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2195B1 - 섬유여과막의 클리닝 및 이중 여과가 가능한 섬유여과기 - Google Patents

섬유여과막의 클리닝 및 이중 여과가 가능한 섬유여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2195B1
KR101582195B1 KR1020150061904A KR20150061904A KR101582195B1 KR 101582195 B1 KR101582195 B1 KR 101582195B1 KR 1020150061904 A KR1020150061904 A KR 1020150061904A KR 20150061904 A KR20150061904 A KR 20150061904A KR 101582195 B1 KR101582195 B1 KR 101582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ration membrane
fiber
tank
fiber filtration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1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인호
박완식
박혜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삼영이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삼영이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삼영이앤티
Priority to KR1020150061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21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2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2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4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33/4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33/461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0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cylindrical filtering surfaces, e.g. hollow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섬유여과막의 클리닝 및 이중 여과가 가능한 섬유여과기(100)는, 물(W)이 유입되는 탱크(110)와, 상기 탱크(110)의 측벽(113)을 관통하여 회전하도록 지지되고, 상기 탱크(110) 내부에 배치되는 전방 종단부(123)는 막혀 있고, 상기 탱크(110) 외측방의 후방 종단부(125)는 개방된 회전관(120)과, 상기 회전관(120)의 외측면에 부착된 디스크 형상의 디스크 필터(130)와, 상기 탱크(110)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관(12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크 필터(130)는, 상기 회전관(120)을 수용하는 링(131)과, 상기 링(131)의 내측면과 상기 회전관(120)의 외측면에 부착되고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된 다수의 지지바(133)와, 상기 링(131)의 내측면과 상기 회전관(120)의 외측면에 부착되고 양측의 지지바(133)에 부착되고 상기 링(131)의 양측방에 배치되므로 수용공간(137)을 형성시키는 섬유여과막(135)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바(133)와 섬유여과막(135)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회전관(120)에 관통되는 통공(127)을 포함하고, 상기 섬유여과막(135)의 외측면에 밀착되고 상기 탱크(110)에 지지되는 브러시(150)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섬유 여과막(135)에 의해서 일차적으로 여과되고, 이 상태에서 회전관(120)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섬유 여과막(135)이 물(W)을 통과하여 상부에 위치하게 되면 섬유 여과막(135)을 통과한 물(W)은 케이싱(161)의 관통구(162)와 여재(163)를 통해서 걸러진 후 후방의 스크린(165)으로 배수되므로 이중으로 여과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디스크 필터(130)가 회전할 때 양측의 섬유 여과막(135)은 상기 브러시(150)에 밀착되므로 섬유 여과막(135)에 묻은 이물질이 이탈되어 클리닝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섬유여과막의 클리닝 및 이중 여과가 가능한 섬유여과기 {Cleaning of fiber filtration membrane and fiber filter that can be double filtration}
본 발명은 섬유여과막의 클리닝 및 이중 여과가 가능한 섬유여과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섬유여과막을 자발로 클리닝(cleaning) 할 수 있고 섬유여과막을 통과한 물을 여재(濾材)를 통해서 다시 필터링하므로 이중으로 여과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여과막의 클리닝 및 이중 여과가 가능한 섬유여과기에 관한 것이다.
도 1과 함께 배경기술에 의한 정수장치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물(W)이 유입되어 수용되는 것으로서 유입 방향으로 개방된 탱크(10)가 구성되고, 상기 탱크(10)에 장착되어 유입되는 물(W)을 여과하여 탱크(10) 밖으로 배출하는 여과부(20)가 구성된다.
상기 여과부(20)는 상기 탱크(10)에 회전하도록 지지되는 회전관(21)이 구성되고, 상기 회전관(21)의 외측면에 부착된 디스크 형상의 디스크 필터(25)가 구성된다.
상기 디스크 필터(25)는 회전관(21)이 수용되는 링(27)과, 상기 링(27)의 내측면과 회전관(21)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지지바(29)가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바(29)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관(21)에 관통되어 물(W)이 드나드는 통공(23)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디스크 필터(25)의 양측면에 부착되어 물(W)이 걸러지는 섬유여과막(도시하지 않음)이 구성된다.
상기 회전관(21)은 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회전관(21)이 상기 탱크(10)의 개방부(13) 쪽으로 개방된 경우, 회전관(21)으로 유입된 물(W)이 상기 통공(23)을 통해서 섬유여과막(도시하지 않음) 사이로 충전된 후 섬유여과막(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걸러져서 배출되어 구성된다.
또는, 상기 회전관(21)은 상기 탱크(10)의 개방부(13) 쪽이 막혀 있고, 반대쪽은 개방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섬유여과막(도시하지 않음) 사이로 충전된 물(W)이 상기 통공(23)을 통해서 회전관(21) 사이로 유입된 후, 회전관(21) 밖으로 배출되어 구성된다.
상기 배경기술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상기 섬유여과막(도시하지 않음)이 물(W)에 포함된 이물질에 폐색되어 제기능을 못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한 실정이고, 이로 인해서, 상기 디스크 필터(25) 내지는 상기 섬유여과막(도시하지 않음)을 교체하는 작업이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여과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상기 섬유여과막(도시하지 않음)을 통해서 물(W)을 필터링 한다고 하지만, 미세한 이물질을 완전하게 여과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 등록 제10-0700154호 (2007년 03월 20일)
본 발명에 의한 섬유여과막의 클리닝 및 이중 여과가 가능한 섬유여과기는 다음 사항을 해결하고자 한다.
첫째, 상기 섬유여과막이 물에 포함된 이물질에 폐색되어 제기능을 못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한 실정이고, 이로 인해서, 상기 디스크 필터 내지는 상기 섬유여과막을 교체하는 작업이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여과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둘째, 상기 섬유여과막을 통해서 물을 필터링 한다고 하지만, 미세한 이물질을 완전하게 여과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섬유여과막의 클리닝 및 이중 여과가 가능한 섬유여과기는,
물이 유입되는 탱크와, 상기 탱크의 측벽을 관통하여 회전하도록 지지되고, 상기 탱크 내부에 배치되는 전방 종단부는 막혀 있고, 상기 탱크 외측방의 후방 종단부는 개방된 회전관과, 상기 회전관의 외측면에 부착된 디스크 형상의 디스크 필터와, 상기 탱크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관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크 필터는, 상기 회전관을 수용하는 링과, 상기 링의 내측면과 상기 회전관의 외측면에 부착되고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된 다수의 지지바와, 상기 링의 내측면과 상기 회전관의 외측면에 부착되고 양측의 지지바에 부착되고 상기 링의 양측방에 배치되므로 수용공간을 형성시키는 섬유여과막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바와 섬유여과막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회전관에 관통되는 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섬유여과막의 측면에 밀착되고 상기 탱크에 지지되는 브러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회전관(120)의 내부에 수용된 여재(濾材)와, 상기 회전관의 후방 종단부에 탈착되는 스크린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여재가 충전되는 것으로서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관 내부에 삽입되는 케이싱과, 상기 회전관의 후방 종단부에 부착되어 상기 케이싱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크린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섬유여과막의 클리닝 및 이중 여과가 가능한 섬유여과기는,
섬유 여과막에 의해서 일차적으로 여과된 후, 이 상태에서 회전관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섬유 여과막이 물을 통과하여 상부에 위치하게 되면 섬유 여과막을 통과한 물은 케이싱의 관통구와 여재를 통해서 걸러진 후 후방의 스크린으로 배수되므로 이중으로 여과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디스크 필터가 회전할 때 양측의 섬유 여과막은 상기 브러시에 밀착되므로 섬유 여과막에 묻은 이물질이 이탈되어 클리닝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배경기술에 비해서 오수에 포함된 미세한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여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배경기술에 의한 정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섬유여과막의 클리닝 및 이중 여과가 가능한 섬유여과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섬유여과막의 클리닝 및 이중 여과가 가능한 섬유여과기에 구성되는 회전관으로부터 여재가 충전된 케이싱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단면도.
도 4는 도 2를 A 방향에서 본 것을 도시한 측면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와 작동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섬유여과막의 클리닝 및 이중 여과가 가능한 섬유여과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섬유여과막의 클리닝 및 이중 여과가 가능한 섬유여과기에 구성되는 회전관으로부터 여재가 충전된 케이싱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단면도, 도 4는 도 2를 A 방향에서 본 것을 도시한 측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섬유여과막의 클리닝 및 이중 여과가 가능한 섬유여과기(100)는 자발로 이물질의 클리닝이 가능하고 이중으로 물(W)을 여과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물(W)이 유입되는 탱크(110)가 구성되고, 상기 탱크(110)의 측벽(113)을 관통하여 회전하도록 지지되고, 상기 탱크(110) 내부에 배치되는 전방 종단부(123)는 막혀 있고, 상기 탱크(110) 외측방의 후방 종단부(125)는 개방된 회전관(120)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관(120)의 외측면에 부착된 디스크 형상의 디스크 필터(130)가 구성되고, 상기 탱크(110)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관(12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140)가 구성된다.
상기 탱크(110)는, 도 2에서처럼 전방과 상방으로 개방된 형상의 것도 가능하고, 상방으로 개방되고 사방이 막혀진 형상의 것도 가능하다. 전방과 상방으로 개방된 형성의 것은 물(W)에 침수되므로 물(W)이 유입되는 타입이고, 사방이 막혀진 형상의 것은 지상에 설치된 상태에서 탱크(110) 내부로 호스를 통해서 물(W)이 유입되는 타입이다.
상기 디스크 필터(130)는 회전관(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회전관(120)을 수용하는 링(131)이 구성되고, 상기 링(131)의 내측면과 상기 회전관(120)의 외측면에 부착되고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된 다수의 지지바(133)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링(131)의 내측면과 상기 회전관(120)의 외측면에 부착되고 양측의 지지바(133)에 부착되고 상기 링(131)의 양측방에 배치되므로 수용공간(137)을 형성시키는 섬유여과막(135)이 구성된다. 즉, 상기 섬유여과막(135)은 링(131)의 양측면을 커버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링(131)의 내부에 지지바(133)를 통해서 구획된 부분을 커버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섬유여과막(135)은 일례로서 UF(Ultra-Filtration)섬유여과막, NF(Nano-Filtration)섬유여과막 등으로 구성할 수 있는데, UF 섬유여과막은 0.01∼0.001㎛의 미세공이 형성된 것이고, NF 섬유여과막은 0.005∼0.001㎛의 미세공이 형성된 것으로서 세균, 고분자, 단백질, 고분자 유기물 등을 여과시키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관(120)은, 상기 지지바(133)와 섬유여과막(135)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관(120)에 관통되는 통공(127)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관(120)의 내부에 여재(163, 濾材)가 충전되어 구성되는데 일례로 모래, 자갈, 활성탄, 세라믹 입자 등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회전관(120)의 후방 종단부(125)에 탈착되는 스크린(165)이 구성되므로 상기 여재(163)가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면서 물(W)만 후방으로 배수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스크린(165)은 볼트(B)가 관통되어 회전관(120)의 후방 종단부(125)에 형성된 탭홀(T)에 체결되므로 부착이 가능하다. 물론, 상기 볼트(B)를 이탈시켜서 스크린(165)을 회전관(12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관(120)은 전방 종단부(120)가 회전하도록 지지되는 서포터(160)가 탱크(110)의 바닥면에 지지되어 구성된다. 상기 서포터(160)는 베어링유니트가 구성된 지지대로서 회전관(120)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관(120)이 통과하는 상기 측벽(113)에는 베어링(R)이 장착되어 회전관(12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여재(163)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상기 여재(163)가 충전되는 것으로서 관통구(162)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관 (120) 내부에 삽입되는 케이싱(161)이 구성된다. 상기 케이싱(161)은 캡이 착탈되도록 형성되어 여재(163)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구동부(140)는, 상기 탱크(110)에 고정된 모터(141)와 상기 모터(141)의 회전축에 고정된 구동 스프로킷(145)과 상기 구동 스프로킷(145)에 대응하도록 회전관(120)의 외측면에 고정된 종동 스프로킷(147)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 스프로킷(145)과 종동 스프로킷(147)에 동시에 감긴 체인(143)이 구성된다. 상기 구동 스프로킷(145)과 종동 스프로킷(147) 및 체인(143)은 각각 구동풀리,종동풀리, 벨트로도 대체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섬유여과막(135)의 외측면에 밀착되고 상기 탱크(110)에 지지되는 브러시(150)가 구성된다. 상기 브러시(150)는 다수 개가 구비되어 각 디스크 필터(130)의 양측에 배치된 섬유여과막(135)에 밀착되어 구성된다. 즉, 단일 개의 브러시(150)가 양측방에 모(毛)가 형성되므로 양측 디스크 필터(130) 사이에 배치되어 양측 디스크 필터(130)의 섬유여과막(135)에 마찰되면서 클리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물론, 최 전방과 후방에 배치된 디스크 필터(130)에 마찰되는 브러시(150)는 한 쪽 섬유여과막(135)만 클리닝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섬유여과막의 클리닝 및 이중 여과가 가능한 섬유여과기(100)의 작동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탱크(110)에 물(W)이 1/3 정도 충전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140)에 전원을 인가하여 모터(141)가 회전하도록 하므로 상기 회전관(120)이 회전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디스크 필터(130)가 회전하면서 물(W)을 통과할 때 양측에 배치된 섬유 여과막(135)을 통해서 물(W)이 수압에 의해서 통과하여 디스크 필터(130)의 내부에 충전된다.
이때, 섬유 여과막(135)에 의해서 일차적으로 여과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회전관(120)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섬유 여과막(135)이 물(W)을 통과하여 상부에 위치하게 되면 섬유 여과막(135)을 통과한 물(W)은 케이싱(161)의 관통구(162)와 여재(163)를 통해서 걸러진 후 후방의 스크린(165)으로 배수되므로 이중으로 여과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디스크 필터(130)가 회전할 때 양측의 섬유 여과막(135)은 상기 브러시(150)에 밀착되므로 섬유 여과막(135)에 묻은 이물질이 이탈되어 클리닝되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배경기술에 비해서 오수에 포함된 미세한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여과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례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섬유여과막의 클리닝 및 이중 여과가 가능한 섬유여과기
110: 탱크 113: 측벽 120: 회전관 123: 전방 종단부 125: 후방 종단부 127: 통공 130: 디스크 필터 131: 링 133: 지지바 135: 섬유여과막 137: 수용공간 140: 구동부 141: 모터 143: 체인 145: 스프로킷 150: 브러시 161: 케이싱 162: 관통구 163: 여재(濾材) 165: 스크린

Claims (3)

  1. 물(W)이 유입되는 탱크(110)와,
    상기 탱크(110)의 측벽(113)을 관통하여 회전하도록 지지되고, 상기 탱크(110) 내부에 배치되는 전방 종단부(123)는 막혀 있고, 상기 탱크(110) 외측방의 후방 종단부(125)는 개방된 회전관(120)과,
    상기 회전관(120)의 외측면에 부착된 디스크 형상의 디스크 필터(130)와,
    상기 탱크(110)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관(12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크 필터(130)는,
    상기 회전관(120)을 수용하는 링(131)과,
    상기 링(131)의 내측면과 상기 회전관(120)의 외측면에 부착되고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된 다수의 지지바(133)와,
    상기 링(131)의 내측면과 상기 회전관(120)의 외측면에 부착되고 양측의 지지바(133)에 부착되고 상기 링(131)의 양측방에 배치되므로 수용공간(137)을 형성시키는 섬유여과막(135)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바(133)와 섬유여과막(135)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회전관(120)에 관통되는 통공(127)을 포함하고,
    상기 섬유여과막(135)의 외측면에 밀착되고 상기 탱크(110)에 지지되는 브러시(150)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관(120)의 내부에 수용된 여재(163, 濾材)와, 상기 회전관(120)의 후방 종단부(125)에 탈착되는 스크린(165)을 포함하되,
    상기 여재(163)는 관통구(162)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관 (120) 내부에 삽입되는 케이싱(161)에 충전되고, 상기 스크린(165)은 상기 회전관(120)의 후방 종단부(125)에 부착되어 상기 케이싱(161)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며,
    섬유여과막(135)은 UF(Ultra-Filtration)섬유여과막 또는 NF(Nano-Filtration)섬유여과막이며,
    상기 UF 섬유여과막은 0.01∼0.001㎛의 미세공이 형성되고, 상기 NF 섬유여과막은 0.005∼0.001㎛의 미세공이 형성되며,
    상기 여재(163)는 모래, 자갈, 활성탄, 세라믹 입자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여과막의 클리닝 및 이중 여과가 가능한 섬유여과기.
  2. 삭제
  3. 삭제
KR1020150061904A 2015-04-30 2015-04-30 섬유여과막의 클리닝 및 이중 여과가 가능한 섬유여과기 KR101582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1904A KR101582195B1 (ko) 2015-04-30 2015-04-30 섬유여과막의 클리닝 및 이중 여과가 가능한 섬유여과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1904A KR101582195B1 (ko) 2015-04-30 2015-04-30 섬유여과막의 클리닝 및 이중 여과가 가능한 섬유여과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2195B1 true KR101582195B1 (ko) 2016-01-05

Family

ID=55164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1904A KR101582195B1 (ko) 2015-04-30 2015-04-30 섬유여과막의 클리닝 및 이중 여과가 가능한 섬유여과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21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05440A (zh) * 2020-09-14 2020-11-10 刘文宏 一种造纸废水过滤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6151A (ja) * 1993-09-28 1995-04-11 Shinko Pantec Co Ltd 回転濾過装置
KR200286711Y1 (ko) * 2002-06-05 2002-08-22 지철권 오폐수처리용 디스크 드럼필터
KR100700154B1 (ko) 2006-03-24 2007-03-28 주식회사 유천엔바이로 더블형 마이크로 디스크필터
KR20090086187A (ko) * 2009-07-20 2009-08-11 주식회사삼영이앤티 생물학적 분해반응을 포함하는 여과장치
JP2014213314A (ja) * 2013-04-30 2014-11-17 富士フィルター工業株式会社 濾過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6151A (ja) * 1993-09-28 1995-04-11 Shinko Pantec Co Ltd 回転濾過装置
KR200286711Y1 (ko) * 2002-06-05 2002-08-22 지철권 오폐수처리용 디스크 드럼필터
KR100700154B1 (ko) 2006-03-24 2007-03-28 주식회사 유천엔바이로 더블형 마이크로 디스크필터
KR20090086187A (ko) * 2009-07-20 2009-08-11 주식회사삼영이앤티 생물학적 분해반응을 포함하는 여과장치
JP2014213314A (ja) * 2013-04-30 2014-11-17 富士フィルター工業株式会社 濾過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05440A (zh) * 2020-09-14 2020-11-10 刘文宏 一种造纸废水过滤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41382B2 (en) Method and system for filtering sediment-bearing fluids
CN102430339B (zh) 自清洗过滤膜装置
US20070187328A1 (en) Method and system for filtering sediment-bearing fluids
KR20130107907A (ko) 회전 날개로 구동되는 세척 브러쉬를 가지는 필터 엘리먼트 및 그를 포함하는 여과장치
CN105477922A (zh) 带自动清洁滤网功能的前置过滤器
KR102127546B1 (ko) 하수 슬러지 탈수장치
JP2019529100A (ja) バイパス水を逆洗で使用されることから防止するバイパス水制御器を備えるフレーム型ディスクフィルタ
KR20190052350A (ko) 다중 복합 샌드 여과기
WO2015166569A1 (ja) 浄水器
KR101448298B1 (ko) 수처리 여과장치에 사용되는 여과필터
JP5869623B2 (ja) ストレーナーアセンブリ
KR100630372B1 (ko) 여과장치
KR200286711Y1 (ko) 오폐수처리용 디스크 드럼필터
KR101582195B1 (ko) 섬유여과막의 클리닝 및 이중 여과가 가능한 섬유여과기
KR101468655B1 (ko) 수처리용 여과장치
KR100866039B1 (ko) 하폐수 여과 장치
KR101985292B1 (ko) 필터 자동 클리닝 기능을 갖는 정수장치
US20090166283A1 (en) Filter Device and Method for Purifying Polluted Liquids
KR101258440B1 (ko) 역세척이 필요없는 여과형 수처리장치
KR101472852B1 (ko) 해수용 필터장치
JP2009240892A (ja) 回転濾過装置
KR101644519B1 (ko) 연속식 여과장치
KR100257861B1 (ko) 자동여과장치
US4239626A (en) Filter for removing fines
KR101682366B1 (ko) 다단 섬유상 여과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