 is a user terminal unit group (100g) comprising a plurality of user terminal units (100), a universal remote platform server (300), a plurality of provider terminals (400u), and at least each provider terminal (400u) managed by
  • the avatar robot group 400g composed of one or more avatar robots 400 serves to mutually transmit signals and data between other systems.
  • FIG. 1 shows a platfor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and data between objects through the network 200, but as shown in FIG. 2, it can be modified to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based on a home or home network.
  • the non-face-to-face universal remote platform providing system 1 using the avatar robot arranges the simple avatar robot in the social base so that it can exist in reality, and it is a service provider through the universal remote platform server 300 .
  • the user's expression which was lacking in the existing remote service, is expanded from the actual action through the avatar robot 400 . It can provide a 'universal remote platform' that allows
  • the non-face-to-face universal remote platform providing system 1 using the avatar robot 400 does not depend on the gradual development of traditional technology, but rather inevitably changes in the process of social transformation that occurs suddenly like now.
  • As a general-purpose remote platform for urgently accommodating the Through accompanying action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universal remote platform consisting of expansion of expressive power in a non-face-to-face environment.
  • the universal remote platform server 300 which is a 'universal remote platform'
  • the user terminal unit 100 consisting of the user input unit 110 and the user output unit 120
  • users The user's expressive power can be further expanded by selecting the avatar robot 400, which is a simple robot waiting for each field and sector, as his avatar and contacting the service provider.
  • the adjustment of the avatar robot 400 installed in the real space from a distance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so that the user can see and experience the actual service environment through the camera mounted on the avatar robot 400 while moving.
  • the range of choices is widened because the user's image can be disclosed to the other party through the video camera and monitor mounted on the avatar robot 400 to have a conversation.
  • a universal remote platform app downloaded from the user terminal unit 100, which is a computer and smart phone terminal, and may include a joystick, a haptic,
  • the touch screen of a smart phone may also be used as a dedicated adjustment of the avatar robot 400 .
  • multiple users can use the avatar robot 400 connected to their user terminal unit 100 through a separately provided multi-vision screen UI screen.
  • the user may also present the announcement using a presentation tool such as a beam projector with the waiting avatar robot 400 .
  • the user when an individual user announces, the user outputs a hologram on the multi-vision screen provided by the service provider through fusion reality (MR) using not only the avatar robot 400 but also the beam projector of the avatar robot 400 and Images may be used, and service types may be the same as in FIGS. 4 and 5 .
  • MR fusion reality
  • FIG.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non-face-to-face universal remote platform providing system 1 using an avatar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non-face-to-face universal remote platform providing system 1 using an avatar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 power supply unit, an output unit, a control unit, an A/V input unit, a user input unit, a sensor unit,
  • a universal remote platform server 300 having a user account registration, a client UI manager, an authority management, an authentication manager,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 FIG.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unit of the avatar robot 400 in the non-face-to-face universal remote platform providing system 1 using the avatar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each avatar robot 400 includes a zoom-in operation module 411 , a power operation execution module 412 , a target sensor detection module 413 , a laser and RF module 414 , a camera rotation module 415 , and a support.
  • Up and down movement module 416, image wireless transmission module 417, movement driving module 418, mobile storage device (USB) module 419, device connection module 420, beam project module 421, shock prevention module 422 , a coordinate analysis module 423 , and an automatic charging module 424 may be included.
  • the zoom-in operation module 411 performs a function of enlarging and reducing an image output through a display unit and a beam projector provided by itself according to remote control through the network 200 of the user terminal unit 100 .
  • the power operation execution module 412 performs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avatar robot 400 , such as a mechanical device at a target point set by the user terminal unit 100 or based on automatic driving.
  • the target sensor detection module 413 is the avatar robot 400, which is a moving driving video robot, through a sensor installed in a mechanical device of a target point set by the user terminal unit 100 or based on automatic driving for the avatar robot 400. It performs the function of measuring the distance to
  • the laser and RF module 414 operates by recognizing a switch placed on the screen as a laser RF without installing a separate touch device when the target to which the avatar robot 400 operates is a touch screen under the control of the user terminal unit 100 .
  • the recognition type may be a QR code or a barcode.
  • the camera rotation module 415 may perform left-right rotation and vertical rotation functions of the camera mounted on the avatar robot 400 under the control of the user terminal unit 100 .
  • the support vertical movement module 416 may perform a function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upper and lower limbs of the avatar robot 400 under the control of the user terminal unit 100 .
  • the image wireless transmission module 417 may perform a remote transmission function of an image captured by the avatar robot 400 under the control of the user terminal unit 100 . That is, the image wireless transmission module 417 not only provides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to the user terminal unit 100 via the universal remote platform server 300 through the network 200, but also from the user terminal unit 100 After passing through the universal remote platform server 300 , the image received through the network 200 may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or the beam projector.
  • the moving driving module 418 may provide a movement function of the avatar robot 400 under the control of the user terminal unit 100 .
  • the mobile storage device (USB) module 419 may perform a function of detaching and recognizing a mobile storage device mounted on the avatar robot 400 .
  • the device connection module 420 may perform various device connection and recognition functions, and more specifically, connect and recognize HDMI/DVI terminals of various devices.
  • the beam project module 421 may provide a function of directing the beam projector as a screen to the display device under the control of the user terminal unit 100 .
  • the impact prevention module 422 may perform a collision prevention function between the avatar robots 400 based on autonomous driving.
  • the coordinate analysis module 423 performs a function of analyzing the moving path of the avatar robot 400.
  • the avatar robot 400 receives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triangulation on the AP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r receives GPS information. It is preferable to have a position receiving end.
  • the automatic charging module 424 may provide a wireless or wired charging function capable of self-charging by moving the avatar robot 400 to a designated loca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or request of the user terminal unit 100 .
  • the user terminal unit 100 registers a user account in the universal remote platform server 300 in order to receive a 'universal remote platform' service through the network 200, and on the universal remote platform server 300
  • a procedure for obtaining approval from the service provider provided by the provider terminal 400u can be performed by accessing a dedicated IP address to be serviced by each avatar robot 400 constituting the pre-registered avatar robot group 400g. .
  • the requirements for approval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f the service provider, and depending on the number of avatar robots 400 possessed by the service provider, a waiting order may occur, and the provider terminal 400u possesses the avatar robot 400 . This can be done through the guidance according to the sequence of
  • the user terminal unit 100 connected to the 'universal remote platform' is set up as a provider terminal (400u) registered in the universal remote platform DB of the universal remote platform server 300 configured according to the purpose through the universal remote platform app.
  • the universal remote platform server 300 registers various data in the universal remote platform DB according to a request through the network 200 of the provider terminal 400u, which is a service provider, and the user output device unit of the user terminal unit 100 Out of 120, switch to virtual reality or augmented reality for each HMD or smart phone, so that it can be accessed and serviced, or separate data through the HDMI / DVI terminal mounted on the avatar robot 400 is transferred to the user terminal unit (100) ) can be provided to the user output device unit 120 of the.
  • the provider terminal 400u which is a service provider
  • the user output device unit of the user terminal unit 100 Out of 120 switch to virtual reality or augmented reality for each HMD or smart phone, so that it can be accessed and serviced, or separate data through the HDMI / DVI terminal mounted on the avatar robot 400 is transferred to the user terminal unit (100) ) can be provided to the user output device unit 120 of the.
  • the user terminal unit 100 connected to the provider terminal 400u operated by the service provider through the universal remote platform server 300 is a user input device unit (smartphone, computer, haptic, joystick, etc.) 110) and the user output device unit 120, you can download the data provided by the service provider through the network 200, and also use your registered account on the universal remote platform DB of the universal remote platform server 300.
  • a transmission request for data provided by the terminal 400u may be performed.
  • the avatar robot 400 connected through the user terminal unit 100 and the universal remote platform server 300 is connected to a TV, a beam project, an electronic board, etc. through the mounted HDMI / DVI connection terminal, data, images, or assignments to be expressed. etc. may be announced, or an image of a user operating the user terminal unit 100 may be produced and expressed by using a project to implement fused reality (MR).
  • MR fused reality
  • the avatar robot 400 which is connected and operated through the user terminal unit 100 and the universal remote platform server 300, is a one-to-one service according to the order of reception, such as at a bank, autonomous center, hospital, etc., visitors can wait.
  • a multi-party video multi-vision and a personal multi-vision for each window it is possible to provide services to service requesters by remote access users such as bankers, public officials, doctors, etc. through the user terminal unit 100 .
  • the avatar robot 400 may be replaced with a multi-party multi-vision connection, etc. in the field.
  • the user terminal unit 100 can register on the universal remote platform DB of the universal remote platform server 300 through the network 200 according to the user's decision for user registration. .
  • the user terminal unit 100 is made concisely by public authentication or phone number authentication provided by the universal remote platform server 300 when registering a user on the universal remote platform DB of the universal remote platform server 300, and for special purposes In accordance with the request of the provider terminal 400u operated by the service provider connected to the universal remote platform server 300, a separately prepared authentication procedure may be performed.
  • the user terminal unit 100 connected to the universal remote platform server 300 corresponding to the 'universal remote platform' searches for addresses and maps as well as the contents of various institutions such as schools, hospitals, and shopping for the purpose of users' free use. Through the service providers, the content provided by the provider terminal 400u may be provided.
  • the user's account stored in the universal remote platform DB of the universal remote platform server 300 has a cloud function that can store and utilize data provided by a plurality of service providers, and a plurality of A community environment for exchanging opinions with users and various cultural community spaces such as music and broadcasting are provided, which can be linked with the avatar robot 400 of specific service providers.
  •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implemented as computer-readable codes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readable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device, etc. also includes
  •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s distributed in network-connected computer systems, and computer-readable codes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nferred by programmers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 a system for providing a non-face-to-face universal remote platform using an avatar robot includes a user terminal unit group 100g comprising a plurality of user terminal units 100, a network 200, A rain using an avatar robot including an avatar robot group 400g consisting of a universal remote platform server 300, a plurality of provider terminals 400u, and at least one avatar robot 400 managed by each provider terminal 400u
  • the user terminal unit 100 registers a user account in the universal remote platform server 300 to receive the 'universal remote platform' service through the network 200, and the universal remote platform server Access to a dedicated IP address to be serviced by each avatar robot 400 constituting the avatar robot group 400g registered in advance on the 300 , and receive approval from the service provider provided by the provider terminal 400u Go through the procedure to access the 'Universal Remote Platform', and match the supplier ID set with the supplier terminal (400u) registered in the universal remote platform DB of the universal remote platform server 300
  • the universal remote platform server 300 registers various data in the universal remote platform DB in response to a request through the network 200 of the provider terminal 400u, which is a service provider, to the user input unit 110 and the user output device.
  • the avatar robot 400 receives separate data through the mounted HDMI / DVI terminal, and then receives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unit 100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universal remote platform server 300 through the network 200 .
  • To provide to the output device unit 120 is a form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invention.
  • the user terminal unit 100 connected to the provider terminal 400u operated by the service provider through the universal remote platform server 300 is a user who is a connection tool (at least one of a smartphone, a computer, a haptic, and a joystick). Downloading the data provided by the service provider through the network 200 through the input device 110 and the user output device 120 is a form for implementing the invention.
  • the user terminal unit 100 connected to the provider terminal 400u operated by the service provider through the universal remote platform server 300 is the user's registered account on the universal remote platform DB of the universal remote platform server 300
  • To perform a transmission request for the data provided by the provider terminal (400u) is a form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invention.
  • the system for providing a non-face-to-face universal remote platform using an avatar robot develops a simple avatar robot and places it in the social base so that it can exist in reality, and enables remote contact with a service provider. It is expected to be widely used in industry in that it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universal remote platform' that can extend the user's expression, which was lacking in the remote service of the avatar robot, to the actual behavior of the user through the avatar robot.
  • the adjustment of the avatar robot installed in the remote real space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user's will,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camera mounted on the avatar robot. You can see and experience the real service environment while moving, and you can have a conversation by revealing the user's image to the other party through the video camera and monitor mounted on the avatar robot. It is expected to be widely used in industry in that it has the effect of further expanding the expressive power of the user by selecting a robot type as his avatar and contacting the service provider.
  • non-face-to-face universal remote platform providing system using an avatar robot can be accessed by multiple users for multi-party video conferences or seminars and school classes, which are special cases, and Among users, even when an individual user is announced, the user not only announces using a presentation tool such as a beam project as a waiting avatar robot, but also outputs a hologram using fusion reality (MR) to provide an image of himself. It is expected to be widely used in industry.
  • MR fusion re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바타 로봇을 이용한 비대면 범용원격플랫폼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간이형 아바타 로봇을 개발하여 현실에 실재할 수 있도록 사회 저변에 배치하고, 이를 서비스 공급자와 원격 접촉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기존의 원격 서비스에서 부족하였던 사용자의 표현을 아바타 로봇을 통한 사용자의 실제 행위로 확장시킬 수 있도록 하는 '범용원격플랫폼'을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아바타 로봇을 이용한 비대면 범용원격플랫폼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아바타 로봇을 이용한 비대면 범용원격플랫폼 제공 시스템
본 발명은 아바타 로봇을 이용한 비대면 범용원격플랫폼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간이형 아바타 로봇을 개발하여 현실에 실재할 수 있도록 사회 저변에 배치하고, 이를 서비스 공급자와 원격 접촉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기존의 원격 서비스에서 부족하였던 사용자의 표현을 아바타 로봇을 통한 사용자의 실제 행위로 확장시킬 수 있도록 하는 '범용원격플랫폼'을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아바타 로봇을 이용한 비대면 범용원격플랫폼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코로나19 사태로 전세계가 펜더믹 공포에 빠졌다.
사람 간의 전파 우려로 인하여 사회적 거리 두기를 실시하고, 집단 모임과 단체생활 등에서 IT기술을 활용한 각종 원격접속 장치가 활용되고 있다.
그리고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기술적 진보가 급격히 빨라지고 있는 이때 코로나19의 사태와 맞물려 세상의 문화 역시 급변하고 있는 만큼 코로나19의 사태는 전통적 문화사회에 대한 대변혁을 예고한다.
이제 많은 사람들은 코로나19 이후의 세상을 준비하기 시작했다.
우리의 모든 것이 바뀌었고, 사람을 만나는 방식, 먹는 방식, 일하는 방식, 공부하는 방식, 은행에 가고, 물건을 사고, 차를 타고 하는 우리의 모든 일상이 바뀌고 있고, 과거와 같은 일상으로 다시 돌아가기란 긴 시간이 소요될 것이지만 이 긴 시간 속에 형성되는 사회생활상은 그대로 고착화되어 미래의 새로운 문화생활로 자리잡을 공산이 매우 크다 하겠다.
사람과의 만남을 최소화하고 있는 현재 우리 일상은, 향후에도 소비의 비가역성(非可逆性)처럼 일정부분에서는 습관으로 굳어져 코로나19 이후에도 지속 또는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문가들은 진단한다.
코로나19는 2차 세계대전 이후 가장 많은 인류의 목숨을 앗아갔을 뿐만 아니라, 인류 역사이래 이처럼 인간 행동에 '많은 제약을 가져온 적이 없다'는 면에서, 우리의 일상, 경제, 산업에 많은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되며, 사회적 거리두기 (Ⅰ. Untact 사회)로 인한 생활의 변화는, 종전 우리의 온라인 생활 확대를 더욱 심화 시킬 것이다.
또한, 집안의 소비인 e커머스, 배달 커머스, 가정간편식(HMR), OTT 소비 시장을 더욱 빠르게 확대 시킬 것이며, 그리고 이를 위한 전자결제 시장이 한층 더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는 이때, 몇 년 전 인터넷 전문 은행 출범으로 우리에게 가까워진 비대면 금융거래가 이번 언택트 생활이 장기화되면서 비대면 은행, 보험, 증권 거래가 보다 우리 생활 깊숙이 파고드는 계기가 될 것이다.
기존 ICT(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에 기반한 ‘초연결’, ‘초지능’, ‘초융합’ 의 4차산업혁명이 이번 코로나19사태로 더욱 가속화 될 것이란 전망이며, 만약 규제와 산업 변화에 따른 이해관계자들의 저항 등으로 4차산업으로의 변화에 머뭇거림이 있다면, 이번 사태로 이제는 그 주저함이 공허해 질 것이라는 것이 사회경제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와 발전은 언제나 그랬듯이 장기적으로 인류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흘러가야 한다.
한편, 기존의 비대면을 위한 원격 접속 기술은 컴퓨터와 스마트 폰 등으로 이루어진 통신 체계에서 실시간 영상을 통한 일대일 또는 다자간의 화상회의 등이 있었으며, 그리고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인 VR 또는 AR 기술을 이용한 재택 교육 및 용역 서비스 제공 등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기술은 서비스 이용의 편의성을 위한 기술로서 코로나19의 사태로 인한 급격한 사회변화가 요구하는 비대면 접촉 생활이 현대 사회문화로 정착되는 현시점에서 사용자의 행동반경은 극히 제한적일 수 밖에 없으므로 폐쇄된 공간에서 사회문화 및 경제활동을 수행해야 하는 어려움에 봉착한 만큼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 제공과 서비스 공급자와 기타 사회구성원들간의 자유로운 커뮤니티 구현에 있어 많은 제약이 뒤따르는 것이 사실이다.
이는 무엇보다도 사용자의 자유로운 행동의 제약에 의한 행위의 제한 요소와 이를 소화하지 못하는 현재의 원격접속 기술의 한계성의 극복이 무엇보다도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이는 사용자의 자유로운 행위적인 요소, 즉 예를 들면 쇼핑시 사용자가 원격 접속을 통하여 방문하여 상품을 주문한다고 하더라도 다양한 상품 군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상품의 선택을 위한 대상물의 각도 또는 근접거리 등에 있어 제한적인 요소가 있을 수 밖에 없기 때문에 가상이던 실시간 영상이던 단순화된 정보의 제공만으로는 충족되지 못하는 것이며, 이러한 사용자의 만족감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원격 서비스는 결국 사용자들에게 외면을 받을 수 밖에 없다.
이러한 기술들은 IT 발전에 힘입어 현재 다양한 원격 플랫폼으로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서비스를 위한 독립적인 플랫폼으로서의 가치를 가지기 때문에 이렇듯 독립적으로 구축된 플랫폼에서는 지금과 같이 전세계 전반적으로 급변하는 사회문화적 환경이 미래의 사회문화환경으로 정착될 가능성이 매우 높은 시점에서 다양한 서비스를 요구하는 사용자들에게 오히려 이용의 번거로움만 가중시키고 있으며, 만약 어쩔 수 없이 사용한다 하더라도 접속 및 정보의 취득 과정 역시 각 플랫폼 마다 구성된 고유 특징에 의한 다양한 도구들을 깊이 숙지하지 않으면 안 되는 어려움이 존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간이형 아바타 로봇을 개발하여 현실에 실재할 수 있도록 사회저변에 배치하고, 이를 서비스 공급자와 원격 접촉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기존의 원격 서비스에서 부족하였던 사용자의 표현을 아바타 로봇을 통한 사용자의 실제 행위로 확장시킬 수 있도록 하는 '범용원격플랫폼'을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아바타 로봇을 이용한 비대면 범용원격플랫폼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원격의 현실 공간에 비치된 아바타 로봇의 조정이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수행되므로 사용자는 아바타 로봇에 장착된 카메라를 통하여 실재의 서비스 환경을 보고, 이동하면서 경험할 수 있으며, 또한 아바타 로봇에 장착된 영상 카메라와 모니터를 통하여 상대자에게 사용자의 이미지를 공개하여 대화를 할 수 있어서 현실의 각 분야 및 부문에 대기된 간이형 로봇을 자신의 아바타로 선택하여 서비스 공급자와 접촉하게 함으로서 사용자의 표현력을 더욱 확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아바타 로봇을 이용한 비대면 범용원격플랫폼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특수한 경우인 다자간의 영상회의 또는 세미나 및 학교의 수업 등을 위해 다수의 사용자들이 접속할 수 있으며, 다수의 사용자 중 개별 사용자 발표 시에도 사용자는 대기된 아바타 로봇으로 빔 프로젝트 등 발표 도구를 이용하여 발표할 뿐만 아니라, 융합현실(MR)을 이용한 홀로그램을 출력하여 자신의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아바타 로봇을 이용한 비대면 범용원격플랫폼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바타 로봇을 이용한 비대면 범용원격플랫폼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 단위(100)가 복수개로 이루어진 사용자 단말 단위 그룹(100g), 네트워크(200), 범용원격플랫폼 서버(300), 복수의 공급자 단말(400u), 그리고 각 공급자 단말(400u)이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바타 로봇(400)로 이루어진 아바타 로봇 그룹(400g)을 포함하는 아바타 로봇을 이용한 비대면 범용원격플랫폼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 단위(100)가 네트워크(200)를 통해 '범용원격플랫폼'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범용원격플랫폼 서버(300)에 사용자 계정을 등록하고, 범용원격플랫폼 서버(300) 상에 사전에 등록된 아바타 로봇 그룹(400g)을 구성하는 각 아바타 로봇(400)에 의해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전용 IP 주소로 접속하여 공급자 단말(400u)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공급자의 승인을 받는 절차를 진행하여 '범용원격플랫폼'에 접속하며, 범용원격플랫폼 앱을 통해 목적하는 바에 따라 구성된 범용원격플랫폼 서버(300)의 범용원격플랫폼 DB에 등록된 공급자 단말(400u)로 설정된 공급자 ID와 매칭되는 콘텐츠를 선택하여 선택된 콘텐츠에 매칭되는 공급자 서비스를 아바타 로봇(400)에 대한 제어를 통해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범용원격플랫폼 서버(300)는, 서비스 공급자인 공급자 단말(400u)의 네트워크(200)를 통한 요청에 따라 각종 자료를 범용원격플랫폼 DB에 등록하여 사용자 입력장치부(110) 및 사용자 출력장치부(120)로 구성되는 사용자 단말 단위(100)의 사용자 출력장치부(120)에 해당하는 HMD 또는 스마트 폰 각각에 대한 가상현실 또는 증강 현실로 전환 접속을 통해 사용자 출력장치부(120)로 콘텐츠 및 아바타 로봇(400)에 대해 촬영된 영상에 대한 서비스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아바타 로봇(400)은, 장착된 HDMI / DVI 단자를 통하여 별도의 자료를 제공받은 뒤, 네트워크(200)를 통해 범용원격플랫폼 서버(30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 단말 단위(100)의 사용자 출력장치부(120)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범용원격플랫폼 서버(300)를 통해 서비스 공급자가 운영하는 공급자 단말(400u)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 단위(100)는, 접속 도구(스마트폰, 컴퓨터, 햅틱, 조이스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사용자 입력장치부(110) 및 사용자 출력장치부(120)를 통하여 서비스 공급자가 제공하는 자료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다운받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범용원격플랫폼 서버(300)를 통해 서비스 공급자가 운영하는 공급자 단말(400u)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 단위(100)는, 범용원격플랫폼 서버(300)의 범용원격플랫폼 DB 상의 본인의 등록 계정으로 공급자 단말(400u)가 제공하는 자료에 대한 전송 요청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바타 로봇을 이용한 비대면 범용원격플랫폼 제공 시스템은, 간이형 아바타 로봇을 개발하여 현실에 실재할 수 있도록 사회저변에 배치하고, 이를 서비스 공급자와 원격 접촉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기존의 원격 서비스에서 부족하였던 사용자의 표현을 아바타 로봇을 통한 사용자의 실제 행위로 확장시킬 수 있도록 하는 '범용원격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바타 로봇을 이용한 비대면 범용원격플랫폼 제공 시스템은, 원격의 현실 공간에 비치된 아바타 로봇의 조정이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수행되므로 사용자는 아바타 로봇에 장착된 카메라를 통하여 실재의 서비스 환경을 보고, 이동하면서 경험할 수 있으며, 또한 아바타 로봇에 장착된 영상 카메라와 모니터를 통하여 상대자에게 사용자의 이미지를 공개하여 대화를 할 수 있어서 현실의 각 분야 및 부문에 대기된 간이형 로봇을 자신의 아바타로 선택하여 서비스 공급자와 접촉하게 함으로서 사용자의 표현력을 더욱 확장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바타 로봇을 이용한 비대면 범용원격플랫폼 제공 시스템은, 특수한 경우인 다자간의 영상회의 또는 세미나 및 학교의 수업 등을 위해 다수의 사용자들이 접속할 수 있으며, 다수의 사용자 중 개별 사용자 발표 시에도 사용자는 대기된 아바타 로봇으로 빔 프로젝트 등 발표 도구를 이용하여 발표할 뿐만 아니라, 융합현실(MR)을 이용한 홀로그램을 출력하여 자신의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바타 로봇을 이용한 비대면 범용원격플랫폼 제공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바타 로봇을 이용한 비대면 범용원격플랫폼 제공 시스템(1)에서 비대면 범용원격플랫폼 제공의 서비스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바타 로봇을 이용한 비대면 범용원격플랫폼 제공 시스템(1)에서 제공하는 범용원격플랫폼의 서비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바타 로봇을 이용한 비대면 범용원격플랫폼 제공 시스템(1) 전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바타 로봇을 이용한 비대면 범용원격플랫폼 제공 시스템(1) 중 아바타 로봇(400)의 제어부에 대한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바타 로봇을 이용한 비대면 범용원격플랫폼 제공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바타 로봇을 이용한 비대면 범용원격플랫폼 제공 시스템(1)에서 비대면 범용원격플랫폼 제공의 서비스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바타 로봇을 이용한 비대면 범용원격플랫폼 제공 시스템(1)에서 제공하는 범용원격플랫폼의 서비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아바타 로봇을 이용한 비대면 범용원격플랫폼 제공 시스템(1)은 사용자 입력장치부(110) 및 사용자 출력장치부(120)로 이루어진 사용자 단말 단위(100)가 복수개로 이루어진 사용자 단말 단위 그룹(100g), 네트워크(200), 범용원격플랫폼 서버(300), 복수의 공급자 단말(400u), 그리고 각 공급자 단말(400u)이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바타 로봇(400)로 이루어진 아바타 로봇 그룹(400g)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공급자 단말(400u)은 유무선 단말 또는 각 서비스 공급자가 운영하는 아파타 로봇(400)에 대한 네트워크(200) 접속을 위한 AP(Access Point) 장치일 수도 있다.
네트워크(200)는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이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유선 및 무선 망일 수 있다. 네트워크(200)가 이동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일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이동네트워크(200)은 RNC(Radio Network Controller)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그 밖의 5G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망일 수 있다. 네트워크(200)는 사용자 단말 단위(100)가 복수개로 이루어진 사용자 단말 단위 그룹(100g), 범용원격플랫폼 서버(300), 복수의 공급자 단말(400u), 그리고 각 공급자 단말(400u)이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바타 로봇(400)로 이루어진 아바타 로봇 그룹(400g), 그 밖의 시스템 상호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 도 1은 네트워크(200)를 통한 각 객체간의 신호 및 데이터 송수신하는 플랫폼을 도시하였으나 도 2와 같이 댁내 또는 홈 네트워크 기반으로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 등으로 변형 가능한다.
한편, 이러한 구성을 통해 아바타 로봇을 이용한 비대면 범용원격플랫폼 제공 시스템(1)은 간이형 아바타 로봇을 현실에 실재할 수 있도록 사회저변에 배치하고, 이를 범용원격플랫폼 서버(300)를 통해 서비스 공급자가 우연하는 공급자 단말(400u)의 하위에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바타 로봇(400)에 원격 접촉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기존의 원격 서비스에서 부족하였던 사용자의 표현을 아바타 로봇(400)을 통한 실제 행위에서 확장시킬 수 있도록 하는 '범용원격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아바타 로봇(400)을 이용한 비대면 범용원격플랫폼 제공 시스템(1)은 전통적 기술의 점진적 발전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지금과 같이 급작스럽게 일어나는 사회 대변혁의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변화될 수 밖에 없는 사회문화를 시급히 수용하기 위한 방편의 범용원격플랫폼으로서, 간이용으로 개발된 아바타 로봇(400)에 탑재된 카메라와 디스플레이로 구현되는 영상과 사용자의 의사에 수반한 아바타 로봇(400)의 이동 및 관찰 등을 수반하는 행동을 통하여 비대면 환경에서의 표현력의 확장 등으로 이루어지는 범용원격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들이 사용자 입력장치부(110) 및 사용자 출력장치부(120)로 이루어진 사용자 단말 단위(100)를 통해 '범용원격플랫폼'인 범용원격플랫폼 서버(300)에 대한 액세스를 통해 실제의 현실의 각 분야 및 부문에 대기된 간이형 로봇인 아바타 로봇(400)을 자신의 아바타로 선택하여 서비스 공급자와 접촉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표현력을 더욱더 확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는 원격에서 실재하는 현실공간에 비치된 아바타 로봇(400)의 조정이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수행되므로 사용자는 아바타 로봇(400)에 장착된 카메라를 통하여 실제의 서비스 환경을 보고, 이동하면서 경험할 수 있으며, 또한 아바타 로봇(400)에 장착된 영상 카메라와 모니터를 통하여 상대자에게 사용자의 이미지를 공개하여 대화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선택의 폭이 넓어지게 된다.
이러한 서비스는 컴퓨터 및 스마트 폰 단말기인 사용자 단말 단위(100)에서 다운받은 범용원격플랫폼 앱을 통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 단위(100)를 구성하는 사용자 입력장치부(110)인 조이스틱, 햅틱, 스마트폰의 터치스크린 등으로도 아바타 로봇(400)의 전용 조정간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특수한 경우, 즉 다자간의 영상회의 또는 세미나 및 학교의 수업 등은 별도로 마련된 멀티비전 스크린 UI 화면을 통하여 다수의 사용자들이 자신의 사용자 단말 단위(100)와 접속된 아바타 로봇(400)으로 할 수 있으며, 다수의 사용자 중 개별 사용자 발표 시에도 사용자는 대기된 아바타 로봇(400)으로 빔 프로젝터 등 발표 도구를 이용하여 발표할 수도 있다.
이때 개별 사용자의 발표 시에는 사용자는 아바타 로봇(400)뿐만 아니라 아바타 로봇(400)의 빔 프로젝터 등을 이용한 융합현실(MR)을 통해 서비스 공급자가 제공하는 멀티비전 스크린 상에 홀로그램을 출력하여 자신의 이미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서비스 유형은 도 4 및 도 5와 같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바타 로봇을 이용한 비대면 범용원격플랫폼 제공 시스템(1) 전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바타 로봇을 이용한 비대면 범용원격플랫폼 제공 시스템(1)은 무선통신부, 전원공급부, 출력부, 제어부, A/V 입력부, 사용자 입력부, 센서부, 영상콘텐트 생성부로 이루어진 각 아바타 로봇(400) 외에, 사용자 계정 등록, 클라이언트 UI 매니저, 권한 매너지, 인증 매니저를 구비한 범용원격플랫폼 서버(3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바타 로봇을 이용한 비대면 범용원격플랫폼 제공 시스템(1) 중 아바타 로봇(400)의 제어부에 대한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과 같이 각 아바타 로봇(400)은 줌인 작동 모듈(411), 전원 작동 실행 모듈(412), 목표 센서 감지 모듈(413), 레이저 및 RF 모듈(414), 카메라 회전 모듈(415), 지지대 상하 이동 모듈(416), 영상 무선 송출 모듈(417), 이동 주행 모듈(418), 이동저장 장치(USB) 모듈(419), 기기 연결 모듈(420), 빔 프로젝트 모듈(421), 충격 예방 모듈(422), 좌표분석 모듈(423), 자동 충전 모듈(42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줌인 작동 모듈(411)은 사용자 단말 단위(100)의 네트워크(200)를 통한 원격 제어에 따라 자체적으로 구비된 디스플레이부 및 빔 프로젝터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의 확대 및 축소기능을 수행한다.
전원 작동 실행 모듈(412)은 아바타 로봇(400)에 대해 사용자 단말 단위(100)에 의해 설정되거나 자동 주행 기반으로 설정된 목표지점의 기계장치 등의 전원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목표 센서 감지 모듈(413)은 아바타 로봇(400)에 대해 사용자 단말 단위(100)에 의해 설정되거나 자동 주행 기반으로 설정된 목표지점의 기계장치 등에 설치된 센서를 통하여 이동주행영상로봇인 아바타 로봇(400)과의 거리측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레이저 및 RF 모듈(414)은 사용자 단말 단위(100)의 제어에 따라 아바타 로봇(400)이 작동하려는 대상이 터치 스크린의 경우 별도의 터치장치 장착 없이 화면에 배치된 스위치를 레이저 RF로 인식시켜 작동하게 하며, 인식 종류로는 QR 코드 및 바코드일 수 있다.
카메라 회전 모듈(415)은 사용자 단말 단위(100)의 제어에 따라 아바타 로봇(400)에 장착된 카메라의 좌우회전 및 상하 회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지지대 상하 이동 모듈(416)은 사용자 단말 단위(100)의 제어에 따라 아바타 로봇(400)의 상하지지대 높낮이 조절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 무선 송출 모듈(417)은 사용자 단말 단위(100)의 제어에 따라 아바타 로봇(400)에서 촬영되는 영상의 원격 송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영상 무선 송출 모듈(417)은 카메라에 촬영된 영상을 네트워크(200)를 통해 범용원격플랫폼 서버(300)를 거쳐 사용자 단말 단위(100)로 제공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 단말 단위(100)로부터 범용원격플랫폼 서버(300)을 거친뒤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신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 또는 빔 프로젝터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동 주행 모듈(418)은 사용자 단말 단위(100)의 제어에 따라 아바타 로봇(400)의 이동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동저장 장치(USB) 모듈(419)은 아바타 로봇(400)에 장착되는 이동저장 장치 착탈 및 인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기기 연결 모듈(420)은 각종 기기 연결 및 인식 기능을 수행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각종 기기의 HDMI / DVI 단자의 연결 및 인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빔 프로젝트 모듈(421)은 사용자 단말 단위(100)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로 빔 프로젝터에 대한 스크린으로 연출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충격 예방 모듈(422)은 자율 주행 기반으로 아바타 로봇(400) 간의 충돌방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좌표분석 모듈(423)은 아바타 로봇(400)의 이동 주행한 경로를 분석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를 위해 아바타 로봇(400) 상에는 무선통신부를 통한 AP에 대한 삼각측량법을 통해 위치 정보를 제공받거나 GPS 위치 수신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동 충전 모듈(424)은 사용자 단말 단위(100)의 제어 또는 요청에 따라 아바타 로봇(400)에 대한 지정된 위치로의 이동을 통해 무선 또는 유선 충전방식의 자가충전 가능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사용자 단말 단위(1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범용원격플랫폼'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범용원격플랫폼 서버(300)에 사용자 계정을 등록하고, 범용원격플랫폼 서버(300) 상에 사전에 등록된 아바타 로봇 그룹(400g)을 구성하는 각 아바타 로봇(400)에 의해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전용 IP 주소로 접속하여 공급자 단말(400u)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공급자의 승인을 받는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여기서, 승인의 요건은 서비스 공급자의 의사에 따라 각기 다를 수 있으며, 서비스 공급자가 보유한 아바타 로봇(400)의 보유 수에 따라 순번 대기가 발생할 수 있으며, 공급자 단말(400u)은 보유한 아바타 로봇(400)의 순번에 따른 안내를 통해 수행할 수 있다.
이후, '범용원격플랫폼'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 단위(100)는 범용원격플랫폼 앱을 통해 목적하는 바에 따라 구성된 범용원격플랫폼 서버(300)의 범용원격플랫폼 DB에 등록된 공급자 단말(400u)로 설정된 공급자 ID와 매칭되는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되는 종류는 서비스 공급자의 요청에 따라 아바타 로봇(400)의 표현 확장에 제한적인 요소가 있을 수 있다.
이후, 범용원격플랫폼 서버(300)는 서비스 공급자인 공급자 단말(400u)의 네트워크(200)를 통한 요청에 따라 각종 자료 등을 범용원격플랫폼 DB에 등록하여 사용자 단말 단위(100)의 사용자 출력장치부(120) 중 HMD 또는 스마트 폰 각각에 대한 가상현실 또는 증강 현실로 전환 접속, 서비스 될 수 있도록 하거나, 아바타 로봇(400)에 장착된 HDMI / DVI 단자를 통하여 별도의 자료 등을 사용자 단말 단위(100)의 사용자 출력장치부(12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후, 범용원격플랫폼 서버(300)를 통해 서비스 공급자가 운영하는 공급자 단말(400u)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 단위(100)는 접속 도구(스마트폰, 컴퓨터, 햅틱, 조이스틱 등)인 사용자 입력장치부(110) 및 사용자 출력장치부(120)를 통하여 서비스 공급자가 제공하는 자료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다운받을 수 있으며, 또한 범용원격플랫폼 서버(300)의 범용원격플랫폼 DB 상의 본인의 등록 계정으로 공급자 단말(400u)가 제공하는 자료에 대한 전송 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 단위(100)와 범용원격플랫폼 서버(300)를 통해 연결된 아바타 로봇(400)는 장착된 HDMI / DVI 연결단자를 통하여 TV, 빔프로젝트, 전자칠판 등에 표현하고자 하는 자료 및 영상 또는 과제물 등을 발표할 수 있으며, 또는 프로젝트를 이용하여 융합현실(MR) 구현으로 사용자 단말 단위(100)를 운영하는 사용자의 이미지를 연출하여 표현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 단위(100)와 범용원격플랫폼 서버(300)를 통해 연결되어 운영되는 아바타 로봇(400)는 은행이나 자치센터, 병원 접수 등 접수 순서에 의한 일대일 서비스의 경우에는 접속 방문객들이 대기할 수 있는 다자간 화상멀티비전과 창구별 개인 멀티비전을 구축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 단말 단위(100)를 통한 원격 접속 사용자들인 은행원, 공무원, 의사 등에 의해 서비스 요청자에 대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자들 다수에게 제공되는 서비스의 경우, 서비스 공급자의 목적과 환경에 따라 현장에서는 아바타 로봇(400)이 아닌 다자간 멀티비전 접속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한편, '범용원격플랫폼'에서의 사용자 등록 및 접속 절차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범용원격플랫폼'의 활용에서 사용자 단말 단위(100)가 사용자 등록을 위해서는 사용자의 결정에 따라 네트워크(200)를 통한 범용원격플랫폼 서버(300)의 범용원격플랫폼 DB 상으로 등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단위(100)는 범용원격플랫폼 서버(300)의 범용원격플랫폼 DB 상으로 사용자 등록시 범용원격플랫폼 서버(300)에서 제공한 공인인증 또는 전화번호 인증 등으로 간결하게 이루어지며, 특수 목적의 경우에는 범용원격플랫폼 서버(300)와 연결된 서비스 공급자가 운영하느 공급자 단말(400u)의 요구에 따라 별도로 준비된 인증 절차를 거칠수 있다.
'범용원격플랫폼'에 해당하는 범용원격플랫폼 서버(300)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 단위(100)는 사용자의 자유로운 사용 목적을 위한 학교, 병원, 쇼핑 등 각종 기관의 콘텐트 뿐만 아니라 주소 및 지도의 검색을 통하여 서비스 공급자들인 공급자 단말(400u)에서 제공한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범용원격플랫폼 서버(300)의 범용원격플랫폼 DB에 저장된 사용자의 계정은 다수의 서비스 공급자들이 제공한 자료 등을 보관하고 활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의 기능을 가지며, '범용원격플랫폼' 환경 내에서도 다수의 사용자들과 의견을 교환할 수 있는 커뮤니티 환경 구축과 음악, 방송 등 각종 문화 커뮤니티 공간을 제공하며, 이는 특정한 서비스 공급자들의 아바타 로봇(400)과 연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바타 로봇을 이용한 비대면 범용원격플랫폼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 단위(100)가 복수개로 이루어진 사용자 단말 단위 그룹(100g), 네트워크(200), 범용원격플랫폼 서버(300), 복수의 공급자 단말(400u), 그리고 각 공급자 단말(400u)이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바타 로봇(400)로 이루어진 아바타 로봇 그룹(400g)을 포함하는 아바타 로봇을 이용한 비대면 범용원격플랫폼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 단위(100)가 네트워크(200)를 통해 '범용원격플랫폼'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범용원격플랫폼 서버(300)에 사용자 계정을 등록하고, 범용원격플랫폼 서버(300) 상에 사전에 등록된 아바타 로봇 그룹(400g)을 구성하는 각 아바타 로봇(400)에 의해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전용 IP 주소로 접속하여 공급자 단말(400u)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공급자의 승인을 받는 절차를 진행하여 '범용원격플랫폼'에 접속하며, 범용원격플랫폼 앱을 통해 목적하는 바에 따라 구성된 범용원격플랫폼 서버(300)의 범용원격플랫폼 DB에 등록된 공급자 단말(400u)로 설정된 공급자 ID와 매칭되는 콘텐츠를 선택하여 선택된 콘텐츠에 매칭되는 공급자 서비스를 아바타 로봇(400)에 대한 제어를 통해 제공받는 것을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로 한다.
이때, 범용원격플랫폼 서버(300)는, 서비스 공급자인 공급자 단말(400u)의 네트워크(200)를 통한 요청에 따라 각종 자료를 범용원격플랫폼 DB에 등록하여 사용자 입력장치부(110) 및 사용자 출력장치부(120)로 구성되는 사용자 단말 단위(100)의 사용자 출력장치부(120)에 해당하는 HMD 또는 스마트 폰 각각에 대한 가상현실 또는 증강 현실로 전환 접속을 통해 사용자 출력장치부(120)로 콘텐츠 및 아바타 로봇(400)에 대해 촬영된 영상에 대한 서비스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로 한다.
또한, 아바타 로봇(400)은, 장착된 HDMI / DVI 단자를 통하여 별도의 자료를 제공받은 뒤, 네트워크(200)를 통해 범용원격플랫폼 서버(30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 단말 단위(100)의 사용자 출력장치부(120)에게 제공하는 것을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로 한다.
또한, 범용원격플랫폼 서버(300)를 통해 서비스 공급자가 운영하는 공급자 단말(400u)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 단위(100)는, 접속 도구(스마트폰, 컴퓨터, 햅틱, 조이스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사용자 입력장치부(110) 및 사용자 출력장치부(120)를 통하여 서비스 공급자가 제공하는 자료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다운받는 것을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로 한다.
또한, 범용원격플랫폼 서버(300)를 통해 서비스 공급자가 운영하는 공급자 단말(400u)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 단위(100)는, 범용원격플랫폼 서버(300)의 범용원격플랫폼 DB 상의 본인의 등록 계정으로 공급자 단말(400u)가 제공하는 자료에 대한 전송 요청을 수행하는 것을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바타 로봇을 이용한 비대면 범용원격플랫폼 제공 시스템은, 간이형 아바타 로봇을 개발하여 현실에 실재할 수 있도록 사회저변에 배치하고, 이를 서비스 공급자와 원격 접촉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기존의 원격 서비스에서 부족하였던 사용자의 표현을 아바타 로봇을 통한 사용자의 실제 행위로 확장시킬 수 있도록 하는 '범용원격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는 점에서 산업상 널리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바타 로봇을 이용한 비대면 범용원격플랫폼 제공 시스템은, 원격의 현실 공간에 비치된 아바타 로봇의 조정이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수행되므로 사용자는 아바타 로봇에 장착된 카메라를 통하여 실재의 서비스 환경을 보고, 이동하면서 경험할 수 있으며, 또한 아바타 로봇에 장착된 영상 카메라와 모니터를 통하여 상대자에게 사용자의 이미지를 공개하여 대화를 할 수 있어서 현실의 각 분야 및 부문에 대기된 간이형 로봇을 자신의 아바타로 선택하여 서비스 공급자와 접촉하게 함으로서 사용자의 표현력을 더욱 확장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는 점에서 산업상 널리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바타 로봇을 이용한 비대면 범용원격플랫폼 제공 시스템은, 특수한 경우인 다자간의 영상회의 또는 세미나 및 학교의 수업 등을 위해 다수의 사용자들이 접속할 수 있으며, 다수의 사용자 중 개별 사용자 발표 시에도 사용자는 대기된 아바타 로봇으로 빔 프로젝트 등 발표 도구를 이용하여 발표할 뿐만 아니라, 융합현실(MR)을 이용한 홀로그램을 출력하여 자신의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는 점에서 산업상 널리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5)

  1. 사용자 단말 단위(100)가 복수개로 이루어진 사용자 단말 단위 그룹(100g), 네트워크(200), 범용원격플랫폼 서버(300), 복수의 공급자 단말(400u), 그리고 각 공급자 단말(400u)이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바타 로봇(400)로 이루어진 아바타 로봇 그룹(400g)을 포함하는 아바타 로봇을 이용한 비대면 범용원격플랫폼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 단위(100)가 네트워크(200)를 통해 '범용원격플랫폼'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범용원격플랫폼 서버(300)에 사용자 계정을 등록하고, 범용원격플랫폼 서버(300) 상에 사전에 등록된 아바타 로봇 그룹(400g)을 구성하는 각 아바타 로봇(400)에 의해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전용 IP 주소로 접속하여 공급자 단말(400u)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공급자의 승인을 받는 절차를 진행하여 '범용원격플랫폼'에 접속하며,
    범용원격플랫폼 앱을 통해 목적하는 바에 따라 구성된 범용원격플랫폼 서버(300)의 범용원격플랫폼 DB에 등록된 공급자 단말(400u)로 설정된 공급자 ID와 매칭되는 콘텐츠를 선택하여 선택된 콘텐츠에 매칭되는 공급자 서비스를 아바타 로봇(400)에 대한 제어를 통해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바타 로봇을 이용한 비대면 범용원격플랫폼 제공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범용원격플랫폼 서버(300)는,
    서비스 공급자인 공급자 단말(400u)의 네트워크(200)를 통한 요청에 따라 각종 자료를 범용원격플랫폼 DB에 등록하여 사용자 입력장치부(110) 및 사용자 출력장치부(120)로 구성되는 사용자 단말 단위(100)의 사용자 출력장치부(120)에 해당하는 HMD 또는 스마트 폰 각각에 대한 가상현실 또는 증강 현실로 전환 접속을 통해 사용자 출력장치부(120)로 콘텐츠 및 아바타 로봇(400)에 대해 촬영된 영상에 대한 서비스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바타 로봇을 이용한 비대면 범용원격플랫폼 제공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아바타 로봇(400)은,
    장착된 HDMI / DVI 단자를 통하여 별도의 자료를 제공받은 뒤, 네트워크(200)를 통해 범용원격플랫폼 서버(30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 단말 단위(100)의 사용자 출력장치부(120)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바타 로봇을 이용한 비대면 범용원격플랫폼 제공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범용원격플랫폼 서버(300)를 통해 서비스 공급자가 운영하는 공급자 단말(400u)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 단위(100)는,
    접속 도구(스마트폰, 컴퓨터, 햅틱, 조이스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사용자 입력장치부(110) 및 사용자 출력장치부(120)를 통하여 서비스 공급자가 제공하는 자료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다운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바타 로봇을 이용한 비대면 범용원격플랫폼 제공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범용원격플랫폼 서버(300)를 통해 서비스 공급자가 운영하는 공급자 단말(400u)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 단위(100)는,
    범용원격플랫폼 서버(300)의 범용원격플랫폼 DB 상의 본인의 등록 계정으로 공급자 단말(400u)가 제공하는 자료에 대한 전송 요청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바타 로봇을 이용한 비대면 범용원격플랫폼 제공 시스템.
PCT/KR2021/007234 2020-06-10 2021-06-09 아바타 로봇을 이용한 비대면 범용원격플랫폼 제공 시스템 WO2021251761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0286A KR102248081B1 (ko) 2020-06-10 2020-06-10 아바타 로봇을 이용한 비대면 범용원격플랫폼 제공 시스템
KR10-2020-0070286 2020-06-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51761A1 true WO2021251761A1 (ko) 2021-12-16

Family

ID=75914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07234 WO2021251761A1 (ko) 2020-06-10 2021-06-09 아바타 로봇을 이용한 비대면 범용원격플랫폼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48081B1 (ko)
WO (1) WO20212517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8081B1 (ko) * 2020-06-10 2021-05-04 농업회사법인 한국도시농업 주식회사 아바타 로봇을 이용한 비대면 범용원격플랫폼 제공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8244A (ko) * 2008-01-14 2009-07-17 주식회사 유진엠에스 웹 환경에서의 사용자 친화형 로봇 컨텐츠 저작시스템
KR20090125389A (ko) * 2008-06-02 2009-12-07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공용 로봇을 위한 p2p 방식의 로봇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2017169839A (ja) * 2016-03-24 2017-09-2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アバターロボット接続管理システム
US20190163199A1 (en) * 2017-11-30 2019-05-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onomous robotic avatars
KR20190123706A (ko) * 2017-04-25 2019-11-01 김현민 스마트 휴대 기기를 이용한 스마트 기기와 로봇의 개인 맞춤형 서비스 운용 시스템 및 방법
KR102248081B1 (ko) * 2020-06-10 2021-05-04 농업회사법인 한국도시농업 주식회사 아바타 로봇을 이용한 비대면 범용원격플랫폼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8244A (ko) * 2008-01-14 2009-07-17 주식회사 유진엠에스 웹 환경에서의 사용자 친화형 로봇 컨텐츠 저작시스템
KR20090125389A (ko) * 2008-06-02 2009-12-07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공용 로봇을 위한 p2p 방식의 로봇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2017169839A (ja) * 2016-03-24 2017-09-2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アバターロボット接続管理システム
KR20190123706A (ko) * 2017-04-25 2019-11-01 김현민 스마트 휴대 기기를 이용한 스마트 기기와 로봇의 개인 맞춤형 서비스 운용 시스템 및 방법
US20190163199A1 (en) * 2017-11-30 2019-05-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onomous robotic avatars
KR102248081B1 (ko) * 2020-06-10 2021-05-04 농업회사법인 한국도시농업 주식회사 아바타 로봇을 이용한 비대면 범용원격플랫폼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8081B1 (ko) 2021-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105760A1 (en) Contents providing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WO2013042985A2 (ko) 수신 확인을 제공하는 대화형 메시징 서비스 운용 방법
CN103842977A (zh) 信息处理系统、信息处理方法和程序
WO2016108545A1 (ko) 대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대화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WO2011105671A1 (ko) 증강 현실을 이용한 사용자 설명서 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2017090851A1 (ko) 메인기기의 시나리오 기반 컨텐츠와 외부기기의 연동
WO2011162472A1 (ko) 가상 세계 기반에서의 가상 객체 식별 체계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시스템
CN106331569A (zh) 即时视频画面中人物脸部变换方法以及系统
WO2014038790A1 (ko) 채팅서비스와 응용서비스를 연결하는 방법 및 시스템
WO2021251761A1 (ko) 아바타 로봇을 이용한 비대면 범용원격플랫폼 제공 시스템
WO2019221385A1 (ko) 대화용 애플리케이션의 운영 방법
KR102507260B1 (ko) 메타버스 가상공간의 강사 아바타 생성을 위한 서비스 서버 및 그 방법
WO2016182400A1 (ko) 통신정보 표시 및 접속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장치 및 시스템과 그 방법
WO2022211607A1 (ko) 감정상태 분류를 통한 솔루션 제공 방법
WO2022186527A1 (ko) 증강현실 기반 사진 앨범 제공 방법
EP2467820A2 (en) Method of managing contact item information, user device for executing the method, and storage medium thereof
WO2014168407A1 (ko) 이종망 연동 데이터 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
WO2021153942A1 (ko) 폐쇄형 커뮤니티 구성원 추가 방법 및 장치
WO2020231215A1 (ko) 복수의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증강 현실 객체가 포함된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WO2012067307A1 (ko) 적응형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07885809A (zh) 一种文件传输方法、装置、智能平板和存储介质
WO2017014432A1 (ko) 주소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WO2013100549A1 (ko) 네트워크 기반 환경에서 다수의 단말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4106603A1 (ko) 메타버스 통합 인증 방법 및 시스템
WO2021029635A1 (ko) 통합모드 변환이 가능한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82228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16.05.2023)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182228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