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2366B1 - 다단 섬유상 여과기 - Google Patents

다단 섬유상 여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2366B1
KR101682366B1 KR1020160096068A KR20160096068A KR101682366B1 KR 101682366 B1 KR101682366 B1 KR 101682366B1 KR 1020160096068 A KR1020160096068 A KR 1020160096068A KR 20160096068 A KR20160096068 A KR 20160096068A KR 101682366 B1 KR101682366 B1 KR 1016823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ration
fluid
compartments
compartment
di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6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국중창
김용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레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레넥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레넥스
Priority to KR1020160096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23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2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23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15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plane filtering surfaces
    • B01D33/2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plane filtering surfaces with hollow filtering discs transversely mounted on a hollow rotary shaft
    • B01D33/23Construction of discs or component sector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4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58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 B01D33/60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for wa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08Regeneration of the filter
    • B01D2201/081Regeneration of the filter using nozzles or suction devices
    • B01D2201/082Suction devices placed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과조를 여러 개의 격실이 연속해서 이어지게 구성하고, 하나의 격실에서 여과한 유체가 인접한 다음 격실로 이동하여 다시 여과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여러 번에 걸쳐 여과를 반복할 수 있어 여과 정도를 높일 수 있게 한 다단 섬유상 여과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각 격실에 장착하는 디스크형 여재의 개수를 여러 개씩 구성하여 여과할 수 있는 유량을 늘리거나, 각 격실로 유체가 유동해 갈수록 점차 여과 정도가 작은 디스크형 여재로 여과가 이루어지게 구성하여 필요한 유량을 충분하게 얻을 수 있게 하거나, 여러 번에 걸쳐 여과하여 여과 정도를 더욱 높일 수 있게 한 다단 섬유상 여과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다단 섬유상 여과기{MULTISTAGE FABRIC FILTR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다단 섬유상 여과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여과조를 적어도 두 개의 격실로 구분하고, 하나의 회전축이 격실을 관통하여 각 격실에 노출되게 설치한 뒤에 각 격실에 디스크형 여재가 위치하도록 회전축에 장착하고, 특히 각 격실에서 디스크형 여재로 여과한 유체가 유도관을 통해 인접한 격실로 차례로 이송하게 구성하므로, 여러 번에 걸쳐 여과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어 같은 크기의 여과기에서도 여과 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섬유상 여과기는 디스크형 여재 표면에 섬유(융털)를 갖는 여과포를 구비하여 오폐수 등이 이 디스크형 여재 를 통과하는 동안 이물질이 섬유에 의해 걸러지게 하여 오폐수를 여과시켜 주는 여과기를 말한다. 이러한 섬유상 여과는,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와 같이, 다양한 구조와 제작하여 사용한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발명 제1177369호
디스크형 필터편과 맞닿게 장착되는 역세정 흡입장치가 섬유 등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작용을 하지 않을 때에는 이 디스크형 필터편에서 분리되게 함으로써, 디스크형 필터편에 구성된 섬유가 장시간 동안 역세정 흡입장치에 의해 눌리는 현상을 방지하여 섬유의 여과효율의 향상 및 수명을 연장시켜 줄 수 있도록 한 역세정 흡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섬유상 여과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역세정 흡입장치가 부력을 이용하여 디스크형 필터편에서 이격되게 구성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쉽게 동작시켜 역세정 흡입장치를 밀착 또는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역세정 흡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섬유상 여과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특허문헌 2) 한국등록실용 제0479114호
하나의 스트링을 필터 막의 테두리에 미리 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여러 개의 고정 고리에 끼운 다음, 이 스트링의 양단을 잡아당긴 다음 그 양쪽 끝을 고정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한 번에 모든 고정 고리에 일정한 인장력을 가할 수 있어 필터 막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잡아당겨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고정할 수 있게 한 디스크형 여과장치의 필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이처럼 하나의 스트링을 이웃한 고정 고리에 차례로 끼우거나 무작위(Random)로 고정 고리에 끼워서 잡아당김으로써, 필터 막을 쉽게 설치하거나 교체할 수 있으면서도 그 테두리 부분을 균일하고 안정적으로 당겨지게 하여 필터 막이 이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여과 효율을 최대한 높일 수 있게 한 디스크형 여과장치의 필터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이같이 고정 고리에 끼운 스트링의 양쪽 끝을, 고리나 퀵 릴리스 버클(Quick Release Buckle) 또는 와인딩 및 언와인딩 장치에 연결함으로써, 스트링의 양쪽 끝을 쉽게 고정하거나 풀 수 있게 하여 장착과 교체 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 디스크형 여과장치의 필터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한편, 통상의 섬유상 여과기는, [도 1]과 같이, 여과조(10) 안에 모터(21)로 구동하는 회전축(20)을 설치하고, 이 회전축(20)에 적어도 하나의 디스크형 여재(30)를 장착한다. 도면에서, 디스크형 여재(30)는 두 개를 장착한 예를 보여주고 있으며, 미설명 도면부호 "40"은 디스크형 여재(30) 표면에 묻은 고형물 등을 세정하는 데 사용하는 역세정 장치를 나타낸다.
이러한 섬유상 여과기는, [도 2]와 같이, 하나의 회전축(20)에 여러 개의 디스크형 여재(30)를 장착하여 모터 구동으로 회전하면서 오수나 폐수 등을 여과하므로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도면에서, 화살표는 여과한 유체가 유동하는 흐름 방향을 나타낸다.
(1) 여과조(10)에 채운 오수나 폐수가 각 디스크형 여재(30) 안으로 유입되면서 여과 작용이 이루어지고, 여과한 유체는 회전축(20)을 통해 여과조(10) 밖으로 배출하므로 여과한 유체의 여과 정도(精度)를 높일 수 없다.
(2) 즉, 여러 개의 디스크형 여재(30) 안으로 유체가 들어오게 하면서 이물이 디스크형 여재(30) 외부 면에 걸러지게 하여 여과하고, 여과한 유체는 회전축(20)을 통해 여과조(10) 밖으로 배출하는 구조로 이루어졌다. 이에, 여러 개의 디스크형 여재(30)가 있더라도 여과량을 늘릴 수는 있으나, 여과하는 정도(程度)에는 한계가 있다.
(3) 이 같은 구조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크형 여재(30)를 하나의 여과조 안에 배치하도록 구성함에 따라 한 번 여과한 유체를 다시 여과할 수 없으므로 여과 정도를 높일 수 없다.
한국등록발명 제1177369호 (등록일 : 2012.08.21) 한국등록실용 제0479114호 (등록일 : 2015.12.15)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여과조를 여러 개의 격실이 연속해서 이어지게 구성하고, 하나의 격실에서 여과한 유체가 인접한 다음 격실로 이동하여 다시 여과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여러 번에 걸쳐 여과를 반복할 수 있어 여과 정도를 높일 수 있게 한 다단 섬유상 여과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각 격실에 장착하는 디스크형 여재의 개수를 여러 개씩 구성하여 여과할 수 있는 유량을 늘리거나, 각 격실로 유체가 유동해 갈수록 점차 여과 정도가 작은 디스크형 여재로 여과가 이루어지게 구성하여 필요한 유량을 충분하게 얻을 수 있게 하거나, 여러 번에 걸쳐 여과하여 여과 정도를 더욱 높일 수 있게 한 다단 섬유상 여과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섬유상 여과기는, 적어도 두 개의 격실(110a, 110b)을 나란하게 구성한 여과조(100); 상기 격실(110a, 110b)을 구분하는 격벽(111)을 관통하여 모터로 회전할 수 있게 여과조(100) 내부에 장착한 회전축(200); 한쪽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각 격실(110a, 110b)에 하나씩 놓이도록 회전축(200)에 장착한 유도관(300a, 300b); 상기 각 유도관(300a, 300b)에 장착하여 그 내부와 유체가 출입할 수 있게 장착한 적어도 하나의 디스크형 여재(400); 및 여과하는 유체의 흐름과 반대로 유체를 흐르게 하여 디스크형 여재(400) 표면의 이물을 제거하는 역세정 장치(500);를 포함하되;, 상기 유도관(300a)은 개방한 한쪽이 격벽(111)과 밀착하게 설치하여 이 유도관(300a) 내부의 유체가 격벽(111)을 통과하여 이웃한 다른 격실(110b)로 연속해서 유체 흐름이 이루어지게 구성하고;, 마지막 격실에 설치한 유도관(300b)은 그 내부의 유체가 회전축(200)을 통해 여과조(100) 외부로 유체를 배출할 수 있게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디스크형 여재(400)는, 각 격실(110a, 110b)에 여과 정도(精度)가 다른 것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디스크형 여재(400)는, 오수나 폐수가 제일 먼저 들어오는 첫 번째 격실(110a)에서 여과한 유체가 차례로 지나가는 격실로 갈수록 여과 정도가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디스크형 여재(400)는, 각 격실(110a, 110b)에는 같은 여과 정도를 가진 것을 여러 개 설치하여 여과 유량을 높일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섬유상 여과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여과조에 공급한 유체를 각 격실을 거치면서 여러 번에 걸쳐 여과할 수 있으므로 여과 정도를 높일 수 있다.
(2) 특히, 각 격실에 다른 여과 정도를 가진 디스크형 여재를 장착함에 따라 여과가 이루어질 때마다 여과 정도를 높일 수 있어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섬유상 여과기로 한 번 여과하더라도 여과 정도가 다른 여과기를 여러 개 거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3) 각 격실에 같은 여과 정도를 가진 디스크형 여재를 여러 개 설치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격실에서 한 번에 여과할 수 있는 여과 유량을 늘려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섬유상 여과기의 여과 효율을 높일 수 있다.
(4) 또한, 각 격실에 여과 정도가 같은 디스크형 여재를 장착하더라도 같은 여과 정도로 여러 번에 걸쳐 여과 작용이 이루어지므로 여과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 섬유상 여과기의 한 가지 예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섬유상 여과기에서 여과한 유체가 유동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섬유상 여과기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섬유상 여과기로 여과한 유체가 유동하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한가지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구성)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섬유상 여과기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여과조(100), 회전축(200), 유도관(300a, 300b), 디스크형 여재(400), 그리고 역세정 장치(500)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여과조(100)는 적어도 두 개의 격실(110a, 110b)이 나란하게 위치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회전축(200)은 이 여과조(100)에 격실(110a, 110b)을 구분하는 격벽(111)을 관통하게 장착하며, 어느 하나의 격실(110a)에서 여과한 유체가 유도관을 통해 인접한 다른 격실(110b)로 유동하게 구성함으로써, 적어도 두 번에 걸쳐 여과 작용을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과조(100)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오수나 폐수와 같은 여과할 유체를 수용하기 위한 구성을 말한다. 특히, 여과조(100)는 여러 번에 걸쳐 여과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적어도 두 개의 격실(110a, 110b)로 구성한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격실(110a, 110b)은 나란하게 구성하여 하나의 회전축(200)으로 여과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격실(110a, 110b)은 도면에서 여과조(100)를 하나의 격벽(111)을 이용하여 두 개로 나눈 것을 예로 들어서 설명하고 있으나, 격벽(111)을 여러 개 구성하여 이보다 더 많은 개수의 격실로 구성할 수 있음을 해당 업계 종사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회전축(200)은, [도 3] 및 [도 4]와 같이, 상술한 격실(110a, 110b)을 구분하는 격벽(111)을 관통하여 이들 전체 격실(110a, 110b )에 걸쳐지게 장착한다. 이때, 회전축(200)은 미도시한 모터를 통해 회전할 수 있게 설치한다.
이러한 회전축(200)은 한쪽 또는 양쪽을 여과조(100) 외부로 돌출하게 하여 회전 지지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양쪽이 여과조(100) 밖으로 돌출하지 않고 여과조(100) 내에서 회전 지지를 받을 수 있게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한쪽이 여과조(100) 밖으로 돌출되게 하여 후술할 유도관(300b)이 이렇게 돌출된 회전축(200)을 통해 여과를 끝낸 유체를 여과조(100) 밖으로 배출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모터는 회전축(200)과 체인과 스프라킷(Sprocket)과 같은 통상의 동력 전달 수단을 통해 여과조(100) 밖과 같이 모터가 여과할 유체에 영향을 받지 않게 설치한 상태에서 동력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도관(300a, 300b)은, [도 3] 및 [도 4]와 같이, 한쪽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각 격실(110a, 110b)에 놓이도록 회전축(200)에 장착한다. 상기 유도관(300a)은 첫 번째 격실(300a)에 놓이는 것으로, 개방한 쪽이 격벽(111)을 향해 밀착하여 회전할 수 있게 회전축(200)에 삽입 장착한다. 이때, 상기 유도관(300a)은 격벽(111)과의 사이에 틈새가 생기지 않고 회전할 수 있게 실링 처리하여 첫 번째 격실(110a)에 있는 유체가 격벽(111)과 이 격실(110a) 사이의 틈새로 두 번째 격실(110b) 쪽으로 새나가지 않게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유도관(300a)은 후술할 디스크형 여재(400)를 통해 여과한 유체가 안으로 유입되면 이 유체가 격벽(111)을 통과하게 하여 두 번째 격실(110b)로 들어가게 유도한다.
나머지 유도관(300b)은, [도 3] 및 [도 4]와 같이, 두 번째 격실(110b)에 위치하도록 상기 회전축(200)에 끼워서 장착한다. 이때, 이 유도관(300b)은 개방한 한쪽이 여과조(100)의 벽체를 통해 그 안의 유체가 여과조(100) 밖으로 배출할 수 있게 구성한다. 이때, 이 유도관(300b)의 개방한 한쪽이 여과조(100) 벽체와 접하는 부분은, 회전축(200)과 함께 회전하면서 두 번째 격실(110b)에 있는 유체가 여과조(100) 벽체와 유도관(300b) 사이로 새지 않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술한 유도관(300a, 300b)은 두 개인 경우를 예로 들어서 설명하고 있으나, 여과조(100) 안을 여러 개의 격실로 구성하고 각 격실에 각각 하나씩 유도관이 위치하도록 구성한 경우, 유도관은 상술한 하나의 유도관(300a)을 설치할 때 설명과 같이 이웃한 격실과의 사이로 유체가 새지 않으면서 차례대로 앞 격실에 설치한 유도관 안으로 여과하여 들어온 유체가 뒤 격실 안으로 배출될 수 있게 연속하여 구성할 수 있음을 해당 업계 종사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유도관(300a, 300b)은, [도 3] 및 [도 4]와 같이, 실링(310)을 이용하여 격벽(111)이나 여과조 측벽 등을 통해 유체가 새지 않게 하면서 회전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크형 여재(400)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상술한 각 유도관(300a, 300b)에 적어도 하나씩 장착한다. 이러한 디스크형 여재(400)는 원판 형상으로 여과포를 양쪽에 장착하고 그 사이로 유체가 흡입되게 하여 여과포의 바깥 면에 고형물 등을 잔류시켜서 여과하게 하는 통상의 기술로 제작한 것을 사용한다.
특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크형 여재(400)는 격실(110a, 110b)마다 다른 여과 정도(精度)를 가진 여재를 장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오수나 폐수가 제일 먼저 유입하는 첫 번째 격실(110a)에는 여과 정도가 큰 디스크형 여재를 장착하여 고형물의 크기가 큰 것을 걸러주고, 이어 두 번째 격실(110b)에는 여과 정도가 작은 디스크형 여재를 장착하여 작은 고형물을 걸러줌으로써 여과 정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디스크형 여재(400)의 수명을 연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크형 여재(400)는 각 격실에 같은 여과 정도를 가진 여재를 여러 개씩 장착할 수 있다. 이는, 각 격실에서 여러 개의 디스크형 여재로 여과하므로 한 번에 여과할 수 있는 유량을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역세정 장치(500)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각 디스크형 여재(400)의 외주 면을 따라 움직이면서 여과포 표면에 붙은 고형물을 떼어내어 디스크형 여재(400)의 여과 성능을 회복하게 하기 위한 세정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역세정 장치(500)는 통상 디스크형 여재(400)에서 여과하는 방향과 다른 방향, 즉 디스크형 여재(400) 안에 있는 여과한 유체를 다시 디스크형 여재(400) 밖으로 나오도록 흡입하여 그 압력으로 디스크형 여재(400)를 구성하는 여과포에 부착한 고형물을 제거하는 통상의 기술로 제작한 세정 장치를 이용한다.
이에, 본 발명은, [도 4]와 같이, 오수나 오물과 같이 고형물이 많은 상태의 유체가 첫 번째 격실(110a)에 들어온 상태에서 빗금친 화살표와 같이 디스크형 여재(400)를 거치면서 한 번 여과가 되고, 여과된 유체는 첫 번째 유도관(300a)을 통해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두 번째 격실(110b)로 이동하고, 이어 두 번째 디스크형 여재(400)를 통해 다른 유도관(300b) 안으로 들어가면서 두 번에 걸친 여과를 한다. 마지막으로, 진한 화살표와 같이 두 번째 유도관(300b)으로 들어온 유체는 두 번에 걸쳐 여과가 이루어진 다음 여과조(100) 밖으로 배출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과조를 여러 개의 격실로 구성하고, 각 격실에서 여과한 유체를 인접한 격실로 이동하게 하여 차례로 여과가 이루어지게 구성하므로, 여과 정도를 높일 수 있게 한다.
100 : 여과조
110a, 110b : 격실
111 : 격벽
200 : 회전축
300a, 300b : 유도관
400 : 디스크형 여재
500 : 역세정 장치

Claims (4)

  1. 적어도 두 개의 격실(110a, 110b)을 나란하게 구성한 여과조(100); 상기 격실(110a, 110b)을 구분하는 격벽(111)을 관통하여 모터로 회전할 수 있게 여과조(100) 내부에 장착한 회전축(200); 한쪽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각 격실(110a, 110b)에 하나씩 놓이도록 회전축(200)에 장착한 유도관(300a, 300b); 상기 각 유도관(300a, 300b)에 장착하여 그 내부와 유체가 출입할 수 있게 장착한 적어도 하나의 디스크형 여재(400); 및 여과하는 유체의 흐름과 반대로 유체를 흐르게 하여 디스크형 여재(400) 표면의 이물을 제거하는 역세정 장치(500);를 포함하되,
    상기 유도관(300a)은 개방한 한쪽이 격벽(111)과 밀착하게 설치하여 이 유도관(300a) 내부의 유체가 격벽(111)을 통과하여 이웃한 다른 격실(110b)로 연속해서 유체 흐름이 이루어지게 구성하고,
    마지막 격실에 설치한 유도관(300b)은 그 내부의 유체가 회전축(200)을 통해 여과조(100) 외부로 유체를 배출할 수 있게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섬유상 여과기.
  2. 제1 항에서,
    상기 디스크형 여재(400)는,
    각 격실(110a, 110b)에 여과 정도(精度)가 다른 것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섬유상 여과기.
  3. 제2 항에서,
    상기 디스크형 여재(400)는,
    오수나 폐수가 제일 먼저 들어오는 첫 번째 격실(110a)에서 여과한 유체가 차례로 지나가는 격실로 갈수록 여과 정도가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섬유상 여과기.
  4. 제1 항에서,
    상기 디스크형 여재(400)는,
    각 격실(110a, 110b)에는 같은 여과 정도를 가진 것을 여러 개 설치하여 여과 유량을 높일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섬유상 여과기.
KR1020160096068A 2016-07-28 2016-07-28 다단 섬유상 여과기 KR101682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6068A KR101682366B1 (ko) 2016-07-28 2016-07-28 다단 섬유상 여과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6068A KR101682366B1 (ko) 2016-07-28 2016-07-28 다단 섬유상 여과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2366B1 true KR101682366B1 (ko) 2016-12-06

Family

ID=57576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6068A KR101682366B1 (ko) 2016-07-28 2016-07-28 다단 섬유상 여과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236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0716A (ja) * 1984-10-11 1986-05-08 Kaname Miura 動的ろ過装置
KR100479114B1 (ko) 1998-09-24 2005-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동 시스템의 팽창 밸브
KR20090061552A (ko) * 2007-12-11 2009-06-16 주식회사 필맥스 다단형 가변와류 발생 로터를 이용한 여과장치
KR101177369B1 (ko) 2012-04-26 2012-08-27 (주) 에이앤티 섬유상 여과기의 역세정 흡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섬유상 여과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0716A (ja) * 1984-10-11 1986-05-08 Kaname Miura 動的ろ過装置
KR100479114B1 (ko) 1998-09-24 2005-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동 시스템의 팽창 밸브
KR20090061552A (ko) * 2007-12-11 2009-06-16 주식회사 필맥스 다단형 가변와류 발생 로터를 이용한 여과장치
KR101177369B1 (ko) 2012-04-26 2012-08-27 (주) 에이앤티 섬유상 여과기의 역세정 흡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섬유상 여과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35785B2 (ja) 船舶用バラスト水の処理装置
US9023208B2 (en) Disc filter
US6294098B1 (en) High efficiency backwash shoe
KR100354451B1 (ko) 역류세정식 필터
US11000791B2 (en) Rotary disc filter having backwash guides
JP5887741B2 (ja) 船舶用バラスト水の処理装置および船舶用バラスト水の処理方法
US20070187328A1 (en) Method and system for filtering sediment-bearing fluids
WO2013071877A1 (zh) 旋转容器、使用该旋转容器的流体过滤装置及系统
KR20130107907A (ko) 회전 날개로 구동되는 세척 브러쉬를 가지는 필터 엘리먼트 및 그를 포함하는 여과장치
KR101331598B1 (ko) 공공하수와 공장폐수용 여과기
US9962633B2 (en) Disk type filtering apparatus
KR100630372B1 (ko) 여과장치
KR101682366B1 (ko) 다단 섬유상 여과기
KR101820959B1 (ko) 실시간 세척기능을 가진 필터시스템
JP5251097B2 (ja) 膜分離装置
KR101682367B1 (ko) 다단 섬유상 여과기
US5139670A (en) Rotating drum filter
KR101642025B1 (ko) 진공 흡입 구조의 다중 필터 방식의 드럼 스크린 장치
KR101985292B1 (ko) 필터 자동 클리닝 기능을 갖는 정수장치
US6358406B1 (en) Vacuum fluid filter
JP2013188689A (ja) フィルタエレメント及び濾過装置
KR101582195B1 (ko) 섬유여과막의 클리닝 및 이중 여과가 가능한 섬유여과기
JP6096103B2 (ja) 回転ドラムスクリーン装置
SU654265A1 (ru) Фильтр дл очистки жидкости
KR200476775Y1 (ko) 수처리 여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