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008613A1 - 섬유상 여과기의 역세정 흡입장치 - Google Patents

섬유상 여과기의 역세정 흡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008613A1
WO2023008613A1 PCT/KR2021/009869 KR2021009869W WO2023008613A1 WO 2023008613 A1 WO2023008613 A1 WO 2023008613A1 KR 2021009869 W KR2021009869 W KR 2021009869W WO 2023008613 A1 WO2023008613 A1 WO 202300861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attern
slit
suction
villi
pattern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0986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국중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레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레넥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레넥스
Publication of WO202300861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00861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4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33/48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 B01D33/50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with backwash arms, shoes or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15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plane filtering surfaces
    • B01D33/2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plane filtering surfaces with hollow filtering discs transversely mounted on a hollow rotary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4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33/48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 B01D33/50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with backwash arms, shoes or nozzles
    • B01D33/503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with backwash arms, shoes or nozzles the backwash arms, shoes acting on the cake 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15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plane filtering surfaces
    • B01D33/2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plane filtering surfaces with hollow filtering discs transversely mounted on a hollow rotary shaft
    • B01D33/23Construction of discs or component sector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4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33/4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33/463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4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33/4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33/465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take-off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4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33/5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orces created by movement of the filter element
    • B01D33/5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orces created by movement of the filter element involving centrifugal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80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08Regeneration of the filter
    • B01D2201/081Regeneration of the filter using nozzles or suction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08Regeneration of the filter
    • B01D2201/081Regeneration of the filter using nozzles or suction devices
    • B01D2201/082Suction devices placed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5/00Filters formed by clamping together several filtering elements or parts of such elements
    • B01D25/32Removal of the filter cakes
    • B01D25/325Removal of the filter cakes counter-current flushing, e.g. by air bumps
    • B01D25/327Removal of the filter cakes counter-current flushing, e.g. by air bumps with backwash shoes, with nozz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Preliminary Treatment Of Fibers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Abstract

슬릿을 중심으로 흡입판의 한쪽 면에 절개 면이 형성되고, 이 절개 면이 형성된 슬릿의 두께 부분에 마련된 자리에 패턴 롤러가 제자리 회전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패턴 롤러의 일부가 절개 면 밖으로 돌출하여 슬릿을 통과하면서 역세정된 융털 면에 패턴이 형성되게 하여 융털의 여과 면적을 넓힐 수 있게 한다. 또한, 자리가 절개 면에서 상기 슬릿과 소정 거리만큼 떨어지게 형성함으로써, 자리를 통해 역세정과 융털의 여과 면적을 넓혀 섬유상 여과기의 여과 효율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그리고 패턴 롤러 표면에 일정 길이로 절단된 스플라인 형태의 패턴, 패턴 롤러 외주에 여러 개의 환형돌기가 형성된 패턴, 외주 면에 스플라인 형태로 이루어진 패턴, 및 격자 형태로 요철이 반복되는 패턴 등을 형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섬유상 여과기의 역세정 흡입장치
본 발명은 섬유상 여과기의 역세정 흡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흡입판의 바깥에 노출된 면에서 슬릿을 기준으로 한쪽 면을 미리 정한 두께로 절개하여 절개 면을 형성한 다음, 이 절개 면에 마련된 자리에 패턴 롤러를 장착하여 슬릿을 통과하면서 역세정 작용이 이루어진 융털 면에 여러 가지 형상으로 패턴이 형성되게 구성함으로써, 역세정 후 디스크형 필터 면을 구성하는 융털 면이 밋밋하게 눌리지 않고 패턴을 통해 여과 면적을 넓혀 여과효율을 높일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패턴 롤러 외면은 그 길이 방향으로 길게 스플라인이 형성되되 각 스플라인이 일정 길이로 절단된 형태로 이루어진 패턴, 패턴 롤러 외주에 미리 정한 간격으로 환형돌기가 형성된 패턴, 외주 면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스플라인 형태로 이루어진 패턴, 및 격자 형태로 요철이 반복되는 패턴 중 적어도 하나의 패턴이 형성되게 구성함으로써, 역세정 작용 후 눌린 융털 면에 대해 다양한 형상의 패턴을 형성하여 여과 면적을 넓힐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섬유상 여과기는 디스크 형상의 필터 표면에 섬유(융털)를 구비하여 오염수 등이 이 섬유를 통과하여 디스크 형상의 필터 안으로 유입하는 동안 이물이 이 융털에 걸러지도록 한 여과기를 말한다. 이러한 섬유상 여과기에는, 아래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과 같이, 섬유 디스크 필터의 표면에 달라붙은 이물을 역세정 방식으로 흡입하여 제거하는 역세정 흡입장치가 장착된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0-2183820호
섬유상 여과기의 역세정 흡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융털이 빠져나가는 흡입 슬릿의 가장자리 면을 경사지게 사면을 형성함으로써, 역세정을 위해 섬유 디스크 필터가 회전할 때 흡입 슬릿에 빨려들어 간 융털이 이 사면을 접촉하게 함으로써 이 융털의 각 회전량을 크게 하여 역세정 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사면에는 여러 개의 마찰 돌기를 돌출 형성하므로, 융털이 각 마찰 돌기를 하나씩 타고 넘으면서 융털을 빨래판에 문질러서 비벼 빠는 효과를 통해 이물 제거 효과를 더욱더 높일 수 있게 한 것이다.
(특허문헌 2)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20500호
본체와 흡입판이 서로 접촉하는 부분이 요철 형태로 결합하게 구성하여 밀봉 부재가 없이도 유체가 새지 않게 구성할 뿐만 아니라 훅 방식으로 이 본체와 흡입판이 서로 결합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부품 개수를 줄여 제조 시간과 비용을 줄이면서도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게 한 섬유 여과기의 역세정 장치용 흡입 상자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상기 본체와 흡입판을 플라스틱으로 사출 성형하므로, 복잡한 형상도 쉽고 신속하게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성 요소의 제조시간과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게 한 섬유 여과기의 역세정 장치용 흡입 상자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특허문헌 3) 한국등록특허 제10-1791863호
여과할 때는 통상 흡입 노즐이 디스크와 떨어지게 하고, 역세정할 때는 분사 노즐을 통해 분사한 유체가 흡입 노즐을 회전시켜서 디스크의 여재에 맞닿게 하여 역세정이 이루어지게 구성하므로, 여과할 때는 여재와 흡입 노즐 사이의 마찰 저항을 줄여 여과 효과를 높이면서도 여재나 흡입 노즐의 마모나 파손을 방지하고, 역세정할 때는 반대로 여재에 흡입 노즐이 맞닿게 하여 역세정 효과를 높일 수 있다. 특히, 흡입 노즐을 회전 지지하는 지지 바가 스토퍼에 걸려서 디스크를 향해 미리 정한 간격을 유지하게 구성하므로, 디스크가 회전할 때 흡입 노즐이 마찰 저항으로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여 디스크의 내구성을 높이면서 흡입 노즐 안으로 섬유가 많이 흡입되어 흡입성능이 떨어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역세정 흡입장치(10)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여과조(T) 안에서 제자리 회전하게 설치된 각 디스크형 필터(20) 면에 밀착하게 설치되어 이 디스크형 필터(20)에 구성된 융털(21)을 흡입하여 오·폐수를 여과할 때 융털(21)에 달라붙은 이물을 제거하게 된다. 이러한 역세정 흡입장치(10)는, 용기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융털(21)에서 제거된 이물을 흡입하여 여과조(T) 밖으로 배출하게 하는 흡입 본체(10'), 그리고 상기 흡입 본체(10')의 개방된 입구 부분을 마감하며 제자리 회전하는 디스크형 필터(20) 면에 마주하게 설치되는 흡입판(10")이 포함된다. 그리고 이 흡입판(10")에는 디스크형 필터(20)가 회전함에 따라 외부에 노출된 융털(21)을 흡입 본체(10') 안으로 흡입하여 이물을 제거하는 슬릿(11)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역세정 흡입장치(10)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1) 흡입판(10") 면에 밀착해서 이동하는 디스크형 필터(20) 면에 구성된 융털(21)이 흡입판(10")에 밀착하여 이동하다가 슬릿(11) 안으로 빨려들어가서 펴지면서 그 표면에 달라붙은 이물이 흡입 본체(10') 안으로 흡입되어 역세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2) 이때, 슬릿(11) 안에서 역세정이 이루어진 융털(21)은 디스크형 필터(20)가 계속 회전함에 따라 이 흡입판(10")과 디스크형 필터(20) 사이에 끼인 형태가 된다. 이는, 융털(21)이 디스크형 필터(20) 면에 눕혀져서 밀착된 상태로 여과 작용이 이루어지게 되어 섬유상 여과기의 여과 성능에 한계가 발생한다.
(3) 즉, 섬유상 여과기는 디스크형 필터(20)의 여과 면적에 따라 여과 성능이 결정되게 되는데, 기존의 디스크형 필터(20)는 그 표면에 구성되는 융털(21)이 상기 흡입판(10")에 의해 눌린 상태로 있게 되므로 융털(21) 면이 디스크형 필터(20)에 평판 형태로 눌리게 되어 여과 면적을 넓히는데 한계가 있다.
(4) 이는, 같은 용량의 오·폐수를 처리하는데, 디스크형 필터(20)의 장착 개수가 늘어나게 될 뿐만 아니라 디스크형 필터(20)의 개수가 늘어남에 따라 제조비용과 나유지 보수 비용도 함께 늘어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슬릿을 중심으로 흡입판의 한쪽 면을 절개하여 절개 면이 형성되고, 이 절개 면이 형성된 슬릿의 두께 부분에 자리를 마련한 다음, 상기 자리에 패턴 롤러가 제자리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되되 상기 패턴 롤러의 일부가 절개 면 밖으로 돌출하게 설치함으로써, 상기 슬릿을 통과하면서 역세정이 이루어진 융털 면에 상기 패턴 롤러를 통해 패턴이 형성되게 하여 융털의 여과 면을 넓혀 섬유상 여과기의 여과 효율을 높일 수 있게 한 섬유상 여과기의 역세정 흡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자리가 절개 면에서 상기 슬릿과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지게 형성함으로써, 이 자리를 통해 역세정 효과와 더불어 융털의 여과 면적을 넓혀 섬유상 여과기의 여과 효율을 한층 더 높일 수 있게 한 섬유상 여과기의 역세정 흡입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패턴 롤러 표면에 그 길이 방향으로 길게 스플라인이 형성되되 각 스플라인이 일정 길이로 절단된 형태로 이루어진 패턴, 패턴 롤러 외주에 미리 정한 간격으로 여러 개의 환형돌기가 형성된 패턴, 외주 면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스플라인 형태로 이루어진 패턴, 및 격자 형태로 요철이 반복되는 패턴 중 적어도 하나의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이러한 패턴을 통해 융털 면의 여과 면적을 더욱더 넓힐 수 있게 한 섬유상 여과기의 역세정 흡입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섬유상 여과기의 역세정 흡입장치는, 용기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의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배수 구멍(110)을 갖춘 흡입 본체(100); 및 상기 흡입 본체(100)에 입구 부분을 마감하게 장착되고, 역세정할 수 있도록 슬릿(210)이 형성된 흡입판(200);을 포함하되; 상기 흡입판(200)에는, 외부에 노출되는 면에서 상기 슬릿(210)을 기준으로 한쪽 면이 미리 정한 두께(W)로 절개되어 절개 면(230)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 면(230)이 형성된 슬릿(210)의 두께 일부를 절개하여 자리(220)가 마련되되, 상기 자리(220)에는 일부가 상기 절개 면(230)의 밖으로 돌출하게 노출된 상태에서 제자리 회전하도록 패턴 롤러(300)가 장착되어 상기 슬릿(210)을 통과한 융털(F) 면에 패턴을 형성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섬유상 여과기의 역세정 흡입장치는, 용기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의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배수 구멍(110)을 갖춘 흡입 본체(100); 및 상기 흡입 본체(100)에 입구 부분을 마감하게 장착되고, 역세정할 수 있도록 슬릿(210)이 형성된 흡입판(200);을 포함하되; 상기 흡입판(200)에는, 외부에 노출되는 면에서 상기 슬릿(210)을 기준으로 한쪽 면이 미리 정한 두께(W)로 절개되어 절개 면(230)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 면(230)에는 상기 슬릿(210)과 미리 정한 거리만큼 떨어져서 자리(220)가 마련되되, 상기 자리(220)에는 안쪽에 상기 흡입 본체(100)와 통하도록 보조 슬릿(221)이 관통 형성되고 내부에 일부가 상기 절개 면(230) 밖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제자리 회전하도록 패턴 롤러(300)가 장착되어 상기 슬릿(210)을 통과한 융털(F) 면에 패턴을 형성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패턴 롤러(300)의 외면에는, 상기 패턴 롤러(30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스플라인이 형성되되, 각 스플라인이 일정 길이로 절단된 형태로 이루어진 패턴; 상기 패턴 롤러(300)의 외주에 미리 정한 간격으로 여러 개의 환형돌기가 형성된 패턴; 상기 패턴 롤러(30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스플라인 형태로 이루어진 패턴; 및 격자 형태로 요철이 반복되는 패턴 중 적어도 하나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섬유상 여과기의 역세정 흡입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흡입판의 바깥 면에서 슬릿을 기준으로 한쪽 면에 미리 정한 두께로 절개하여 절개 면을 형성하고, 절개 면이 형성된 슬릿의 두께 부분에 마련된 자리에 제자리 회전하도록 패턴 롤러를 설치함으로써, 슬릿을 통과하면서 역세정이 이루어진 다음 흡입판과 디스크형 필터 사이에서 눌린 융털 면에 대해 상기 패턴 롤러로 패턴을 형성하여 융털 면에서의 여과 면적을 넓혀 결과적으로 섬유상 여과기의 여과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여과면적이 넓어짐으로 인해 그 만큼 부유물질을 더 제거할 수 있고, 다른 측면으로 보면, 선행기술대비 여과장치의 규모가 작아지며, 설치에 필요한 부지도 절약된다.
(2) 이때, 상기 자리는 절개 면에서 슬릿과 미리 정한 거리만큼 떨어지게 형성된 위치에 형성하고, 자리 바닥에 보조 슬릿을 관통 형성함으로써, 자리를 통해 역세정이 이루어지게 하면서도 이 자리에 장착되는 패턴 롤러를 통해 디스크형 필터의 융털 면에 패턴을 형성하여 여과 면적을 넓혀 섬유상 여과기의 여과 효율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3) 여기서, 상기 절개 면은 흡입판과 디스크형 필터 사이에서 이 디스크형 필터에 밀착되어 이루어지는 융털 면에 대해 만들어진 패턴이 다시 눌리지 않을 정도로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게 함으로써, 패턴 롤러로 융털 면에 만들어놓은 패턴이 그 형태를 유지하게 하여 여과 면적을 넓힐 수 있게 된다.
(4) 이에, 상기 자리에 장착되는 패턴 롤러는 상기 절개 면보다 소정의 두께만큼 밖으로 돌출하게 장착함으로써, 돌출된 패턴 롤러 부분을 이용해서 융털 면에 원하는 형태의 패턴을 쉽게 형성하여 섬유상 여과기의 여과 효율을 높일 수 있다.
(5) 한편, 상기 패턴 롤러의 외면에는 디스크형 필터를 구성하는 융털 면에 소정의 패턴을 형성하여 여과 면적을 넓힐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패턴으로는, 예를 들어, 그 길이 방향으로 길게 스플라인이 형성되되 각 스플라인이 일정 길이로 절단된 형태로 이루어진 패턴, 패턴 롤러 외주에 미리 정한 간격으로 여러 개의 환형돌기가 형성된 패턴, 외주 면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스플라인 형태로 이루어진 패턴, 및 격자 형태로 요철이 반복되는 패턴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패턴은 한 가지로만 이루어질 수도 있고, 이러한 여러 패턴 중 적어도 두 개로 조합해서 패턴을 구성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도 1]은 종래 역세정 흡입장치가 장착된 섬유상 여과기의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섬유상 여과기의 역세정 흡입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에 1]에 따른 섬유상 여과기의 역세정 흡입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에 1]에 따른 역세정 흡입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a)는 정면도이고, (b)는 (a)에서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에 1]에 따른 역세정 흡입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 주려고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에 1]에 따른 흡입판의 구성을 보여주려고 길이 중간을 자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패턴 롤러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패턴 롤러의 일부를 보여주는 다른 변형예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에 2]에 따른 역세정 흡입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흡입판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 실시예 1]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섬유상 여과기의 역세정 흡입장치에는, [도 3] 내지 [도 8]과 같이, 흡입 본체(100), 그리고 슬릿(210)이 형성된 흡입판(200)이 포함된다.
특히, 상기 흡입판(200)에는 바깥 면에 상기 슬릿(210)을 기준으로 한쪽 면에 대해 미리 정한 두께(W)로 절개하여 절개 면(230)이 형성되어, 상기 슬릿(210)에서 역세정이 이루어진 융털(F)이 이 두께(W)만큼 넓어진 흡입판(200)과 디스크 필터(D) 사이에서 융털(F) 면에 패턴을 만들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절개 면(230)에는 상기 슬릿(210)의 두께 일부를 절개하여 자리(210)가 형성되고, 상기 자리(210)에는 제자리에서 회전하는 패턴 롤러(300)가 장착됨에 따라, 상기 흡입판과 디스크 필터(D) 사이의 융털(F) 면에 이 패턴 롤러(300)의 외주 면을 이용하여 소정의 패턴이 형성되게 하여 그만큼 융털(F)의 여과 면적을 넓힐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패턴 롤러(300)는 일부가 상기 절개 면(230)보다 밖으로 돌출하게 형성함으로써, 이들 절개 면(230)과 디스크 필터(D) 사이에 있는 융털(F) 면에 대해 패턴 형성이 쉽고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한 것이다.
한편, 상기 패턴 롤러(300) 외주에는 융털(F) 면에 다양한 형상의 패턴이 형성될 수 있게 구성되는데, 기본적으로 스플라인 형태로 길게 요철이 형성되되 스플라인이 미리 정한 길이로 절단된 형태가 되게 구성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상기 패턴 롤러(300)의 패턴으로는, 패턴 롤러(300)의 외주에 미리 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환형돌기가 형성된 패턴, 패턴 롤러(300) 외면에 길이 방향으로 스플라인을 형성한 것과 같이 여러 줄로 요철이 반복하는 패턴, 그리고 요철이 반복해서 격자 형태로 형성되는 패턴을 예로 들 수 있다. 물론, 상기 패턴은 한 가지 형태로만 형성될 수도 있고 적어도 두 개의 패턴을 조합해서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면부호 'D'는 섬유상 여과기에서 사용되는 디스크형 필터를, 'F'는 상기 디스크형 필터(D) 면에 구성되어 실질적으로 이물이 달라붙게 하여 여과해 주는 융털을 각각 나타낸다.
가. 흡입 본체
흡입 본체(100)는,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용기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후술할 흡입판(200)을 통해 흡입된 융털(F)에서 분리된 이물을 정화조 밖으로 배출할 수 있게 한다. 이에, 상기 흡입 본체(100)는 이처럼 융털(F)에서 분리된 이물을 흡입 본체(100) 밖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 구멍(110)이 형성되고, 배수 구멍(110)에는 미도시된 펌프 등을 연결하여 흡입 본체(100) 안에 있는 이물과 함께 유체를 정화조 밖으로 배수하게 한다.
이러한 흡입 본체(100)는, 디스크형 필터(D)의 반지름 정도의 길이로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흡입 본체(100)를 정화조 안에서 제자리 회전하는 디스크형 필터(D)의 반지름 방향으로 설치함에 따라 이 흡입 본체(100)에 장착되는 후술할 흡입판(200)이 제자리 회전하는 디스크형 필터(D) 면에 밀착하여 역세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나. 흡입판
흡입판(200)은, [도 3] 내지 [도 6]과 같이, 상술한 흡입 본체(100)의 개방된 입구 부분을 마감한다. 그리고 상기 흡입판(200)은 디스크형 필터(D) 면에 밀착하여 이 디스크형 필터(D) 표면을 구성하는 융털(F)이 흡입 본체(100) 안으로 빨려들어가게 하여 역세정이 이루어지게 한다. 또한, 상기 흡입판(200)에는 후술할 패턴 롤러(300)가 장착되어 슬릿(210)을 통해 역세정이 이루어진 융털(F) 면에 미리 정한 형태의 패턴이 형성되게 하여 섬유상 여과기의 여과 면적을 넓혀 결과적으로 여과 효율을 한층 더 높여주게 된다.
이러한 흡입판(200)에는, [도 3] 내지 [도 6]과 같이, 슬릿(210), 자리(220), 그리고 절개 면(230)이 포함된다.
1. 슬릿
슬릿(210)은, [도 3] 내지 [도 6]과 같이, 상기 흡입판(200)의 한쪽 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슬릿(210)은 디스크형 필터(D)의 반지름 정도의 길이로 형성함으로써, 이 반지름을 방향으로 슬릿(210)이 마주하게 배치되어 디스크형 필터(D)가 회전함에 따라 디스크형 필터(D) 표면에 구성된 융털(F)이 슬릿(210) 안으로 빨려들어가게 하여 융털(F)에 달라붙은 이물을 제거하는 역세정 작용이 이루어지게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슬릿(210)은, [도 3] 내지 [도 6]에서는 흡입판(200)에 하나가 형성된 것을 예로 보여주고 있으나,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개수로 형성할 수도 있음을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종사자라면 누구든지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2. 절개 면
절개 면(230)은, [도 4]와 같이, 상기 흡입판(200)의 바깥 면, 즉 흡입판(200)이 흡입 본체(100)에 장착되었을 때 외부에 노출되는 면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절개 면(230)은 상기 슬릿(210)을 기준으로 양쪽 면 중 어느 한쪽 면,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릿(210)에서 역세정이 이루어진 융털(F)이 타고 넘어가는 면을 미리 정한 두께(W)로 절개하여 형성된다. 이는, 디스크형 필터(D)에 거의 밀착하게 흡입판(200)이 설치됨에 따라, 슬릿(210)에서 역세정이 이루어지기 전 융털(F)이 흡입판(200)과 디스크형 필터(D) 사이의 전 틈새(a)가 좁아 평면 형태로 눕혀진 형태가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두께(W)로 절개 면(230)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절개 면(230)과 디스크형 롤러(D) 사이의 후 틈새(b)가 상기 전 틈새(a)보다 이 절개 면(230)의 두께(W)만큼 더 넓어지게 된다. 이러한 상기 후 틈새(b)는 후술할 패턴 롤러(300)를 통해 융털(F) 면에 패턴을 형성할 때 쉽게 패턴 형성이 이루질 수 있도록 충분한 공간을 제공한다.
3. 자리
자리(220)는, [도 3] 내지 [도 6]과 같이, 상술한 절개 면(230)이 형성된 슬릿(210)의 두께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된다. 이때, 상기 자리(220)에는 후술할 패턴 롤러(300)가 장착되는데, 패턴 롤러(300)가 제자리에서 회전하면서 융털(F) 면에 패턴을 형성하는 동안 패턴 롤러(300)가 다른 구성과 간섭이 생기지 않고 자연스럽게 제자리 회전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자리(220)는,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상술한 슬릿(210)과 나란하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슬릿(210)에서 역세정 작용이 끝나고 빠져나오는 융털(F)에 대해 바로 패턴을 형성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 패턴 롤러
패턴 롤러(300)는,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상술한 자리(220)에 축(300')을 중심으로 제자리에서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다. 이때, 상기 패턴 롤러(300)는 외주에 미리 정해 놓은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이 패턴 롤러(300)와 밀착해서 회전하는 디스크형 필터(D)의 융털(F) 면에 패턴이 형성되게 하여 그만큼 융털(F) 면의 표면적, 즉 여과 면적을 넓혀 결과적으로 디스크형 필터(D)의 여과 효율을 높일 수 있게 한 것이다. 여기서, '융털(F) 면'은 상술한 흡입판(200)과 디스크형 필터(D) 사이에서 한쪽으로 눕혀졌다가 상기 슬릿(210)을 통과하면서 역세정이 이루어진 다음, 다시 흡입판(200)과 디스크형 필터(D) 사이로 유입되면서 하나의 평면 형태로 쓰러지는 융털(F)로 이루어진 면을 말한다.
이러한 패턴 롤러(300)의 외주에는, [도 7] 및 [도 8]과 같이, 융털(F) 면에 다양한 형상의 패턴이 형성될 수 있게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패턴은, [도 7]과 같이 스플라인 형태로 요철이 형성되되 스플라인이 미리 정한 길이로 절단된 형태가 되게 패턴을 형성할 수도 있고, [도 8(a)]와 같이 패턴 롤러(300)의 외주에 미리 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환형돌기를 이용하여 상하로 길게 홈 형태로 패턴이 형성되게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8(b)]와 같이 패턴 롤러(300) 외면에 길이 방향으로 스플라인을 형성한 것과 같이 여러 줄로 요철이 반복하게 형성될 수도 있고, [도 8(c)]와 같이 요철이 반복해서 격자 형태로 형성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패턴은 하나만 선택해서 사용할 수도 있고, 이들 패턴 중 적어도 두 개를 조합해서 사용할 수도 있음을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종사자라면 누구든지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 외에도 다양한 패턴을 패턴 롤러(300) 외주에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패턴 롤러(300)는, [도 4]와 같이, 일부가 상술한 절개 면(230)보다 밖으로 돌출하도록 상기 자리(220)에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술한 슬릿(210)에서 역세정 후 절개 면(230)을 타고 넘는 융털(F)이 이 절개 면(230)보다 더 돌출된 패턴 롤러(300)를 통해 융털(F) 면에 미리 정해진 패턴이 깊게 형성되게 하여 여과 면적을 한층 더 높일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상과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슬릿을 타고 넘는 흡입판 면에 형성된 절개 면에 미리 제자리 회전하는 패턴 롤러를 장착함으로써, 슬릿에서 역세정이 이루어진 융털이 이 패턴 롤러를 타고 넘으면서 절개 면과 디스크형 필터 사이에서 소정의 패턴이 형성되게 구성함으로써, 융털이 흡입판을 지나감에 따라 융털 면에 형성된 패턴을 통해 그만큼 섬유상 여과기의 여과 면적을 넓혀 결과적으로 여과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여과면적이 넓어짐으로 인해 그 만큼 부유물질을 더 제거할 수 있고, 다른 측면으로 보면, 선행기술대비 여과장치의 규모가 작아지며, 설치에 필요한 부지도 절약된다.
[ 실시예 2]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섬유상 여과기의 역세정 흡입장치는, [도 9] 및 [도 10]과 같이, 상술한 [실시예 1]과 같은 구성이나, 자리(220) 구성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다. 이에, 여기서는 상술한 [실시예 1]과 같은 구성에 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2]는, [도 9] 및 [도 10]과 같이, [실시예 1]과 같이 외부에 노출되는 흡입판(200) 면에서 슬릿(210)을 중심으로 어느 한쪽에 형성된 절개 면(230)에 패턴 롤러(300)가 장착되는 자리(220)가 형성되되, 상기 자리(220)는 상기 슬릿(210)에서 미리 정해 놓은 간격만큼 떨어지게 형성되고, 상기 자리(220) 안쪽에는 흡입 본체(100) 안과 내통할 수 있도록 보조 슬릿(221)이 관통 형성된다.
이처럼 이루어진 상기 자리도 상술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슬릿에서 역세정이 이루어진 융털이 슬릿과 자리 사이의 절개 면 부분에 걸쳐졌다가 이 자리에 장착된 패턴 롤러를 통해 융털 면에 패턴이 형성되게 되어 디스크형 필터의 여과 면적을 넓혀주게 된다.

Claims (3)

  1. 용기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의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배수 구멍(110)을 갖춘 흡입 본체(100); 및 상기 흡입 본체(100)에 입구 부분을 마감하게 장착되고, 역세정할 수 있도록 슬릿(210)이 형성된 흡입판(200);을 포함하되,
    상기 흡입판(200)에는,
    외부에 노출되는 면에서 상기 슬릿(210)을 기준으로 한쪽 면이 미리 정한 두께(W)로 절개되어 절개 면(230)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 면(230)이 형성된 슬릿(210)의 두께 일부를 절개하여 자리(220)가 마련되되, 상기 자리(220)에는 일부가 상기 절개 면(230)의 밖으로 돌출하게 노출된 상태에서 제자리 회전하도록 패턴 롤러(300)가 장착되어 상기 슬릿(210)을 통과한 융털(F) 면에 패턴을 형성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여과기의 역세정 흡입장치.
  2. 용기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의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배수 구멍(110)을 갖춘 흡입 본체(100); 및 상기 흡입 본체(100)에 입구 부분을 마감하게 장착되고, 역세정할 수 있도록 슬릿(210)이 형성된 흡입판(200);을 포함하되,
    상기 흡입판(200)에는,
    외부에 노출되는 면에서 상기 슬릿(210)을 기준으로 한쪽 면이 미리 정한 두께(W)로 절개되어 절개 면(230)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 면(230)에는 상기 슬릿(210)과 미리 정한 거리만큼 떨어져서 자리(220)가 마련되되, 상기 자리(220)에는 안쪽에 상기 흡입 본체(100)와 통하도록 보조 슬릿(221)이 관통 형성되고 내부에 일부가 상기 절개 면(230) 밖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제자리 회전하도록 패턴 롤러(300)가 장착되어 상기 슬릿(210)을 통과한 융털(F) 면에 패턴을 형성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여과기의 역세정 흡입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패턴 롤러(300)의 외면에는,
    상기 패턴 롤러(30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스플라인이 형성되되, 각 스플라인이 일정 길이로 절단된 형태로 이루어진 패턴;
    상기 패턴 롤러(300)의 외주에 미리 정한 간격으로 여러 개의 환형돌기가 형성된 패턴;
    상기 패턴 롤러(30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스플라인 형태로 이루어진 패턴; 및
    격자 형태로 요철이 반복되는 패턴 중 적어도 하나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여과기의 역세정 흡입장치.
PCT/KR2021/009869 2021-07-27 2021-07-29 섬유상 여과기의 역세정 흡입장치 WO2023008613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8846A KR102404899B1 (ko) 2021-07-27 2021-07-27 섬유상 여과기의 역세정 흡입장치
KR10-2021-0098846 2021-07-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08613A1 true WO2023008613A1 (ko) 2023-02-02

Family

ID=80080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09869 WO2023008613A1 (ko) 2021-07-27 2021-07-29 섬유상 여과기의 역세정 흡입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724218B2 (ko)
EP (1) EP4124373A1 (ko)
JP (1) JP7318991B2 (ko)
KR (1) KR102404899B1 (ko)
AU (1) AU2021286408B2 (ko)
CA (1) CA3144186C (ko)
GB (1) GB2609272A (ko)
WO (1) WO20230086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4899B1 (ko) * 2021-07-27 2022-06-07 주식회사 그레넥스 섬유상 여과기의 역세정 흡입장치
DE102022118497A1 (de) * 2022-07-25 2024-01-25 Mecana Umwelttechnik Gmbh Vorrichtung zum Reinigen und/oder Absaugen von Polfasern für die Polstofffiltratio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0550A (ko) * 2001-10-26 2002-05-30 정석표 여과능력이 향상된 원통형 카트리지 필터
US20090178976A1 (en) * 2006-10-20 2009-07-16 Jay Stevens Filtering device for liquid filtration
US10195549B1 (en) * 2017-11-21 2019-02-05 Aqua-Aerobic Systems, Inc. Backwash shoe method and apparatus that increases effective surface area of cloth filter media
KR102183820B1 (ko) * 2020-03-10 2020-11-30 주식회사 그레넥스 섬유상 여과기의 역세정 흡입장치
KR102264455B1 (ko) * 2020-08-03 2021-06-11 문연우 여과포 표면에 홈을 형성하는 홈형성수단을 포함하는 섬유디스크필터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32402A (en) * 1954-11-15 1960-04-12 Denver Equip Co Disc type filter
US3945924A (en) * 1971-02-24 1976-03-23 Peterson Filters & Engineering Company Apparatus for impact discharge of filter cake from a moving filter medium and for compacting filter cake thereon
US4166034A (en) * 1978-05-08 1979-08-28 Bodine Albert G Method and apparatus for sonically dehydrating precipitate
FI76705C (fi) * 1987-04-16 1988-12-12 Valmet Paper Machinery Inc Foerfarande foer rengoering av filterplattor foer sugtorkanordning.
DE19828171A1 (de) * 1998-06-24 1999-12-30 Mecana Umwelttechnik Ag Reich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Filtrieren von Flüssigkeit
JP3431067B2 (ja) * 1999-02-25 2003-07-28 株式会社ベリタス 浮遊物濾過処理装置
JP2002345699A (ja) 2001-05-28 2002-12-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用吸込具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WO2013032085A1 (ko) * 2011-08-31 2013-03-07 (주)에이앤티 섬유상 여과기용 흡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여과장치
US8852445B2 (en) * 2011-10-28 2014-10-07 Alfa Laval Ashbrook Simon-Hartley,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treating water and wastewater employing a cloth disk filter
US9314718B2 (en) * 2013-11-10 2016-04-19 Yamit Filtration & Water Treatment Ltd Backwash arrangement for cleaning a cylindrical filter screen
EP3185981B1 (en) * 2014-08-31 2020-02-19 Filter Art Ltd Filter employing stack of filter disks
WO2017092777A1 (de) * 2015-12-03 2017-06-08 Kronos International, Inc.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verbesserten fest-flüssig-filtration von filterkuchen
CN105854386B (zh) * 2016-05-23 2017-11-10 三明市缘福生物质科技有限公司 一种污水处理装置
KR20180020500A (ko) 2016-08-18 2018-02-28 주식회사 그레넥스 섬유 여과기의 역세정 장치용 흡입 상자
KR101791863B1 (ko) 2017-04-25 2017-11-01 주식회사 그레넥스 섬유상 여과기의 역세정 흡입 장치
KR102404899B1 (ko) * 2021-07-27 2022-06-07 주식회사 그레넥스 섬유상 여과기의 역세정 흡입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0550A (ko) * 2001-10-26 2002-05-30 정석표 여과능력이 향상된 원통형 카트리지 필터
US20090178976A1 (en) * 2006-10-20 2009-07-16 Jay Stevens Filtering device for liquid filtration
US10195549B1 (en) * 2017-11-21 2019-02-05 Aqua-Aerobic Systems, Inc. Backwash shoe method and apparatus that increases effective surface area of cloth filter media
KR102183820B1 (ko) * 2020-03-10 2020-11-30 주식회사 그레넥스 섬유상 여과기의 역세정 흡입장치
KR102264455B1 (ko) * 2020-08-03 2021-06-11 문연우 여과포 표면에 홈을 형성하는 홈형성수단을 포함하는 섬유디스크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24373A1 (en) 2023-02-01
GB2609272A (en) 2023-02-01
US20230032256A1 (en) 2023-02-02
CA3144186A1 (en) 2023-01-27
JP2023018627A (ja) 2023-02-08
GB202118193D0 (en) 2022-01-26
AU2021286408B2 (en) 2023-11-23
KR102404899B1 (ko) 2022-06-07
JP7318991B2 (ja) 2023-08-01
US11724218B2 (en) 2023-08-15
CA3144186C (en) 2023-08-29
AU2021286408A1 (en) 2023-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3008613A1 (ko) 섬유상 여과기의 역세정 흡입장치
WO2022030728A1 (ko) 여과포 표면에 홈을 형성하는 홈형성수단을 포함하는 섬유디스크필터
WO2011126175A1 (ko) 상향류식 여과장치
WO2012104746A1 (en) Reversible-flow filter with scavenging device
KR101050182B1 (ko) 직물 매체 여과 시스템
WO2017018590A1 (ko) 입체필터를 포함하는 원심필터
US4773990A (en) Axial flow filter having entry and exit filtration stages and flow distribution means
KR100569160B1 (ko) 원통형상의 스크린
WO2023128103A1 (ko) 수처리시설
GB2137110A (en) Filter Element Mounting
KR20000054043A (ko) 드럼필터를 이용한 여과방법
KR200424863Y1 (ko) 다중원판을 이용한 스크류타입의 재활용수 여과처리장치
FI70526C (fi) Skivfilter
WO2019143165A1 (ko) 세라믹 필터 여과막 모듈
KR200238870Y1 (ko) 여과장치
WO2011099656A1 (ko) 하향류식 고속 정밀 여과장치
KR101582195B1 (ko) 섬유여과막의 클리닝 및 이중 여과가 가능한 섬유여과기
WO2023195589A1 (ko) 분리형 2단 수직식 흡입세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섬유디스크필터
KR102289572B1 (ko) 압력식 프리코트 여과기의 필터 고정구조
KR200381730Y1 (ko) 고도처리 여과장치용 블럭
SU1411006A1 (ru) Фильтр дл очистки жидкостей
KR200173549Y1 (ko) 여과지 공기 역세척용 산기장치
CN205933477U (zh) 用于环境保护的污水净化器
CN104826377A (zh) 一种涡旋重力离心管道除污器
KR100655390B1 (ko) 고도처리 여과장치용 블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95198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