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022320A1 - 손목 운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지 및 하지용 재활 운동 장치 - Google Patents

손목 운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지 및 하지용 재활 운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022320A1
WO2023022320A1 PCT/KR2022/004446 KR2022004446W WO2023022320A1 WO 2023022320 A1 WO2023022320 A1 WO 2023022320A1 KR 2022004446 W KR2022004446 W KR 2022004446W WO 2023022320 A1 WO2023022320 A1 WO 202302232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rotation
pair
exercise device
main bod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0444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최병걸
안정근
Original Assignee
에이치로보틱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로보틱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로보틱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2302232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02232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74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upper limbs
    • A61H1/0285Ha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201/1215Rotary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35Hand or arm, e.g.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Feet or leg, e.g. ped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57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 A61H2201/1671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rotation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6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6Arms
    • A61H2205/065Ha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 A61H2205/106Leg for the lower leg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rist exercise device and a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for the upper and lower limbs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rist exercise device capable of treating and preventing tunnel syndrome occurring in the wrist, and upper and lower limbs using the same. It relates to a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for use.
  • smart devices which are mobile devices equipped with computing functions such as smart phones and tablet PCs
  • smart phones show a good side in that they can use various services by access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s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but excessive use can cause side effects in daily life such as mental and physical health, academic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
  • Carpal Tunnel Syndrome also called carpal tunnel syndrome
  • Carpal Tunnel Syndrome is a disease in which the median nerve passing through the carpal tunnel, a narrow passage formed by the bones and ligaments that make up the wrist, is narrowed, causing pain. am.
  • Another method for treating carpal tunnel syndrome is a traction method in which the pressure in the carpal tunnel of the wrist is reduced by using a wrist retractor as a traction method such as spinal disc treatment.
  • traction has a retractor using external power such as a retractor and an electric motor that hauls a wrist by using a hand glove with the user's own power.
  •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5-0087764 discloses a main body constituting an external shape, a hand fixing unit for restraining the wrist in one part of the main body, a traction unit installed in one part of the main body and pulling the hand fixing unit, and moving the traction unit.
  • a power supply unit to do a detection unit that measures the muscle strength of the wrist by pulling the hand fixing unit in a state where the wrist is restrained by the hand and the wrist is restrained, and a detection unit that generates information, and receives the information generated from the detection unit and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 a wrist treatment device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ower supply unit to control the tension and operation time of the traction unit.
  • the wrist treatment device disclosed in the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has disadvantages in that it requires high manufacturing cost and is too large to be used for wrist exercise, making it difficult to use at home.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view of the above point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rist exercise device that is inexpensive and does not take up a lot of space, and can be easily used at home.
  • a wrist exercise device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other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s, such as upper and lower extremity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s, and uses the power source of the other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s together to extend the range of use of other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s while enabling wrist exercise. And to provide a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for upper and lower limbs using the same.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rist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a main body on which a hand is seated; A pair of rotation brackets, one side of which is rotatably coupled to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and the other side of the pair of rotation brackets are interconnected and a connection bracket on which the end of the hand is seated when the hand is seated on the main body a rotation unit having; a pair of hinges provid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a drive module detachably mounted on one side of the pair of hinges to provide rotational force;
  • a wrist exercise device comprising a rotation transmission unit that converts rotation of the driving module in one direction into reciprocating rotation within a predetermined angular range of the rotation unit.
  • the rotation transfer unit includes a rotation shaft member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driving module and rotating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driving module, and a guide formed radially outside the rotation shaft of the rotation shaft member and protruding from the plate surface of the rotation shaft member.
  • a projection and a guide link one side of which is rotatably coupled to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and the other side of which is slidably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rotation bracket along the rotation bracket;
  • An arc-shaped guide groove reciprocating with the guide protrusion inserted therein may be formed in the guide link so that rotation of the driving module in one direction is converted into reciprocating rotation within the angular range of the rotation unit.
  • the rotation transmission unit is form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corresponding to the pair of hinge parts; Any one of the rotational shaft members of the pair of rotation transmission units may be connected to the rotational shaft of the driving module to rotate when the driving module is mounted on any one of the pair of hinge parts.
  • the rotation shaft of one side of the guide link is formed in the main body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rotation shaft of the rotation bracke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orward;
  • the guide link is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arc shape of the guide groove, and the other side may be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rotation bracket.
  • a sliding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rotating bracket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guide link;
  • a sliding groove may b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rotating bracket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to which the sliding protrusion is reciprocally movable.
  • the main body includes a base plate and a pair of side plates each extending upward from both sides of the base plate; Each of the pair of hinge parts is installed on the side plate; The pair of rotation brackets and the pair of guide links may be rotatably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the side surface.
  • the main body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ase plate so as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base plate, and a bar insertion portion into which a pair of external connection bars are respectively inserted, and each of the bar insertion portions inserted into each of the bar insertion portions.
  • a fixing unit for fixing the connecting bar A pair of the connecting bars are fixed by the fixing unit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each of the bar inserts, so that the main body can be mounted on the connecting bars.
  • the bar insertion part may be located on a lower side than the lower plate surface of the base plate.
  • a first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hand or foot a second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forearm of the upper limb or the lower leg of the lower limb,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 a pair of first hinge parts rotatably coupled a third support part supporting the upper arm of the upper limb or the thigh of the lower limb, and a pair of second hinges rotatably coupling the second support part and the third support part
  • a rehabilitation exercise unit having a unit; a cradle on which the rehabilitation exercise unit is mounted; a wrist exercise device detachably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rehabilitation exercise unit; and a driving module selectively mounted on one of the pair of first hinge parts and the pair of second hinge parts to pivot the first support part or the second support part
  • the wrist exercise device includes a hand The main body to be seated, a pair of rotation brackets, one side of which is rotatably coupled to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and the other side
  • the main body includes a base plate and a pair of side plates extending upward from both sides of the base plate; Each of the pair of hinge parts is installed on the side plate; The pair of rotation brackets and the pair of guide links may be rotatably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the side surface, respectively.
  • the rehabilitation exercise unit includes a pair of connecting bars extending toward the front;
  • the main body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ase plate so as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base plate, and when the wrist exercise device is mounted in front of the rehabilitation exercise unit, a bar insertion portion into which a pair of connecting bars are inserted, respectively;
  • a fixing unit for fixing each of the connecting bars inserted into each of the bar inserts;
  • the pair of connection bars may be fixed by the fixing unit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each of the bar insertion parts, so that the wrist exercise device may be mounted on the rehabilitation exercise unit.
  • the bar insertion part may be located on a lower side than the lower plate surface of the base plate.
  • the rotation transmission unit is form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corresponding to the pair of hinge parts; Any one of the rotational shaft members of the pair of rotation transmission units may be connected to the rotational shaft of the driving module to rotate when the driving module is mounted on any one of the pair of hinge parts.
  • the rotation transfer unit includes a rotation shaft member that is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driving module and rotate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driving module, and a guide formed radially outside the rotation shaft of the rotation shaft member and protruding from the plate surface of the rotation shaft member.
  • a projection and a guide link one side of which is rotatably coupled to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and the other side of which is slidably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each of the rotation brackets along the rotation bracket;
  • An arc-shaped guide groove reciprocating with the guide protrusion inserted therein may be formed in the guide link so that rotation of the driving module in one direction is converted into reciprocating rotation within the angular range of the rotation unit.
  • the rotation shaft of one side of the guide link is formed in the main body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rotation shaft of the rotation bracke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orward;
  • the guide link is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arc shape of the guide groove, and the other side may be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rotation bracket.
  • a sliding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rotating bracket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guide link;
  • a sliding groove may b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rotating bracket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to which the sliding protrusion is reciprocally movable.
  • a wrist exercise device that is inexpensive and does not take up a lot of space and can be easily used at home is provided.
  • a wrist exercise device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other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s, such as upper and lower extremity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s, and uses the power source of the other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s together to extend the range of use of other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s while enabling wrist exercise. and upper and lower extremity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s using the same are provided.
  • 1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wrist stretching exercise
  • FIGS. 2 and 3 are perspective views of a wrist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4 and 5 are diagrams showing examples of wrist exercises using the wrist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2;
  •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3;
  • 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of use of a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for upper and lower limbs to which a wrist exercise device is detachably coup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9 and 10 are perspective views of upper and lower extremity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upper limbs are rehabilitated using a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lower limbs are rehabilitated using a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is a body on which the hand is seated; A pair of rotation brackets, one side of which is rotatably coupled to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and the other side of the pair of rotation brackets are interconnected and a connection bracket on which the end of the hand is seated when the hand is seated on the main body a rotation unit having; a pair of hinges provid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a drive module detachably mounted on one side of the pair of hinges to provide rotational force; It relates to a wrist exercise device comprising a rotation transmission unit that converts rotation of the driving module in one direction into reciprocating rotation within a predetermined angular range of the rotation unit.
  • FIGS. 2 and 3 are perspective views of a wrist exercis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wrist exercis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10, a rotating unit 120, a pair of hinge parts 130, and a driving module 140. , and a rotation transmission unit 150 .
  • the body 110 is seated on the user's hand exercising.
  • it is used for wrist stretching as shown in FIG. 1, and the user's palm is seated facing the main body 110 as an example.
  • the main body 110 includes a base plate 111 and a pair of side plates 112 as an example.
  • a pair of side plates 112 extend upward from both sides of the base plate 111, so that the main body 110 has a 'c' shape in which the front, rear and upper sides are open.
  • the user's hand enters between the side plates 112 on both sides of the base plate 111 and the palm. It can be a mutually facing form.
  • the rotation unit 120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main body 110 .
  •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tation unit 120 is folde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10, for example
  • FIG.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tation unit 120 is standing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10, for example.
  • the rotation unit 120 rotates while the user's fingertip area is in contact with the rotation unit 120. By rotating, the wrist movement as shown in FIG. 1 is possible.
  • the rotation unit 120 includes a pair of rotation brackets 121 and a connection bracket 122 .
  • each rotation bracket 121 is rotatably coupled to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110 .
  • a pair of rotation brackets 121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side plates 112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10, respectively.
  • connection bracket 122 interconnects the other side of the pair of rotation brackets 121, and when the user's hand is seated on the main body 110, the end of the hand, that is, the end region of the finger can be seated.
  • the connection bracket 122 is a plate facing the direction of the palm so that the end of the hand can be stably supported and pushed up when the wrist movement as shown in FIGS. 4 and 5 is performed in a state where the end of the hand is seated. For example, having a shape.
  • each hinge portion 130 is installed on the side plate 112 as an example.
  • the driving module 140 may be detachably mounted on one side of the pair of hinge parts 130 .
  • the drive module 1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a form compatible with the drive module 140 of the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300 for upper and lower limbs to be described later, Manufacturing cost can be minimized by selectively using the upper or lower limb rehabilitation exercise using the lower extremity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300 and the wrist exercis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wrist exercise.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mpatible use of the driving module 140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rotation transmission unit 150 converts rotation of the driving module 140 in one direction into reciprocating rotation of the rotation unit 120 within a preset angular range. That is, when the drive module 140 rotates in one direction, the drive module of the rotation transmission unit 150 rotates the rotation unit 120 reciprocally within the range of the angle shown in FIG. 2 and the angle shown in FIG. The rotational force in one direction of 140 is converted.
  •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transmission unit 150 in one direction is converted into a reciprocating rotation within an angular range without rotating the rotation of the driving module 140 in the normal and reverse direction at a certain angle, thereby converting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transmission unit 150 into a reciprocating rotation within an angular range. ),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reduce manufacturing costs by not adding a separate hardware and/or software configuration for control.
  •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2
  •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 the rotation transfer unit 15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ymmetrically provided as a pair corresponding to the pair of hinge parts 130 and the pair of rotation brackets 121 as an example.
  • FIGS. 6 and 7 the configuration of the rotation transfer unit 150 on one sid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And, in the case of the cross section shown in FIG. 7, the drawing is schematically shown.
  • the rotation transfer member includes a rotation shaft member 151, a guide protrusion 151a, and a guide link 152 as an example.
  • the rotating shaft member 15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141 of the driving module 140 and rotate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driving module 140 .
  • the drive module 140 is inserted into the module receiving space 131 formed in the hinge portion 130, as shown in FIGS. 130) may be expos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hinge portion 130 through the shaft through-hole 132 formed inside.
  • the rotational shaft 141 of the driving module 140 is inserted into the shaft coupling hole 151b of the rotational shaft member 151 and then is axially coupled to the rotational shaft member 151 to rotate the driving module 140. Accordingly, the rotating shaft member 151 can rotate together.
  • the cross section of the rotation shaft 141 of the drive module 140 has a polygonal shape,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shaft coupling hole 151b of the rotation shaft member 151 also has a corresponding shape, so that the rotation shaft of the drive module 140 ( 141) and the rotating shaft member 151 are stably coupled, and at the same time, rotation of the rotating shaft member 151 is possible in synchroniza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driving module 140.
  • the fixing between the rotating shaft 141 of the driving module 140 and the rotating shaft member 151 may be stably fixed by tightening bolts or the like.
  • this coupling method even when the driving module 140 is mounted on either side of the pair of hinge parts 130, it is possible to transmit rotational force, and the user mounts the driving module 140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left or right hand. The position can be changed, enabling more convenient use.
  • the guide protrusion (151a) is formed radially outward from the axis of rotation of the rotation shaft member (151). That is, it protrudes from the plate surface of the rotation shaft member 151 at a position eccentric from the rotation axis of the driving module 140 and the rotation shaft member 151 radially outward.
  • one side of the guide link 152 is rotatably coupled to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110, and the other side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rotation bracket 121 to be slidably movable along the rotation bracket 121.
  • the guide link 152 has an arc-shaped guide groove 152a that reciprocates while the guide protrusion 151a is inserted.
  • the rotation transmission unit 150 is form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corresponding to the pair of hinge parts 130, and the side of the hinge part 130 to which the driving module 140 is mounted is )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141 of the driving module 140 to rotate. At this time, when the opposite side is the rotation transfer unit 150, it rotates in synchroniza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unit 120, so that both sides can rotate with the same mechanism.
  • a sliding protrusion 152b protruding toward the rotation bracket 121 may b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guide link 152 .
  • a sliding groove 121a may b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rotation bracket 121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 the rotation axis A2 of one side of the guide link 152 is formed on the main body 110, that is, the side wall,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rotation axis A1 of the rotation bracket 12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orward.
  • the main body 110 that is, the side wall
  • the shape of the guide link 152 is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arc shape of the guide groove 152a, so that the other side can be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rotation bracket 121.
  • the other side of the guide link 152 is slidably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rotation bracket 121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tion bracket 121 .
  • the main body 110 may further include a bar insert 161 and a fixing unit 162 .
  • the bar insertion part 161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ase plate 111 so as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base plate 111, and a pair of external connection bars 340 are respectively inserted. It can be.
  • the external connection bar 340 is a structure for fixing the wrist exercise device 100 so that the wrist exercise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unted and used. It may be the connection bar 340 of the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300 .
  • the connecting bar 340 of the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300 for upper and lower limbs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fixing unit 162 fixes each connection bar 340 inserted into each bar insertion part 161 .
  • the pair of connection bars 340 are fixed by the fixing unit 162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bar insertion part 161, so that the main body 110 can be mounted on the connection bar 340.
  • the fixing unit 162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lever, and when rotated in one direction, the fixing unit 162 presses the connection bar 340 to fix it.
  • the bar insertion part 161 is configured to be positioned lower than the lower plate surface of the base plate 111 of the main body 110, so that the connection bar 340 is installed in a state that is not affected by the structure of the external device installed. can make it possible.
  • FIGS. 8 to 12 a configuration of a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300 for upper and lower extremities to which the wrist exercis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2 .
  • the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300 for upper and lower limbs includes a rehabilitation exercise unit 3, a holder 5, a wrist exercise device 100, and a driving module 140.
  • a rehabilitation exercise unit 3 a rehabilitation exercise unit 3
  • a holder 5 a wrist exercise device 100
  • a driving module 140 a driving module 140
  • the wrist exercise device 10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ront of the rehabilitation exercise unit 3 . Through this, not only upper limb or lower extremity rehabilitation exercise using the rehabilitation exercise unit 3 is possible, but also wrist exercise is possible by attaching the wrist exercise device 100 to the front of the rehabilitation exercise unit 3 as needed.
  • the drive module 140 is provided to be selectively mountable to the rehabilitation exercise unit 3 or the wrist exercise device 100, so that the rehabilitation exercise unit 3 and the wrist exercise device use one drive module 140. By operating 100, manufacturing costs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 the rehabilitation exercise unit 3 includes a first support part 310, a second support part 320, a third support part 330, and a pair of first hinge parts 311 and 312. ) and a pair of first hinge parts 331 and 332.
  • the first support part 310 supports the user's hand or foot
  • the second support part 320 supports the user's upper extremity or lower leg
  • the third support part 330 supports the upper arm of the user's upper extremity or the thigh of the lower extremity.
  • the pair of first hinge parts 311 and 312 rotatably connect the first support part 310 and the second support part 320, and the pair of first hinge parts 331 and 332 connect the second support part 320 And the third support portion 330 is rotatably connected.
  • the driving module 14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any one side of the pair of first hinge parts 311 and 312 or to any one side of the pair of first hinge parts 331 and 332 .
  • the first support part 310 drives the driving module ( 140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support part 320 according to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Therefore, in a state where the user's arm is seated, it is possible to assist with rehabilitation exercise in which the user's wrist is bent and extended inward. At this time,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first support part 310 i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wrist movement direction shown in FIG. 1, that is, as shown in FIG. 11, the user holds his/her hand so that the palm faces upward. will settle
  • the second support part 320 is the third support part 330 rotate about Through this, as shown in FIG. 11, it is possible to assist in rehabilitation exercises that move the user's elbow joint.
  • the rehabilitation exercise unit 3 is prepared to adjust the length of the user's ar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rough which,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the length of the user's arm or leg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length to a suitable length for the user.
  • the length of the rehabilitation exercise unit 3 is minimized so that the arm is seated while the wrist exercise device 100 is mounted. If it is, it becomes possible to adjust so that the hand can be positioned as shown in FIGS. 3 and 4 .
  • the rehabilitation exercise unit 3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bar 340 that operates as a guide for adjusting the length, and as described above, the wrist exercise device 100 is mounted on the connection bar 340.
  • a connection bar 340 that operates as a guide for adjusting the length
  • the rehabilitation exercise unit 3 is mounted on the cradle 5 , and the angle can be adjusted as an example.
  • the upper limbs can be exercised
  • the lower limbs can be exercised.
  • the holder 5 includes a base plate 510 and a mounting plate 520 .
  • the base plate 510 places the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300 for upper and lower limb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floor or the like.
  • the mounting plate 520 may be seated on the base plate 510 in a state where the rehabilitation exercise unit 3 is mounted, or a standing angle with respect to the base plate 510 may be adjusted.
  • the structure for adjusting the standing angle of the mounting plate 520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and as an example, as shown in FIGS. 9 and 10, one side of the mounting plate 520 extends the base plate 510. It slides along, and a link structure may be provided in a form to support the mounting plate 520 when it is erected.
  • rehabilitation exercises for upper and lower extremities and wrist exercises are possible using one drive module 140, and thus the implementation of the wrist exercise device 100 at a lower price is possible.
  • connection bar 340 structure existing in the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300 for upper and lower limbs, or for upper and lower limbs The implementation of the wrist exercise device 100 is possible only by adding the connection bar 340 structure to the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300 .
  •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fields such as rehabilitation exerci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목 운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상지 및 하지용 재활 운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손목 운동 장치 는 손이 안착되는 본체와; 일측이 각각 상기 본체의 후방 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회전 브래킷과, 한 쌍의 상 기 회전 브래킷의 타측을 상호 연결하고 상기 본체에 손이 안착될 때 손의 말단이 안착되는 연결 브래킷을 갖는 회전 유닛 과; 상기 본체의 양측에 대칭적으로 마련되는 한 쌍의 힌지부와; 한 쌍의 상기 힌지부 중 어느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 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듈과; 상기 구동 모듈의 일 방향으로 회전을 상기 회전 유닛의 기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왕복 회전으로 전환하는 회전 전달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비용이 저 렴하면서도 많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아, 가 정에서도 손쉽 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손목 운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지 및 하지용 재활 운동 장치
본 발명은 손목 운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지 및 하지용 재활 운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손목에서 발생하는 터널 증후군(Tunnel syndrome)을 치료 및 예방할 수 있는 손목 운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지 및 하지용 재활운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물 인터넷 시대로 접어들면서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의 컴퓨팅 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기기인 스마트기기의 사용은 점차 그 영역을 확대해 나가고 있는 추세이다. 이 중 스마트 폰은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정보 통신망에 접속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좋은 면을 보이고 있지만 과도한 사용은 정신과 신체 건강, 학업, 대인관계 등 일상생활에 부작용을 가져올 수 있다.
최근에는 장시간 컴퓨터나 스마트 폰을 사용하는 사람들에게서 손목 터널 증후군(Tunnel syndrome)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 손목 터널 증후군은 수근관 증후군이라고도 불리며 손목을 구성하고 있는 뼈와 인대 등으로 형성된 좁은 통로인 수근관(Carpal tunnel)이라는 부분이 좁아지면서 그곳을 지나는 정중 신경(Median nerve)이 눌리게 되어 통증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이와 같은 손목 터널 증후군을 치료하는 방법으로는 1차적으로 손목 보조기를 사용하거나 2차적으로 스테로이드를 주사하여 통증을 줄여 주는 방법의 처치가 있으며, 최종적으로는 손목의 수근관을 넓혀주는 수술을 시술하는 것이다. 수근관을 넓혀주는 시술은 높은 수술 비용과 수술 후 회복 기간이 길다는 단점이 있다.
손목 터널증후군의 치료하기 위한 또 다른 방법으로는 척추 디스크 치료와 같은 견인 방법으로 손목 견인기를 사용하여 손목의 수근관의 압력을 낮추는 견인방법이 있다. 이와 같은 견인은 사용자 본인의 힘으로 손 글러브를 이용하여 팔목을 견인하는 견인기 및 전기 모터와 같이 외부 동력을 이용한 견인기가 있다.
일 예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87764호에서는 외형을 이루는 본체, 본체의 한 부분에 손목을 구속하는 손고정부, 본체의 한 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손고정부를 잡아당기는 견인부, 견인부를 이동시키는 동력공급부, 손고종부에 손목이 구속된 상태에서 견인부가 손고정부를 잡아당김으로써 손목의 근력을 측정하여 정보를 생성하는 검출부, 그리고, 검출부로부터 생성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기준으로 동력공급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견인부의 장력 및 동작시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손목 치료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한국공개특허공보에 개시된 손목 치료 장치는 높은 제조비용이 소요되고, 그 사이즈도 손목 운동에 사용하기에는 커서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기는 어려운 단점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목 터널증후군의 예방이나 치료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목 스트레칭을 통해서도 가정에서 쉽게 할 수 있으나, 이를 위해 큰 비용과 공간을 소비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비용이 저렴하면서도 많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아, 가정에서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손목 운동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지 및 하지용 재활 운동 장치와 같이 다른 재활 운동 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다른 재활 운동 장치의 동력원을 함께 사용하여, 다른 재활 운동 장치의 활용 범위를 확장하면서도 손목 운동이 가능한 손목 운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지 및 하지용 재활 운동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손목 운동 장치에 있어서, 손이 안착되는 본체와; 일측이 각각 상기 본체의 후방 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회전 브래킷과, 한 쌍의 상기 회전 브래킷의 타측을 상호 연결하고 상기 본체에 손이 안착될 때 손의 말단이 안착되는 연결 브래킷을 갖는 회전 유닛과; 상기 본체의 양측에 대칭적으로 마련되는 한 쌍의 힌지부와; 한 쌍의 상기 힌지부 중 어느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듈과; 상기 구동 모듈의 일 방향으로 회전을 상기 회전 유닛의 기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왕복 회전으로 전환하는 회전 전달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운동 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 전달 유닛은 상기 구동 모듈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 모듈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축 부재와, 상기 회전축 부재의 회전축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에 형성되되, 상기 회전축 부재의 판면으로부터 돌출된 가이드 돌기와, 일측이 상기 본체의 후방 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회전 브래킷의 타측에 상기 회전 브래킷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링크에는 상기 구동 모듈의 일 방향으로 회전이 상기 회전 유닛의 상기 각도 범위 내에서 왕복 회전으로 전환되도록 상기 가이드 돌기가 삽입된 상태로 왕복 이동하는 호 형상의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전달 유닛은 한 쌍의 상기 힌지부에 대응하여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되며; 한 쌍의 상기 회전 전달 유닛의 상기 회전축 부재 중 어느 하나가 상기 구동 모듈이 한 쌍의 상기 힌지부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될 때 상기 구동 모듈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링크의 일측의 회전축은 상기 회전 브래킷의 회전축보다 전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기 본체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링크는 상기 가이드 홈의 호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타측이 상기 회전 브래킷의 타측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링크의 타측에는 상기 회전 브래킷을 향해 돌출된 슬라이딩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 브래킷의 타측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돌기가 왕복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딩 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는 베이스 판과, 상기 베이스 판의 양측에서 각각 상향 연장된 한 쌍의 측판을 포함하며; 한 쌍의 상기 힌지부는 각각 상기 측판에 설치되고; 한 쌍의 상기 회전 브래킷 및 한 쌍의 상기 가이드 링크는 상기 측면의 내측벽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잇다.
그리고, 상기 본체는 상기 베이스 판의 하부로 돌출되게 상기 베이스 판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고, 외부의 한 쌍의 연결바가 각각 삽입되는 바 삽입부와, 각각의 상기 바 삽입부에 삽입된 각각의 상기 연결바를 고정시키는 고정 유닛을 더 포함하며; 한 쌍의 상기 연결바가 각각의 상기 바 삽입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고정 유닛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본체가 상기 연결바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 삽입부는 상기 베이스 판의 하부 판면보다 하부 측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라, 손 또는 발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와, 상지의 전완 또는 하지의 하퇴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와,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한 쌍의 제1 힌지부와, 상지의 상완 또는 하지의 대퇴를 지지하는 제3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와 상기 제3 지지부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한 쌍의 제2 힌지부를 갖는 재활 운동 유닛과; 상기 재활 운동 유닛이 거치되는 거치대와; 상기 재활 운동 유닛의 전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목 운동 장치와; 한 쌍의 상기 제1 힌지부와 한 쌍의 상기 제2 힌지부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장착되어, 상기 제1 지지부 또는 상기 제2 지지부를 선회시키는 구동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손목 운동 장치는 손이 안착되는 본체와, 일측이 각각 상기 본체의 후방 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회전 브래킷과, 한 쌍의 상기 회전 브래킷의 타측을 상호 연결하고 상기 본체에 손이 안착될 때 손의 말단이 안착되는 연결 브래킷을 갖는 회전 유닛과, 상기 본체의 양측에 대칭적으로 마련되고, 상기 구동 모듈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력을 제공받는 한 쌍의 힌지부와, 상기 구동 모듈의 일 방향으로 회전을 상기 회전 유닛의 기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왕복 회전으로 전환하는 회전 전달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및 하지용 재활 운동 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는 베이스 판과, 상기 베이스 판의 양측에서 각각 상향 연장된 한 쌍의 측판을 포함하며; 한 쌍의 상기 힌지부는 각각 상기 측판에 설치되고; 한 쌍의 상기 회전 브래킷 및 한 쌍의 상기 가이드 링크는 각각 상기 측면의 내측벽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활 운동 유닛은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한 쌍의 연결바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베이스 판의 하부로 돌출되게 상기 베이스 판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손목 운동 장치가 상기 재활 운동 유닛의 전방에서 장착될 때, 한 쌍의 연결바가 각각 삽입되는 바 삽입부와, 각각의 상기 바 삽입부에 삽입된 각각의 상기 연결바를 고정시키는 고정 유닛을 더 포함하며; 한 쌍의 상기 연결바가 각각의 상기 바 삽입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고정 유닛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손목 운동 장치가 상기 재활 운동 유닛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 삽입부는 상기 베이스 판의 하부 판면보다 하부 측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 전달 유닛은 한 쌍의 상기 힌지부에 대응하여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되며; 한 쌍의 상기 회전 전달 유닛의 상기 회전축 부재 중 어느 하나가 상기 구동 모듈이 한 쌍의 상기 힌지부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될 때 상기 구동 모듈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 전달 유닛은 상기 구동 모듈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 모듈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축 부재와, 상기 회전축 부재의 회전축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에 형성되되, 상기 회전축 부재의 판면으로부터 돌출된 가이드 돌기와, 일측이 상기 본체의 후방 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각각의 상기 회전 브래킷의 타측에 상기 회전 브래킷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링크에는 상기 구동 모듈의 일 방향으로 회전이 상기 회전 유닛의 상기 각도 범위 내에서 왕복 회전으로 전환되도록 상기 가이드 돌기가 삽입된 상태로 왕복 이동하는 호 형상의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링크의 일측의 회전축은 상기 회전 브래킷의 회전축보다 전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기 본체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링크는 상기 가이드 홈의 호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타측이 상기 회전 브래킷의 타측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링크의 타측에는 상기 회전 브래킷을 향해 돌출된 슬라이딩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 브래킷의 타측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돌기가 왕복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딩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용이 저렴하면서도 많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아, 가정에서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손목 운동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지 및 하지용 재활 운동 장치와 같이 다른 재활 운동 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다른 재활 운동 장치의 동력원을 함께 사용하여, 다른 재활 운동 장치의 활용 범위를 확장하면서도 손목 운동이 가능한 손목 운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지 및 하지용 재활 운동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손목 스트레칭 운동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목 운동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목 운동 장치를 이용한 손목 운동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2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3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목 운동 장치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지 및 하지용 재활 운동 장치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지 및 하지용 재활 운동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 운동 장치를 이용하여 상지를 재활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 운동 장치를 이용하여 하지를 재활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손이 안착되는 본체와; 일측이 각각 상기 본체의 후방 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회전 브래킷과, 한 쌍의 상기 회전 브래킷의 타측을 상호 연결하고 상기 본체에 손이 안착될 때 손의 말단이 안착되는 연결 브래킷을 갖는 회전 유닛과; 상기 본체의 양측에 대칭적으로 마련되는 한 쌍의 힌지부와; 한 쌍의 상기 힌지부 중 어느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듈과; 상기 구동 모듈의 일 방향으로 회전을 상기 회전 유닛의 기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왕복 회전으로 전환하는 회전 전달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운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목 운동 장치(100)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목 운동 장치(100)는 본체(110), 회전 유닛(120), 한 쌍의 힌지부(130), 구동 모듈(140), 그리고 회전 전달 유닛(15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110)에는 운동하는 사용자의 손이 안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손목 스트레칭에 사용되는 것을 예로 하는 바, 사용자의 손바닥이 본체(110)를 향하도록 안착되는 것을 예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본체(110)가 베이스 판(111)과, 한 쌍의 측판(112)을 포함하는 것을 예로 한다. 여기서, 한 쌍의 측판(112)이 베이스 판(111)의 양측에서 각각 상향 연장되어, 본체(110)가 전방과 후방, 그리고 상방이 개방된 'ㄷ'자 형태를 갖는 것을 예로 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손목 운동을 위해 자신의 손바닥을 본체(110)에 안착시키게 되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의 측판(112) 사이로 손이 들어가 베이스 판(111)과 손바닥이 상호 마주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 유닛(120)은 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2는 회전 유닛(120)이 본체(110)에 대해, 예컨대 접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회전 유닛(120)에 본체(110)에 대해, 예컨대 기립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사용자의 손이, 손바닥이 본체(110)를 향하도록 안착되는 경우, 사용자의 손가락 끝단 영역이 회전 유닛(120)에 접한 상태에서 회전 유닛(120)이 회전하게 되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손목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 유닛(120)은 한 쌍의 회전 브래킷(121)과, 연결 브래킷(122)을 포함하는 것을 예로 한다.
각각의 회전 브래킷(121)은 일측이 본체(110)의 후방 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회전 브래킷(121)이 본체(110)의 양측 측판(112)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예로 한다.
그리고, 연결 브래킷(122)은 한 쌍의 회전 브래킷(121)의 타측을 상호 연결하는데, 본체(110)에 사용자의 손이 안착될 때, 손의 말단, 즉 손가락의 끝단 영역이 안착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 브래킷(122)은 손의 말단이 안착된 상태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손목 운동이 진행될 때, 손의 말단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밀어올릴 수 있도록 손바닥 방향과 마주하는 판 형상을 갖는 것을 예로 한다.
한편, 한 쌍의 힌지부(130)는 본체(110)의 양측에 대칭적으로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는 각각의 힌지부(130)가 측판(112)에 설치되는 것을 예로 한다.
그리고, 구동 모듈(140)은 한 쌍의 힌지부(130) 중 어느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 모듈(140)은 후술할 상지 및 하지용 재활 운동 장치(300)의 구동 모듈(140)과 호환되는 형태로 마련되어, 하나의 구동 모듈(140)을 이용하여 상지 및 하지용 재활 운동 장치(300)를 이용한 상지 또는 하지의 재활 운동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목 운동 장치(100)의 손목 운동에 선택적으로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제조 비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구동 모듈(140)의 호환 사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 전달 유닛(150)은 구동 모듈(140)의 일 방향으로의 회전을 회전 유닛(120)의 기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의 왕복 회전으로 전환한다. 즉, 구동 모듈(140)이 일 방향으로 회전할 때, 회전 유닛(120)이, 도 2에 도시된 각도와 도 3에 도시된 각도 범위 내에서 왕복 회전하도록 회전 전달 유닛(150)의 구동 모듈(140)의 일 방향으로의 회전력을 전환하게 된다.
이를 통해, 구동 모듈(140)의 회전을 일정 각도로 정역 방향으로 회전시키지 않고도, 회전 전달 유닛(150)의 일 방향으로의 회전을 각도 범위 내에서의 왕복 회전으로 전환해줌으로써, 구동 모듈(140)의 제어를 위한 별도의 하드웨어적 및/또는 소프트웨어적 구성을 추가하지 않아, 제조비용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도 6은 도 2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3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 전달 유닛(150)은 한 쌍의 힌지부(130) 및 한 쌍의 회전 브래킷(121)에 대응하여 한 쌍으로 대칭적으로 마련되는 것을 예로 하며,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의 회전 전달 유닛(150)의 구성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단면의 경우, 도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 전달 부재는 회전축 부재(151)와, 가이드 돌기(151a) 및 가이드 링크(152)를 포함하는 것을 예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축 부재(151)는 구동 모듈(140)의 회전축(141)에 연결되어 구동 모듈(14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한다.
여기서, 구동 모듈(14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부(130)에 형성된 모듈 수용 공간(131)에 삽입되고, 구동 모듈(140)의 회전축(141)이 힌지부(130)의 내측에 형성된 축 통과공(132)을 통과하여 힌지부(130)의 반대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이 때, 구동 모듈(140)의 회전축(141)은 회전축 부재(151)의 축 결합공(151b)에 삽입된 삽입된 후, 회전축 부재(151)에 축 결합되어, 구동 모듈(140)의 회전에 따라 회전축 부재(151)가 함께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구동 모듈(140)의 회전축(141)의 단면이 다각 형상을 가지고, 회전축 부재(151)의 축 결합공(151b)의 내경 또한 대응되는 형상을 가짐으로써, 구동 모듈(140)의 회전축(141)과 회전축 부재(151)가 안정적으로 결합됨과 동시에 구동 모듈(140)의 회전에 동기되어 회전축 부재(151)의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구동 모듈(140)의 회전축(141)과 회전축 부재(151) 간의 고정은 볼트 등의 조임을 통해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할 것이다. 이와 같은 결합 방식으로, 구동 모듈(140)은 한 쌍의 힌지부(130) 중 어느 일측에 장착되더라도 회전력의 전달이 가능하게 되어, 사용자가 왼손 또는 오른손의 운동에 따라 구동 모듈(140)을 장착 위치를 바꿀 수 있어, 보다 편리한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가이드 돌기(151a)는 회전축 부재(151)의 회전축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에 형성된다. 즉, 구동 모듈(140) 및 회전축 부재(151)의 회전축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편심된 위치에서 회전축 부재(151)의 판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가이드 링크(152)는 일측이 본체(110)의 후방 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회전 브래킷(121)의 타측에 회전 브래킷(12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가이드 링크(152)에는 가이드 돌기(151a)가 삽입된 상태로 왕복 이동하는 호 형상의 가이드 홈(152a)이 형성되는데, 이와 같은 호 형상의 가이드 홈(152a)을 따라 가이드 돌기(151a)가 왕복 이동하면서, 구동 모듈(140)의 일 방향으로의 회전이 회전 유닛(120)의 각도 범위 내에서의 왕복 회전으로 전환 가능하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회전 전달 유닛(150)은 한 쌍의 힌지부(130)에 대응하여 양측에 대칭적으로 형성되는데, 구동 모듈(140)이 장착되는 힌지부(130) 측이 회전축 부재(151)가 구동 모듈(140)의 회전축(141)에 연결되어 회전하게 된다. 이 때, 반대 측이 회전 전달 유닛(150)의 경우, 회전 유닛(120)의 회전에 동기되어 함께 회전하게 되어, 양측이 동일한 메커니즘으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
한편, 가이드 링크(152)의 타측에는 회전 브래킷(121)을 향해 돌출된 슬라이딩 돌기(152b)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 브래킷(121)의 타측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슬라이딩 홈(121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슬라이딩 돌기(152b)가 회전 브래킷(121)의 슬라이딩 홈(121a)에 삽입된 상태로 회전 브래킷(1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링크(152)의 일측의 회전축(A2)은 회전 브래킷(121)의 회전축(A1)보다 전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본체(110), 즉 측벽에 형성되는 것을 예로 한다.
이 때, 가이드 링크(152)의 형상은 가이드 홈(152a)의 호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됨으로써, 타측이 회전 브래킷(121)의 타측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 링크(152)의 타측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회전 브래킷(121)의 타측에 회전 브래킷(1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110)는 바 삽입부(161) 및 고정 유닛(16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 삽입부(161)는 베이스 판(111)의 하부로 돌출되게 상기 베이스 판(111)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는데, 외부의 한 쌍의 연결바(340)가 각각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외부의 연결바(34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목 운동 장치(100)가 거치되어 사용될 수 있도록 손목 운동 장치(100)를 고정시키기 위한 구조물로, 일 예로 후술할 상지 및 하지용 재활 운동 장치(300)의 연결바(340)일 수 있다. 상지 및 하지용 재활 운동 장치(300)의 연결바(340)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 유닛(162)은 각각의 바 삽입부(161)에 삽입된 각각의 연결바(340)를 고정시킨다. 이를 통해, 한 쌍의 연결바(340)가 각각 바 삽입부(161)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 유닛(162)에 의해 고정되어, 본체(110)가 연결바(340)에 장착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고정 유닛(162)에 레버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예로 하며,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고정 유닛(162)이 연결바(340)를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것을 예로 한다.
여기서, 바 삽입부(161)는 본체(110)의 베이스 판(111)의 하부 판면보다 하부 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연결바(340)가 설치된 외부 장치의 구조에 영향을 받지 않는 상태로 설치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목 운동 장치(100)가 적용되는 상지 및 하지용 재활 운동 장치(30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지 및 하지용 재활 운동 장치(300)는 재활 운동 유닛(3), 거치대(5), 손목 운동 장치(100) 및 구동 모듈(14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손목 운동 장치(100)의 구성은 상술한 바와 같은 바, 그 설명은 생략한다.
손목 운동 장치(100)는 재활 운동 유닛(3)의 전방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통해, 재활 운동 유닛(3)을 이용한 상지 또는 하지의 재활 운동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손목 운동 장치(100)를 재활 운동 유닛(3)의 전방이 장착하여 손목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구동 모듈(140)은 재활 운동 유닛(3) 또는 손목 운동 장치(100)에 선택적으로 장착 가능하게 마련됨으로써, 하나의 구동 모듈(140)을 이용하여 재활 운동 유닛(3)과 손목 운동 장치(100)를 작동시켜 제조 비용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활 운동 유닛(3)은 제1 지지부(310), 제2 지지부(320), 제3 지지부(330), 한 쌍의 제1 힌지부(311,312) 및 한 쌍의 제1 힌지부(331,3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부(310)는 사용자의 손 또는 발을 지지하고, 제2 지지부(320)는 사용자의 상지의 전환 또는 하지의 하퇴를 지지한다. 그리고, 제3 지지부(330)는 사용자의 상지의 상완 또는 하지의 대퇴를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한 쌍의 제1 힌지부(311,312)는 제1 지지부(310)와 제2 지지부(320)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고, 한 쌍의 제1 힌지부(331,332)는 제2 지지부(320)와 제3 지지부(330)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킨다. 여기서, 구동 모듈(140)은 한 쌍의 제1 힌지부(311,312) 중 어느 일측, 또는 한 쌍의 제1 힌지부(331,332) 중 어느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한 쌍의 제1 힌지부(311,312) 중 어느 일측에 구동 모듈(140)의 장착된 상태로 구동 모듈(140)이 회전하게 되면, 제1 지지부(310)가 구동 모듈(140)의 정역 회전에 따라 제2 지지부(320)에 대해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팔이 안착된 상태에서는 사용자의 손목이 안쪽으로 굽혔다 펴졌다하는 재활 운동의 보조가 가능하게 된다. 이 때, 제1 지지부(310)의 회전 방향은 도 1에 도시된 손목 운동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즉, 사용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바닥이 위를 향하도록 자신의 손을 안착시키게 된다.
다른 예로, 한 쌍의 제1 힌지부(331,332) 중 어느 일측에 구동 모듈(140)이 장착된 상태로 구동 모듈(140)이 회전하게 되면, 제2 지지부(320)가 제3 지지부(330)에 대해 회전하게 된다. 이를 통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팔꿈치 관절을 움직이는 재활 운동의 보조가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활 운동 유닛(3)은 사용자의 팔의 길이 방향으로의 길이가 조절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예로 하는데, 이를 통해, 사용자의 팔의 길이 또는 다리의 길이 차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적합한 길이로의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손목 운동 장치(100)를 장착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손목 운동을 하는 경우, 재활 운동 유닛(3)의 길이를 최소화시켜 손목 운동 장치(100)가 장착된 상태에서 팔이 안착되는 경우,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이 위치될 수 있도록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재활 운동 유닛(3)은 길이 조절을 위한 가이드로 작동하는 연결바(34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손목 운동 장치(100)가 연결바(340)에 장착되는 것을 예로 한다.
한편, 재활 운동 유닛(3)은 거치대(5)에 거치된 상태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예로 한다. 이를 통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지의 운동이 가능하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지의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5)는 베이스 플레이트(510)와, 거치 플레이트(520)를 포함하는 것을 예로 한다.
베이스 플레이트(5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지 및 하지용 재활 운동 장치(300)를 바닥 등에 안착시킨다. 그리고, 거치 플레이트(520)는 재활 운동 유닛(3)이 거치된 상태에서, 베이스 플레이트(510)에 안착되거나 베이스 플레이트(510)와의 기립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거치 플레이트(520)의 기립 각도의 조절 구조는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일 예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 플레이트(520)의 일측이 베이스 플레이트(51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고, 링크 구조가 거치 플레이트(520)의 기립시 이를 지지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하나의 구동 모듈(140)을 이용하여, 상지 및 하지용 재활 운동, 그리고 손목 운동이 가능하게 되어,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손목 운동 장치(100)의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기존의 상지 및 하지용 재활 운동 장치(300)의 구동 모듈(140)을 함께 공유하면서도, 상지 및 하지용 재활 운동 장치(300)에 존재하는 연결바(340) 구조, 또는 상지 및 하지용 재활 운동 장치(300)에 연결바(340) 구조의 추가 만으로 손목 운동 장치(100)의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부호의 설명]
100 : 손목 운동 장치
110 : 본체
120 : 회전 유닛
130 : 힌지부
140 : 구동 모듈
150 : 회전 전달 유닛
본 발명은 재활 운동 등의 분야에 적용 가능하다.

Claims (16)

  1. 손목 운동 장치에 있어서,
    손이 안착되는 본체와;
    일측이 각각 상기 본체의 후방 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회전 브래킷과, 한 쌍의 상기 회전 브래킷의 타측을 상호 연결하고 상기 본체에 손이 안착될 때 손의 말단이 안착되는 연결 브래킷을 갖는 회전 유닛과;
    상기 본체의 양측에 대칭적으로 마련되는 한 쌍의 힌지부와;
    한 쌍의 상기 힌지부 중 어느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듈과;
    상기 구동 모듈의 일 방향으로 회전을 상기 회전 유닛의 기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왕복 회전으로 전환하는 회전 전달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운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전달 유닛은
    상기 구동 모듈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 모듈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축 부재와,
    상기 회전축 부재의 회전축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에 형성되되, 상기 회전축 부재의 판면으로부터 돌출된 가이드 돌기와,
    일측이 상기 본체의 후방 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회전 브래킷의 타측에 상기 회전 브래킷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링크에는
    상기 구동 모듈의 일 방향으로 회전이 상기 회전 유닛의 상기 각도 범위 내에서 왕복 회전으로 전환되도록 상기 가이드 돌기가 삽입된 상태로 왕복 이동하는 호 형상의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운동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전달 유닛은 한 쌍의 상기 힌지부에 대응하여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되며;
    한 쌍의 상기 회전 전달 유닛의 상기 회전축 부재 중 어느 하나가 상기 구동 모듈이 한 쌍의 상기 힌지부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될 때 상기 구동 모듈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운동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링크의 일측의 회전축은 상기 회전 브래킷의 회전축보다 전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기 본체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링크는 상기 가이드 홈의 호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타측이 상기 회전 브래킷의 타측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운동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링크의 타측에는 상기 회전 브래킷을 향해 돌출된 슬라이딩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 브래킷의 타측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돌기가 왕복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운동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베이스 판과,
    상기 베이스 판의 양측에서 각각 상향 연장된 한 쌍의 측판을 포함하며;
    한 쌍의 상기 힌지부는 각각 상기 측판에 설치되고;
    한 쌍의 상기 회전 브래킷 및 한 쌍의 상기 가이드 링크는 상기 측면의 내측벽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운동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베이스 판의 하부로 돌출되게 상기 베이스 판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고, 외부의 한 쌍의 연결바가 각각 삽입되는 바 삽입부와,
    각각의 상기 바 삽입부에 삽입된 각각의 상기 연결바를 고정시키는 고정 유닛을 더 포함하며;
    한 쌍의 상기 연결바가 각각의 상기 바 삽입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고정 유닛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본체가 상기 연결바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운동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바 삽입부는 상기 베이스 판의 하부 판면보다 하부 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운동 장치.
  9. 손 또는 발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와, 상지의 전완 또는 하지의 하퇴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와,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한 쌍의 제1 힌지부와, 상지의 상완 또는 하지의 대퇴를 지지하는 제3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와 상기 제3 지지부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한 쌍의 제2 힌지부를 갖는 재활 운동 유닛과;
    상기 재활 운동 유닛이 거치되는 거치대와;
    상기 재활 운동 유닛의 전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목 운동 장치와;
    한 쌍의 상기 제1 힌지부와 한 쌍의 상기 제2 힌지부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장착되어, 상기 제1 지지부 또는 상기 제2 지지부를 선회시키는 구동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손목 운동 장치는
    손이 안착되는 본체와,
    일측이 각각 상기 본체의 후방 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회전 브래킷과, 한 쌍의 상기 회전 브래킷의 타측을 상호 연결하고 상기 본체에 손이 안착될 때 손의 말단이 안착되는 연결 브래킷을 갖는 회전 유닛과,
    상기 본체의 양측에 대칭적으로 마련되고, 상기 구동 모듈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력을 제공받는 한 쌍의 힌지부와,
    상기 구동 모듈의 일 방향으로 회전을 상기 회전 유닛의 기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왕복 회전으로 전환하는 회전 전달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및 하지용 재활 운동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베이스 판과,
    상기 베이스 판의 양측에서 각각 상향 연장된 한 쌍의 측판을 포함하며;
    한 쌍의 상기 힌지부는 각각 상기 측판에 설치되고;
    한 쌍의 상기 회전 브래킷 및 한 쌍의 상기 가이드 링크는 각각 상기 측면의 내측벽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및 하지용 재활 운동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재활 운동 유닛은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한 쌍의 연결바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베이스 판의 하부로 돌출되게 상기 베이스 판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손목 운동 장치가 상기 재활 운동 유닛의 전방에서 장착될 때, 한 쌍의 연결바가 각각 삽입되는 바 삽입부와,
    각각의 상기 바 삽입부에 삽입된 각각의 상기 연결바를 고정시키는 고정 유닛을 더 포함하며;
    한 쌍의 상기 연결바가 각각의 상기 바 삽입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고정 유닛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손목 운동 장치가 상기 재활 운동 유닛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및 하지용 재활 운동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바 삽입부는 상기 베이스 판의 하부 판면보다 하부 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및 하지용 재활 운동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전달 유닛은 한 쌍의 상기 힌지부에 대응하여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되며;
    한 쌍의 상기 회전 전달 유닛의 상기 회전축 부재 중 어느 하나가 상기 구동 모듈이 한 쌍의 상기 힌지부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될 때 상기 구동 모듈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운동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전달 유닛은
    상기 구동 모듈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 모듈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축 부재와,
    상기 회전축 부재의 회전축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에 형성되되, 상기 회전축 부재의 판면으로부터 돌출된 가이드 돌기와,
    일측이 상기 본체의 후방 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각각의 상기 회전 브래킷의 타측에 상기 회전 브래킷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링크에는
    상기 구동 모듈의 일 방향으로 회전이 상기 회전 유닛의 상기 각도 범위 내에서 왕복 회전으로 전환되도록 상기 가이드 돌기가 삽입된 상태로 왕복 이동하는 호 형상의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및 하지용 재활 운동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링크의 일측의 회전축은 상기 회전 브래킷의 회전축보다 전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기 본체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링크는 상기 가이드 홈의 호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타측이 상기 회전 브래킷의 타측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및 하지용 재활 운동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링크의 타측에는 상기 회전 브래킷을 향해 돌출된 슬라이딩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 브래킷의 타측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돌기가 왕복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및 하지용 재활 운동 장치.
PCT/KR2022/004446 2021-08-18 2022-03-29 손목 운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지 및 하지용 재활 운동 장치 WO2023022320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8545A KR102606960B1 (ko) 2021-08-18 2021-08-18 손목 운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지 및 하지용 재활 운동 장치
KR10-2021-0108545 2021-08-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22320A1 true WO2023022320A1 (ko) 2023-02-23

Family

ID=85239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04446 WO2023022320A1 (ko) 2021-08-18 2022-03-29 손목 운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지 및 하지용 재활 운동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06960B1 (ko)
WO (1) WO2023022320A1 (ko)

Cited B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01423B2 (en) 2019-05-10 2023-10-31 Rehab2Fi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interact with a user of an exercise device during an exercise session
US11830601B2 (en) 2019-10-03 2023-11-28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cardiac rehabilitation among eligible users
US11826613B2 (en) 2019-10-21 2023-11-28 Rom Technologies, Inc. Persuasive motivation for orthopedic treatment
US11833393B2 (en) 2019-05-15 2023-12-05 Rehab2Fit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n exercise machine to improve completion of an exercise
US11887717B2 (en) 2019-10-03 2024-01-30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I, machine learning and telemedicine to perform pulmonary rehabilitation via an electromechanical machine
US11896540B2 (en) 2019-06-24 2024-02-13 Rehab2Fi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an exercise protocol for osteogenesis and/or muscular hypertrophy
US11915816B2 (en) 2019-10-03 2024-02-27 Rom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achine learning in a telemedical environment to predict user disease states
US11915815B2 (en) 2019-10-03 2024-02-27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achine learning and generic risk factors to improve cardiovascular health such that the need for additional cardiac interventions is mitigated
US11923065B2 (en) 2019-10-03 2024-03-05 Rom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achine learning to detect abnormal heart rhythms of a user performing a treatment plan with an electromechanical machine
US11923057B2 (en) 2019-10-03 2024-03-05 Rom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monitor user characteristics during a telemedicine session
US11942205B2 (en) 2019-10-03 2024-03-26 Rom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using virtual avatars associated with medical professionals during exercise sessions
US11955223B2 (en) 2019-10-03 2024-04-09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achine learning to provide an enhanced user interface presenting data pertaining to cardiac health, bariatric health, pulmonary health, and/or cardio-oncologic health for the purpose of performing preventative actions
US11951359B2 (en) 2019-05-10 2024-04-09 Rehab2Fi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independently adjust resistance of pedals based on leg strength
US11950861B2 (en) 2019-10-03 2024-04-09 Rom Technologies, Inc. Telemedicine for orthopedic treatment
US11955221B2 (en) 2019-10-03 2024-04-09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I/ML to generate treatment plans to stimulate preferred angiogenesis
US11955220B2 (en) 2019-10-03 2024-04-09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I/ML and telemedicine for invasive surgical treatment to determine a cardiac treatment plan that uses an electromechanical machine
US11955222B2 (en) 2019-10-03 2024-04-09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based on advanced metrics of actual performance of an electromechanical machine, medical procedure eligibility in order to ascertain survivability rates and measures of quality-of-life criteria
US11955218B2 (en) 2019-10-03 2024-04-09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telemedicine-enabled rehabilitative hardware and for encouraging rehabilitative compliance through patient-based virtual shared sessions with patient-enabled mutual encouragement across simulated social networks
US11957960B2 (en) 2019-05-10 2024-04-16 Rehab2Fi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adjust pedal resistance
US11961603B2 (en) 2019-10-03 2024-04-16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I ML and telemedicine to perform bariatric rehabilitation via an electromechanical machine
US11957956B2 (en) 2019-05-10 2024-04-16 Rehab2Fit Technologies, In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and exercise
US11978559B2 (en) 2019-10-03 2024-05-07 Rom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ly-enabled identification of a user infectio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9828B1 (ko) * 2009-12-08 2011-08-29 (주)케어테크 골절 환자용 회복운동장치
KR20180046409A (ko) * 2016-10-27 2018-05-09 한국로봇융합연구원 신경계 질환 및 근골격계 질환용 수부 재활장치
KR101897716B1 (ko) * 2016-11-30 2018-09-12 주식회사 영진하이텍 손목 재활치료 프로토콜 및 이를 위한 재활기기
CN210750109U (zh) * 2019-06-19 2020-06-16 河南师范大学新联学院 腕关节康复训练机构
KR102246052B1 (ko) * 2019-11-15 2021-04-29 에이치로보틱스 주식회사 상지 및 하지용 재활 운동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66624B1 (ja) * 2012-05-15 2013-03-21 株式会社Mkr−J 下肢振動装置
KR101422229B1 (ko) * 2012-07-06 2014-07-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9828B1 (ko) * 2009-12-08 2011-08-29 (주)케어테크 골절 환자용 회복운동장치
KR20180046409A (ko) * 2016-10-27 2018-05-09 한국로봇융합연구원 신경계 질환 및 근골격계 질환용 수부 재활장치
KR101897716B1 (ko) * 2016-11-30 2018-09-12 주식회사 영진하이텍 손목 재활치료 프로토콜 및 이를 위한 재활기기
CN210750109U (zh) * 2019-06-19 2020-06-16 河南师范大学新联学院 腕关节康复训练机构
KR102246052B1 (ko) * 2019-11-15 2021-04-29 에이치로보틱스 주식회사 상지 및 하지용 재활 운동 장치

Cited B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01423B2 (en) 2019-05-10 2023-10-31 Rehab2Fi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interact with a user of an exercise device during an exercise session
US11957956B2 (en) 2019-05-10 2024-04-16 Rehab2Fit Technologies, In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and exercise
US11957960B2 (en) 2019-05-10 2024-04-16 Rehab2Fi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adjust pedal resistance
US11951359B2 (en) 2019-05-10 2024-04-09 Rehab2Fi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independently adjust resistance of pedals based on leg strength
US11833393B2 (en) 2019-05-15 2023-12-05 Rehab2Fit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n exercise machine to improve completion of an exercise
US11896540B2 (en) 2019-06-24 2024-02-13 Rehab2Fi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an exercise protocol for osteogenesis and/or muscular hypertrophy
US11942205B2 (en) 2019-10-03 2024-03-26 Rom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using virtual avatars associated with medical professionals during exercise sessions
US11950861B2 (en) 2019-10-03 2024-04-09 Rom Technologies, Inc. Telemedicine for orthopedic treatment
US11923065B2 (en) 2019-10-03 2024-03-05 Rom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achine learning to detect abnormal heart rhythms of a user performing a treatment plan with an electromechanical machine
US11923057B2 (en) 2019-10-03 2024-03-05 Rom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monitor user characteristics during a telemedicine session
US11915816B2 (en) 2019-10-03 2024-02-27 Rom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achine learning in a telemedical environment to predict user disease states
US11955223B2 (en) 2019-10-03 2024-04-09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achine learning to provide an enhanced user interface presenting data pertaining to cardiac health, bariatric health, pulmonary health, and/or cardio-oncologic health for the purpose of performing preventative actions
US11887717B2 (en) 2019-10-03 2024-01-30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I, machine learning and telemedicine to perform pulmonary rehabilitation via an electromechanical machine
US11915815B2 (en) 2019-10-03 2024-02-27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achine learning and generic risk factors to improve cardiovascular health such that the need for additional cardiac interventions is mitigated
US11955221B2 (en) 2019-10-03 2024-04-09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I/ML to generate treatment plans to stimulate preferred angiogenesis
US11955220B2 (en) 2019-10-03 2024-04-09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I/ML and telemedicine for invasive surgical treatment to determine a cardiac treatment plan that uses an electromechanical machine
US11955222B2 (en) 2019-10-03 2024-04-09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based on advanced metrics of actual performance of an electromechanical machine, medical procedure eligibility in order to ascertain survivability rates and measures of quality-of-life criteria
US11955218B2 (en) 2019-10-03 2024-04-09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telemedicine-enabled rehabilitative hardware and for encouraging rehabilitative compliance through patient-based virtual shared sessions with patient-enabled mutual encouragement across simulated social networks
US11978559B2 (en) 2019-10-03 2024-05-07 Rom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ly-enabled identification of a user infection
US11961603B2 (en) 2019-10-03 2024-04-16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I ML and telemedicine to perform bariatric rehabilitation via an electromechanical machine
US11830601B2 (en) 2019-10-03 2023-11-28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cardiac rehabilitation among eligible users
US11826613B2 (en) 2019-10-21 2023-11-28 Rom Technologies, Inc. Persuasive motivation for orthopedic treat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6960B1 (ko) 2023-11-29
KR20230026668A (ko) 2023-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3022320A1 (ko) 손목 운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지 및 하지용 재활 운동 장치
WO2023008681A1 (ko) 재활 운동 장치
WO2023008680A1 (ko) 재활 운동 장치
JP2023515036A (ja) 上肢及び下肢用リハビリ運動装置
WO2019039853A1 (en) MOVEMENT ASSISTING APPARATUS
WO2021012873A1 (zh) 外骨骼手指康复训练装置及其使用方法
WO2017047874A1 (ko) 손가락 운동장치
WO2011108782A1 (en) Bidirectional moving micro-robot system
WO2012096464A2 (ko) 최소 침습 수술 기구
WO2018186549A1 (ko) 무릎 관절 재활기구
CN108478391B (zh) 一种可穿戴式外骨骼康复机械手
WO2012124912A2 (ko) 휴대용 무릎 관절 재활 운동 기구
CN110302035B (zh) 一种绳驱多用型腕部康复训练机构
WO2020230974A1 (ko) 착용식 다리 지지장치
WO2021086025A1 (en) Walking assistant device deformable based on thigh shape
WO2021261942A1 (ko) 인공무릎관절
KR20120119738A (ko) 복합 관절 운동용 재활기구
WO2019146853A1 (ko) 종아리 안마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다리 마사지 장치
WO2021071278A1 (ko) 상지 근력 강화 재활 로봇
WO2023043065A1 (ko) 구동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
WO2018230937A1 (ko) 레이저 치료장치의 스프링 암 및 이를 포함하는 레이저 치료장치
WO2023063737A1 (ko) 하지 보조 로봇
WO2020091145A1 (ko) 착좌각이 변경 가능한 착용식 의자
WO2023153609A1 (ko) 상지와 손가락 재활 훈련 장치
WO2022004983A1 (ko) 쌍안정 스프링을 갖는 지지부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85856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