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8244A - 웹 환경에서의 사용자 친화형 로봇 컨텐츠 저작시스템 - Google Patents

웹 환경에서의 사용자 친화형 로봇 컨텐츠 저작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8244A
KR20090078244A KR1020080004092A KR20080004092A KR20090078244A KR 20090078244 A KR20090078244 A KR 20090078244A KR 1020080004092 A KR1020080004092 A KR 1020080004092A KR 20080004092 A KR20080004092 A KR 20080004092A KR 20090078244 A KR20090078244 A KR 200900782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bot
content
authoring
user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4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8597B1 (ko
Inventor
정현철
박성주
신경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진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진엠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진엠에스
Priority to KR1020080004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8597B1/ko
Publication of KR20090078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82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8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85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20Design optimisation, verification or sim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웹 환경 내에서 다수의 사용자가 각각 개별적으로 로봇 컨텐츠를 저작 가능하게 하는 로봇 콘텐츠 저작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웹 환경에서 로봇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관리서버에 컨텐츠저작모듈을 구비함으로써 기존에 로봇 개발자나 서비스 제공 업체에 한하여 로봇의 액션 또는 이벤트의 시나리오가 저작되는 제작상 한계를 벗어나 로봇 사용자가 용이하게 접근하여 시나리오를 저작할 수 있게 되어 보다 다양한 로봇의 동작 수행이 가능하며 사용자 각각의 개성에 의한 시나리오 저작이 가능하게 되어 자신의 로봇에 대한 친밀도가 더욱 증대되며 로봇의 활용도 또는 관심도가 보다 향상되는 웹 환경에서의 사용자 친화형 로봇 콘텐츠 저작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웹 환경에서 로봇 컨텐츠를 저작하여 이를 로봇으로 전송, 구동시키는 로봇 컨텐츠 저작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로봇 컨텐츠 저작 시스템은 다수의 로봇 컨텐츠 및 로봇 컨텐츠 저작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제공되는 관리서버와, 상기 관리서버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며 관리서버에서 제공되는 로봇 컨텐츠 및 저작 프로그램을 통해 사용자가 명령 정보를 입력함에 따라 일정 동작을 수행하는 로봇 컨텐츠가 저작되는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저작된 로봇 컨텐츠를 전송받아 이를 수행하는 로봇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관리서버에는 사용자 단말기의 접속시 저작한 로봇 컨텐츠를 전송하여 적용할 대상 로봇을 설정하는 로봇설정모듈과, 로봇 컨텐츠의 저작이 이 루어지는 컨텐츠저작모듈과, 저작된 로봇 컨텐츠를 실행하기 전 가상 구동을 수행하는 시뮬레이터와, 로봇 컨텐츠를 대상 로봇으로 원격 전송하는 전송모듈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시나리오, 로봇 컨텐츠, 컨텐츠 저작, 액션, 이벤트

Description

웹 환경에서의 사용자 친화형 로봇 컨텐츠 저작시스템{Robot content authoring system having user Friendly form in web environments}
본 발명은 웹 환경 내에서 다수의 사용자가 각각 개별적으로 로봇 컨텐츠를 저작 가능하게 하는 로봇 콘텐츠 저작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웹 환경에서 로봇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관리서버에 컨텐츠저작모듈을 구비함으로써 기존에 로봇 개발자나 서비스 제공 업체에 한하여 로봇의 액션 또는 이벤트의 시나리오가 저작되는 제작상 한계를 벗어나 로봇 사용자가 용이하게 접근하여 시나리오를 저작할 수 있게 되어 보다 다양한 로봇의 동작 수행이 가능하며 사용자 각각의 개성에 의한 시나리오 저작이 가능하게 되어 자신의 로봇에 대한 친밀도가 더욱 증대되며 로봇의 활용도 또는 관심도가 보다 향상되는 웹 환경에서의 사용자 친화형 로봇 콘텐츠 저작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재의 로봇제어 방법은 대부분 필요시 마다 개발자가 프로그래밍을 해서 로봇에서 직접 실행을 해보고 결과의 오류를 찾아 몇 차례의 디버깅을 거치는 일련의 과정을 거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과 실제 로봇과의 동작을 연결하여 동기화 시킨 는 것도 비교적 간단치 않은 작업이었다.
이러한 기술적 한계로 인해, 실생활에 유익한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로봇을 상품화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었다.
위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로봇용 컨텐츠를 개발하는 저작툴이 국내특허출원 제 10-2003-67691호에서 개시된 바 있다.
상술한 선행발명은 로봇을 사용한 경험이 없거나, 로봇제어에 대한 지식이 전혀 없는 컨텐츠 개발자가 로봇용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였다는 장점이 있었으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멀티미디어 파일과 실제 액션정보를 전달하는 로봇용 컨텐츠 파일을 별도로 관리해야 했으며, 멀티미디어 파일과 동기화에 제약이 많아 다소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로봇마다 플랫폼과 제어가 필요한 부분이 각기 다른 이유로 특정 로봇의 제어 목적으로 개발된 저작툴과 켄텐츠는 다른 로봇에는 적용하기 어려운 상황이 발생되었다.
이를 개선하고자 국내 등록특허 제 738258호에서는 로봇 개발자의 추가적인 프로그래밍 작업 없이 컨텐츠 개발자가 빠르고 편리하게 로봇용 컨텐츠를 개발할 수 있는 저작환경을 제공하고, 컨텐츠 재생과 시뮬레이션 기능을 지원함으로써 로봇 컨텐츠 제작시의 오류를 최소화 하는 기존 로봇 저작툴의 장점을 살리면서, 컨텐츠 정보를 갖고 있는 파일과, 로봇제어 명령을 갖고 있는 파일로 분리된 제작 및 재생 구조를 한 개의 컨텐츠 파일로 통합하여 동기화 관련 제약을 해소하고, 새로운 로봇을 개발할 때마다 저작툴과 컨텐츠를 재개발해야 하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플랫폼의 로봇 제어를 위한 스크립트 생성기 및 상용화 저작툴의 활용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경우에도 저작툴을 가지는 PC에서 컨텐츠를 저작하여 로봇으로 소켓통신을 통해 전송함에 따라 로봇 개발자 또는 서비스 제공 업체에서 제한적으로 컨텐츠 저작이 이루어져 로봇 컨텐츠 저작의 대중화를 통한 로봇 활용의 범용화를 유도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으며, 일반 로봇 사용자가 웹 환경 내에서 손쉽게 활용 수 있는 저작 시스템의 개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웹 환경에서 로봇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관리서버에 컨텐츠저작모듈을 구비함으로써 기존에 로봇 개발자나 서비스 제공 업체에 한하여 로봇의 액션 또는 이벤트의 시나리오가 저작되는 제작상 한계를 벗어나 로봇 사용자가 용이하게 접근하여 시나리오를 저작할 수 있게 되어 보다 다양한 로봇의 동작 수행이 가능하며 사용자 각각의 개성에 의한 시나리오 저작이 가능하게 되어 자신의 로봇에 대한 친밀도가 더욱 증대되며 로봇의 활용도 또는 관심도가 보다 향상되는 웹 환경에서의 사용자 친화형 로봇 콘텐츠 저작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웹 환경에서 로봇 컨텐츠를 저작하여 이를 로봇으로 전송, 구동시키는 로봇 컨텐츠 저작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로봇 컨텐츠 저작 시스템은 다수의 로봇 컨텐츠 및 로봇 컨텐츠 저작툴이 저장되어 제공되는 관리서버와, 상기 관리서버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며 관리서버에서 제공되는 로봇 컨텐츠 및 저작툴을 통해 사용자가 명령 정보를 입력함에 따라 일정 동작을 수행하는 로봇 컨텐츠가 저작되는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저작된 로봇 컨텐츠를 전송받아 이를 수행하는 로봇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관리서버에는 사용자 단말기의 접속시 저작한 로봇 컨텐츠를 전송하여 적용할 대상 로봇을 설정하는 로봇설정모듈과, 로봇 컨텐츠의 저작이 이루어지는 컨텐츠저작모듈과, 저작된 로봇 컨텐츠를 실행하기 전 가상 구동을 수행하는 시뮬레이터와, 로봇 컨텐츠를 대상 로봇으로 원격 전송하는 전송모듈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컨텐츠저작모듈은 로봇 컨텐츠의 특정 목표 프레임을 선택하는 프레임선택부와, 상기 프레임선택부를 통하여 채택된 프레임 상에서 사용자가 목적하는 로봇의 액션 또는 이벤트를 삽입하기 용이하도록 설정된 로봇의 액션 또는 이벤트를 아이콘 형태로 구성하는 아이콘구성부와, 상기 설정되는 로봇의 액션 또는 이벤트의 아이콘이 목표하는 액션 또는 이벤트를 수행하도록 시나리오 기반의 저작이 이루어지는 시나리오저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컨텐츠저작모듈에는 저작된 시나리오 구성 예제를 제공하되, 상기 구성 예제는 템플릿 형태로 표현되며, 상기 관리서버에는 사용자에 의해 저작된 로봇 콘텐츠가 공유될 수 있도록 이를 저장하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제공하는 공유제공모듈이 더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웹 환경에서 로봇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관리서버에 컨텐츠저작모듈을 구비함으로써 기존에 로봇 개발자나 서비스 제공 업체에 한하여 로봇의 액션 또는 이벤트의 시나리오가 저작되는 제작상 한계를 벗어나 로봇 사용자가 용이하게 접근하여 시나리오를 저작할 수 있게 되어 보다 다양한 로봇의 동작 수행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 각각의 개성에 의한 시나리오 저작이 가능하게 되어 자신의 로봇에 대한 친밀도가 더욱 증대되며 로봇의 활용도 또는 관심도가 보다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각 사용자들이 저작한 로봇 컨텐츠를 공유제공모듈을 통해 공유함으로써 다수에 의한 다양한 로봇 액션 및 이벤트 개발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저작 시스템에 대해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저작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관리서버(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저작 시스템은 크게 다수의 로봇 컨텐츠 및 로봇 컨텐츠 저작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제공되는 관리서버(100)와, 상기 관리서버(100)와 통신망(400)을 통해 연결되며 관리서버(100)에서 제공되는 로봇 컨텐츠 및 저작 프로그램을 통해 사용자가 명령 정보를 입력함에 따라 일정 동작을 수행하는 로봇 컨텐츠가 저작되는 사용자 단말기(200)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에 의해 저작된 로봇 컨텐츠를 전송받아 이를 수행하는 로봇(3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관리서버(100)는 인터넷을 포함한 통신망을 통해 로봇(300) 또는 사용자 단말기(200)와 접속되어 로봇 컨텐츠를 전송하거나 컨텐츠 저작이 이루 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관리서버(100)에서 저작이 이루어지는 것은 제공되어지는 저작툴에 의해 달성되는데, 이러한 저작툴은 사용자 단말기(200)의 접속시 저작한 로봇 컨텐츠를 전송하여 적용할 대상 로봇(300)을 설정하는 로봇설정모듈(110)과, 로봇 컨텐츠의 저작이 이루어지는 컨텐츠저작모듈(120)과, 저작된 로봇 컨텐츠를 실행하기 전 가상 구동을 수행하는 시뮬레이터(130)와, 로봇 컨텐츠를 대상 로봇으로 원격 전송하는 전송모듈(140) 및 사용자에 의해 저작된 로봇 콘텐츠가 공유될 수 있도록 이를 저장하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제공하는 공유제공모듈(15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로봇설정모듈(110)은 로봇 컨텐츠의 저작이 이루어진 다음 저작된 컨텐츠를 전송할 때 전송 대상 로봇을 지정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서 로봇의 모델 명 또는 로봇의 IP 설정 등으로 지정될 수 있다. 여기서 로봇의 모델 명은 로봇에 대한 모델을 XML로 표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컨텐츠저작모듈(120)은 로봇의 액션 또는 이벤트에 관한 구체적인 시나리오 저작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이러한 컨텐츠저작모듈(120)에는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고 편리하게 저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로봇 컨텐츠의 특정 목표 프레임을 선택하는 프레임선택부(121)와, 상기 프레임선택부(121)를 통하여 채택된 프레임 상에서 사용자가 목적하는 로봇의 액션 또는 이벤트를 삽입하기 용이하도록 설정된 로봇의 액션 또는 이벤트를 아이콘 형태로 구성하는 아이콘구성부(122)와, 상기 설정되는 로봇의 액션 또는 이벤트의 아이콘이 목표하는 액션 또는 이벤트를 수행하도록 시나리오 기반의 저작이 이루어지는 시나리오저작부(123)가 제공된다.
상기 프레임선택부(121)에 따라 로봇의 액션 또는 이벤트에 대해 특정 목표 프레임이 우선 선택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일예로 머리, 손, 발 등의 동작 수행 또는 음성 입/출력, 영상 입/출력 등에 대한 대상 프레임이 우선 선택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프레임선택부(121)에 의해 프레임 채택이 완료되면, 아이콘구성부(122)는 사용자가 목적하는 로봇의 액션 또는 이벤트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액션, 이벤트를 아이콘 형태로 제공하는데, 사용자는 이러한 아이콘 형태의 액션 또는 이벤트를 선택하면 되는 것이다.
이러한 액션 또는 이벤트에 관해 사용자가 아이콘을 채택한 다음에는 시나리오저작부(123)에 의해 구체적인 동작 수행에 관한 명령정보를 에디팅하는 시나리오 저작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시나리오 저작은 로봇 액션 또는 이벤트로 표현되는 아이콘의 절차적 연결방식을 저작하는 것으로서 다시 말해 이벤트와 액션의 시나리오 기반 연결방식을 구성하는 것이다.
이때 컨텐츠저작모듈(120)은 사용자가 직접 시나리오를 저작할 수 있지만, 기본적으로 저작된 시나리오 구성 예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템플릿으로 표현됨이 바람직하고 사용자는 이러한 해당 템플릿을 편집함으로써 쉽게 사용자가 원하는 시나리오를 로봇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시뮬레이터(130)는 컨텐츠 저작이 완료된 다음 목적하는 액션 또는 이벤트를 올바르게 수행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시뮬레이터(130)를 통해 웹 환경 내에서 저작 결과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전송모듈(140)은 대상 로봇을 저작된 컨텐츠를 전송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는 인터넷망을 통해 전송됨이 바람직하며, 이외에도 다양한 통신방식을 통해 로봇(300) 간의 통신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여기서 전송모듈(140)의 경우 전술한 로봇설정모듈(110)의 입력정보에 따라 이를 읽어 들여 대상 로봇으로 전송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공유제공모듈(150)은 사용자 각각이 개별적으로 저작한 액션 또는 이벤트 저작 컨텐츠를 공유제공모듈(150)에서 구비되는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이를 요청하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별로 개성이나 아이디어의 다양하게 표현되는 방대한 저작 컨텐츠를 다른 사용자들이 공유하면서 이용가능하게 됨으로써 로봇(300)이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이 보다 광범위하게 됨은 물론이며, 사용자들의 정보 공유에 따른 저작 컨텐츠의 관심도가 증대될 것이다.
이러한 저작 컨텐츠의 공유 기능은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 중에 하나이며, 본 발명이 목적하는 로봇 활용도와 관심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결정적인 역할을 담당할 것이다.
한편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는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통신망을 통해 관리서버(100)로 접속하여 웹 환경 내에서 로봇 컨텐츠 저작이 이루어지도록 사용자 각각이 접속하는 도구로서,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200)에는 일반적인 퍼스널 컴퓨터는 물론이며 관리서버(100)에 의해 제공되는 웹 페이지를 출력가능하고 사용자의 입력정보를 관리서버(100)로 전송가능한 모든 통신기기가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휴대용 이동통신 기기인 휴대폰, PDA, P2P, PMP 등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200)로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로봇(300)은 전술한 사용자에 의한 저작 컨텐츠를 통신망을 통해 전송받아 컨텐츠에서 설정된 명령정보 즉, 액션 또는 이벤트의 시나리오에 따라 동작될 것이다.
물론 상기 로봇(300)에는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통신망에 접속될 수 있도록 통신모듈이 구비됨은 물론이며, 일반적으로 IP를 가지는 무선 랜 모듈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저작툴의 예시화면을 통해 저작되는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저작툴의 예시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관리서버(100)로 접속하여 관리서버(100)에서 제공하는 저작툴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조건을 선택하고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어떠한 동작 수행을 구성할지 설정하도록 컨텐츠 저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조건 및 명령 선택은 아이콘 구성부(122)에 의해 아이콘 형태로 제공되어 사용자가 손쉽게 저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각각의 아이콘은 'and' 또는 'or'과 같은 조건부호에 의해 보다 다양하게 조합될 수 있다.
또한 화면 중앙부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시뮬레이터(130)에 조건 또는 명령 에 대한 아이콘을 마우스로 드래그하여 놓게 되면 설정됨과 동시에 시뮬레이션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조건 및 동작에 대한 컨텐츠가 완성되면 컨텐츠를 저장하여 전송모듈(140)을 통해 로봇(300)에 전송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설정된 조건에 따라 동작수행이 가능하게 된다.
도 4는 관리서버(100)의 공유제공모듈(150)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되는 예시화면을 나타낸 도면으로 사용자가 저작한 컨텐츠를 자유롭게 관리서버(100)에 업로드 또는 다운로드할 수 있게 하여 컨텐츠 저작을 활성화하고 로봇의 활용도를 증대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저작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관리서버에서 제공되는 저작툴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저작툴의 예시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공유제공모듈에 의한 컨텐츠 공유의 예시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관리서버
110 : 로봇설정모듈
120 : 컨텐츠저작모듈
121 : 프레임선택부
122 : 아이콘구성부
123 : 시나리오저작부
130 : 시뮬레이터
140 : 전송모듈
150 : 공유제공모듈
200 : 사용자 단말기
300 : 로봇

Claims (5)

  1. 웹 환경에서 로봇 컨텐츠를 저작하여 이를 로봇으로 전송, 구동시키는 로봇 컨텐츠 저작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로봇 컨텐츠 저작 시스템은
    다수의 로봇 컨텐츠 및 로봇 컨텐츠 저작툴이 저장되어 제공되는 관리서버와,
    상기 관리서버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며 관리서버에서 제공되는 로봇 컨텐츠 및 저작툴을 통해 사용자가 명령 정보를 입력함에 따라 일정 동작을 수행하는 로봇 컨텐츠가 저작되는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저작된 로봇 컨텐츠를 전송받아 이를 수행하는 로봇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환경에서의 사용자 친화형 로봇 컨텐츠 저작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에서 제공되는 저작툴은
    사용자 단말기의 접속시 저작한 로봇 컨텐츠를 전송하여 적용할 대상 로봇을 설정하는 로봇설정모듈과,
    로봇 컨텐츠의 저작이 이루어지는 컨텐츠저작모듈과,
    저작된 로봇 컨텐츠를 실행하기 전 가상 구동을 수행하는 시뮬레이터와,
    로봇 컨텐츠를 대상 로봇으로 원격 전송하는 전송모듈이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환경에서의 사용자 친화형 로봇 컨텐츠 저작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저작모듈은
    로봇 컨텐츠의 특정 목표 프레임을 선택하는 프레임선택부와,
    상기 프레임선택부를 통하여 채택된 프레임 상에서 사용자가 목적하는 로봇의 액션 또는 이벤트를 삽입하기 용이하도록 설정된 로봇의 액션 또는 이벤트를 아이콘 형태로 구성하는 아이콘구성부와,
    상기 설정되는 로봇의 액션 또는 이벤트의 아이콘이 목표하는 액션 또는 이벤트를 수행하도록 시나리오 기반의 저작이 이루어지는 시나리오저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을 하는 웹 환경에서의 사용자 친화형 로봇 컨텐츠 저작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저작모듈에는 저작된 시나리오 구성 예제를 제공하되, 상기 구성 예제는 템플릿 형태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환경에서의 사용자 친화형 로봇 컨텐츠 저작 시스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에는
    사용자에 의해 저작된 로봇 콘텐츠가 공유될 수 있도록 이를 저장하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제공하는 공유제공모듈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환경에서의 사용자 친화형 로봇 컨텐츠 저작 시스템.
KR1020080004092A 2008-01-14 2008-01-14 웹 환경에서의 사용자 친화형 로봇 컨텐츠 저작시스템 KR1009885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4092A KR100988597B1 (ko) 2008-01-14 2008-01-14 웹 환경에서의 사용자 친화형 로봇 컨텐츠 저작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4092A KR100988597B1 (ko) 2008-01-14 2008-01-14 웹 환경에서의 사용자 친화형 로봇 컨텐츠 저작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8244A true KR20090078244A (ko) 2009-07-17
KR100988597B1 KR100988597B1 (ko) 2010-10-18

Family

ID=41336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4092A KR100988597B1 (ko) 2008-01-14 2008-01-14 웹 환경에서의 사용자 친화형 로봇 컨텐츠 저작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859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885B1 (ko) * 2010-01-08 2011-05-25 주식회사 로보로보 로봇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2011142532A3 (ko) * 2010-05-12 2012-02-16 (주) 퓨처로봇 지능형 로봇의 서비스 시나리오 편집기, 그 방법, 지능형 로봇 장치 및 지능형 로봇의 서비스 방법
KR101127469B1 (ko) * 2010-04-02 2012-03-2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네트워크 기반 로봇의 소프트웨어 개발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24505A (ko) * 2014-04-28 2015-11-06 (주) 아이알로봇 온오프라인 다중접속 로봇 전략게임 시스템 및 그 방법
US9636822B2 (en) 2012-07-23 2017-05-02 Future Robot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robot control scenario
WO2021251761A1 (ko) * 2020-06-10 2021-12-16 농업회사법인 한국도시농업(주) 아바타 로봇을 이용한 비대면 범용원격플랫폼 제공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2827B1 (ko) 2012-03-16 2013-12-17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클라우드 플랫폼을 이용하여 로봇 컨텐츠 및 어플리케이션을 개발, 검증 및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418680B1 (ko) * 2013-05-06 2014-07-10 박홍서 로봇 동작용 콘텐츠 저작 툴을 갖는 지능형 단말기 및 이를 통한 로봇 동작용 콘텐츠 생성방법, 이를 이용한 로봇 동작용 콘텐츠 거래 기능의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로봇 게임 방법
KR101692602B1 (ko) 2015-01-13 2017-01-03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클라우드 지식공유 기반 로봇 제어 시스템 및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8258B1 (ko) * 2005-07-04 2007-07-12 주식회사 유진로봇 스크립트 생성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플랫폼의 로봇 제어를 위한 상용화 저작툴의 활용방법
KR20070052641A (ko) * 2005-11-17 2007-05-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로봇 제어를 위한 로봇 서버, 이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885B1 (ko) * 2010-01-08 2011-05-25 주식회사 로보로보 로봇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127469B1 (ko) * 2010-04-02 2012-03-2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네트워크 기반 로봇의 소프트웨어 개발 시스템 및 방법
WO2011142532A3 (ko) * 2010-05-12 2012-02-16 (주) 퓨처로봇 지능형 로봇의 서비스 시나리오 편집기, 그 방법, 지능형 로봇 장치 및 지능형 로봇의 서비스 방법
KR101119030B1 (ko) * 2010-05-12 2012-03-13 (주) 퓨처로봇 지능형 로봇 장치의 서비스 시나리오 편집 방법,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지능형 로봇 장치 및 지능형 로봇의 서비스 방법
US9636822B2 (en) 2012-07-23 2017-05-02 Future Robot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robot control scenario
KR20150124505A (ko) * 2014-04-28 2015-11-06 (주) 아이알로봇 온오프라인 다중접속 로봇 전략게임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21251761A1 (ko) * 2020-06-10 2021-12-16 농업회사법인 한국도시농업(주) 아바타 로봇을 이용한 비대면 범용원격플랫폼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8597B1 (ko) 2010-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8597B1 (ko) 웹 환경에서의 사용자 친화형 로봇 컨텐츠 저작시스템
US10678675B2 (en) Assistive, language-agnostic debugging with multi-collaborator control
CN103336724B (zh) 用于Flash应用程序的具有分布式对象的集成硬件平台的系统和方法
US20170083293A1 (en) System, Method and Platform of Establishing Application Program Having Capability of Dynamically Linking External Dynamic Link Function
Osentoski et al. Robots as web services: Reproducible experimentation and application development using rosjs
JP6045134B2 (ja) アプリケーション性能試験のための並列作業負荷シミュレーション
CN111459539B (zh) 基于镜像分层的持续集成流水线运行方法及装置
CN111862699B (zh) 可视化编辑教学课程的方法和装置、存储介质和电子装置
CN101853157A (zh) 一种应用软件gui对象自动识别方法
CN110379228A (zh) 一种在线编程教学方法和系统
Besari et al. Preliminary design of mobile visual programming apps for Internet of Things applications based on Raspberry Pi 3 platform
Kamaludeen et al. Guideline-based approach for IoT home application development
Piontek et al. Development of science gateways using qcg—lessons learned from the deployment on large scale distributed and hpc infrastructures
Choi et al. Development of robot scenario script language and tool for non-expert
Aslam et al. Cross-platform real-time collaborative modeling: An architecture and a prototype implementation via emf. cloud
CN111880793A (zh) 一种基于二进制文件的hmi组态配置系统和方法
Barve et al. A cloud-based immersive learning environment for distributed systems algorithms
Werner et al. Cloud-based remote virtual prototyping platform for embedded control applications: Cloud-based infrastructure for large-scale embedded hardware-related programming laboratories
Pataky et al. Remote Arduino programming with Blockly web interface
Dev et al. Model-based GUI testing: Case smartphone camera and messaging development
Lin et al. Simple run-time infrastructure (SRTI): An accessible distributed computing platform for interdisciplinary simulation
Al-Dahoud et al. User Interface Development Tools and Software for Arduino “A Comparative Study”
Marasco Approaching the norns shield as a laptop alternative for democratizing music technology ensembles
CN106663007A (zh) 使工具运作于作业环境的方法以及应用该方法的机器
JP2018514827A (ja) インタラクティブな操作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送信機、受信機及びインタラクティブな操作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