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250175A1 - 오버럴 리치 조절이 가능한 자전거 프레임 - Google Patents

오버럴 리치 조절이 가능한 자전거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250175A1
WO2022250175A1 PCT/KR2021/006487 KR2021006487W WO2022250175A1 WO 2022250175 A1 WO2022250175 A1 WO 2022250175A1 KR 2021006487 W KR2021006487 W KR 2021006487W WO 2022250175 A1 WO2022250175 A1 WO 202225017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eat
bicycle frame
overall reach
area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0648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재용
Original Assignee
이재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용 filed Critical 이재용
Priority to CN202180098651.7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7377611A/zh
Priority to PCT/KR2021/006487 priority patent/WO2022250175A1/ko
Priority to KR1020237040885A priority patent/KR20240004670A/ko
Publication of WO202225017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25017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2Saddles resiliently mounted on the frame; Equipment therefor, e.g. springs
    • B62J1/06Saddles capable of parallel motion up and dow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8Frames for saddles; Connections between saddle frames and seat pillars; Seat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62K21/18Connections between forks and handlebars or handlebar stems
    • B62K21/22Connections between forks and handlebars or handlebar stems adjustable

Definitions

  • the bicycle frame including the top tube and down tube connected between the head tube and the seat tube, and the seat stay and chain stay where the drive unit is located, for diversity in size, the above-mentioned head tube, top tube, down tube, and seat
  • the length and angle of the tube can be formed in various ways.
  • the size is adjusted by adjusting the protruding height of the seat post inserted into the seat tube or the saddle coupled to the seat post to correspond to the inseam, the length of the lower body of the occupant.
  • the height of the handlebar the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upper body and arms of the rider, that is, from the pelvis
  • the overall reach which is the distance to the hands of the occupant gripping the handlebar, is shortened, an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shape of the handlebar must be changed.
  • the top tube In order to control the overall reach, the top tube is recently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iec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spaced apart.
  • a method of adjusting the overall length of the top tube is used by adjusting or allowing one of the plurality of divided top tubes to slide relative to the other, and fixing the top tube at a set position through a fastener such as a clamp.
  • a fastener such as a clamp.
  • variable insertion part a plurality of insertion regions for inserting the seat post may be formed inside the seat tube along the overall reach direction.
  • the insertion area may be formed lo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at tube, and an upper portion may be opened to insert the seat post.
  • an accommodation space for accommodating an article may be formed in the insertion area.
  • the insertion area may be provided with a dividing member that is drawn into the seat tube from the outside and divides the inner space of the seat tube.
  • the insertion area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at a lower portion of the seat tube.
  • the incision area may be formed between the insertion areas adjacent to each other.
  • FIG. 1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a bicycle frame capable of adjusting overall rea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variable insertion part and a fixing part of a bicycle frame capable of adjusting overall rea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variable insertion portion of a bicycle frame capable of adjusting overall rea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modified example of a variable insertion part of a bicycle frame capable of adjusting overall rea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cutout area and a weight reduction area of a variable insertion part of a bicycle frame capable of adjusting overall rea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a variable insertion part of a bicycle frame capable of adjusting overall rea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a variable insertion part of a bicycle frame capable of adjusting overall rea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only the through area is formed without the connection area of FIG. 9;
  • Figure 12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one form of the bicycle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with a variable insertion portion of Figures 9 to 11;
  • FIG. 13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ccommodating space of a variable insertion part of a bicycle frame capable of adjusting overall rea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4 is a view for explaining a fixing part of a bicycle frame capable of adjusting overall rea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 is a view for explaining a modified example of a fixing part of a bicycle frame capable of adjusting overall rea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6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a fixing part of a bicycle frame capable of adjusting overall rea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7 is a view for explaining a fixing member provided in a fixing part of a bicycle frame capable of adjusting overall rea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a bicycle frame capable of adjusting overall rea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variable insertion portion of a bicycle frame capable of adjusting overall rea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variable insertion portion of a bicycle frame capable of adjusting the overall rea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for explaining a modified example of a variable insertion part of a bicycle frame capable of adjusting the overall reach.
  • the head tube (F3) is provided so that the handlebar (H) can be connected to the upper part, and the front wheel of the bicycle can be connected to the lower part.
  • the seat tube F2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head tube F3 to the rear side, and the seat post F1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 variable insertion portion 120 is provided in the above-described seat tube F2, and is provided to adjust the insertion position of the seat post F1 with respect to the seat tube F2, so that the handle bar
  • the overall reach (d) which is the distance from (H) to the saddle (S)
  • the fixing part 14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above-described variable insertion part 120, and the position of the inserted seat post (F1) can be fixed.
  • the insertion area 122 is shown as a pair symmetrical about the central side within the seat tube F2, but the insertion position of the seat post F1 can be changed through the insertion area 122, and the seat post If (F1) can be stably inserted into the corresponding shape, of course, it can be changed to a different shape and number than shown, and it is natural that the scope of rights is not limited due to this.
  • the insertion areas 122a and 122b may be provided independently without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within the seat tube F2 as shown in FIG. ) may be provided in a form in whic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tube formed of a hollow tube are coupled to each other.
  • the incision area 120a may be formed from the outside of the seat tube F2 toward the insertion areas 122a and 122b, as shown in FIG. 140) is connected to reduce the inner diameter of the insertion areas 122a and 122b while fixing the seat post F1.
  • the cutout area 120a-1 may be formed between adjacent insertion areas 122a and 122b.
  • the incision area 120a-1 is provided between the insertion areas 122a and 122b so that the insertion areas 122a and 122b pass through an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saddle S or the seat post F1 is electrically connected.
  • a cable may be connected from one insertion area 122a to the other insertion area 122b.
  • the insertion areas 122a and 122b of the variable insertion portion 120 described above in FIG. 3 are disposed within the seat tube F2, and the variable insertion portions 120-1 and 120-2 in FIGS. 4 and 5
  • the plurality of insertion areas 122d, 122e, and 122f may be provided to have different inner diameters, and the diameters may decrease from the front to the rear along the overall reach (d) direction, or vice versa. It may be arranged to grow.
  • the insertion regions 122d, 122e, and 122f of the variable insertion portion 120-4 may be form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or may be provided so as to be completely connected by forming the cutout region 120a-1 in the center. It may be arranged to be connected.
  • the insertion areas 122a, 122b, and 122c and the insertion areas 122d, 122e, and 122f described above may be arranged inside the seat tube F2-1 and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e bottom.
  • variable insertion portion 120 forms independent insertion areas 122a and 122b in the seat tube F2 as shown in FIG.
  • a connection region 124 may be formed by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within the tube F2.
  • the insertion areas 122a and 122b are divided into independent forms, and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the insertion areas 122a and 122b formed inside the seat tube F2 is attached to the seat tube F2. Even if it is provided to penetrate the outer surface of, it will be said that all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connection area 124 and the penetration area 126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to 11 is formed in the insertion area 122 to prevent damage to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and to maintain wires or cables provided therewith.
  • the bicycle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with the variable insert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can facilitate maintenance may be formed in the form shown in FIG. 12 .
  • the insertion area 122 is the insertion area 122 located close to the rear wheel side among the plurality of insertion areas 122 and the seat tube F2 surrounding it is the top where the seat post F1 is inserted.
  • a hole is machined at the lower end of the insertion area 122 located near the front wheel side among the plurality of insertion areas 122, and the above-described cable C is connected to the other insertion area 122 through the machined hole.
  • the insertion areas 122a and 122b may form an accommodation space 128 for accommodating an article therein.
  • a seat post F1 is inserted into one insertion area 122b and fixed by the fixing part 140, and the other An accommodating space 128 is formed in one insertion area 122a to store batteries, keys, and other accessories.
  • the accommodating space 128 may be separately provided to be detachable from the insertion area 122a so that the accommodating space 128 can be flexibly coupled to the insertion area 122a where the seat post F1 is not inserted.
  • the fixing part 14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above-described variable insertion parts 120, 120-1, 120-2, 120-3, and 120-4 to fix the position of the inserted seat post F1.
  • the seat post F1 which is provided to wrap around the seat tubes F2 and F2-1 and tightens the entire seat tubes F2 and F2-1, is inserted into the seat tube F2. , F2-1).
  • the incision area 120a is not shown in FIG. 14, but as shown in FIGS. 3 and 4, it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seat tubes F2 and F2-1, and is formed around the seat tubes F2 and F2-1. It will be convenient to clamp the seat post F1 using bolts and nuts through the arranged fixing part 140 .
  • the seat tube F2-1 when the seat tube F2-1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slot through the pipe drawing method, the seat tube F2-1 itself is formed based on the cutout area 120a-1 located in the center. Since a threaded through hole is formed and a bolt head seating groove is formed, the inner diameter of the insertion areas 122a and 122b can be reduced through the bolt.
  • the fixing part 140-3 includes a fixing member 142, and the fixing member 142 cuts the seat tubes F2 and F2-1 while being pulled toward each other at the center of the seat tubes F2 and F2-1.
  • the inner diameter of the region 120a-1 may be reduced.
  • the fixing member 142 protrudes toward the incision areas 120a and 120a-1, it contact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t post F1, and the seat post is fastened through FIGS. 14 to 16 described above.
  • (F1) can be fixed, and in FIG. 17, the seat tube (F2-1) formed by the drawing method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 the fixing member 142 is disposed by forming an incision area in which 142 can move, and a part of the fixing member 142 protrudes toward the incision areas 120a and 120a-1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t post F1. Even if it is applied to fix the seat post F1 by direct contact, it will be obvious that it belongs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overall reach which is the length from the hand to the pelvis, can be adjusted without adjusting the length of the top tube, so that the bicycle can be optimized for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occupant.
  • the healthy and safe use of bicycles can be possible, and the size of bicycles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rapid growth rate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hich can have economic effects.
  • the size of the bicycle can be adjusted in various ways, which has the advantage of increasing user satisfaction.
  • the present invention was filed with support for the leisure equipment 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 of the Small and Medium Venture Business Corpo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Devices For Bicycles And Motorcycles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오버럴 리치 조절이 가능한 자전거 프레임은, 상부에 핸들바가 연결되는 헤드튜브 및 상기 헤드튜브에서 소정거리 이격되어 안장을 지지하는 시트포스트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시트튜브를 포함하는 자전거 프레임으로서, 시트튜브에 마련되어, 핸들바에서 안장까지의 거리인 오버럴 리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시트포스트의 삽입 위치를 조절하는 가변삽입부, 및 가변삽입부 일측에 형성되어 삽입된 시트포스트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의 레저장비기술개발 사업 지원으로 출원된 것이다.

Description

오버럴 리치 조절이 가능한 자전거 프레임
본 발명은 자전거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트튜브에 대한 시트포스트의 삽입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핸들바에서 안장까지의 거리인 오버럴 리치를 조절할 수 있는 자전거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자전거는 탑승자의 힘으로 이동하는 운송 수단으로 탑승자가 직접 페달을 통해 자전거 바퀴로 동력을 전달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자전거는 프레임, 조향부, 안장과 시트포스트, 구동부, 변속부 제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자전거는 탑승자의 하중과 노면의 충격 구동계에서 발생하는 힘을 견디면서 가볍게 만드는 것이 중요하며, 탑승자가 직접 타는 운송수단인 만큼 자전거 제조업체는 탑승자의 신체사이즈에 맞는 다양한 사이즈의 자전거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구체적으로 상부에 핸들바가 연결되는 헤드튜브, 탑승자의 하체 길이인 인심(inseam)에 대응되도록 헤드튜브에서 소정거리 이격되어 안장을 지지하는 시트튜브를 포함하고, 상술한 탑승자의 상체 길이와 팔길이에 대응되도록 헤드튜브와 시트튜브 사이에 연결되는 탑튜브와 다운튜브 및 구동부가 위치한 시트스테이, 체인스테이를 포함하는 자전거 프레임은, 사이즈의 다양성을 위해서, 상술한 헤드튜브, 탑튜브, 다운튜브, 시트튜브의 길이와 각도를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구동부 부품을 적용하기 위해 동일한 치수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한 시트스테이와 체인스테이의 사이즈는 변경하지 않는다.
상술한 자전거 프레임은 제조된 상태에서는 크기를 조절할 수 없어 여러 사이즈 별로 각각 제작해야만 하는 한계가 있으며, 이는 개발과 제조 비용을 높이는 원인이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등록특허 제10-2236772호와 같이 탑승자의 하체 길이인 인심(inseam)에 대응하도록 시트튜브에 삽입되는 시트포스트 또는 시트포스트에 결합되는 안장의 돌출된 높이를 조절하여 치수를 조절하는 방식이 사용되거나, 조향부의 핸들바 높이 또는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각도 조절용 스템이 사용되고 있지만, 핸들바의 높이를 조절하면 상대적으로 탑승자의 상체 길이와 팔길이에 대응되는 길이, 즉 골반에서 핸들바를 파지한 탑승자의 손까지 거리인 오버럴 리치(overall reach)가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핸들바의 형상을 변경해야만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사이즈로 제조된 탑튜브는 길이를 변경할 수 없기 때문에 탑튜브 길이로 인해 결정되는 오버럴 리치(overall reach)를 조절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오버럴 리치를 조절하기 위해 최근에는 탑튜브를 길이방향으로 복수개로 분할하여 이격시키고, 분할된 탑튜브의 이격된 거리를 조절하여 클램프 등의 결합구를 통해 양측을 고정함으로써 탑튜브의 전체길이를 조절하거나, 복수로 분할된 탑튜브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를 기준으로 슬라이딩되도록 하고, 설정된 위치에서 클램프 등의 결합구를 통해 고정함으로써, 탑튜브의 전체길이를 조절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탑튜브의 길이조절과 관계없이 시트스테이와 체인스테이가 변경되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자전거 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회동구조로 변경되어야 하는 등의 자전거 프레임 전체의 변화가 불가피하여 기존의 자전거 구조부품을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탑튜브의 전체길이가 가변되는 형식은 고정된 자전거 프레임 대비 구조적으로 외부 충격에 다소 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자전거의 사이즈에 맞지 않는 신체조건을 가진 탑승자가 자전거를 이용할 경우에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으며, 특히 아동, 청소년의 빠른 성장으로 인해 자전거 구입 후 자전거의 크기가 신체조건에 비해 작아져 이용에 불편함을 겪거나 이용할 수 없는 경우가 많아 큰 사이즈의 자전거를 재구매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시트튜브에 마련되어, 핸들바에서 안장까지의 거리인 오버럴 리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시트포스트의 삽입 위치를 조절하는 가변삽입부와 가변삽입부 일측에 형성되어 삽입된 시트포스트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오버럴 리치 조절이 가능한 자전거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 과제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오버럴 리치 조절이 가능한 자전거 프레임은, 상부에 핸들바가 연결되는 헤드튜브 및 상기 헤드튜브에서 소정거리 이격되어 안장을 지지하는 시트포스트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시트튜브를 포함하는 자전거 프레임으로서, 상기 시트튜브에 마련되어, 상기 핸들바에서 상기 안장까지의 거리인 오버럴 리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시트포스트의 삽입 위치를 조절하는 가변삽입부; 및 상기 가변삽입부 일측에 형성되어 삽입된 상기 시트포스트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변삽입부는, 상기 시트포스트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영역이 상기 오버럴 리치 방향을 따라 상기 시트튜브 내부에 복수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영역은, 상기 시트튜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상기 시트포스트가 삽입되도록 상부가 개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삽입영역은, 내부에 물품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영역은, 외부에서 시트튜브 내로 인입되어 시트튜브 내부 공간을 분할하는 분할부재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영역은, 상기 시트튜브의 하부에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영역은, 상기 시트튜브 내부에 형성된 복수개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시트튜브의 외면을 관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상기 가변삽입부는, 상기 삽입영역의 내경이 축소되어 상기 시트포스트가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영역 일측에 절개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개영역은, 상기 시트튜브 외측에서 상기 삽입영역을 향해 형성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절개영역은, 서로 인접한 상기 삽입영역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절개영역을 기준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마련된 한쌍의 결합부재가 서로 당겨지면서 상기 삽입영역의 내경을 축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오버럴 리치 조절이 가능한 자전거 프레임에 따르면, 탑튜브를 가변하거나 복수의 자전거 프레임을 구비하지 않고서도 손에서 골반까지의 길이인 오버럴 리치를 조절할 수 있어 자전거를 탑승자의 신체조건에 최적화시켜 이용할 수 있어 탑승자의 건강하고 안전한 자전거 이용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아동, 청소년의 빠른 성장속도에 맞춰 자전거의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어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공유자전거로 사용하는 경우에 자전거의 사이즈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어 이용자들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버럴 리치 조절이 가능한 자전거 프레임의 전체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버럴 리치 조절이 가능한 자전거 프레임의 가변삽입부와 고정부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버럴 리치 조절이 가능한 자전거 프레임의 가변삽입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버럴 리치 조절이 가능한 자전거 프레임의 가변삽입부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버럴 리치 조절이 가능한 자전거 프레임의 가변삽입부의 절개영역과 경량화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버럴 리치 조절이 가능한 자전거 프레임의 가변삽입부의 절개영역을 통해 케이블이 시트포스트에 연결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버럴 리치 조절이 가능한 자전거 프레임의 가변삽입부의 다른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버럴 리치 조절이 가능한 자전거 프레임의 가변삽입부의 또 다른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버럴 리치 조절이 가능한 자전거 프레임의 가변삽입부의 연결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도 9의 연결영역 일측에 형성된 관통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도 9의 연결영역이 형성되지 않고 관통영역만 형성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도 9 내지 도 11의 가변삽입부가 마련된 본 발명의 자전거 프레임의 일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버럴 리치 조절이 가능한 자전거 프레임의 가변삽입부의 수용공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버럴 리치 조절이 가능한 자전거 프레임의 고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버럴 리치 조절이 가능한 자전거 프레임의 고정부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버럴 리치 조절이 가능한 자전거 프레임의 고정부의 다른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버럴 리치 조절이 가능한 자전거 프레임의 고정부의 또 다른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버럴 리치 조절이 가능한 자전거 프레임의 고정부에 마련된 고정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버럴 리치 조절이 가능한 자전거 프레임의 전체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버럴 리치 조절이 가능한 자전거 프레임의 가변삽입부와 고정부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버럴 리치 조절이 가능한 자전거 프레임의 가변삽입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버럴 리치 조절이 가능한 자전거 프레임의 가변삽입부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버럴 리치 조절이 가능한 자전거 프레임의 가변삽입부의 절개영역과 경량화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버럴 리치 조절이 가능한 자전거 프레임의 가변삽입부의 절개영역을 통해 케이블이 시트포스트에 연결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버럴 리치 조절이 가능한 자전거 프레임의 가변삽입부의 다른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버럴 리치 조절이 가능한 자전거 프레임의 가변삽입부의 또 다른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버럴 리치 조절이 가능한 자전거 프레임의 가변삽입부의 연결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0은 도 9의 연결영역 일측에 형성된 관통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9의 연결영역이 형성되지 않고 관통영역만 형성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2는 도 9 내지 도 11의 가변삽입부가 마련된 본 발명의 자전거 프레임의 일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버럴 리치 조절이 가능한 자전거 프레임의 가변삽입부의 수용공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버럴 리치 조절이 가능한 자전거 프레임의 고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버럴 리치 조절이 가능한 자전거 프레임의 고정부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버럴 리치 조절이 가능한 자전거 프레임의 고정부의 다른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버럴 리치 조절이 가능한 자전거 프레임의 고정부의 또 다른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버럴 리치 조절이 가능한 자전거 프레임의 고정부에 마련된 고정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버럴 리치 조절이 가능한 자전거 프레임(10)은 헤드튜브(F3), 시트튜브(F2), 가변삽입부(120), 고정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헤드튜브(F3)는 상부에 핸들바(H)가 연결될 수 있도록 마련되며, 하부에 자전거의 앞바퀴가 연결될 수 있다.
시트튜브(F2)는 상술한 헤드튜브(F3)를 기준으로 후방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에 시트포스트(F1)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시트포스트(F1)의 상부에는 안장(S)이 결합될 수 있으며, 시트포스트(F1) 및 안장(S)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헤드튜브(F3)와 헤드튜브(F3)에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마련된 시트튜브(F2) 사이에는 탑튜브(F4)가 연결될 수 있으며, 탑튜브(F4)의 하부측에 다운튜브(F5)가 형성되어 자전거의 구동부를 지지할 수 있다.
이때 가변삽입부(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시트튜브(F2)에 마련되되, 시트튜브(F2)에 대한 시트포스트(F1)의 삽입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됨으로써, 핸들바(H)에서 안장(S)까지의 거리인 오버럴 리치(d)를 조절할 수 있으며, 고정부(140)는 상술한 가변삽입부(120) 일측에 형성되어 삽입된 시트포스트(F1)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변삽입부(120)에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튜브(F2) 내에 복수의 삽입영역(122)이 배열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삽입영역(122)은 시트튜브(F2)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시트포스트(F1)가 삽입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삽입영역(122)은 오버럴 리치(d) 방향을 따라 시트튜브(F2)의 내부에 복수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삽입영역(122)의 내주면에는 시트포스트(F1)의 외주면이 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삽입영역(122)을 시트튜브(F2) 내에서 중앙측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한쌍으로 도시하였으나, 삽입영역(122)을 통해 시트포스트(F1)의 삽입 위치를 변경할 수 있고, 시트포스트(F1)가 형상대응되어 안정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면 도시된 바와 다른 형상 및 개수로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다만 더욱 상세한 설명을 위해 예를 들어 설명하면, 삽입영역(122a, 122b)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튜브(F2) 내에서 서로 연결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때 시트튜브(F2)는 중공관으로 형성된 튜브의 외주면이 서로 결합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시트튜브(F2-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 인발 공법으로 슬롯 형태로 마련될 경우에 하나의 시트튜브(F2-1) 내부에 슬롯의 장축방향으로 복수의 삽입영역(122a, 122b)이 형성된 형태로 변형되더라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시트튜브(F2-1) 내부에 별도의 부재를 삽입함으로써 복수의 삽입영역(122a, 122b)을 형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삽입영역(122a, 122b)은, 외부에서 시트튜브 내로 인입되어 고정되면서, 시트튜브 내부 공간을 분할하는 분할부재(미도시)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변삽입부(120-1)는 시트튜브(F2-1)에 마련된 고정부(140)에 의해 상술한 삽입영역(122a, 122b)의 내경이 축소되어 시트포스트(F1)가 고정될 수 있도록 삽입영역(122a, 122b) 일측에 절개영역(120a)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절개영역(120a)은 전술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튜브(F2) 외측에서 삽입영역(122a, 122b)을 향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시트튜브(F2) 외측에 고정부(140)가 연결되어 삽입영역(122a, 122b)의 내경을 축소시키면서 시트포스트(F1)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영역(120a-1)은 서로 인접한 삽입영역(122a, 122b)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절개영역(120a-1)은 내부의 삽입영역(122a, 122b)이 서로 관통되어 연결되도록 삽입영역(122a, 122b) 사이에 마련됨으로써, 안장(S) 또는 시트포스트(F1)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경우에 케이블을 어느 한쪽 삽입영역(122a)에서 다른 한쪽의 삽입영역(122b)으로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케이블을 다수 포함하는 전기 자전거의 하부 케이블을 시트포스트(F1)와 연결할 수 있고, 공유자전거와 같이 시트포스트(F1) 도난방지를 위해 내부 케이블(C)을 포함하는 경우에도, 시트튜브(F2-1) 내부에 삽입된 시트포스트(F1) 앞 뒤로 케이블(C)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두가지 형태의 절개영역(120a, 120a-1)은 경우에 따라서 상술한 두가지 시트튜브(F2, F2-1) 형태에 혼용되더라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즉, 앞서 상술한 절개영역(120a)와 절개영역(120a-1)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개구된 상태를 표현하는 것이며, 둘 중 어느 하나가 시트튜브(F2)에 적용되거나 시트튜브(F2-1)에 적용되더라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자명한 것이며, 각각을 이해하기 쉽게 구분하여 설명할 뿐, 추후 상술할 도면에서 절개영역(120a)이 시트튜브(F2-1)에 적용되더라도 본 발명의 이해범위에 속한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가변삽입부(120-2)는 경량화영역(120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경량화영역(120b)은 시트튜브(F2-1) 내부에 마련될 수 있으며, 서로 인접한 삽입영역(122a, 122b) 사이에 배치되어 시트튜브(F2-1)의 무게를 가볍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이프 인발공법의 슬롯 형태로 형성된 시트튜브(F2-1)에서 가변삽입부(120-2)의 삽입영역(122a, 122b)은 중앙측에 절개영역(120a-1)이 형성되어 서도 연결된 대칭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경량화영역(120b)의 형상과 위치는 다양할 수 있으나 시트튜브(F2-1) 내에 형성되되, 삽입영역(122a, 122b) 중앙측 절개영역(120a-1)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인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간편할 것이다.
상술한 도 3에서 상술한 가변삽입부(120)의 삽입영역(122a, 122b)이 시트튜브(F2) 내에 배치되고, 도 4 및 도 5에서 가변삽입부(120-1, 120-2)의 삽입영역(122a, 122b)은 시트튜브(F2-1) 내에 배치되는 한쌍의 영역으로 표현하였으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버럴 리치(d) 방향을 따라 n개(n=1,2,3,4,5,…)배열되더라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삽입영역(122d, 122e, 122f)은 서로 다른 내경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오버럴 리치(d) 방향을 따라 전방에서 후방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거나 반대로 커지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때 시트포스트(F1)는 길이 방향을 따라 직경이 점점 좁아지거나 커지는 형태로 마련됨으로써, 높이를 탑승자가 조절하지 않아도 신체조건에 따라 미리 설정된 높이로 고정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처럼 가변삽입부(120-4)의 삽입영역(122d, 122e, 122f)은 서로 독립적으로 형성되거나 중앙측에 절개영역(120a-1)이 형성되어 완전히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는데, 이와는 달리 부분적으로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아울러 앞서 상술한 삽입영역(122a, 122b, 122c) 및 삽입영역(122d, 122e, 122f)은, 시트튜브(F2-1) 내부에 배치되되, 하부에서 서로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변삽입부(120)는 시트튜브(F2) 내에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독립된 삽입영역(122a, 122b)을 형성하고, 각각의 삽입영역(122a, 122b) 하부가 개방됨으로써, 시트튜브(F2) 내에서 서로 연결되어 연결영역(124)이 형성될 수 있다.
전기자전거나 공유자전거일 경우에, 상술한 연결영역(124)을 통해 구동부에서 연결되는 전선 또는 케이블을 포함한 부품들을 배치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시트튜브(F2) 외부에 통해 전선 또는 케이블을 포함하는 전기적 구성품을 배치하지 않고 내부에서 시트포스트(F1) 또는 시트포스트(F1)에 연결된 안장(S)에 결합되는 다양한 전기적 구성품들에 전력을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상술한 구성품의 전기적 단선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영역(122a, 122b)은, 시트튜브(F2) 내부에 형성된 복수개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시트튜브(F2)의 외면을 관통하도록 관통영역(126)이 마련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구비되는 전선 또는 케이블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통영역(126)은 도 10을 기준으로 좌측 삽입영역(122a, 122b) 하부에 사선방향으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면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다른 경사 또는 위치로 변경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영역(126)은 삽입영역(122a, 122b)이 서로 독립적인 형태로 분할되어 있고, 시트튜브(F2) 내부에 형성된 복수개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시트튜브(F2)의 외면을 관통하도록 마련되더라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도9 내지 11을 통해 설명한 연결영역(124) 및 관통영역(126)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삽입영역(122)에 형성됨으로써, 상술한 구성품의 손상을 방지하고 구비되는 전선 또는 케이블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본 발명의 가변삽입부(120)가 마련된 본 발명의 자전거 프레임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삽입영역(122)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삽입영역(122) 중 뒷바퀴쪽에 가깝에 위치하는 삽입영역(122)과 이를 감싸는 시트튜브(F2)는 시트포스트(F1)이 삽입되는 상단을 기준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아랫부분을 제거하여 시트튜브(F2)와 바퀴간의 간섭이 없도록 한다.
이 경우에 복수의 삽입영역(122) 중 앞바퀴쪽에 가깝에 위치하는 삽입영역(122)의 하단부에 홀을 가공하고, 가공된 홀을 통해 다른 삽입영역(122)으로 상술한 케이블(C)을 연결할 수 도 있다.
나아가 삽입영역(122a, 122b)은, 내부에 물품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128)이 형성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개의 삽입영역(122a, 122b)이 형성된 경우에, 하나의 삽입영역(122b)에는 시트포스트(F1)가 삽입되어 고정부(140)에 의해 고정되고 다른 하나의 삽입영역(122a)에는 수용공간(128)이 형성되어, 배터리, 열쇠, 기타 악세서리 등을 보관할 수 있다.
이때 수용공간(128)은 별도로 삽입영역(122a)에 착탈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시트포스트(F1)가 삽입되지 않은 삽입영역(122a)에 수용공간(128)이 유동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14 내지 도 17을 통해 상술한 고정부(140, 140-1, 140-2, 140-3, 140-4)를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부(140)는 상술한 가변삽입부(120, 120-1, 120-2, 120-3, 120-4) 일측에 형성되어 삽입된 시트포스트(F1)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데, 이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튜브(F2, F2-1)의 둘레를 감싸도록 마련되어 시트튜브(F2, F2-1) 전체를 조여 삽입된 시트포스트(F1)를 시트튜브(F2, F2-1)에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절개영역(120a)은 도 14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튜브(F2, F2-1)의 외측에 형성되고, 시트튜브(F2, F2-1)의 둘레에 배치된 고정부(140)를 통해 시트포스트(F1)을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해 클램핑하는 것이 간편할 것이다.
또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절개영역(120a-1)이 삽입영역(122a, 122b)이 사이에 형성되어 서로 연결된 경우에 고정부(140-1)는, 상술한 절개영역(120a-1)을 기준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마련된 한쌍의 결합부재는 각각 중앙측 절개영역(120a-1)을 향해 관통홀이 형성되며, 관통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나사산이 형성됨으로써, 어느 하나의 결합부재를 통해 다른 하나의 결합부재로 볼트를 체결하여 볼트가 조여지면서 삽입영역(122a, 122b)의 내경이 축소될 수 있다.
또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튜브(F2-1)가 파이프 인발 공법을 통해 슬롯 형태로 마련될 경우에는 중앙측에 위치한 절개영역(120a-1)을 기준으로 시트튜브(F2-1) 자체에 나사산이 형성된 관통홀이 형성되고 볼트머리 안착홈이 형성됨으로써, 볼트를 통해 삽입영역(122a, 122b)의 내경을 축소할 수 있다.
나아가 상술한 바와 같이 시트튜브(F2, F2-1)의 외부 또는 내부에 절개영역(120a, 120a-1)를 형성하여 시트튜브(F2, F2-1)를 조여서 시트포스트(F1)를 체결하지 않고,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40-3)는 고정부재(142)를 포함하고, 고정부재(142)는 시트튜브(F2, F2-1)의 중앙측에는 서로를 향해 당겨지면서 절개영역(120a-1)의 내경을 축소시킬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재(142)가 서로 당겨지면서 절개영역(120a-1)의 내경을 축소시켜 시트포스트(F1)를 고정할 수 있다면, 고정부재(142)가 서로 인접하거나 이격된 위치를 유지하게 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으며, 이로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다만, 더욱 자세한 설명을 위해 예를 들어 설명하면 서로 인접하거나 이격되도록 대칭 형성된 고정부재(142)의 이동방향으로 동심축을 가지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관통홀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됨으로써, 볼트와 같은 체결구로 연결되어 서로 인접하거나 이격되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이 간편할 것이다.
이로 인해 고정부재(142)의 일부분이 절개영역(120a, 120a-1)을 향해 돌출되면서 시트포스트(F1)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전술한 도 14 내지 도 16을 통해 체결되는 방식과 동일하게 시트포스트(F1)를 고정할 수 있으며, 도 17에서는 인발공법으로 형성된 시트튜브(F2-1)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술한 시트튜브(F2)의 경우에도 시트튜브(F2)의 상단부에 고정부재(142)가 이동할 수 있는 절개영역을 형성하여 고정부재(142)를 배치하고, 고정부재(142)의 일부분이 절개영역(120a, 120a-1)을 향해 돌출되면서 시트포스트(F1)의 외주면에 직접 접촉함으로써 시트포스트(F1)를 고정할 수 있도록 적용되더라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오버럴 리치 조절이 가능한 자전거 프레임에 따르면, 탑튜브의 길이를 조절하지 않고, 손에서 골반까지의 길이인 오버럴 리치를 조절할 수 있어 자전거를 탑승자의 신체조건에 최적화시켜 이용할 수 있어 탑승자의 건강하고 안전한 자전거 이용이 가능할 수 있으며, 아동, 청소년의 빠른 성장속도에 맞춰 자전거의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어 경제적인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공유자전거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자전거의 사이즈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어 이용자들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종래기술의 자전거 프레임의 형상이나 치수를 변화시키는 방법과 달리, 추가 부품이 필요없어 무게가 가볍고, 제품 파손이나 고장 우려가 적으며, 프레임 크기 변경을 위한 형상 변경으로 인해 종래의 것들과 호환성이 떨어지는 문제와 양산이 어렵게 되는 문제, 심미적으로 좋지 않은 디자인을 채택하게 되는 문제 등을 모두 해결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 사사(acknowledgement)
본 발명은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의 레저장비기술개발 사업 지원으로 출원된 것이다.

Claims (10)

  1. 상부에 핸들바가 연결되는 헤드튜브 및 상기 헤드튜브에서 소정거리 이격되어 안장을 지지하는 시트포스트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시트튜브를 포함하는 자전거 프레임으로서,
    상기 시트튜브에 마련되어, 상기 핸들바에서 상기 안장까지의 거리인 오버럴 리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시트포스트의 삽입 위치를 조절하는 가변삽입부; 및
    상기 가변삽입부 일측에 형성되어 삽입된 상기 시트포스트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오버럴 리치 조절이 가능한 자전거 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삽입부는,
    상기 시트포스트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영역이 상기 오버럴 리치 방향을 따라 상기 시트튜브 내부에 복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럴 리치 조절이 가능한 자전거 프레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영역은,
    상기 시트튜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상기 시트포스트가 삽입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럴 리치 조절이 가능한 자전거 프레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영역은,
    외부에서 시트튜브 내로 인입되어 시트튜브 내부 공간을 분할하는 분할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럴 리치 조절이 가능한 자전거 프레임.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영역은,
    상기 시트튜브의 하부에서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럴 리치 조절이 가능한 자전거 프레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영역은,
    상기 시트튜브 내부에 형성된 복수개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시트튜브의 외면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럴 리치 조절이 가능한 자전거 프레임.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삽입부는,
    상기 삽입영역의 내경이 축소되어 상기 시트포스트가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영역 일측에 절개영역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럴 리치 조절이 가능한 자전거 프레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영역은,
    상기 시트튜브 외측에서 상기 삽입영역을 향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럴 리치 조절이 가능한 자전거 프레임.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영역은,
    서로 인접한 상기 삽입영역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럴 리치 조절이 가능한 자전거 프레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절개영역을 기준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마련된 한쌍의 결합부재가 서로 당겨지면서 상기 삽입영역의 내경을 축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럴 리치 조절이 가능한 자전거 프레임.
PCT/KR2021/006487 2021-05-25 2021-05-25 오버럴 리치 조절이 가능한 자전거 프레임 WO2022250175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80098651.7A CN117377611A (zh) 2021-05-25 2021-05-25 可调节总前伸量的自行车框架
PCT/KR2021/006487 WO2022250175A1 (ko) 2021-05-25 2021-05-25 오버럴 리치 조절이 가능한 자전거 프레임
KR1020237040885A KR20240004670A (ko) 2021-05-25 2021-05-25 오버럴 리치 조절이 가능한 자전거 프레임 {bike framewith adjustable overall reac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1/006487 WO2022250175A1 (ko) 2021-05-25 2021-05-25 오버럴 리치 조절이 가능한 자전거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50175A1 true WO2022250175A1 (ko) 2022-12-01

Family

ID=84229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06487 WO2022250175A1 (ko) 2021-05-25 2021-05-25 오버럴 리치 조절이 가능한 자전거 프레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40004670A (ko)
CN (1) CN117377611A (ko)
WO (1) WO2022250175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03521A (en) * 1987-11-18 1997-02-18 Bontrager Cycles, Inc. Mechanically joined steering assembly
KR100831415B1 (ko) * 2007-12-17 2008-05-22 김용신 자전거용 안장
KR20110001324U (ko) * 2009-07-31 2011-02-09 김동한 자전거 안장의 위치조절장치
KR20120001821U (ko) * 2011-12-30 2012-03-09 손영석 시트튜브가 3개 설치된 자전거.
WO2017144100A1 (en) * 2016-02-25 2017-08-31 Bmc Switzerland Ag Bicycle fram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03521A (en) * 1987-11-18 1997-02-18 Bontrager Cycles, Inc. Mechanically joined steering assembly
KR100831415B1 (ko) * 2007-12-17 2008-05-22 김용신 자전거용 안장
KR20110001324U (ko) * 2009-07-31 2011-02-09 김동한 자전거 안장의 위치조절장치
KR20120001821U (ko) * 2011-12-30 2012-03-09 손영석 시트튜브가 3개 설치된 자전거.
WO2017144100A1 (en) * 2016-02-25 2017-08-31 Bmc Switzerland Ag Bicycle fr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377611A (zh) 2024-01-09
KR20240004670A (ko) 2024-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154356A2 (ko) 자전거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이륜 및 삼륜 변환이 가능한 자전거와 유모차
WO2011102562A1 (en) Angle adjustment device for bicycle saddle
WO2013081402A1 (ko) 도로용 가드케이블
WO2022250175A1 (ko) 오버럴 리치 조절이 가능한 자전거 프레임
WO2010147310A2 (ko) 수동 주행기구
WO2021241956A1 (ko) 기능성 듀얼 안장 및 그를 구비하는 자전거
WO2018066758A1 (ko) 원활한 균형유지를 위해 다축 연결체를 구비하는 운반기구
WO2019160225A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쇠톱장착공구
WO2016171532A1 (ko) 자전거 안장의 각도조절장치
WO2019112173A1 (ko) 상호 연결 가능한 자전거
WO2020141661A1 (ko) 차륜 틸팅장치
WO2016047978A1 (ko) 자전거 운동기구
CN117060306A (zh) 一种电力通信线路辅助固定设备
WO2012036396A2 (ko) 카본시트와 섬유재로 이루어진 복합카본소재, 동 소재가 적용된 자전거용 부품 및 동 부품을 포함하는 자전거
CN213087615U (zh) 多功能杆
WO2013089328A1 (ko) 소켓
JPH01311977A (ja) 二輪車の操縦系の安全装置
EP3097005A1 (en) Steering shaft modifier
CN112968408A (zh) 一种电缆敷设传送导向装置
WO2006083838A2 (en) Device for connecting bicycle in tandem
WO2021172806A1 (ko) 분리형 자전거 및 분리형 자전거 프레임
WO2015178524A1 (ko) 다지형 로더용 언더캐리지
WO2023191509A1 (ko) 헬스 자전거
WO2016159469A1 (ko) 자전거용 트레일러
WO2021182860A1 (ko) 이륜차용 차체와 이륜차 및 이를 위한 완충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94316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80098651.7

Country of ref document: CN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37040885

Country of ref document: KR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